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967Y1 - 모듈형 플러그 - Google Patents

모듈형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967Y1
KR200471967Y1 KR2020120006774U KR20120006774U KR200471967Y1 KR 200471967 Y1 KR200471967 Y1 KR 200471967Y1 KR 2020120006774 U KR2020120006774 U KR 2020120006774U KR 20120006774 U KR20120006774 U KR 20120006774U KR 200471967 Y1 KR200471967 Y1 KR 200471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pair
main body
guide member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851U (ko
Inventor
김정곤
한창률
이정석
김영진
Original Assignee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96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8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9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는 모듈형 플러그(modular plug)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서트 부재와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꼬여있는 UPT케이블의 페어와 동선을 풀어서 나란하게 배열하여 플러그 하우징의 접속블레이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되 페어와 동선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절연벽을 형성하여 누화의 발생을 최소화한 모듈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형 플러그{modular plug}
본 고안은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는 모듈형 플러그(modular plug)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서트 부재와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꼬여있는 UPT케이블의 페어와 동선을 풀어서 나란하게 배열하여 플러그 하우징의 접속블레이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되 페어와 동선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절연벽을 형성하여 누화의 발생을 최소화한 모듈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형 플러그는 소정 길이의 UTP 케이블 양단에 설치되어 통신기기 간 또는 통신기기와 통신선 간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정보 통신용 케이블로서, 하나의 케이블에 다수의 동선(신호선)들이 페어(쌍;pair) 별로 꼬아진(Twisted)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UTP케이블의 페어를 꼬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인접된 도선에서 자계 및 전계에 의한 용량성 결합 및 유도성 결합이 나타나서 누화(crosstalk)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UTP 케이블의 종단에, 모듈형 플러그를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다수의 꼬여진 페어를 풀어서 평행하게 정렬시켜야 하므로 도선 사이에 누화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페어당 100MHz까지 전송하여야 하는 종래의 카테고리 5급에서는 모듈형 플러그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정도의 누화는 전송성능을 확보하는데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각 페어당 250MHz까지 전송하여야 하는 카테고리6(category 6) 급에서는 모듈형 플러그에서 발생하는 누화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도 7과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듈형 플러그(1)의 두 가지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종래의 모듈형 플러그(1)는 크게 UTP케이블(C)의 꼬여진 페어를 풀어서 정렬하거나 고정하는 인서트(13)와, 상기 인서트(13)가 삽입되는 플러그 하우징(15)과, 상기 인서트(13)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15)에 형성된 다수의 슬릿에 강하게 가압 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평행도선(17)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블레이드(41)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서트(13)는 소정의 유전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UTP케이블(C)의 꼬여진 페어(12)를 고정시켜 상기 플러그 하우징(15)에 삽입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인서트(13a)는 소정 두께를 갖는 유전체의 상면과 저면에 다수의 가이드홈(16) 형성하고 상면에는 UTP케이블(C)의 4페어 중에서 3-6페어와 7-8페어를 설치하고, 저면에는 1-2페어와 4-5페어를 각각 설치하여 각 페어들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누화를 최소화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서트(13a) 구조는 페어(12) 사이의 누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페어(2)의 선단에 동일 평면상으로 배열되는 평행도선(17)를 나란하게 정렬시키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모듈형 플러그(1)는 도시되지 않는 별도의 히팅장치를 이용해서 평행도선(17)의 외피를 서로 융착시켜 리본형태로 고정시켜 플러그 하우징(15)에 삽입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별도의 히팅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인서트(13b)는 평행도선(17)을 동일평면상에서 나란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정렬홈이 형성된 정렬판(18)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서트(13b) 구조는 평행도선의 정렬에는 유리하나, UTP케이블(C)의 꼬여진 페어(12)를 제1 및 제2그립퍼(19a, 19b)를 이용하여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게 고정함으로써 페어(12)들 사이에 누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4페어 8가닥으로 이루어진 UTP케이블에서 페어당 250MHz(category 6)까지 전송하여 1GHz급의 전송대역을 보장할 수 있도록 누화 발생을 최소화시킨 모듈러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꼬여진 페어를 풀어서 플러그 하우징에 접속시킬 때, 꼬여진 페어 사이의 누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UTP케이블의 페어와 동선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절연벽을 형성하여 누화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플러그는,
