KR200472156Y1 -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156Y1
KR200472156Y1 KR2020120010937U KR20120010937U KR200472156Y1 KR 200472156 Y1 KR200472156 Y1 KR 200472156Y1 KR 2020120010937 U KR2020120010937 U KR 2020120010937U KR 20120010937 U KR20120010937 U KR 20120010937U KR 200472156 Y1 KR200472156 Y1 KR 200472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variable
fixing member
supporting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수
Original Assignee
강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수 filed Critical 강동수
Priority to KR2020120010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1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freely-rota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착석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양분하여 받쳐주는 분할 등받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 등받이부를 상호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착석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가변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필기 또는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보조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CHAIR HAVING VARIABLE TYPE BACKREST}
본 고안은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를 가변시켜 필기 또는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보조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몸을 의지하면서 앉을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서, 일상 생활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상기 의자는 디자인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측면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의자의 기본 구성은 사용자의 둔부를 받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사용작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임시 강의실 또는 야외 공간에서 교육을 할 경우에는 별도의 책상을 마련하지 않고 의자만 단독으로 배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착석자가 강의 내용을 필기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무릎이나 손바닥을 받침대로 활용하여 필기하는 자세를 취해야하는 매우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가방과 같은 소지품 등을 바닥에 내려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4499호(2003.05.14)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안의 목적은 의자의 등받이를 가변시켜 필기 또는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보조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착석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양분하여 받쳐주는 분할 등받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 등받이부를 상호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착석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가변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 연결수단은
상기 착석부의 바닥면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착석부의 바닥면 후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회동연결구와,
상기 회동연결구에 결합되며 상기 분할 등받이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한 체결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재와 상호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탄력적으로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체결구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착탈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터치 걸림구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에는 상기 원터치 걸림구를 수용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분할 등받이부와 나사체결되는 고정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등받이부를 탈착시킨 후 선회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가변 연결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필기 또는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보조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변 연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의 분할 등받이가 탈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의 분할 등받이가 선회 회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의 분할 등받이가 보조책상으로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착석부(100)와, 상기 착석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착석부(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양분하여 받쳐주는 분할 등받이부(300)와, 상기 분할 등받이부(300)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착석부(100)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가변 연결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착석부(100)는 착석자의 둔부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일정 넓이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착석부(100)는 목재, 합성수지, 금속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착석부(100)에는 가죽 또는 천 등을 사용하여 감싸는 상태의 외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착석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 시키는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봉 또는 각형의 골조를 사용하여 상기 착석부(100)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단부에는 롤러(210)를 장착하여 지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할 등받이부(300)는 기본적으로 착석자의 등을 좌우측으로 구별하여 편안하게 받쳐주는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가변 연결수단(400)에 의해 필기 또는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보조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할 등받이부(100)의 표면은 평편한 판재로 제작한다.
한편, 상기 가변 연결수단(400)은 상기 분할 등받이부(300)를 상호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착석부(100)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가변 연결수단(400)은 별도의 책상이 마련되지 않은 임시 강의실 또는 야외 공간에서 상기 분할 등받이부(300)를 보조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기 또는 소지품을 보관하기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 연결수단(400)은 상기 착석부(100)의 바닥면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제1 고정부재(410)와, 상기 착석부(100)의 바닥면 후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제2 고정부재(420)와, 상기 제1 고정부재(410)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420) 쪽을 향하여 절곡된 회동연결구(430)와, 상기 회동연결구(430)에 결합되며 상기 분할 등받이부(3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440)과, 상기 회전축(440)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440)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여 직선이동이 가능한 체결부재(450)와, 상기 제2 고정부재(420)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재(450)와 상호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구(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40)에는 상기 체결부재(450)가 탄력적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470)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450)에는 상기 체결구(46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착탈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터치 걸림구(451)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460)에는 상기 원터치 걸림구(451)를 수용하는 걸림홈(461)을 형성한다(도 2참조).
또한, 상기 회전축(440)에는 상기 회전축(440)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분할 등받이부재(300)와 나사체결되는 고정결합부(441)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고정결합부(441)는 밀착력이 우수한 실리콘 또는 고무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부재(420)의 선단에는 착석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대(500)를 설치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가 일반적인 의자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분할 등받이부(300) 역시 일반적인 등받이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분할 등받이부(300)를 보조책상으로 활용할 경우에는 상기 체결구(460)의 걸림홈(461)에 체결된 체결부재(450)의 원터치 걸림구(451)를 조작하여 상기 체결부재(450)를 체결구(460)로부터 이탈시킨다.
이후, 상기 체결구(460)로부터 이탈한 분할 등받이부(30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전달하면 상기 회동연결구(430)에 의해 상기 분할 등받이부(300)는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된다(도 4참조).
그 다음, 상기 분할 등받이부재(300)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분할 등받이부(300)를 회전시킨다(도 5참조).
이때, 상기 회동연결구(430)와 회전축(440) 사이에는 걸림단속부재(480)를 형성하여 상기 분할 등받이부(300)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도 2참조).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는 필기 또는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보조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할 등받이부(300)를 원래의 의자 등받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진행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100 : 착석부
200 : 지지프레임
300 : 분할 등받이부
400 : 가변 연결수단
410 : 제1 고정부재
420 : 제2 고정부재
430 : 회동연결구
440 : 회전축
450 : 체결부재
460 : 체결구
500 : 머리 받침대

