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869Y1 -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869Y1
KR200470869Y1 KR2020120007986U KR20120007986U KR200470869Y1 KR 200470869 Y1 KR200470869 Y1 KR 200470869Y1 KR 2020120007986 U KR2020120007986 U KR 2020120007986U KR 20120007986 U KR20120007986 U KR 20120007986U KR 200470869 Y1 KR200470869 Y1 KR 200470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ght emitting
emitting assembly
light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안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안파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안파워텍
Priority to KR2020120007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8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8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ateral surface of the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발광이 가능한 광섬유 및 이를 둘러싸고 있는 그물망 구조의 반사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빛을 발산하고, 그로 인해 외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시인 가능한 발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광섬유에서 발산되는 빛이 그물망 구조의 반사 커버를 통하여 한번 더 반사되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발광 어셈블리를 보다 밝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는 다양한 응용 제품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야간 활동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LIGHT EMITTING ASSEMBLY INCLUDING OPTICAL FIBER}
본 고안은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발광이 가능한 광섬유 및 이를 둘러싸고 있는 그물망 구조의 반사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빛을 발산하고, 그로 인해 외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시인 가능한 발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는 전기, 전자, 통신분야, 의료분야, 광학분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광섬유가 길이 방향으로 일측의 끝단에서 타측 끝단으로 빛의 전도가 가능하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장식용으로도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광섬유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다양한 종류의 제품, 예컨대 의류나 가방, 모자, 인테리어 용품 등은 제품상에 목적하는 형태로 광섬유를 배치하고, 상기 제품의 내부 또는 내측에 LED와 같은 발광 소자와 이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듈을 장착하여 동작한다.
그러나, 종래 광섬유 직물 제품은 광섬유의 끝단을 통해 빛이 방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제품상에 광섬유를 구성하는 경우 광섬유의 곡률반경을 보장해 주어야하므로 광섬유 배치에 제한이 있게 된다.
이에, 광섬유의 측광을 이용하여 제품의 문양을 형성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즉, 광섬유의 클래딩층을 일정 간격으로 홈을 형성한 후, 클래딩층에 홈이 형성된 광섬유와 제품을 형성하기 위한 실을 직조하는 방법으로 문양이 형성된 특정 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광섬유와 실을 함께 직조하는 방법은 특정 장치를 요구함은 물론, 광섬유과 실이 직조됨에 따라 광섬유의 측광이 직조실에 의해 차단되어 광출력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자는 종래 선행기술로서, 특허번호 제10-1088177호(발명의 명칭; 광섬유를 이용한 면상 발광체 및 그 제조방법)을 발명하여 특허를 등록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러한 광섬유를 이용한 면상 발광체 구조는, 일정 면적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접착면에 측면 발광이 가능한 다수의 광섬유가 접착되고, 상기 다수의 광섬유 사이 사이에는 재귀반사물질이 코팅된 반사재가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광섬유가 접착된 직물테이프의 접착면에는 문양이 공판된 문양 직물이 접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는 광을 인가하기 위한 광발생장치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현대인들은 평일이나 주중에는 회사일 등 생업을 유지하기에 바빠 주로 내부에서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퇴근 후에나 야간에 강아지와 같은 애완 동물을 끌고 다니거나, 조깅을 한다거나 자전거를 탄다거나 또는 기타 야간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야간 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예를 들어, 강아지 끈이 보이지 않아 끈에 의해 넘어진다거나, 조깅하는 사람들이 식별이 되지 않아 자건거나 자동차에 의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안전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 이러한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반사 피복이 개발되어 왔는데, 피복의 본체에 야광 포지나 야광판을 구비하는데 따르는 피복 구조가 아주 복잡하여 제조상의 결함과 피복 전체의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가격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고, 피복의 본체에 설치된 야광 포지는 단순히 발광도료를 도포하여서 제조된 것으로 야간에 발광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고 사용 수명이 짧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자는 종래 선행기술로서, 공개번호 제10-2012-0094384(발명의 명칭; 발광 장식 패드 어셈블리)를 발명하여 특허출원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러한 발광 장식 패드 어셈블리는 푸시되는 회수에 따라 접속 또는 단락 상태를 변화시키는 조작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 모드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부; 구동 전압을 인가 받아 상기 조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발광 모드가 변화되어 도안 패턴의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식 패드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선행 기술에 대하여 발명한 본 고안자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수행하던 중 상기 선행기술에 기재된 발명을 더욱 개량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광이 발산되어 외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는,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측면 발광이 가능한 광섬유 및 이를 둘러싸고 있는 그물망 구조의 반사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빛을 발산하고, 그로 인해 외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시인 가능한 발광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광섬유를 조명 모듈에 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본드나 접착 공정 없이 클립핑 또는 맞물림 결합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광섬유의 양 끝단이 모두 하나의 조명 모듈 속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광섬유로 인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는, 측면 발광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광섬유;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에 광을 인가하기 위한 조명모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그물망 