다수 개의 접속블레이드가 구비된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접속블레이드에 UPT케이블의 동선을 접속시키는 인서트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인서트 부재의 후방에 결합하여 상기 인서트 부재에 케이블의 페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부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부재는, 다수의 동선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판과, 상기 정렬판에 구비되어 다수 개의 동선을 나란하게 정렬하는 정렬홈과, 상기 정렬판의 좌우 양측에서 정렬판에 정렬된 동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된 수직벽과, 상기 수직벽의 상단 후방에서 두 개의 수직벽을 연결하여 일정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사각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측 면과 우측 면에 형성된 좌측통로 및 우측통로와, 상기 본체의 상측 면과 하측 면에 형성된 상측통로 및 하측통로와, 상기 상측통로와 하측통로 사이에 형성된 후방 브릿지와, 상기 상측통로 및 하측통로의 선단에 형성된 전방 브릿지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부재의 후단에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되는 결합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부재의 좌측통로는 좌측 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우측통로는 우측 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통로와 우측통로 사이에는 일정한 두께로 절연벽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통로와 우측통로의 개구부에는 페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돌출턱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측통로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통로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후단에는 상측통로와 하측통로 사이에는 후방 브릿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선단에는 전방 브릿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브릿지와 후방 브릿지 사이에는 상기 하측통로에 배열된 페어가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모듈러 플러그에 따르면, 인서트 부재와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꼬여있는 UPT케이블의 페어와 동선을 풀어서 나란하게 배열하여 접속블레이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되 각 페어와 동선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절연벽을 형성하여 누화의 발생을 방지하여 페어당 250MHz(category 6)까지 전송하여 1GHz급의 전송대역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플러그의 조립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플러그의 플러그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플러그의 인서트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플러그의 가이드 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플러그의 부츠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및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듈러 플러그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플러그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플러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플러그(1)는 다수 개의 접속블레이드(11)가 구비된 플러그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접속블레이드(11)에 UPT케이블(2)의 동선(6)을 접속시키는 인서트 부재(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인서트 부재(20)의 후방에 결합하고 상기 인서트 부재(20)에 케이블(2)의 페어(4)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30)와,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30)를 가압하고 상기 케이블(2)을 고정하는 부츠(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듈형 플러그(1)는 케이블(2)의 선단에 설치되어, 도시되지 않은 잭의 개구부에 삽입된다. 즉, 잭의 개구부 안쪽에는 모듈형 플러그(1)의 접속블레이드(11)와 대응하는 다수 개의 접속단자가 구비된다. 따라서 잭의 개구부에 모듈형 플러그(1)를 꽂으면 접속블레이드(11)가 잭에 구비된 접속단자와 접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UTP케이블(2)은 8개의 동선(6)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동선(6)은 두 개씩 묶어서 나선형으로 꼬아 4개의 페어(4)로 구성한 다음 이들 4개의 페어(4)를 다시 나선형으로 꼬아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UTP케이블(2)의 동선(6)과 페어(4)를 나선형으로 꼬는 이유는 동선(6)과 페어(4) 사이에 누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UPT케이블(2)의 동선(6)을 모듈러 플러그(1)의 접속블레이드(11)에 접속하기 위해서, 꼬여있는 페어(4)와 동선(6)을 풀어서 나란하게 배열하면, 페어(4)와 동선(6) 사이에 누화가 발생하기 쉽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서트 부재(20)와 가이드 부재(30)를 이용하여 꼬여있는 페어(4)와 동선(6)을 풀어서 나란하게 배열하여 접속블레이드(11)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되 페어(4)와 동선(6)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절연벽을 형성하여 누화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 하우징(1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방 상면에는 다수 개의 접속블레이드(11)가 수직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에는 상기 인서트 부재(20)와 가이드 부재(30)가 삽입되도록 개구부(13)가 형성된다. 상기한 인서트 부재(20)와 가이드 부재(30)는 플러그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동선(6)을 수평으로 나란하게 정렬하고 고정함으로써 상기 접속블레이드(11)와 접속가능하도록 한다.
