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648Y1 -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648Y1
KR200471648Y1 KR2020110010471U KR20110010471U KR200471648Y1 KR 200471648 Y1 KR200471648 Y1 KR 200471648Y1 KR 2020110010471 U KR2020110010471 U KR 2020110010471U KR 20110010471 U KR20110010471 U KR 20110010471U KR 200471648 Y1 KR200471648 Y1 KR 200471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flow
guide
exhaust gas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278U (ko
Inventor
최백규
Original Assignee
최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백규 filed Critical 최백규
Priority to KR2020110010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648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2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2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6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06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mproving exhaust evacuation or circulation, or reducing back-pressure

Abstract

본 고안은 배기파이프에 연결되는 플랜지의 중앙부에 유동홀을 형성하며, 상기 유동홀을 따라 4개 이상의 짝수로 이루어진 복수의 안내날개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안내날개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이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배기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면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토록 하여 출력과 연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토크 향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a device for improvement in torque of vehicle}
본 고안은 배기파이프에 연결되는 플랜지의 중앙부에 유동홀을 형성하며, 상기 유동홀을 따라 4개 이상의 짝수로 이루어진 복수의 안내날개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안내날개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배기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면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토록 하여 출력과 연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은 기관으로부터의 배기 가스 유동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향상된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그 결과, 배기 시스템으로부터의 배기 가스 유동의 속도를 증가시켜 연소 챔버와 배기 포트로부터 배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많은 배기 시스템이 존재한다.
일부 배기 헤더(header) 시스템은 배기 파이프를 수집기 파이프의 내주연 주위에 위치시켜 수집기 파이프로부터 와동(vortex flow)으로 배기 가스의 와류를 생성시켜 배기 가스 유동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흡기 및 배기의 유체 유동의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고, 이로써 연소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기관의 재조정과 주요 기관 시스템 부품의 교체를 요구하여, 많은 자동차 소유자에게는 비실용적이다.
이러한 공기 와류 또는 공기 난류 생성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많은 요구 사항은 종래 기술의 시스템과 장치에서 와류 또는 난류 생성 효과와 공기 유동 제한 사이의 타협의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많은 종래 기술 시스템은 요구되는 와류 또는 난류의 생성에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과도한 기관 부품의 변경과 노동 소모를 필요로 한다.
결과적으로, 필요한 것은 설치를 위한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쉽게 수작업으로 설치될 수 있는 흡기 및 배기 유체 와류장치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공개 제2005-10858호에 내연기관용 유체 와류장치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 및 도2에서와 같이, 장치(10)가 통로(18), 통로(18)를 통과하는 흡기 또는 배기 유체 유동의 와류 생성의 요구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세트의 주 베인(24)과 한 세트의 부 베인(26)을 이용하며, 베인(24, 26)은 바람직하게는 강성이고 하우징(22) 내에 장착되면서 벽 내부에 위치되어 이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34)에 의해 벽(30)에 부착되고, 상기 개구(34)는 베인(24)의 후방 단부(38)에 위치된 탭(36)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와류장치는, 하우징(22)과 베인(24,26)을 별개로 제작한 후 서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제조 및 조립이 복잡하고, 사용상태에 따라 베인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면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토록 하여 출력과 연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가능토록 하며, 유속을 높여 배기가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배기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배기프로젯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 또는 원동기의 배기시스템상의 배기파이프와 머플러 사이에 대응되어 연결토록 설치되는 플랜지의 중앙부에 유동홀을 형성하며, 상기 유동홀을 따라 4개 이상의 짝수로 이루어진 복수의 안내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날개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안내날개는, 직경이 축소되는 연결부와 면적이 확대되는 4각 형상의 저항형성부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저항형성부는 플랜지면에 대하여 85~90°의 경사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고안의 안내날개는, 배기가스의 흐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플랜지의 전방보다 후방이 더돌출토록 설치되며, 안내날개사이의 거리가 후방을 향하여 점차로 축소토록 설치되는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면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토록 하여 출력과 연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가능토록 하며, 유속을 높여 배기가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배기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 및 도2는 각각 종래의 와류발생기의 장착상태 및 와류발생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프로젯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프로젯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 내지 도7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배기프로젯을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및 평면도이다.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프로젯이 장착된 차량의 토크 향상상태를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프로젯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프로젯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5 내지 도7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배기프로젯을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및 평면도이고,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프로젯이 장착된 차량의 토크 향상상태를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본 고안의 배기프로젯(200)은, 자동차 또는 원동기의 배기시스템상의 배기파이프(110)와 머플러(130)사이에 대응되어 연결토록 설치되는 플랜지(210)의 중앙부에 유동홀(230)을 형성하며, 상기 유동홀(230)의 둘레를 따라 4개 이상의 짝수배열로 이루어진 복수의 안내날개(250)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내날개(250)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이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안내날개(250)는 금형에 의해 플랜지(210)에서 유동홀(230)과 안내날개(250)가 일체로 전단된 후 안내날개가 플랜지면에 대하여 일정 경사도(a)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날개(250)는, 직경이 축소되는 연결부(253)와 면적이 확대되는 4각 형상의 저항형성부(255)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저항형성부(255)는 플랜지(210)의 면에 대하여 70~85°의 경사도(a)를 갖도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안내날개(250)는, 배기가스의 흐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플랜지(210)의 전방보다 후방이 더 돌출토록 설치되며, 안내날개 사이의 거리가 유체의 흐름방향 후방을 향하여 점차로 축소토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3 내지 도8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배기프로젯(200)은, 자동차 또는 원동기의 배기시스템상의 배기파이프(110)와 머플러 (130)사이에 대응되어 연결토록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일정한 압력의 유지가 가능토록 되어 토크의 상승과 연료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토록 된다.
즉, 상기 배기파이프(110)와 머플러(130)를 분해한 후 그 사이에 플랜지(210)를 연결하면 상기 플랜지(2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유동홀(230)을 따라 복수의 안내날개(250)가 구비되어 배기가스의 흐름에 직선류 및 난류를 동시에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날개(250)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이 공기의 흐름방향에서 전방의 폭은 넓게 후방은 좁게될 경우 직선류를 형성하고 그 외측은 전방은 좁게 후방은 넓게 되어 난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날개(250)에 의해 형성되는 직선류는 안내날개(250) 이전보다 빠른 유속을 형성하게 되면서 난류의 공기흐름을 유도하게 되어 배기가스의 흐름이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유동홀(230)의 둘레를 따라 4개 이상의 짝수배열로 이루어진 복수의 안내날개(250)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이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일측에서는 배기가스를 압축하는 역활을 다른 일측에서는 배기가스를 팽창하는 역활을 수행하면서 배기가스의 흐름이 원활함은 물론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날개(250)는, 직경이 축소되는 연결부(253)와 면적이 확대되는 4각 형상의 저항형성부(255)로서 이루어져 원하는 각도 및 돌출 정도의 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저항형성부(255)는 플랜지(210)의 면에 대하여 70~85°의 경사도를 갖도록 설치될 때 도6의 토크 상승장치의 장착 및 미장착시 토크와 RPM의 상관관계 그래프도에서와 같이 약 10%정도의 토크 상승을 가져오게 된다.
더하여, 상기 안내날개(250)는, 배기가스의 흐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플랜지(210)의 전방보다 후방이 더 돌출토록 설치되면서 안내날개(250)사이의 거리가 후방을 향하여 점차로 축소토록 설치되면 더욱 상승된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110...배기파이프 130...머플러
200...상승장치 210...플랜지
230...유동홀 250...안내날개
253...연결부 255...저항형성부