형태의 구조로 구성되는 반사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 커버는 다수의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를 갖는 중공(中空)식 원통형 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 커버는, 상기 광섬유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거나 또는 재귀반사물질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모듈은, 광을 발산하는 조명; 및 상기 조명이 수용되는 조명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의 일 측단은 타 측단과 함께 상기 조명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의 양 측단은 상기 조명캡의 일측에 클립핑 또는 맞물림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은 발광다이오드(LED) 및 백열전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어셈블리는, 푸시되는 회수에 따라 접속 또는 단락 상태를 변화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 모드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접속 또는 단락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구동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조명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컴은 상기 조명모듈의 점멸주기 및/또는 점멸양상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는 푸시 방식, 음향 감지 방식 및 광 감지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전자 기기의 USB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부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어셈블리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 및 반사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부착되는 띠 형태의 제1판 및 제2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도록 상기 제1판 및 제2판 중 어느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표시창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판 및 제2판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재귀반사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측면 발광이 가능한 광섬유 및 이를 둘러싸고 있는 그물망 구조의 반사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빛을 발산하고, 그로 인해 외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시인 가능한 발광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섬유를 조명 모듈에 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본드나 접착 공정 없이 클립핑 또는 맞물림 결합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섬유의 양 끝단이 모두 하나의 조명 모듈 속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광섬유로 인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광섬유에서 발산되는 빛이 그물망 구조의 반사 커버를 통하여 한번 더 반사되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발광 어셈블리를 보다 밝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는 다양한 응용 제품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야간 활동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반사 커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 실시예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반사 커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100)는 광섬유(10), 조명모듈(20) 및 반사 커버(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100)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50)는 전원부(51), 스위치(52), 마이컴(53) 및 충전포트(5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10)는 하나 이상 존재하며 측면 발광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조치된다. 이러한 측면 발광 광섬유에 대해서는 본 고안자가 발명한 선행기술;특허번호 제10-1088177호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명모듈(20)은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10)에 광을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광을 발산하는 조명(21) 및 조명(21)이 수용되는 조명캡(2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명(21)은 갈륨비소 등의 화합물에 전류를 인가시켰을 때 광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LED) 및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 광을 발산하는 백열전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때, 광섬유(10)의 일 측단은 타측단과 함께 상기 조명캡(22)의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광섬유(10)의 양 끝단에서 발산되는 빛을 조명모듈(20) 측으로 돌리기 때문에, 광섬유(10)의 끝단에서 손실될 수 있는 광을 최소화하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광섬유(10)의 양 끝단이 조명캡(22)에 결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별도의 본드나 접착 공정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본드나 접착 공정 없이 클립핑 또는 맞물림 결합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발광 어셈블리(100)의 제조 원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반사 커버(30)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10)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그물망 형태의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반사 커버(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와이어(2)가 다수의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3)를 갖는 중속식 원통형 몸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사 커버(30)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10)에서 발산되는 빛이 그물망 구조의 반사 커버(30)를 통하여 일부는 흡수되고 일부는 한번 더 반사되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광섬유(10)의 측면 발광을 보다 밝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반사 커버(30)는 광섬유로부터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료(예를 들어, 투명, 반투명 폴리머 등)로 구성되거나 혹은, 재귀반사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푸시되는 회수에 따라 접속 또는 단락 상태를 변화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 어셈블리(100)의 발광 모드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50)의 구성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부(51)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100)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원부(51)는 리튬 이온 2차 전지, 리튬 폴리머 2차 전지 등 충전 가능한 전지면 충분하고 특별히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스위치(52)는 접속 또는 단락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스위치를 푸시하는 경우, 내부 접점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술된 조명(21)을 온(ON)시키게 되며, 한번 더 스위치를 푸시하는 경우, 내부 접점들이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상술된 조명(21)을 오프(OFF)시키게 된다.