이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서트 부재(20)는 다수의 동선(6)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판(21)이 구비된다. 상기 정렬판(21)에는 다수 개의 동선(6)을 나란하게 정렬하기 위한 정렬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렬홈(22)은 대략 U자 또는 V자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정렬홈(22) 사이에 일정한 높이로 절연벽(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판(21)의 좌우 양측에는 정렬판(21)에 정렬된 동선(6)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높이로 수직벽(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벽(24)의 상단 후방에도 동선(6)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판(25)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서트 부재(20)의 후방에는 일정한 크기의 개구부(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판(21)의 전방은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인서트 부재(20)를 플러그 하우징(10)에 삽입할 때 정렬홈(22)에 정렬된 동선(6)이 접속블레이드(11)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판(25) 및 수직벽(24)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인서트 부재(20)를 플러그 하우징(10)에 삽입할 때, 상기 상판(25)의 상면이 플러그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맞닿아 정렬판(21)의 선단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부재(30)를 전방과 후방에서 본 모습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부재(30)는 케이블(2)의 페어(4)를 정렬하여 인서트 부재(2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30)는 4개의 페어(4)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 누화 발생을 억제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이드 부재(30)는 절연 플라스틱 사출 물로 이루어진 본체(31)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31)는 사각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면에는 상기 인서트 부재(20)의 삽입구(26)에 삽입되는 결합돌부(3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1)에는 케이블(2)의 4개의 페어(4)를 각각 안내하기 위한 4개의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는 본체(3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31)의 좌측 면과 우측 면에는, 좌측통로(34)와 우측통로(35)가 형성되고, 상측 면과 하측 면에는 상측통로(36)와 하측통로(37)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통로(34))는 좌측 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우측통로(35)는 우측 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통로(36)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통로(37)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통로(34)와 우측통로(35) 사이에는 일정한 두께로 절연벽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통로(34)와 우측통로(35)의 개구부에는 페어(4)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두 개의 돌출턱(38)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31)의 후단에는 상기 상측통로(36)와 하측통로(37)를 구분하기 위한 후방 브릿지(136)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31)의 선단에는 상측통로(36)와 하측통로(37)가 만나는 전방 브릿지(13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브릿지(137)와 후방 브릿지(136)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로 관통부(138)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통로(36)에 배열되는 페어(4)는 본체(3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열되고, 상기 하측통로(37)에 배열되는 페어(4)는 상기 본체(3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열된다. 그리고 상측통로(36)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페어(4)와 하측통로(37)에서 상향 경사지게 배열되는 페어(4)는 상기 관통부(138)에서 교차 된 후 상기 전방 브릿지(137)의 상면에서 나란하게 배열된다. 즉, 본 고안은 페어(4)를 나란하게 배열하되 누화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페어(4)를 교차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측통로(36)와 하측통로(37)에 페어를 포설하기 편리한 구조이다. 즉, 상측통로(36)에 포설되는 페어(4)는 후방 브릿지(136)의 상면에 포설한 후 자연스럽게 하향 경사져서 전방 브릿지(137)의 상면으로 포설되게 된다. 또한, 하측통로(37)를 통해 포설되는 페어(4)는 후방 브릿지(136)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포설한 상태에서 페어(4)를 전방으로 밀어넣으면 페어(4)가 관통홀(138)을 통과하여 자연스럽게 상향 경사져서 전방 브릿지(137)의 상면에 포설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30)는 그 선단에 돌출된 결합 돌기(32)를 인서트 부재(20)의 후단에 형성된 삽입구(26)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30)의 통로를 통과한 4개의 페어(4)는 8개의 동선(6)으로 나누어지고 가이드 부재(30)의 정렬홈(22)에 하나씩 정렬된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10)의 내부로 동선(6)이 정렬된 인서트 부재(20)를 삽입하면, 정렬판(21)에 정렬된 동선(6)이 플러그 하우징(10)에 구비된 접속블레이드(11)와 일대일 대응되게 된다. 그리고 외부로 돌출된 접속블레이드(11)를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안쪽으로 가압하면 상기 접속블레이드(11)와 동선(6)이 접속하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 하우징(10)의 후단에는 부츠(40)가 결합한다. 상기 부츠(40)는 플러그 하우징(10)을 케이블(2)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사출 물로 이루어지고 케이블(2)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부츠(40)의 후단에는 케이블(2)이 관통하는 관통부(41)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10)의 후단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42)가 형성된다. 또한, 관통부(41)는 케이블(2)과의 연결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절개부(4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2)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플러그 하우징(10)에 형성된 걸림턱(14)에 결합하는 걸림 후크(44)가 형성된다. 따라서 부츠(40)의 걸림 후크(44)가 플러그 하우징(10)의 걸림턱(14)에 걸리도록 삽입하면 상기 부츠(40)와 플러그 하우징(10)이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모듈러 플러그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부츠(40)의 관통부(41)에 케이블(2)의 선단을 관통시킨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2)의 외피를 3~5cm 벗겨서 4개의 페어(4)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나선형으로 꼬여있는 페어(4)를 풀어서 나란하게 한다. 이때, UPT케이블 내부에 심이 있는 경우 이를 잘라준다.
