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962Y1 -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 Google Patents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962Y1
KR200470962Y1 KR2020120011717U KR20120011717U KR200470962Y1 KR 200470962 Y1 KR200470962 Y1 KR 200470962Y1 KR 2020120011717 U KR2020120011717 U KR 2020120011717U KR 20120011717 U KR20120011717 U KR 20120011717U KR 200470962 Y1 KR200470962 Y1 KR 200470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artridge tank
fan heater
fue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태우
이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2020120011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9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9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핀부와, 상기 고정핀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장 형성되어 연료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필터부를 지지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를 수용하는 연료받이가 구비된 서브 탱크에 수용되며 주유구 내부에 상기 고정핀부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유구를 선택적으로 탄성 개폐하는 가동밸브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탱크의 주유구 외측에는 밀폐 결합되는 캡이 구비되되, 상기 캡은 하부의 중심에 상기 고정핀부가 삽입된 상태로 밀폐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부의 테두리는 상기 필터부의 상단부를 밀폐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CAP FOR CARTRIDGE TANK OF FAN HEATER}
본 고안은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팬히터용 카트리지 탱크 내의 연료가 주유구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히터는 연료를 기화시켜 연소시킴에 따라 얻어지는 열로서 난방을 수행하는 난방기기로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장치(F)와, 상기 연료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연료를 기화시켜 연소시키는 연소장치(C)와, 상기 연소장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장치(A)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연료 공급장치(F)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탱크(1)로부터 공급되어 서브 탱크(2)에 저장된 연료의 공급을 안내하는 송유관(3)과, 상기 송유관(3)에 부착되어 송유관(3)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를 펌핑(Pumping)하는 전자펌프(4)와, 상기 전자펌프(4)에 의해 펌핑된 연료의 유면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정유면기(5)와, 상기 정유면기(5) 내부에 설치되어 연료를 연소장치(C)로 안내하여 주는 파이프 오리피스(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탱크(1)의 주유구와 서브 탱크(2)의 연료받이가 연통됨에 따라 카트리지 탱크(1)에서 서브 탱크(2)로 연료가 공급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자 또는 차량에 의해 팬히터가 이동될 때 상기 팬히터가 의도하지 않게 기울어져서 상기 연료 공급장치(F)의 서브 탱크(2) 내에 저장된 연료의 저장 형상이 변하는 현상이 있었다.
즉, 카트리지 탱크(1)와 서브 탱크(2)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연료의 유면은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 탱크(1)의 주유구가 공기에 노출되고, 결국 카트리지 탱크(1) 내의 소량의 연료가 주유구를 통해 조금씩 서브 탱크(2)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서브 탱크(2)의 연료 저장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서브 탱크(2)의 저장량이 증가한 상태에서, 상기 팬히터가 반복적으로 기울어질 경우 소량의 연료가 카트리지 탱크(1)와 서브 탱크(2)의 연결 부위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999-1000001호(1999.1.1)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 또는 차량에 의해 팬히터를 이동 시 상기 팬히터가 기울어지더라도 연료가 카트리지 탱크와 서브 탱크의 연결 부위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은, 고정핀부와, 상기 고정핀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장 형성되어 연료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필터부를 지지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를 수용하는 연료받이가 구비된 서브 탱크에 수용되며 주유구 내부에 상기 고정핀부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유구를 선택적으로 탄성 개폐하는 가동밸브와, 상기 주유구 외측에 형성된 관형의 핸들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탱크의 핸들부의 외측에는 밀폐 결합되는 캡이 구비되되, 상기 캡은 상기 필터부 내측과 꼭 맞게 형성되어 상기 주유구의 외주면 일부와 개방된 유출공을 밀폐하는 중앙 돌출부와, 상기 핸들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중앙 돌출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의 요홈에 삽입되는 굴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돌출부는 마주보는 상기 고정핀부으로부터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기 고정핀부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에는 홈과 돌기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곡부는 그 안쪽 면에 상기 핸들부가 삽입되어 접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에 의하면, 카트리지 탱크의 주유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차량에 의해 팬히터를 이동 시 상기 팬히터가 기울어지더라도 연료가 카트리지 탱크와 서브 탱크의 연결 부위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쥐는 핸들부의 외주면에 캡이 적용되므로 사용자의 손에 연료가 묻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팬히터의 상품성 및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팬히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팬히터의 연료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유구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누유방지용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누유방지용 