마이컴(53)은 스위치(52)의 구동 신호를 인가받아 스위치(52)가 푸시되는 회수를 판단하여 조명(2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충전 포트(54)는 외부 전자 기기(예를 들어, 컴퓨터 등)의 USB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부(51)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스위치(52)의 푸시 횟수에 따라 단순히 조명(21)이 온/오프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스위치(52) 및 마이컴(53)의 기능은 반드시 여기에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즉 마이컴(53)은 조명모듈(20)의 점멸 주기 및/또는 점멸 양상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52)가 1회 푸시되는 경우 내부 접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2회 푸시되는 경우 내부 접점들을 전기적으로 단락하며, 3회 푸시되는 경우 일정한 주기로 내부 접점을 전기적으로 단락/접속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조명(21)의 온/오프뿐만 아니라 발광 모드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에서는 스위치(52)는 버튼 형식(즉, 푸시 방식)으로 기재되었지만, 음향 감지 방식, 광 감지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100)의 실제적인 구조를 상세하게 알 수 있다.
전원부(51), 스위치(52), 마이컴(53) 및 충전포트(54)를 포함하는 제어부(50)가 특정한 형태로 디자인된 덮개(61, 62)로 둘러싸이게 된다. 이때, 다양한 로고 또는 디자인이 고주파 인쇄를 통하여 상기 덮개(61, 62)에 인쇄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61, 62)로 인하여 상기 제어부(50)는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덮개(61)의 일부에는 하측에 존재하는 스위치(52)와 상응하는 위치에 스위치 표시가 인쇄되어 있어,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 표시를 푸시함으로써 조명(21)의 온/오프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하나 이상의 광섬유(10) 및 그물망 구조의 반사 커버(3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부착될 수 있는 띠 형태의 제1판(71) 및 제2판(72)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띠 형태의 제1판(71) 및 제2판(72)은 광섬유(10) 및 반사 커버(30)를 둘러싸도록 서로 부착된다.
이때, 제1판(71) 및 제2판(72)은 접착제에 의한 부착 또는 실과 같은 부재로 제1판(71) 및 제2판(72)의 테두리를 꿰어서 결합되게 할 수 있으며, 그 부착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또한 제1판(71) 및 제2판(72) 중 어느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표시창(73)(예를 들어, 도 2, 도 4에서는 직사각 형태의 홀)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하나 이상의 광섬유(1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표시창(73) 통하여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판(71) 및 제2판(72) 사이에는 일반 반사 시트 또는 재귀반사가 가능한 재귀반사시트(75)가 더 제공되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하나 이상의 광섬유(1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보다 밝게 외부로부터 인식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제1판(71)의 끝단측에는 관통홀(74)이 형성되게 되며, 이러한 관통홀(74)에는 리벳(76)이 삽입되어 제1판(71) 및 제2판(72) 내측의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10)를 고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섬유(10)가 "U"자 형태로 위치한다고 가정했을 때, 리벳(76)은 "U"의 중심부측에 고정되는 방식).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하나 이상의 광섬유(10)는 제1판(71) 및 제2판(72) 내측에서 별도의 움직임 없이 고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는, (1) 측면 발광이 가능한 광섬유 및 이를 둘러싸고 있는 그물망 구조의 반사 커버를 제공함(반사 커버가 광섬유로부터의 빛을 일부는 흡수하고 일부는 한번 더 반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으며, (2) 광섬유를 조명 모듈에 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본드나 접착 공정 없이 클립핑 또는 맞물림 결합에 의해 결합하여, 제조 원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3) 광섬유의 양 끝단이 하나의 조명 모듈 속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광섬유로 인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10: 광섬유
20: 조명모듈
21: 조명
22: 조명캡
30: 반사 커버
50: 제어부
51: 전원부
52: 스위치
53: 마이컴
54: 충전포트
61, 62: 덮개
71: 제1판
72: 제2판
73: 표시창
74: 관통홀
75: 재귀반사시트
76: 리벳

Claims (10)

  1. 측면 발광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광섬유;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에 광을 인가하기 위한 조명모듈;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다수의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를 갖는 중공(中空)식 원통형 몸체로 구성되는 그물망 형태의 반사 커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 및 반사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부착되는 띠 형태의 제1판 및 제2판;을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의 양측 말단은 상기 조명모듈 내에 삽입되고, 상기 반사 커버는 상기 광섬유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거나 또는 재귀반사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1판 및 제2판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표시창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광을 발산하는 조명; 및
