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336Y1 - 조형물 - Google Patents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336Y1
KR200471336Y1 KR2020130005779U KR20130005779U KR200471336Y1 KR 200471336 Y1 KR200471336 Y1 KR 200471336Y1 KR 2020130005779 U KR2020130005779 U KR 2020130005779U KR 20130005779 U KR20130005779 U KR 20130005779U KR 200471336 Y1 KR200471336 Y1 KR 200471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s
perforated
disposed
scul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원
Original Assignee
서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원 filed Critical 서정원
Priority to KR2020130005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3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3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8Stamp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 수단을 구성 요소로 포함하여 주변 관찰자로 하여금 야간에도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할 수 있으며 조명 수단의 용이한 제거 및 교체가 가능하고 천공 문자 또는 도형에 포함된 폐곡선부 또는 폐다각형부의 안쪽에 해당하는 부분이 대상 부재에 형성된 천공 문자 또는 천공 도형에 포함되는 것으로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조형물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형물은 하부 좌대의 양 측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 전방에 배치되며, 천공된 문자 또는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 플레이트;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 후방에 배치된 후면 플레이트; 및 전면 플레이트와 후면 플레이트 사이에 전면 플레이트와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된 제 1 조명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조명 수단은 전면 플레이트와 인접하게 배치된 투명 플레이트 및 투명 플레이트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전면 조명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투명 플레이트에는 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도형 또는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 안쪽의 부분이 부착되며, 조명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조형물{Sculpture}
본 고안은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 공간에 조명 수단을 배치하여 전방 및/또는 후방 플레이트에 형성된 천공 도형 및/또는 천공 문자 등의 도안이 야간에도 시각적으로 인식될 있도록 구성된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 공원 내, 그리고 작업장 또는 기업체 건물의 입구에는 지리 정보, 홍보 문자/도형, 또는 업체명과 로고 등이 조각된 조형물, 특히 석재 조형물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석재 조형물을 통하여 정보 전달 또는 홍보 효과를 얻게 된다.
일반적으로, 석재의 표면에 수가공, 레이저 가공, 수압 천공기(워터 제트) 가공 등을 이용한 음각 방식으로 문자 또는 도형을 형성하여 석재 조형물을 구성한다. 주변 통행자는 야간에 위와 같은 석재의 표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문구 또는 로고 등을 식별할 수 없으며, 따라서 석재 조형물의 주변에 별도의 조명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통행자가 석재 조형물에 형성된 문구 또는 로고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다른 방법이나 수단으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374957호에는 "석재를 이용한 광고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석재 조립체가 서로 이격된 전방 석재와 후방 석재를 포함하여 그 내부에 공간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 석재를 천공하여 전방 석재의 외부 표면에서 공간부를 연결하는 천공 문자 및/또는 도형(이하, 편의상 "도안"이라 칭함)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석재 조립체의 내부 공간에는 조명 수단이 배치됨으로써 외부와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천공 도안을 통하여 광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주변의 관찰자는 야간에도 석재 조립체, 예를 들어 전방 석재에 형성된 천공 도안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석재 조립체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조명 수단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 수단의 교체를 위해서는 (전방 석재와 후방 석재로 이루어진 본체부 그리고 덮개부로 구분된) 석재 조립체를 분리해야 하는 불필요한 작업이 요구되고, 조명 수단을 교체 후에는 본체부와 덮개부를 다시 조립해야 한다. .