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팬히터의 연료 공급장치는, 연료를 저장하고, 팬히터 본체에 공급 가능한 카트리지 탱크(100)와, 상기 팬히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서브 탱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에 따르면, 주유구(110)를 통해 연료가 주입되는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를 상기 서브 탱크(200)의 연료받이(210) 내에 거꾸로 세워 상기 주유구(110)와, 연료받이(210)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브 탱크(200) 내로 연료가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와 서브 탱크(200)의 연통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에는 상기 주유구(110) 내부에 상기 주유구(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가동밸브(120)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탄성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탱크(200)에는 상기 연료받이(210) 내부의 중앙에 상기 가동밸브(120)를 선택적으로 미는 고정핀부(22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부(220)로부터 간격을 두고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료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관형의 필터부(2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의 주유구(110) 외측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쥘 수 있도록 관형의 핸들부(130)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핸들부(130)는 상기 주유구(110)에서 일부 흘러나온 연료가 더 이상 카트리지 탱크(100) 면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230)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필터부(230)를 지지하는 관형의 홀더부(240)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홀더부(240)의 상측에는 둘레를 따라 환형의 요홈(241)이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의 핸들부(130)가 삽입 가능하도록 대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트리지 탱크(100)와 서브 탱크(200)의 연통 구조에서,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의 주유구(110)를, 상기 서브 탱크(200)의 고정핀부(220)와, 필터부(230) 및 홀더부(240)을 수용하는 연료받이(210) 내에 삽입하게 될 경우, 상기 가동밸브(120)가 상기 고정핀부(220)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카트리지 탱크(100)에 저장된 연료가 주유구(110)의 유출공(111)을 통해 서브 탱크(200)로 공급된다.
다시 말해,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를 서브 탱크(200)에 삽입 시, 상기 서브 탱크(200)의 연료받이(210) 위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핀부(220)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의 주유구(110)를 차단하는 가동밸브(120)가 주유구(110) 내측으로 탄성 이동하게 되므로 주유구(110)가 개방되어 카트리지 탱크(100)에 저장된 연료가 서브 탱크(20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로부터 서브 탱크(200)로 공급되는 연료는 상기 서브 탱크(200)에 어느 정도 차게 되면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와 서브 탱크(200)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 평형에 의해 연료 공급이 중단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 또는 차량에 의해 팬히터를 이동 시에 의도하지 않게 상기 팬히터가 기울어져 소량의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카트리지 탱크(100)와 서브 탱크(200)의 연통 구조에는, 상기 주유구(110)에 밀폐 결합되는 탄성이 우수한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누유방지용 캡(10)이 적용된다.
예컨대, 작업자 또는 차량에 의해 팬히터를 이동시에는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의 주유구(110)에 상기 누유방지용 캡(10)을 적용하고, 반대로 팬히터를 사용시에는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의 주유구(110)로부터 상기 누유방지용 캡(10)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누유방지용 캡(10)은 상기 핸들부(130)의 외주면에 테두리부(11)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누유방지용 캡(10)은 상기 필터부(230) 내측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230) 내측과 꼭 맞게 형성되어 상기 주유구(110)의 외주면 일부와 개방된 유출공(111)을 밀폐하는 중앙 돌출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중앙 돌출부(12)는 마주보는 상기 고정핀부(220)으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있어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서브 탱크(200)로 공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돌출부(12)의 상기 고정핀부(220)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수용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유방지용 캡(10)의 상기 중앙 돌출부(12)와 상기 테두리부(11) 사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굴곡부(13)가 형성되는데, 상기 굴곡부(13)의 돌출된 바깥쪽 면은 상기 홀더부(240)의 요홈(241)에 삽입되고, 상기 굴곡부(13)의 안쪽 면은 상기 핸들부(130)가 삽입되어 접촉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카트리지 탱크(100)가 거꾸로 세워지게 될 경우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는 서브 탱크(200) 위에 안정적으로 세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누유방지용 캡(10)의 상기 테두리부(11)에는 상기 핸들부(130)와 마찬가지로 누유방지용 캡(10)을 상기 핸들부(130)에 대해 개폐 시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홈과 돌기로 이루어진 요철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누유방지용 캡(10)의 구성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가 서브 탱크(200)의 연료받이(210) 위에서 상하로 진동 시 상기 굴곡부(13)가 탄성 변형을 하더라도 상기 서브 탱크(200)로부터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가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누유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쥐는 핸들부(130)의 외주면에 캡(10)이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손에 연료가 묻지 않게 된다.