그런 다음 가이드 부재(4)를 준비한다. 준비된 가이드 부재(4)의 좌,우측통로(34)(35)와 상,하측통로(36)(37)에 4개의 페어(4)를 포설한다. 이때, 상기 페어(4)의 동선(6)은 꼬임이 유지된 상태로 삽입해준다. 즉, UPT 배열에 따라 4,5 페어와 3,6 페어는 상,하측으로 상호 위치를 변경시켜준다.
구체적으로, 상측통로(36)를 통과하는 페어는 하향 경사지게 포설되고, 하측통로(37)를 통과하는 페어는 상향 경사지게 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30)의 선단에서는 4개의 페어(4)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부재(30)에 따르면, 좌우 및 상하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페어(4)를 통로에 삽입하기 용이하다. 또한, 하측통로(37)로 삽입되는 페어(4)도 상향 경사지도록 밀어 넣으면 자연스럽게 관통부(138)를 통과해서 전방 브릿지(137)의 상면에 포설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방 브릿지(136)의 상면에 포설되는 페어(4)는 손가락으로 살짝 눌려 하향 경사지게 하고, 전방 브릿지(136)의 하면에 포설되는 페어(4)는 선단을 살짝 들어올려 상기 전방 브릿지(137)의 상면에 포설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30)의 선단으로 돌출된 4개의 페어(4)를 풀어서 8개의 동선(6)을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펼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 부재(20)를 준비한다. 8개의 동선(6)을 인서트 부재(20)의 개구부(26)를 통해서 정열부(21)의 정렬홈(22)에 하나씩 들어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정열부(21)의 선단은 개방되므로 정렬홈(22)에 동선이 들어가도록 손가락으로 정렬한다.
이어서, 동선(6) 배열이 정상적으로 됐는지를 확인 후 상기 인서트 부재(20)의 선단으로 돌출된 동선(6)을 길이가 일정하도록 절단한다. 그리고 동선(6) 선단의 내피를 일정 길이 벗겨낸다.
그런 다음, 상기 인서트 부재(20)와 가이드 부재(30)가 설치된 케이블(2)과 부츠(40)를 함께 잡고 플러그 하우징(10)을 가볍게 밀어 넣어준다. 그러면, 상기 인서트 부재(20)와 가이드 부재(30)가 플러그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부츠(40)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부(42)의 결합홈(44)이 플러그 하우징(10)의 결합턱(14)에 걸리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플러그 하우징(10)과 인서트 부재(20), 가이드 부재(30) 및 부츠(40)가 하나로 결합한다.
끝으로 배열된 동선(6)이 플러그 하우징(10) 안쪽 접속블레이드(11)에 까지 확실히 삽입되었는지를 확인 후 압착 툴을 이용하여 접속블레이드(11)를 압착한다. 그러면, 상기 접속블레이드(11)와 동선(6)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플러그(1)는 인서트 부재(20)와 가이드 부재(30)를 이용하여 꼬여있는 페어(4)와 동선(6)을 풀어서 나란하게 배열하여 접속블레이드(11)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되 페어(4)와 동선(6)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절연벽을 형성하여 누화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도면과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되는 사항으로 정해지는 것이 당연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을 근거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고안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 당연하다.
