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860Y1 - 거치대 - Google Patents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860Y1
KR200471860Y1 KR2020110007119U KR20110007119U KR200471860Y1 KR 200471860 Y1 KR200471860 Y1 KR 200471860Y1 KR 2020110007119 U KR2020110007119 U KR 2020110007119U KR 20110007119 U KR20110007119 U KR 20110007119U KR 200471860 Y1 KR200471860 Y1 KR 200471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asing
bending
bending members
members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043U (ko
Inventor
박재욱
Original Assignee
박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욱 filed Critical 박재욱
Priority to KR2020110007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86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0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0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8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유롭게 굴곡이 가능한 막대 형상으로서, 일측은 굴곡에 의해 피거치물을 파지하고, 타측은 굴곡에 의해 지지 가능한 물체에 고정이 가능한 복수의 굴곡부재 및 굴곡부재들을 결합시키되, 굴곡부재들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결합 케이싱을 포함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굴곡이 가능한 복수의 굴곡부재에 의해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피거치물을 이동 중에도 쉽게 고정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모바일 기기 등 피거치물을 직접 들고 사용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치대 {Supporting stand}
본 고안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피거치물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음악 감상, 동영상 시청, 인터넷 검색, 통화, DMB 시청 등을 위해 MP3 플레이어, 스마트폰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Mobile devices)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말 그대로 이동 중에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통수단, 야외 등 다양한 영역에서 그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시청을 위해 사용자는 손으로 모바일 기기를 직접 들고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손으로 들고 사용하기는 매우 불편하다.
종래에도 휴대전화의 거치를 위한 거치대가 있으나, 종래의 거치대는 책상 등에서만 올려놓고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 중에 사용할 수 없고, 책상에서 거치하여 사용하여도 높이가 낮아서 화면이 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탠드형 거치대는 눈높이는 맞지만, 평면에서만 사용 가능하고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모바일 기기 등 피거치물을 이동 중이거나 야외에도 임시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자유롭게 굴곡이 가능한 막대 형상으로서, 일측은 굴곡에 의해 피거치물을 파지(把持)하고, 타측은 굴곡에 의해 지지 가능한 물체에 고정이 가능한 복수의 굴곡부재; 및 상기 굴곡부재들을 결합시키되, 상기 굴곡부재들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결합 케이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 케이싱은, 피거치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적어도 일면이 고무 재질이고,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굴곡부재들을 결합시키되, 상기 굴곡부재들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보조 결합 케이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케이싱은, 상기 굴곡부재들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단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케이싱은, 상기 관통홀들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에 의해 2개로 분할 가능하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결합 케이싱이 분할되면 상기 굴곡부재들의 슬라이딩을 허용하고, 상기 결합 케이싱이 결합되면 상기 굴곡부재들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결합 케이싱은, 일면에 회전 가능한 레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레버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굴곡부재들의 슬라이딩을 제한하고, 상기 레버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굴곡부재들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결합 케이싱은, 상기 관통홀이 축방향으로 양분되도록 상하면이 전개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단속 돌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결합 케이싱이 전개되면 상기 굴곡부재들의 슬라이딩을 허용하고, 상기 결합 케이싱이 결합되면 상기 단속 돌기들에 의해 상기 굴곡부재들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굴곡부재는, 튜브 형상으로서 내측이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외측이 고무 재질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의하면,
첫째, 굴곡이 가능한 복수의 굴곡부재에 의해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피거치물을 이동 중에도 쉽게 고정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모바일 기기 등 피거치물을 직접 들고 사용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둘째, 결합 케이싱에 의해 굴곡부재들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지지 가능한 물체, 예를 들면 지지부를 지하철의 손잡이, 책상 및 파티션, 모니터, 유모차 손잡이, 자동차 내부, 공원의 벤치 등 다양한 장소, 다양한 물체에 고정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모바일 기기 등 피거치물의 장시간 사용에 편리하다.
셋째, 굴곡부재들의 굴곡 각도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다양한 각도를 연출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 등의 시청을 더욱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넷째, 결합 케이싱의 일면을 고무 재질로 하고, 일측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피거치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결합 케이싱과 보조 결합 케이싱의 위치 조절에 의해 굴곡이 불필요한 굴곡부재의 위치를 자유롭게 제한할 수 있다.
여섯째, 결합 케이싱이 다양한 단속부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굴곡부재들의 슬라이딩을 단속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케이싱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결합 케이싱을 구비한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 케이싱에 보조 결합 케이싱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보조 결합 케이싱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거치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결합 케이싱의 전개도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거치대(S)는 복수의 굴곡부재(100) 및 결합 케이싱(200)을 포함한다.