한편, 일반적으로 석재, 목재 등과 같은 대상 부재를 천공하여 소정 폭을 갖는 선 및/또는 곡선을 형성하여 대상 부재의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천공 도안을 구성할 때, 한글 자음 "ㄱ" "ㄴ", 영문자 "L", "W"와 같은 종단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천공 도안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지만, 종단이 서로 연결된 폐곡선부 또는 폐다각형부를 포함하는 도안, 예를 들어, 한글 자음 "o", "ㅁ" , "ㅍ" 그리고 영문자 "A", "P", "R"과 같은 도안을 형성할 때는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 안쪽의 부분 역시 대상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완전한 천공 도안을 형성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의 일부 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도안에 포함되지 않는 연결부를 남겨놓는 방식으로 대상 부재를 천공, 가공함으로써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의 안쪽에 해당하는 부분이 대상 부재에 잔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천공 도안은 완전한 문자 및 도형으로서 볼 수 없으며, 가늘게 형성된 연결부가 충격에 의해 쉽게 끊어지는 경우도 많아, 완전한 홍보 또는 정보 제공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만족할만한 미적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또한 내부공간에 조명수단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모기, 나방 등의 곤충이 천공된 글자부분을 통해 내부로 침입하여 내부 조명수단에 달라붙어 내부 조명의 조도를 낮추고, 이에 따라 내부에 침입한 곤충을 수시로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은 석재 조립체의 전방 석재에 천공 도안이 형성된 실용신안등록 제20-374957호에 개시된 장치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천공 문자 또는 천공 도형이 형성된 조형물에서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명 수단을 구성 요소로 포함하여 주변 관찰자로 하여금 야간에도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할 수 있으며 조명 수단의 용이한 제거 및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조형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천공 문자 또는 천공 도형에 포함된 폐곡선부 또는 폐다각형부의 안쪽에 해당하는 부분이 대상 부재에 형성된 천공 문자 또는 천공 도형에 포함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어 완전한 문자 및 도형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조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천공 문자 또는 천공 도형을 통해 조명 수단이 설치된 내부로 곤충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형물은 하부 좌대의 양 측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 전방에 배치되며, 천공된 문자 또는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 플레이트;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 후방에 배치된 후면 플레이트; 및 전면 플레이트와 후면 플레이트 사이에 전면 플레이트와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된 제 1 조명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조명 수단은 전면 플레이트와 인접하게 배치된 투명 플레이트 및 투명 플레이트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전면 조명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투명 플레이트에는 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도형 또는 문자의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 안쪽의 부분이 부착되며, 조명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 따른 조형물은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전면 플레이트 및 후면 플레이트 상단에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특히, 제 2 측면 플레이트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포스트 부재 및 2개의 포스트 부재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며, 작업자는 2개의 포스트 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형물은 제 1 조명 수단과 후면 플레이트 사이에 후면 플레이트와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된 제 2 조명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후면 플레이트에는 천공된 문자 또는 도형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조명 수단은 후면 플레이트와 인접하게 배치된 투명 플레이트 및 투명 플레이트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후면 조명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명 플레이트에는 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도형 또는 문자의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 안쪽의 부분이 부착되고, 조명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조명 수단의 투명 플레이트의 표면에 부착된 컬러 시트지를 부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조명 효과 및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광원으로 LED 칼라 모듈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특히, 각 구성 요소, 즉 하부 좌대,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전면 플레이트 및 후면 플레이트를 석재로 제조함으로써 석재의 질감을 기본 바탕으로 다양한 색상의 도형 및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형물은 구성 요소로서 조명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주변 관찰자로 하여금 야간에도 전면 또는 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천공 문자 및/또는 도형을 인식할 수 있으며 조명 수단의 용이한 제거 및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천공 문자 또는 천공 도형에 포함된 폐곡선부 또는 폐다각형부의 안쪽에 해당하는 부분이 투명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천공 문자 또는 천공 도형의 일부분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완전한 문자 및 도형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다.
또한, 투명 플레이트가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의 후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도형 또는 문자의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를 투명 플레이트가 막게 되며, 따라서 곤충이 이 부분을 통하여 조형물 내부로 침입할 수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조형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석재 조형물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면 플레이트와 제 1 조명 수단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조형물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석재 조형물의 분리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설명에서는 조형물을 구성하기 위한 대상 부재를 석재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천공 문자 및/또는 도형 (이하, 편의상 "도안"이라 칭함)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 부재로서 목재, 불투명 금속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및 "후방"은 도면, 특히 도 2를 기준으로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조형물의 사시도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석재 조형물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조형물은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8), 베이스 부재(8) 상에 위치하는 하부 좌대(7), 하부 좌대(7)의 양 측단 상에 각각 배치된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4b), 그리고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4b) 사이에 위치하는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6a 및 6d), 그리고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4b)와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6a 및 6d) 상에 배치된 커버 플레이트(3)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8)와 하부 좌대(7)는 석재 조형물의 기초가 되는 부재로서, 하중을 균형있게 지지할 있다면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석재로 이루어진 제 1 측면 플레이트(4a)와 제 2 측면 플레이트(4b)는 하부 좌대(7)의 양 측단 상에 배치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석재로 이루어진 전면 플레이트(6a)와 후면 플레이트(6d)는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4b) 사이의 공간 전방과 후방에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4b)와 직교하는 상태로 각각 배치된다.