    상기 조명이 수용되는 조명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의 일 측단은 타 측단과 함께 상기 조명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의 양 측단은 상기 조명캡의 일측에 클립핑 또는 맞물림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어셈블리는,
    푸시되는 회수에 따라 접속 또는 단락 상태를 변화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 모드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접속 또는 단락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구동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조명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전자 기기의 USB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부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 및 제2판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재귀반사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KR2020120007986U 2012-09-07 2012-09-07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KR200470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986U KR200470869Y1 (ko) 2012-09-07 2012-09-07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986U KR200470869Y1 (ko) 2012-09-07 2012-09-07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869Y1 true KR200470869Y1 (ko) 2014-01-15

Family

ID=5141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986U KR200470869Y1 (ko) 2012-09-07 2012-09-07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8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5785A (ja) * 2015-06-26 2017-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ファイバ保持構造
KR101971099B1 (ko) * 2018-02-21 2019-04-23 주식회사 부보 재귀반사 구조를 이용한 발광 안전 밴드
KR20200095298A (ko) * 2019-03-19 2020-08-10 주식회사 부보 재귀반사 구조를 이용한 발광 안전 밴드
KR20200002409U (ko) 2019-04-24 2020-11-03 주식회사 세이프일일구 가시성 led 조명 안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3535U (ko) * 1990-03-28 1991-12-16
JPH0745110A (ja) * 1993-07-31 1995-02-14 Morimura Kosan Kk 照明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27432A (ja) * 2008-07-22 2010-02-04 Toricon:Kk 発光装置
KR20120094384A (ko) * 2011-02-16 2012-08-24 김재헌 발광 장식 패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3535U (ko) * 1990-03-28 1991-12-16
JPH0745110A (ja) * 1993-07-31 1995-02-14 Morimura Kosan Kk 照明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27432A (ja) * 2008-07-22 2010-02-04 Toricon:Kk 発光装置
KR20120094384A (ko) * 2011-02-16 2012-08-24 김재헌 발광 장식 패드 어셈블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5785A (ja) * 2015-06-26 2017-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ファイバ保持構造
KR101971099B1 (ko) * 2018-02-21 2019-04-23 주식회사 부보 재귀반사 구조를 이용한 발광 안전 밴드
WO2020159004A1 (ko) * 2018-02-21 2020-08-06 주식회사 부보 재귀반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안전 밴드
US11971561B2 (en) 2018-02-21 2024-04-30 Bubo Co., Ltd. Retroreflective structure and light-emitting safety band using same
KR20200095298A (ko) * 2019-03-19 2020-08-10 주식회사 부보 재귀반사 구조를 이용한 발광 안전 밴드
KR102199400B1 (ko) * 2019-03-19 2021-01-06 주식회사 부보 재귀반사 구조를 이용한 발광 안전 밴드
KR20200002409U (ko) 2019-04-24 2020-11-03 주식회사 세이프일일구 가시성 led 조명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869Y1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 어셈블리
US20090213586A1 (en) LED sticker
US10131237B2 (en) Illuminated vehicle charging system
CN101742753A (zh) 照明装置及其驱动方法
US20130272005A1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Car Threshold Pedal Therewith
US20060021585A1 (en) Electroluminescent braided pet leash
JP2017098104A (ja) 発光装置
US20060092625A1 (en) Electronic luminescent clothing and tapes
KR102199400B1 (ko) 재귀반사 구조를 이용한 발광 안전 밴드
US20160201860A1 (en) Self-powered wearable luminous device
KR200468167Y1 (ko) 손전등
KR101106090B1 (ko) 조명표지판
KR102412004B1 (ko) 차량용 조명장치
KR101062840B1 (ko)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KR20120086601A (ko) 휴대용 발광밴드
KR200240674Y1 (ko) 안전 표시판
US20070070635A1 (en) Free mounting type light emitting device
KR102084703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20170110265A (ko) 발광 기능을 구비한 의복
CN214612981U (zh) 一种可发光的布料装置及可发光背包
KR200473455Y1 (ko) 광섬유를 이용한 측면 발광 어셈블리
ITPI20100053A1 (it) Sistema di illuminazione
CN219140613U (zh) 一种指示灯结构及显示器
CN220888122U (zh) 导光线材及具有它的牵引绳索
CN210696048U (zh) 一种可组装的光电安全背心发光贴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