굴곡부재(100)는 자유롭게 굴곡이 가능한 막대 형상으로서 복수로 구비된다. 도면에는 굴곡부재(100)가 3개 구비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굴곡부재(100)의 일측(110)은 굴곡에 의해 피거치물(M)을 파지(把持)하고, 굴곡부재(100)의 타측(120)은 굴곡에 의해 지지 가능한 물체(O)에 고정이 가능하다. 도시된 것처럼 굴곡부재(100)의 양측이 대칭인 경우에는 피거치물(M)을 파지하는 측과 지지 가능한 물체(O)에 고정하는 측은 필요에 따라 서로 바뀔 수도 있다. 굴곡부재(100)의 일측(110)과 굴곡부재(100)의 타측(120)은 단부에 각각 캡(110A, 120A)을 구비할 수도 있다. 굴곡부재(100)의 일측(110)과 굴곡부재(100)의 타측(120)은 단부에 각각 캡(110A, 120A)이 아닌 흡착 고무 등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굴곡부재들의 굴곡 각도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다양한 각도를 연출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 등의 시청을 더욱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결합 케이싱(200)은 굴곡부재들(100)을 결합시키되, 굴곡부재들(100)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즉, 굴곡부재들(100)은 각각 관통홀(210)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양측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피거치물(M)로서 스마트폰을 예시하였고, 지지 가능한 물체(O)로서 지면을 예시하였다. 굴곡부재(100)의 일측(110)은 자유롭게 굴곡되어 피거치물(M)을 세로로도, 가로로도 파지할 수 있으며, 굴곡부재(100)의 타측(120) 역시 자유롭게 굴곡되어 지지 가능한 물체(O)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케이싱의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결합 케이싱을 구비한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여기서의 결합 케이싱(200)은 피거치물(M)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적어도 일면이 실리콘 등과 같은 고무 재질(200A)이고, 일측에 고정홈(220)이 형성된다.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굴곡부재(100)는 튜브 형상으로서 내측(100A)이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자유로운 굴곡 및 형태의 고정이 가능하고, 외측(100B)이 실리콘 등과 같은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부드럽게 피거치물(M)을 거치하고, 지지 가능한 물체(O)에 지지된다.
도 5에서처럼 굴곡부재(100)의 일측(110)은 자유롭게 굴곡되어 피거치물(M)을 가로로 파지할 수 있으며, 도 6에서처럼 피거치물(M)을 세로로 파지할 수 있다. 굴곡부재(100)의 타측(120) 역시 자유롭게 굴곡되어 지지 가능한 물체(O) 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피거치물(M)은 일면이 실리콘 등과 같은 고무 재질(200A)이고, 일측에 고정홈(220)이 형성된 결합 케이싱(200)의 일면에서 미끄러짐 없이 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 케이싱에 보조 결합 케이싱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보조 결합 케이싱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조 결합 케이싱(300)은 결합 케이싱(300)과 마찬가지로 굴곡부재들(100)을 결합시킨다. 보조 결합 케이싱(300)은 굴곡부재들(100)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홀(310)이 형성된다. 결합 케이싱(200)의 관통홀(210)과 보조 결합 케이싱(300)의 관통홀(310)은 서로 연통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 케이싱(200)과 보조 결합 케이싱(300)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결합 케이싱(200)의 일측에는 결합 돌기(C)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에서처럼 굴곡부재(100)의 일측(110)은 자유롭게 굴곡되어 피거치물(M)을 가로로 파지할 수 있으며, 도 9에서처럼 피거치물(M)을 세로로 파지할 수 있다. 굴곡부재(100)의 타측(120) 역시 자유롭게 굴곡되어 지지 가능한 물체(O)인 봉 등을 감싸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 케이싱(300)과 보조 결합 케이싱(300)의 위치 조절에 의해 굴곡이 불필요한 굴곡부재(1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제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 케이싱(200)은 굴곡부재들(100)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단속부(230)를 구비한다. 편의상 각각의 결합 케이싱들(200)을 200B, 200C, 200D 등으로 구분하였다. 결합 케이싱(200)이 다양한 단속부(230)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굴곡부재들(100)의 슬라이딩을 단속할 수 있다.
