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896Y1 -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 - Google Patents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896Y1
KR200471896Y1 KR2020100001299U KR20100001299U KR200471896Y1 KR 200471896 Y1 KR200471896 Y1 KR 200471896Y1 KR 2020100001299 U KR2020100001299 U KR 2020100001299U KR 20100001299 U KR20100001299 U KR 20100001299U KR 200471896 Y1 KR200471896 Y1 KR 200471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ght receiving
light
resin body
dental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959U (ko
Inventor
루루커
Original Assignee
타이완 파이버 옵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완 파이버 옵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타이완 파이버 옵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20100001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89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9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9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8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30Fastening of peg-teeth in the mouth

Abstract

본 고안은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지 본체부와 다수 가닥의 광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지 본체부는 외주면, 수광부(收光部) 및 저부를 포함한다. 광섬유 각 가닥은 상기 수지 본체부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데, 상기 각 광섬유은 수광단(收光端)과 도광단(導光端)을 구비한다. 수광단(收光端)은 상기 수지 본체부의 수광부(收光部) 상에 위치하는데, 각 수광단(收光端)은 상기 수광부(收光部) 상에 조사되는 광선을 받이들인다. 상기 도광단(導光端)은 상기 수지 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저부 상에 장착되는데, 수광단(收光端)에서 받아들인 광선이 도광단(導光端)을 경유하여 상기 수지 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저부까지 전달되어 나가도록 함으로써, 상기 치과용 포스트의 접착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이도록 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Fiber Optics Dental Post}
본 고안은 치과용 포스트 기술영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도광(light guide) 효과를 갖되 X선 불투광성을 겸비한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와 관련하여 심각한 충치를 가지거나 이가 빠져버린 환자가 있게 마련인데, 치과의사들은 금관(dental crown)이나 브릿지(bridge)를 제작하여 구강을 회복시켜 치아 건강을 도모하고자 할 수 있는데, 전술한 금관이나 브릿지는 환자의 치아에 접착되고, 일반적으로 이를 고정성 교의치라고 한다. 치아가 심각한 충치 상태가 되거나 훼손되거나 깨지게 된 경우, 신경치료를 받게 되는데, 그 후에 치료받은 곳에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채워지게 되는 경우 치아의 보호 및 그 기능유지는 회복하기 어렵게 되며, 또한 딱딱한 것을 부주의하게 깨문 경우라면 치아가 훼손되고 심한 경우 뽑아야 할 상황이 발생되어, 인공 치관을 씌울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의치 구조는 일반적으로 의치본체(40)와 치과용 포스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의치 본체(40) 상단에는 커버체(4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지지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의치 본체(40) 상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통공으로 상기 커버체(41)와 지지부(42)가 관통 장착된다. 상기 치과용 포스트(50)는 금속 재질의 치과용 포스트이다, 신경치료를 받은 후, 상태가 나쁜 에나멜(60)과 상아질이 제거되고, 양호한 상태의 에나멜(60)과 상아질이 남아 있게 된다. 그 후에 상기 의치 본체(40)를 환자의 치아 상에 끼워넣고, 다시 치과용 포스트(50)를 상기 의치 본체(40) 상에 형성된 상기 통공에 끼워 넣어, 상기 치과용 포스트(50)가 상기 치아의 잇몸 내에 깊숙히 삽입되도록 한다.
일반적인 치과용 포스트는 포토-커링(Photo-Curing)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의치 본체(40)와 상기 치과용 포스트(50)를 환자의 치아 상에 고정시킨다. 그 후 상기 접착제에 광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제가 굳어지도록 하고, 상기 치과용 포스트(50)의 접착을 통하여 상기 의치 본체(40)가 단단하게 상기 잇몸 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치과용 포스트(50)는 도광(light guide) 효과를 구비하지 못했거나 또는 도광 효과가 우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의치 본체(40)의 구조 강도가 부족하게 된다. 