Claims (3)

  1. 자동차 또는 원동기의 배기시스템상의 배기파이프와 머플러 사이에 대응되어 연결토록 설치되는 플랜지의 중앙부에 유동홀을 형성하며, 상기 유동홀을 따라 4개 이상의 짝수로 이루어진 복수의 안내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날개는,
    a). 서로 마주보는 한쌍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안내날개 사이의 거리가 배기가스의 흐름 방향에서 후방을 향하여 점차로 축소토록 설치되며,
    b). 배기가스의 흐름방향을 따라 플랜지의 전방보다 후방에서 더 돌출토록 설치되는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날개는, 직경이 축소되는 연결부와 면적이 확대되는 4각 형상의 저항형성부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저항형성부는 플랜지면에 대하여 70~85°의 경사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
  3. 삭제
KR2020110010471U 2011-11-25 2011-11-25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 KR200471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471U KR200471648Y1 (ko) 2011-11-25 2011-11-25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471U KR200471648Y1 (ko) 2011-11-25 2011-11-25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278U KR20130003278U (ko) 2013-06-04
KR200471648Y1 true KR200471648Y1 (ko) 2014-03-07

Family

ID=5148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471U KR200471648Y1 (ko) 2011-11-25 2011-11-25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64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914Y1 (ko) 1998-07-09 2001-11-16 김완태 내연기관의 흡기와류발생장치
JP2009299780A (ja) 2008-06-12 2009-12-24 Sumitomo Heavy Ind Ltd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914Y1 (ko) 1998-07-09 2001-11-16 김완태 내연기관의 흡기와류발생장치
JP2009299780A (ja) 2008-06-12 2009-12-24 Sumitomo Heavy Ind Ltd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278U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001Y1 (ko) 자동차 흡기 또는 배기 유속저항 감소장치
US7028663B1 (en) Fluid swirling device
KR101578840B1 (ko) 내연기관의 연소효율 향상장치
KR20050010858A (ko) 내연 기관용 유체 와류 장치
JP6040128B2 (ja) Egr装置
EP3262291B1 (en) Evacuator with motive fin
US20180030875A1 (en) Engine exhaust structure
JP2008518157A (ja) 車両用排気装置
US7614379B2 (en) Air horn for efficient fluid intake
JP3889777B1 (ja) 内燃機関の渦流発生器
JP2009293620A5 (ko)
KR200471648Y1 (ko) 자동차용 배기 프로젯
EP1593835A2 (en) Airflow converger
KR20210103189A (ko) 엔진의 흡기 유속저항 감소장치
KR20200086807A (ko) 와류날개가 형성되는 차량의 흡배기관내 공기 와류발생기의 제작방법
KR200423824Y1 (ko) 내연기관의 연료절감용 구경변환베인
KR101599971B1 (ko) 자동차용 에코윙
US8707689B1 (en) Exhaust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03783703U (zh) 消声器
TWM510368U (zh) 交通工具的進氣歧管
KR102208180B1 (ko) 내연기관 흡기용 와류발생기
KR100929692B1 (ko) 내연기관 및 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방지 장치
KR20190118749A (ko) 와류발생기의 날개성형장치
US11326502B2 (en) Exhaust fumes redu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591215B1 (ko) 내연기관의 출력증강용 흡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