먼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거치대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결합 케이싱(200B)은 관통홀들(210)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에 의해 2개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도, 결합 케이싱(200B)의 저면은 앞서 설명한 실리콘 등과 같은 고무 재질(200A)이고, 일측에 고정홈(220)이 형성된 되어 미끄러짐 없이 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단속부(230)는 결합 케이싱(200B)이 분할되면 굴곡부재들(100)의 슬라이딩을 허용하고, 도 1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 케이싱(200B)이 결합되면 굴곡부재들(1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구비된다. 즉, 굴곡부재(10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결합 케이싱(200B)을 분할하여 굴곡부재들(100)을 슬라이딩 시키고, 굴곡부재들(10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결합 케이싱(200B)을 결합하여 단속부(230)에 의해 굴곡부재들(100)을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도 12에서는 단속부(230)를 경사진 돌기로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결합 케이싱(200C)은 일면에 회전 가능한 레버(240)를 더 구비하고, 단속부(230)는 레버(24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굴곡부재들(1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고, 레버(24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굴곡부재들(100)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의 단속부(230)도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경사진 돌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2에서는 결합 케이싱(200B)의 분할, 결합에 의해 단속부(230)가 동작하였지만, 도 13에서는 레버(240)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단속부(230)가 동작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결합 케이싱의 전개도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결합 케이싱(200D)은 관통홀(210)이 축방향으로 양분되도록 상하면이 전개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단속부(230)는 관통홀(210)의 일측에 단속 돌기(250)를 구비한다. 이때, 결합 케이싱(200)이 전개되면 굴곡부재들(100)의 슬라이딩을 허용하고, 결합 케이싱(200)이 다시 결합되면 단속 돌기들(250)에 의해 굴곡부재들(1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굴곡이 가능한 복수의 굴곡부재에 의해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피거치물을 이동 중에도 쉽게 고정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모바일 기기 등 피거치물을 직접 들고 사용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케이싱에 의해 굴곡부재들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지지 가능한 물체, 예를 들면 지지부를 지하철의 손잡이, 책상 및 파티션, 모니터, 유모차 손잡이, 자동차 내부, 공원의 벤치 등 다양한 장소, 다양한 물체에 고정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모바일 기기 등 피거치물의 장시간 사용에 편리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M...피거치물 O...지지 가능한 물체
S...거치대 100...굴곡부재
110...굴곡부재 일측 120...굴곡부재 타측
200...결합 케이싱 210...관통홀
220...고정홈 230...단속부
240...레버 250...단속 돌기
300...보조 결합 케이싱 310...관통홀

Claims (8)

  1. 자유롭게 굴곡이 가능한 막대 형상으로서, 일측은 굴곡에 의해 피거치물을 파지(把持)하고, 타측은 굴곡에 의해 지지 가능한 물체에 고정이 가능한 복수의 굴곡부재; 및
    상기 굴곡부재들을 결합시키되, 상기 굴곡부재들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결합 케이싱을 포함하되,
    상기 굴곡부재들을 결합시키되, 상기 굴곡부재들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보조 결합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케이싱은, 상기 굴곡부재들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단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 케이싱은, 상기 관통홀들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에 의해 2개로 분할 가능하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결합 케이싱이 분할되면 상기 굴곡부재들의 슬라이딩을 허용하고, 상기 결합 케이싱이 결합되면 상기 굴곡부재들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케이싱은,
    피거치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적어도 일면이 고무 재질이고,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재는,
    튜브 형상으로서 내측이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외측이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KR2020110007119U 2011-08-05 2011-08-05 거치대 KR200471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119U KR200471860Y1 (ko) 2011-08-05 2011-08-05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119U KR200471860Y1 (ko) 2011-08-05 2011-08-05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043U KR20130001043U (ko) 2013-02-14
KR200471860Y1 true KR200471860Y1 (ko) 2014-03-19

Family

ID=5148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119U KR200471860Y1 (ko) 2011-08-05 2011-08-05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86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233A (ko) * 1995-05-31 1996-12-17 이웅수 장신구용 줄의 길이조절장치
KR20060010189A (ko) * 2004-07-27 2006-02-02 주식회사 레인콤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줄 및 이 줄을 구비한 휴대용멀티미디어기기
JP2006167217A (ja) * 2004-12-16 2006-06-29 Maruzen Seisakusho:Kk ストラップ用長さ調整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233A (ko) * 1995-05-31 1996-12-17 이웅수 장신구용 줄의 길이조절장치
KR20060010189A (ko) * 2004-07-27 2006-02-02 주식회사 레인콤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줄 및 이 줄을 구비한 휴대용멀티미디어기기
JP2006167217A (ja) * 2004-12-16 2006-06-29 Maruzen Seisakusho:Kk ストラップ用長さ調整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043U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2244B2 (en) Multi-purpose camera stand
US8240628B2 (en) Holding apparatus
KR200493314Y1 (ko) 휴대용 단말기 및 pc 장치용 스탠드
US9562644B2 (en) Hands-free holding device
RU26963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могающее пользователю держать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4127609U (zh) 平板电子设备支架
US20130181903A1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KR200468795Y1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101563058B1 (ko) 스마트폰 거치대
EP3716590A1 (en) Portable device holder
US20130249227A1 (en) Portable Stan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20059015A (ko) 단말기 거치대
TWM496791U (zh) 可定位之升降支架結構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KR20140002938A (ko)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US20200326035A1 (en) Adap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591831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US20170105519A1 (en) Stand
KR200471860Y1 (ko) 거치대
KR20120006616U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KR20110094530A (ko) 거치대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KR101344639B1 (ko) 스마트폰 거치장치
KR101041225B1 (ko) 휴대형 플레이어 장착을 위한 거치대
KR101359677B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