전면 플레이트(6a)에는 플레이트 자체를 천공하여 소정 폭을 갖는 선 및/또는 곡선을 형성하여 천공 문자 및/또는 천공 도형이 형성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문자 중 한글 자음 "o" 그리고 영문 "D", "A", "O"를 형성할 때는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 안쪽의 부분이 분리된다 (이에 대한 처리 방법은 후술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면 플레이트(6d)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천공 문자 및/또는 천공 도형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플레이트(6a)와 후면 플레이트(6d) 그리고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4b)의 상호 대응 부분에는 각 부재의 흔들림없는 배치를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4b) 그리고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6a 및 6d) 상에 커버 플레이트(3)가 배치되며, 따라서 전면 플레이트(6a), 후면 플레이트(6d),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4b)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3)에 의하여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측면 플레이트(4b)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부 좌대(7)의 일측단부 상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 2개의 포스트 부재 및 2개의 포스트 부재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재가 조립된 후, 작업자는 제 2 측면 플레이트(4b)의 2개의 포스트 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4b),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6a 및 6d)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3)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4b),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6a 및 6d)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3)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이하에서는 "내부 공간"으로 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은 전면 플레이트(6a)와 후면 플레이트(6d)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하는 상태에서 내부 공간에 배치된 조명 수단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면 플레이트(6a)와 대응하는 제 1 조명 수단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조명 수단은 전면 플레이트(6a)와 인접하게 그리고 평행하게 배치된 투명 플레이트(G1) 및 투명 플레이트(G1)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전면 조명 플레이트(6b)를 포함한다.
투명 플레이트(G1)는 강화 유리나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면 플레이트(6a)에 대한 문자또는도형 천공 과정에서 전면 플레이트(6a)에서 분리된, 문자 또는 도형의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 안쪽의 부분(도 3에서 T1)이 투명 플레이트(G1)의 어느 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전면 플레이트(6a)와 대응하는 면에 부착된다. 이때, 투명 플레이트(G1)에 부착된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 안쪽의 부분(T1)과 전면 플레이트(6a)에 형성된 문자 또는 도형의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가 대응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투명 플레이트(G1)와 전면 플레이트(6a)의 관계에 의하여 관찰자가 전면 플레이트(6a)를 전방에서 관찰할 때 전면 플레이트(6a)에는 완전한 천공 문자 또는 천공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한편, 전면 조명 플레이트(6b)의 전면, 즉 투명 플레이트(G1)와 대응하는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L1)이 장착되어 있다.