이로 인해 만일 딱딱한 물체를 부주의하게 깨문 경우, 의치 본체(40) 구조가 떨어져 나가거나 훼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데, 이에 따라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입체 외관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의 전도광선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측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의 광선 전달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글 모드 광섬유 설계 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광섬유 설계의 국부 측면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육각형 싱글 모드 광섬유 설계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육각형 멀티 모드 광섬유 설계의 국부 측면 확대도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치과용 포스트의 사용 상태 측면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이 제공하는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는 수지 본체부(10)와 다수 가닥의 광섬유(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지 본체부(10)는 외주면(11), 수광부(收光部)(12) 및 저부(13)를 포함한다. 광섬유(20) 각 가닥은 상기 수지 본체부(10)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데, 상기 각각의 광섬유(20)는 수광단(收光端)(21)과 도광단(導光端)(22)을 구비한다. 수광단(21)은 상기 수지 본체부(10)의 수광부(12) 상에 위치하는데, 각 수광단(21)은 상기 수광부(12) 상에 조사되는 광선을 받아들인다. 상기 도광단(22)은 상기 수지 본체부(10)의 외주면(11)과 상기 저부(13) 상에 장착되는데, 수광단(21)에서 받아들인 광선이 도광단(22)을 경유하여 상기 수지 본체부(10)의 외주면(11)과 상기 저부(13)까지 전달되어 뻗어나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 가닥의 광섬유(20)는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에서 70 중량%를 차지하고, 상기 수지 본체부(10)는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 구조에서 30 중량%를 차지하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광섬유(20)는 코아층(23)과 클래딩층(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클래딩층(24)은 상기 코아층(23)의 외측면 상에서 도포되어 고정된다. 상기 코아층(23)과 상기 클래딩층(24)은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클래딩층(24)의 굴절률은 상기 코아층(23)보다 낮은데, 광선(L)은 상기 코아층(23)의 내부를 따라 전반사되면서 전달되는데, 이를 통하여 광원에서 나오는 광선(L)은 각 광섬유(20)의 코아층(23) 내부로 조사 진입되고, 상기 코아층(23) 외부에서 굴절률이 비교적 작은 클래딩층(24)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입사된 광선(L)은 상기 코아층(23) 내부에서 전달이 진행되어(도 7에 도시됨), 상기 광섬유(20) 끝까지 광선(L)을 전달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지 본체부(10)의 외주면(11) 상에는 다단의 환형커버(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다단 환형커버(14)와 상기 수지 본체부(10)의 외주면(11)은 협각(θ)을 형성하는데, 상기 협각(θ)은 예각이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광섬유에서 가이드되어 나오는 빛의 조사방향을, 도 1과 대비하여 보면, 치과용 포스트의 외주면(11)을 따라 조사되어 나온 광선은 그 아래에 위치한 각 다단 환형커버(14) 상의 광섬유(20)를 향해 조사(照射)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상기 치과용 포스트 전체 모두가 밝아지면서, 효과적으로 치과용 포스트의 도광(light guide) 효과를 높이게 된다. 또한 포토-커링(Photo-Curing) 접착제에 충분히 광선이 조사되어, 접착제가 충분히 굳도록 함으로써, 상기 치과용 포스트 접착제의 강도가 효과적으로 강화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다단 환형커버(14)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지 본체부(10)의 외주면(11) 상에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수지 본체부(10)의 외주면(11) 상에는 포토-커링(Photo-Curing) 접착층이 도포되어,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의 도광(light guide) 효과를 높이고, 포토-커링(Photo-Curing) 접착제에 충분히 광선이 조사되어, 접착제가 충분히 굳도록 함으로써, 상기 치과용 포스트 접착제의 강도가 효과적으로 강화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광부(12)는 제 1 구경(d1)을 구비하고, 상기 저부(13)는 제 2 구경(d2)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 1 구경(d1)은 상기 제 2 구경(d2)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포스트의 광섬유(20)는 싱글 모드 광섬유(도 8 및 도 10에 도시됨) 또는 멀티 모드 광섬유(도 9 또는 도 11에 도시됨) 설계 방식을 채택할 수 있는데, 상기 멀티 모드 광섬유의 설계는 각 광섬유(20)가 다수 가닥의 싱글 모드 광섬유(25)에 의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발광이 더욱 균일해 지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싱글 모드 광섬유(25)의 단면은 원형 형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싱글 모드 광섬유(25)의 단면은 육각형 형상이 될 수 있는데, 상기 육각형의 싱글 모드 광섬유(25) 구조는 그 강도가 더 우수하다.
