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773Y1 -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 - Google Patents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773Y1
KR200470773Y1 KR2020120007807U KR20120007807U KR200470773Y1 KR 200470773 Y1 KR200470773 Y1 KR 200470773Y1 KR 2020120007807 U KR2020120007807 U KR 2020120007807U KR 20120007807 U KR20120007807 U KR 20120007807U KR 200470773 Y1 KR200470773 Y1 KR 200470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holder body
growth
holder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일
김정희
신용억
김목종
김정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20007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7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8Holding; Lig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왜성대목과 접목되는 근계대목의 생육을 억제하도록 과수묘목을 압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왜성대목과 근계대목이 접목되는 접목부 또는 그 상단 외부면에 접하는 제1반원홈을 구비하는 제1홀더본체와, 상기 제1홀더본체의 좌우양측에 제1톱니면을 구비하는 제1날개편을 갖는 제1홀더 ; 상기 접목부 또는 그 상단 나머지 외부면에 접하는 제2반원홈을 구비하는 제2홀더본체와, 상기 제1홀더본체의 좌우양측에 상기 제1톱니면과 대응결합되는 제2톱니면을 갖는 제2날개편을 구비하는 제2홀더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Device for Suppressing the Growth of Seeding Stock in Fruit Tree Sapilng}
본 고안은 과수묘목에서 근계대목의 생육을 억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왜성대목과 근계대목간의 접목부위 상단에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속하면서 결속부위를 지속적으로 압박하여 지면 아래에 묻힌 근계대목의 비대생장을 억제할 수 있는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무를 증식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나무의 풍토적응성을 넓히고 개화, 결실촉진을 위해 개체가 다른 두 식물체를 조직적으로 연결시켜 생장할 수 있게 하는 접목방법을 주로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접목방법은 대목의 형성층에 기르고자 하는 종의 세포분열 및 생장 부위인 형성층을 연결시켜 접목부위의 유합조직을 발달시켜 하나의 생물체로 생장시키는 방법으로써, 과실류나 관상류의 나무에 주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과실류는 열매를 얻기 위하여 가꾸는 나무로써, 접목의 위치 및 나무종류별로 열매수확량이 달라지므로 다양한 접목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사과나무와 같은 과수작물은 종자로서 번식을 하면 원래 품종특성이 나타나지 않고 전혀 다른 잡종 개체가 나타나기 때문에 접목 또는 삽목을 통한 영양번식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수 접목시 지상부를 접수라 하고 지하부가 되는 부분을 대목이라고 하며, 대목의 종류에 따라 나무의 크기 또는 수형을 조절할 수 있으며, 대목이 지상부를 왕성하게 하는 것을 강세대목이라 하고 반대로 억제하여 과실나무의 키를 낮추어 생산비를 절감하고자 하는 것을 왜성대목이라고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사과 묘목은 자근묘목 20% 내외, 이중접목묘 80% 내외이며, 이중 이중접목묘로 왜성대목의 균일한 왜화효과를 얻기 위해서 농가에서는 뿌리측인 근계대목과 왜성대목이 서로 접합되는 접목부 상단에 철사, 노끈, 케이블타이 등과 같은 수단으로 결속하여 심고 있게 된다.