전면 조명 플레이트(6b)의 광원(L1)에서 발생된 광은 투명 플레이트(G1)를 통과하고, 전면 플레이트(6a)에 형성된 천공 문자 또는 천공 도형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된다. 이때, 광은 투명 플레이트(G1)에 부착된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 안쪽의 부분(T1) 및 전면 플레이트(6a)의 천공 문자 또는 천공 도형 형성 영역 이외의 영역을 통과하지 못함으로써 외부로 발산되는 광은 완전한 문자 및 도형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전면 조명 플레이트(6b)와 투명 플레이트(G1)에 의하여 야간에도 그리고 별도의 외부에 조명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관찰자들은 전면 플레이트(6a)에 형성된 천공 문자 또는 천공 도형을 완전한 문자 또는 도형으로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 2 측면 플레이트(4b)의 2개의 포스트 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4b),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6a 및 6d)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3)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진입 후 투명 플레이트(G1)의 정비 그리고 제 1 조명 수단을 구성하는 광원(L1)의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후면 플레이트(6d)와 대응하는 제 2 조명 수단(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 2 조명 수단의 구조는 제 1 조명 수단의 구조와 동일하고 후면 플레이트(6d)와 제 2 조명 수단의 배치 관계는 전면 플레이트(6a)와 제 1 조명 수단의 배치 관계와 대칭을 이룬다 (도 3에서 미설명 도면 부호 "6c"는 제 2 조명을 구성하는 후면 조명 플레이트를 지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 1 조명 수단과 제 2 조명 수단에서 발생된 광은 전면 플레이트(6a)와 후면 플레이트(6d)에 각각 형성된 천공 문자 또는 천공 도형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며, 따라서 관찰자들은 조형물의 전방과 후방에서 전면 플레이트(6a)와 후면 플레이트(6d)에 각각 구성된 문자또는도형을 관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빛 투과성을 갖는 투명 플레이트(G1)의 표면에 컬러 시트지가 부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주간에는 컬러 시트지의 색상이 전면 플레이트(6a)에 형성된 천공 도형 또는 천공 문자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석재의 고유 질감의 바탕에 특정 색상을 갖는 도형 또는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야간에는 광원(L1)에서 발광된 광이 칼라 시트지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색상의 광으로 이루어진 도형 및 문자를 연출하여 이미지 전달 효과를 극대할 수 있다. 또한 광원(L1)으로 LED 칼라 모듈을 사용하여도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광원이 전면 조명 플레이트(6b)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나, 광원을 전면 조명 플레이트(6b)의 끝단부에 배치함으로써 전면 플레이트(6a)에 형성된 천공 도형또는천공 문자를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조형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3) 상에 위치하는 상부 좌대(2) 및 상부 좌대(2) 상에 설치되는 상징물(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징물(1)은 본 고안에 따른 조형물이 설치되는 장소 및 목적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은 구조적인 변형 없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대용 사진으로서, 시설물의 차량 진입로에 설치된 조형물을 도시하고 있다.
시설물의 차량 진입로에는 차량 진입을 통제하기 위한 절첩 차단기가 설치되며, 절첩 차단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진입로 변에 설치된 보관 시설 내에 보관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형물이 이러한 절첩 차단기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좌대(7),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4b),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6a 및 6d)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3)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은 제 2 측면 플레이트(4b)의 2개의 포스트 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연결된다. 따라서, 접혀진 절첩 차단기는 2 측면 플레이트(4b)의 2개의 포스트 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조형물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조형물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석재 조형물의 분리 사시도로서, 전체적인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석재 조형물의 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석재 조형물과 동일한 구성 부재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도 5, 6에 부여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조형물은 하부 좌대(7),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14), 전면 플레이트(6a), 후면 플레이트(6d)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3)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는 제 1 조명 수단 및 제 2 조명 수단이 설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조형물에 설치된 제 1 조명 수단 및 제 2 조명 수단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조명 수단의 구성, 즉 광원이 장착된 조명 플레이트와 투명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석재 조형물의 전면 플레이트(6a)및 후면 플레이트(6d)에 형성된 도형 또는 문자의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를 통하여 광이 방출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석재 조형물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조형물의 가장 큰 특징은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6a, 6d)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3)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14) 모두 단일의 부재, 예를 들어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조 및 형상의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4a 및 14)를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6a, 6d)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3)와 함께 조립하면,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이 밀폐된 구조의 조형물이 형성되며, 이러한 조형물은 전면 플레이트(6a)와 후면 플레이트(6d)에 형성된 도형 또는 문자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입간판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위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 상징물
2: 상부 좌대