전술한 내용을 종합하여 설명하면, 우선 본 고안은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 설계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치과용 포스트의 도광(light guide) 효과를 높이도록 하여, 조사된 광선이 상기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의 도광단(導光端)을 경유하여 상기 수지 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저부까지 전달되어 뻗어 나가도록 함으로써, 접착제에 충분히 광선이 조사되어, 접착제가 충분히 굳도록 함으로써, 의치 본체의 결합구조 강도 및 상기 치과용 포스트 접착제의 강도가 효과적으로 강화되도록 하고, 나아가 의치가 쉽게 떨어져 훼손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의 구조설계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치과용 포스트의 도광 효과를 높이도록 하여, 접착제에 충분히 광선이 조사되어 접착제가 충분히 굳도록 하고, 또한 상기 수지 본체부의 결합구조 설계를 통해서 X선의 불투광 특성 갖으면서도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의 결합 강도가 강화도록 하여, 실용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다단의 환형커버가 배치되는 외주면, 수광부(收光部) 및 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지 본체부; 및
    상기 수지 본체부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되, 복수개의 수광단(收光端)과 도광단(導光端)을 구비하며, 상기 수광단은 상기 수지 본체부의 수광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수광부 상에 조사되는 광선을 받아들이는데 사용되고, 상기 도광단은 상기 수지 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저부 상에 장착되어 상기 수광단에서 받아들인 광선이 상기 도광단을 경유하여 상기 수지 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저부까지 전달되어 뻗어나가도록 하는 다수 가닥의 광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다단의 환형커버 각각과 상기 수지 본체부의 외주면은 협각을 형성하고, 상기 협각은 예각이 되며,
    상기 다단형 환형커버 각각에는 수지 본체부 외주면으로 노출되는 도광단을 구비한 다수 가닥의 광섬유가 더 배치되고,
    상기 수지 본체부의 외주면으로 노출되는 각 도광단은 그 아래에 위치한 각 다단의 환형커버상에 구비된 광섬유를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그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각각은 코아층과 클래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클래딩층은 상기 코아층의 외측면 상에서 도포되어 고정되는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
  3. 삭제
KR2020100001299U 2010-02-05 2010-02-05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 KR200471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299U KR200471896Y1 (ko) 2010-02-05 2010-02-05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299U KR200471896Y1 (ko) 2010-02-05 2010-02-05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59U KR20110007959U (ko) 2011-08-11
KR200471896Y1 true KR200471896Y1 (ko) 2014-03-19

Family

ID=4559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299U KR200471896Y1 (ko) 2010-02-05 2010-02-05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8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377A (ko) * 2015-04-30 2016-11-09 일루미 사이언시스 인크. 광학적 편직 섬유 치근 기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9032A (en) 1995-02-17 1999-11-23 Societe De Recherches Techniques Dentaires R.T.D. Self-locking dental reinforcement
US6371763B1 (en) 1997-11-28 2002-04-16 Robert J. Sicurelli, Jr. Flexible post in a dental post and core system
US6447297B1 (en) * 1999-05-12 2002-09-10 Jeneric/Pentron, Inc. Endodontic post system
JP2006055451A (ja) * 2004-08-20 2006-03-02 Tokyo Medical & Dental Univ 支台築造用ポスト、根管に充填された光硬化型レジンへの光照射装置及び方法、根管に充填された光硬化型レジンの硬化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9032A (en) 1995-02-17 1999-11-23 Societe De Recherches Techniques Dentaires R.T.D. Self-locking dental reinforcement
US6371763B1 (en) 1997-11-28 2002-04-16 Robert J. Sicurelli, Jr. Flexible post in a dental post and core system
US6447297B1 (en) * 1999-05-12 2002-09-10 Jeneric/Pentron, Inc. Endodontic post system
JP2006055451A (ja) * 2004-08-20 2006-03-02 Tokyo Medical & Dental Univ 支台築造用ポスト、根管に充填された光硬化型レジンへの光照射装置及び方法、根管に充填された光硬化型レジンの硬化装置及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377A (ko) * 2015-04-30 2016-11-09 일루미 사이언시스 인크. 광학적 편직 섬유 치근 기둥
KR101681518B1 (ko) * 2015-04-30 2016-12-01 일루미 사이언시스 인크. 광학적 편직 섬유 치근 기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59U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7256B2 (en) Fiber optics dental post
US6940659B2 (en) Cone-shaped lens having increased forward light intensity and kits incorporating such lenses
JPH0477581B2 (ko)
ITBS20020029U1 (it) Catetere a fibre ottiche per termo-ablazione
KR200471896Y1 (ko) 광섬유 치과용 포스트 구조
JP5872928B2 (ja) 根管治療器具
JP7337533B2 (ja) 医療ライトガイド
Kadkhodaei et al. Fracture resistance of three post types in the restoration of anterior primary teeth
US20120107773A1 (en) Fiber Abutment Material and Structure of Dental Implant
JP6329512B2 (ja) 編成した光学繊維を具える歯科用ポスト
JP2019058323A (ja) 歯科用ファイバーポスト
EP3090701B1 (en) Woven fiber optics dental post
TWI577347B (zh) 光學編織纖維牙根柱
JP3159524U (ja) 光ファイバー付き歯科用ポスト
JP2005058594A (ja) 歯牙漂白装置
CN214549661U (zh) 一种牙周夹板
Galyan et al. In vitro study comparing fracture resistance of nanocomposites with and without fiber reinforcement with different cavity designs used for obliquely fractured incisal edge restoration
JP7193148B2 (ja) 歯内ピンおよびこれを有するセット
TWM377205U (en) Post structure of optical fiber
JP4725732B2 (ja) 歯科修復用接着剤の照射硬化器具
Tabatabaei et al. Evaluation of the final color of ceramic veneers with different self-adhesive resin cements
JP2019051022A (ja) 光散乱部品及び医療ライトガイド
Farheen Endodontic Post Retention with Resin Cements (Ilumi Fiber Post)
JP6350042B2 (ja) 光プローブ
KR20120002606U (ko) 덴탈 임플란트의 섬유 지대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