Claims (5)

  1.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착석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양분하여 받쳐주는 분할 등받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 등받이부를 상호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착석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 및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착석부의 바닥면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착석부의 바닥면 후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회동연결구와, 상기 회동연결구에 결합되며 상기 분할 등받이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한 체결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재와 상호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가변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탄력적으로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체결구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착탈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터치 걸림구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에는 상기 원터치 걸림구를 수용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분할 등받이부와 나사체결되는 고정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2020120010937U 2012-11-27 2012-11-27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200472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937U KR200472156Y1 (ko) 2012-11-27 2012-11-27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937U KR200472156Y1 (ko) 2012-11-27 2012-11-27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156Y1 true KR200472156Y1 (ko) 2014-04-11

Family

ID=5148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937U KR200472156Y1 (ko) 2012-11-27 2012-11-27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15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56B1 (ko) * 2010-03-11 2010-12-28 양문석 마사지편을 구비한 등받이 분리형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56B1 (ko) * 2010-03-11 2010-12-28 양문석 마사지편을 구비한 등받이 분리형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24220B (zh) 一种多功能折叠座椅
JP6700487B2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CN203828460U (zh) 一种具有自由调节功能的椅子
KR200472156Y1 (ko) 가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1069192B1 (ko) 가슴받이와 팔받이 및 발받침으로 사용가능한 상하 회동형 신체지지부를 구비한 의자
KR101496727B1 (ko) 접철식 좌식의자
CN210672593U (zh) 一种便携式护腰矫姿坐垫
US10986929B2 (en) Foldable backrest
CN202096419U (zh) 一种具有腰部按摩机构的折叠按摩椅
CN202035822U (zh) 一种摇椅
KR20170001591U (ko) 소파
CN207477255U (zh) 斜靠式站坐一体办公椅
JP4947391B2 (ja) 折りたたみ式正座椅子
KR102558148B1 (ko) 위치 가변식 상판을 구비한 기능성 수강의자
CN203662311U (zh) 健身沙滩椅
CN112369852B (zh) 一种可切换坐站姿状态的座椅
CN100393260C (zh) 办公休闲多功能座椅
KR20130001400U (ko) 기능성 의자
KR200471916Y1 (ko)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CN201782339U (zh) 多用椅
KR101132525B1 (ko) 매트리스 겸용 사무용 의자
CN201480514U (zh) 新式学生椅
CN203676575U (zh) 一种可折叠座椅
KR200365911Y1 (ko) 허리운동기능 회전의자
KR200319603Y1 (ko) 모텔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