3: 커버 플레이트
4a 및 4b: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5: 연결 부재
6a: 전면 플레이트
6b: 전면 조명 플레이트
6c: 후면 조명 플레이트
6d: 후면 플레이트
G1 : 투명 플레이트

Claims (9)

  1. 하부 좌대의 양 측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 전방에 배치되며, 천공된 문자 또는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 플레이트;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 후방에 배치된 후면 플레이트; 및
    전면 플레이트와 후면 플레이트 사이에 전면 플레이트와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된 제 1 조명 수단을 포함하되,
    제 1 조명 수단은 전면 플레이트와 인접하게 배치된 투명 플레이트 및 투명 플레이트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전면 조명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투명 플레이트에는 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도형 또는 문자의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 안쪽의 부분이 부착되며, 조명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전면 플레이트 및 후면 플레이트 상단에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3. 제2항에 있어서, 제 2 측면 플레이트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포스트 부재 및 2개의 포스트 부재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 이루어져 2개의 포스트 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과 외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4. 제2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는 단일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져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은 외부와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5. 제1항에 있어서, 제 1 조명 수단과 후면 플레이트 사이에 후면 플레이트와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된 제 2 조명 수단을 더 포함하되,
    후면 플레이트에는 천공된 문자 또는 도형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조명 수단은 후면 플레이트와 인접하게 배치된 투명 플레이트 및 투명 플레이트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후면 조명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투명 플레이트에는 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도형 또는 문자의 천공 폐곡선부 또는 천공 폐다각형부 안쪽의 부분이 부착되고, 조명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투명 플레이트는 그 표면에 부착된 칼라 시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광원으로 LED 칼라 모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8. 제5항에 있어서, 광원은 조명 플레이트의 끝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9.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좌대, 제 1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전면 플레이트 및 후면 플레이트는 석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KR2020130005779U 2013-07-12 2013-07-12 조형물 KR200471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779U KR200471336Y1 (ko) 2013-07-12 2013-07-12 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779U KR200471336Y1 (ko) 2013-07-12 2013-07-12 조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336Y1 true KR200471336Y1 (ko) 2014-02-19

Family

ID=5141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779U KR200471336Y1 (ko) 2013-07-12 2013-07-12 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3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8876A (zh) * 2019-12-09 2020-04-10 湖南粤港模科实业有限公司 装饰材料组合模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866Y1 (ko) 2003-08-13 2003-11-10 정창호 난간, 조형물, 안내판 및 광고판에 조명의 조합에 대한설치구조
KR20100052030A (ko) * 2008-11-10 2010-05-19 함종안 발광 장식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12215050A (ja) 2011-04-01 2012-11-08 Tenchiyuyu Co Ltd 照明パネル
KR20120129067A (ko) * 2011-05-19 2012-11-28 주식회사 부림이엔씨 태양광 볼라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866Y1 (ko) 2003-08-13 2003-11-10 정창호 난간, 조형물, 안내판 및 광고판에 조명의 조합에 대한설치구조
KR20100052030A (ko) * 2008-11-10 2010-05-19 함종안 발광 장식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12215050A (ja) 2011-04-01 2012-11-08 Tenchiyuyu Co Ltd 照明パネル
KR20120129067A (ko) * 2011-05-19 2012-11-28 주식회사 부림이엔씨 태양광 볼라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8876A (zh) * 2019-12-09 2020-04-10 湖南粤港模科实业有限公司 装饰材料组合模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3434C (en) Three-dimensional metallic charac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504997A (zh) 防风指示牌
KR200471336Y1 (ko) 조형물
KR200454336Y1 (ko) 도로용 발광다이오드 표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US20070107281A1 (en) Hooded face plate for a message and display sign
KR20100077774A (ko) 재활용이 가능한 현수막
US20140317973A1 (en) Three-dimensional signboar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413065B1 (ja) 薄板材
KR101518392B1 (ko) 모자이크 간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200135066A1 (en) Layered signage system
CN208061563U (zh) 一种可调角度便捷标识牌
US2163298A (en) Interchangeable illuminated sign
CN201037976Y (zh) 电动伸缩闸led显示屏
JP3141497U (ja) 提灯
CN105531752A (zh) 视觉通信板和用于在所述板上形成字符的系统
JP3205986U (ja) 装飾シート
KR200248209Y1 (ko) 메쉬구조를 가진 옥외용 광고장치
KR101676659B1 (ko) 디스플레이용 전광판을 이용한 가로등 지주용 광고장치
KR100707992B1 (ko) 바닥 광고판
KR20110014823A (ko) 다기능 펜스
KR102310695B1 (ko) Eva 소재의 입간판
KR102284942B1 (ko) 후광 효과를 갖는 채널 간판
KR200395661Y1 (ko) 대중교통수단의 승객 손잡이 광고케이스
CN202502694U (zh) 发光立体饰板
CN2916831Y (zh) 改进的发光显示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