이러한 철사, 노끈 및 케이블 타이 등과 같은 결속재료는 접목부의 상단을 결속하는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효과가 낮으므로 간단하게 결속이 가능한 결속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1152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13775호에는 대목에 접수를 끼웠을 때 대목과 접수를 밀착시키는 접목용 집게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60139호에는 나무를 접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접목부를 결속하는 접목용 집게는 철사, 노끈을 이용하여 결속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접목부를 압착하기 위한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탄성편을 형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탄성편의 파손시 접목부를 압박하여 근계대목의 비대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속하고자 하는 접목부의 외경크기에 맞추어 접목부의 외부면을 균일하게 결속하면서 압박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동안 접목부의 결속부위를 장시간 동안 압박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근계대목의 생육을 억제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근계대목과 왜성대목이 서로 접목되는 접목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속하면서 접목부 또는 그 상단을 장시간 동안 지속적이면서 집중적으로 압박할 수 있고, 묘목의 다양한 외경크기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결속 및 압박할 수 있는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왜성대목과 접목되는 근계대목의 생육을 억제하도록 과수묘목을 압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왜성대목과 근계대목이 접목되는 접목부 또는 그 상단 외부면에 접하는 제1반원홈을 구비하는 제1홀더본체와, 상기 제1홀더본체의 좌우양측에 제1톱니면을 구비하는 제1날개편을 갖는 제1홀더 ; 상기 접목부 또는 그 상단 나머지 외부면에 접하는 제2반원홈을 구비하는 제2홀더본체와, 상기 제1홀더본체의 좌우양측에 상기 제1톱니면과 대응결합되는 제2톱니면을 갖는 제2날개편을 구비하는 제2홀더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반원홈은 내측면에 상기 접목부 또는 그 상단 외부면과 원주방향으로 선접촉되도록 대응하는 묘목의 외부면으로 갈수록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제1,2압착리브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2압착리브는 산단면, 사다리꼴 단면 또는 호형 단면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날개편은 묘목의 외경크기에 맞추어 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제1,2홀더본체의 단부로부터 대응하는 홀더본체측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홀더본체는 제2홀더본체와의 결합시 상기 제2날개편 중 어느 하나가 걸림없이 삽입배치되도록 개구형성된 제1삽입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제2홀더본체도 제1홀더본체와의 결합시 상기 제1날개편 중 어느 하나가 걸림없이 삽입배치되도록 개구형성된 제2삽입슬릿을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근계대목과 왜성대목을 서로 접목하는 접목부를 결속하는 작업을 제1,2홀더본체의 제1,2날개편에 구비되는 제1,2톱니면에 의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철사,노끈 및 케이블 타이와 같은 결속수단으로 결속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2) 근계대목과 왜성대목이 접목되는 접목부의 상단을 지속적으로 밀착하여 지면 아래에 묻히는 근계대목의 비대생장을 억제함과 동시에 왜성대목의 균일한 왜화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작은 과수묘목에 사용된 상태도이다
(b)는 큰 과수묘목에 사용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접목되어 지면 아래에 묻히는 근계대목(A)과 왜성대목(B)간의 접목부 또는 그 상단에 결속되어 근계대목(A)의 비대성장을 억제하도록 결속부위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홀더(110)는 제1홀더본체(112)와 좌우한쌍의 제1날개편(114,116)을 포함하는바, 상기 제1홀더본체(112)는 상기 접목부 또는 그 상단 묘목 외부면에 접하도록 제1반원홈(111)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1홀더본체(112)의 좌우양측면에는 제1톱니면(114a,116a)을 형성한 좌우한쌍의 제1날개편(114,116)을 구비하며, 상기 제1톱니면(114a,116a)은 후술하는 제2톱니면(124a,126a)과 맞물림 결합되도록 대략 산단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바람직하다.