결국, 상기 카트리지 탱크(100)의 주유구(110)에 밀폐 가능한 누유방지용 캡(10)을 적용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차량에 의해 팬히터를 이동 시 상기 팬히터가 기울어지더라도 연료가 카트리지 탱크(100)와 서브 탱크(200)의 연결 부위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기 팬히터의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카트리지 탱크 110 : 주유구
111 : 유출공 120 : 가동밸브
130 : 핸들부 200 : 서브 탱크
210 : 연료받이 220 : 고정핀부
230 : 필터부 240 : 홀더부
241 : 요홈 10 : 캡
11 : 테두리부 11a : 요철부
12 : 중앙 돌출부 12a : 수용홈
13 : 굴곡부

Claims (6)

  1. 고정핀부와, 상기 고정핀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장 형성되어 연료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필터부를 지지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를 수용하는 연료받이가 구비된 서브 탱크에 수용되며 주유구 내부에 상기 고정핀부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유구를 선택적으로 탄성 개폐하는 가동밸브와, 상기 주유구 외측에 형성된 관형의 핸들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탱크의 핸들부의 외측에는 밀폐 결합되는 캡이 구비되되,
    상기 캡은 상기 필터부 내측과 꼭 맞게 형성되어 상기 주유구의 외주면 일부와 개방된 유출공을 밀폐하는 중앙 돌출부와,
    상기 핸들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중앙 돌출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의 요홈에 삽입되는 굴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돌출부는 마주보는 상기 고정핀부으로부터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기 고정핀부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홈과 돌기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그 안쪽 면에 상기 핸들부가 삽입되어 접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KR2020120011717U 2012-12-12 2012-12-12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KR2004709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717U KR200470962Y1 (ko) 2012-12-12 2012-12-12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717U KR200470962Y1 (ko) 2012-12-12 2012-12-12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962Y1 true KR200470962Y1 (ko) 2014-01-23

Family

ID=5141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717U KR200470962Y1 (ko) 2012-12-12 2012-12-12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962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657Y1 (ko) * 1987-04-21 1990-01-30 노기배 배선, 배관파이프용 착탈식 캡
JP2000007095A (ja) * 1998-06-23 2000-01-11 Sadao Nagumo ビンの蓋開け器
JP2000018562A (ja) * 1998-06-24 2000-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液体燃料燃焼器の給油装置
JP2001147011A (ja) * 1999-11-19 2001-05-29 Dainichi Co Ltd カートリッジ式給油タンク
JP2003042436A (ja) * 2001-07-26 2003-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液体燃料燃焼装置の給油装置
JP2008249295A (ja) * 2007-03-30 2008-10-16 Toyotomi Co Ltd 石油燃焼器の燃料供給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657Y1 (ko) * 1987-04-21 1990-01-30 노기배 배선, 배관파이프용 착탈식 캡
JP2000007095A (ja) * 1998-06-23 2000-01-11 Sadao Nagumo ビンの蓋開け器
JP2000018562A (ja) * 1998-06-24 2000-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液体燃料燃焼器の給油装置
JP2001147011A (ja) * 1999-11-19 2001-05-29 Dainichi Co Ltd カートリッジ式給油タンク
JP2003042436A (ja) * 2001-07-26 2003-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液体燃料燃焼装置の給油装置
JP2008249295A (ja) * 2007-03-30 2008-10-16 Toyotomi Co Ltd 石油燃焼器の燃料供給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541Y1 (ko)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JP6279548B2 (ja) 圧力リリーフ弁を備えた容器
JP4074113B2 (ja)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JP2003531743A5 (ko)
US20170232837A1 (en) Filler pipe and vehicle fuel filler port structure
CN113695100A (zh) 一种用于喷漆枪的流体供应杯
KR200470962Y1 (ko)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CA2613929A1 (en) Closure for can filler port and can vent
JP2007315731A (ja) 加湿器
KR200472820Y1 (ko)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용 캡
KR101535466B1 (ko) 냉각수 보조탱크 캡
KR200445206Y1 (ko) 액체 용기용 마개
KR102637934B1 (ko) 액체 연료 버너 및 액체 연료 버너용 연결 어셈블리
JP2019200033A5 (ko)
CN217319801U (zh) 墨水容器与图像形成装置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WO2017068883A1 (ja) 燃料タンク用通気制御弁
CN218889255U (zh) 雾化设备
KR20160005393A (ko)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CN209932438U (zh) 饮水机的水源接驳组件
KR101252240B1 (ko) 냉온수기
US20170298878A1 (en) Fuel tank inlet check valve replacement kit
KR200413393Y1 (ko) 개폐 가능한 통기구멍이 구비된 용기
JP3678857B2 (ja) 液体噴出ポンプ
BR112019015110A2 (pt) Dispositivo de fecho para um recipi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