1: 모듈형 플러그 2: 케이블
4: 페어 6: 동선(와이어)
11: 접속블레이드 20: 인서트 부재
21: 정렬판 22: 정렬홈
24: 수직벽 25: 상판
30: 가이드 부재 31: 본체
32: 결합돌부 34: 좌측통로
35: 우측통로 36: 상측통로
37: 하측통로 38: 돌출턱
40: 부츠 41: 관통부
42: 결합부 44: 후크
136: 후방 브릿지 137: 전방 브릿지
138: 관통부

Claims (3)

  1. 다수 개의 접속블레이드가 구비된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접속블레이드에 UPT케이블의 동선을 접속시키는 인서트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인서트 부재의 후방에 결합하여 상기 인서트 부재에 케이블의 페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부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듈러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부재는, 다수의 동선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판과, 상기 정렬판에 구비되어 다수 개의 동선을 나란하게 정렬하는 정렬홈과, 상기 정렬판의 좌우 양측에서 정렬판에 정렬된 동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된 수직벽과, 상기 수직벽의 상단 후방에서 두 개의 수직벽을 연결하여 일정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사각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측 면과 우측 면에 형성된 좌측통로 및 우측통로와, 상기 본체의 상측 면과 하측 면에 형성된 상측통로 및 하측통로와, 상기 상측통로와 하측통로 사이에 형성된 후방 브릿지와, 상기 상측통로 및 하측통로의 선단에 형성된 전방 브릿지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부재의 후단에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되는 결합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좌측통로는 좌측 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우측통로는 우측 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통로와 우측통로 사이에는 일정한 두께로 절연벽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통로와 우측통로의 개구부에는 페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돌출턱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플러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통로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통로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후단에는 상측통로와 하측통로 사이에는 후방 브릿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선단에는 전방 브릿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브릿지와 후방 브릿지 사이에는 상기 하측통로에 배열된 페어가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플러그.
KR2020120006774U 2012-07-27 2012-07-27 모듈형 플러그 KR200471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74U KR200471967Y1 (ko) 2012-07-27 2012-07-27 모듈형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74U KR200471967Y1 (ko) 2012-07-27 2012-07-27 모듈형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51U KR20140000851U (ko) 2014-02-06
KR200471967Y1 true KR200471967Y1 (ko) 2014-03-24

Family

ID=5244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774U KR200471967Y1 (ko) 2012-07-27 2012-07-27 모듈형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96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862A (ja) 2002-10-18 2004-05-13 Oki Electric Cable Co Ltd モジュラプラグ付きケーブル端末
JP2007200785A (ja) 2006-01-27 2007-08-09 Jirotech Kk モジュラープラグ
JP2009026768A (ja) 2002-04-22 2009-02-05 Panduit Corp ケーブルの末端に装着して用いるモジュラ・プラ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768A (ja) 2002-04-22 2009-02-05 Panduit Corp ケーブルの末端に装着して用いるモジュラ・プラグ
JP2004139862A (ja) 2002-10-18 2004-05-13 Oki Electric Cable Co Ltd モジュラプラグ付きケーブル端末
JP2007200785A (ja) 2006-01-27 2007-08-09 Jirotech Kk モジュラープラ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51U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3536B1 (en) Modular plug connector
US7670193B2 (en) Connector with insulation piercing contact and conductor guiding passageway
US6561838B1 (en) Connector plug and insert for twisted pair cables
CN100470931C (zh) 压力接合连接器
US10186797B2 (en) Coupler connector and cable terminator with side contacts
US20080014801A1 (en) Wire guide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same
US7249962B2 (en) Connector assembly
TWI785825B (zh) 電連接器塑膠外殼及自電連接器塑膠外殼形成一連接器之方法
JP4218996B2 (ja) 自動的に千鳥配列状態に配置されたワイヤを備えたモジュラプラグコネクタ
CN101326685B (zh) 插头
KR200471967Y1 (ko) 모듈형 플러그
US6905359B2 (en) RJ-type modular connector speed crimp
US9985359B2 (en) Field terminable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KR200370917Y1 (ko) 모듈라 플러그
US7896681B2 (en) RJ modular connector
CA2487568C (en) Connector assembly
JPH07302650A (ja) モジュラプラグ
JPH0742075U (ja) コネクタ結線装置
KR20100009958U (ko) 모듈라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