상기 좌우한쌍의 제1날개편(114,116)은 상기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간의 결합시 이들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홀더본체(112)의 단부로부터 대응하는 제2홀더본체(122)측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홀더(120)는 상기 제1홀더(110)와 결합되어 묘목의 외부면을 압박하는 구조물로서 제1홀더(110)와 마찬가지로 제2홀더본체(122)와 좌우한쌍의 제2날개편(124,126)을 포함하는바, 상기 제2홀더본체(122)는 상기 접목부 또는 그 상단의 나머지 외부면에 접하도록 제2반원홈(121)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홀더본체(112)와 제2홀더본체(122)간의 결합시 상기 제1반원홈(111)과 제2반원홈(121)은 상기 묘목의 외부면 전체에 접하여 압착되도록 원형으로 합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2반원홈(111,1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접목부 또는 그 상단 외부면과 원주방향으로 선접촉되어 결합시 압박력을 선접촉부위에 집중할 수 있도록 묘목측으로 갈수록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제1,2압착리브(111a,121a)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압착리브(111a,121a)는 산단면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다리꼴 단면 또는 호형 단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날개편(124,126)도 상기 제1홀더본체(112)의 제1날개편(114,116)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톱니면(114a,116a)과 대응하는 일측면에 제2톱니면(124a,126a)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제2홀더본체(122)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2날개편(124,126)도 상기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간의 결합시 묘목의 외경크기에 맞추어 이들 간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홀더본체(122)의 단부로부터 대응하는 제1홀더본체(112)측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홀더본체(112)는 제2홀더본체(122)와의 결합시 상기 제2날개편(124,126) 중 어느 하나가 걸림없이 삽입배치되도록 개구형성된 제1삽입슬릿(115)을 구비하고, 상기 제2홀더본체(122)도 제1홀더본체(112)와의 결합시 상기 제1날개편(114,116) 중 어느 하나가 걸림없이 삽입배치되도록 개구형성된 제2삽입슬릿(125)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삽입슬릿(115)은 제1홀더본체(112)에 구비되고, 제2삽입슬릿(125)은 제2홀더본체(122)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2삽입슬릿(115,125)은 제1,2홀더본체 중 어느 하나의 홀더본체에 대응하는 다른 홀더본체의 좌우한쌍 날개편이 대응삽입되도록 반원홈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근계대목 생육억제장치(100)를 이용하여 과수묘목의 접목부 또는 그 상단에 설치하는 작업은 먼저 작업자가 제1홀더(110)의 제1홀더본체(112)를 잡고서 접목부 또는 그 상단 외주면과 상기 제1홀더본체(112)의 제1반원홈(111) 내측면에 형성된 제1압착리브(111a)를 밀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홀더(120)의 제2홀더본체(122)를 제1홀더본체(112)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1홀더본체(112)에 형성된 좌우한쌍의 제1날개편(114,116)의 각 선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홀더본체(122)에 형성된 좌우한쌍의 제2날개편(124,126)의 선단부를 접촉시킨 다음, 상기 제2홀더본체(122)를 묘목측으로 작업자의 외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제1날개편(114,116)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톱니면(114a,116a)의 돌출부를 상기 제2날개편(124,126)에 형성된 제2톱니면(124a,126a)이 타고 넘어가면서 제1홀더본체(112)의 제1반원홈(111)과 제2홀더본체(122)의 제2반원홈(121)간의 간격은 서로 좁아지게 된다.
상기 제2반원홈(121)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압착리브(121a)가 묘목 외부면에 밀착될 때 작업자에 의한 제2홀더본체(121)의 진행은 중단되고 상기 제1톱니면(114a,116a)의 톱니형상을 타고 넘어가던 제2톱니면(124a,126a)은 삽입방향의 정반대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톱니면(114a,116a)과 제2톱니면(124a,126a)은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톱니형상이 일정피치로 날개편에 반복형성됨에 따라 서로 맞물려지는 상기 제1,2톱니면의 수직면이 서로 면접하여 걸려지게 됨으로써 제1,2홀더본체(112,122)간의 대응결합 후 서로 묘목으로부터 멀어지는 반대방향으로 후진복귀가 곤란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홀더본체(112,122)사이에 형성되어 묘목 외부면에 접하는 제1,2압착리브(111a,121a)에 의해서 밀착 압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됨으로써 지면 아래에 묻히게 되는 근계대목(A)의 비대성장을 억제함과 동시에 이종 접목시 왜성대목(B)의 균일한 왜화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묘목의 외경크기에 따라 상기 제1홀더본체(112)와 제2홀더본체(122)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대략 원형으로 서로 합형되는 제1,2압착리브(111a,121a)의 내경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묘목의 다양한 크기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제1홀더본체(112)와 제2홀더본체(122)를 서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제1홀더본체(112)에 대하여 제2홀더본체(122)를 묘목의 길이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슬라이딩 이동으로써 제1,2톱니면간의 맞물림을 자연스럽게 해제하여 이들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홀더본체(112,122)의 재질은 지면 아래 토양에 묻힌 상태에서 접목부 또는 그 상단 외부면에 대한 밀착압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밀착압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한 다음 토양에 의해서 분해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120 : 제1,2홀더 111,121 : 제1,2반원홈
111a,121a : 제1,2압착리브 112,122 : 제1,2홀더본체
114,116 : 제1날개편 114a,116a : 제1톱니면
124,126 : 제2날개편 124a,126a : 제2톱니면
115,125 : 제1,2삽입슬릿

Claims (5)

  1. 왜성대목과 접목되는 근계대목의 생육을 억제하도록 과수묘목을 압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왜성대목과 근계대목이 접목되는 접목부 또는 그 상단 외부면에 접하는 제1반원홈을 구비하는 제1홀더본체와, 상기 제1홀더본체의 좌우양측에 제1톱니면을 구비하는 제1날개편을 갖는 제1홀더 ;
    상기 접목부 또는 그 상단 나머지 외부면에 접하는 제2반원홈을 구비하는 제2홀더본체와, 상기 제1홀더본체의 좌우양측에 상기 제1톱니면과 대응결합되는 제2톱니면을 갖는 제2날개편을 구비하는 제2홀더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반원홈은 내측면에 상기 접목부 또는 그 상단 외부면과 원주방향으로 선접촉되도록 대응하는 묘목의 외부면으로 갈수록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제1,2압착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압착리브는 산단면, 사다리꼴 단면 또는 호형 단면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날개편은 묘목의 외경크기에 맞추어 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제1,2홀더본체의 단부로부터 대응하는 홀더본체측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본체는 제2홀더본체와의 결합시 상기 제2날개편 중 어느 하나가 걸림없이 삽입배치되도록 개구형성된 제1삽입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제2홀더본체도 제1홀더본체와의 결합시 상기 제1날개편 중 어느 하나가 걸림없이 삽입배치되도록 개구형성된 제2삽입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
KR2020120007807U 2012-08-31 2012-08-31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 KR200470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807U KR200470773Y1 (ko) 2012-08-31 2012-08-31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807U KR200470773Y1 (ko) 2012-08-31 2012-08-31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773Y1 true KR200470773Y1 (ko) 2014-01-22

Family

ID=5141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807U KR200470773Y1 (ko) 2012-08-31 2012-08-31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7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3329A (zh) * 2020-07-09 2020-09-29 新疆农业科学院综合试验场 一种绿洲-荒漠过渡带杏李直播建园技术
CN115176612A (zh) * 2022-07-05 2022-10-14 李炎 一种用于果树嫁接的固定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132Y1 (ko) 2003-03-10 2003-06-11 박희제 커튼설치용 지지바 고정구
JP2004261013A (ja) 2003-01-14 2004-09-24 Yasushi Isu 苗木の接ぎ木する結合具とそれを用いた接ぎ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013A (ja) 2003-01-14 2004-09-24 Yasushi Isu 苗木の接ぎ木する結合具とそれを用いた接ぎ木方法
KR200316132Y1 (ko) 2003-03-10 2003-06-11 박희제 커튼설치용 지지바 고정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3329A (zh) * 2020-07-09 2020-09-29 新疆农业科学院综合试验场 一种绿洲-荒漠过渡带杏李直播建园技术
CN111713329B (zh) * 2020-07-09 2022-02-08 新疆农业科学院综合试验场 一种绿洲-荒漠过渡带杏李直播建园技术
CN115176612A (zh) * 2022-07-05 2022-10-14 李炎 一种用于果树嫁接的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80958B (zh) 一种杞柳种植方法
EP2944186B1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obstbäume mit horizontalem leitast
KR200470773Y1 (ko) 과수묘목의 근계대목 생육 억제장치
CN103621337A (zh) 难生根树种压条育苗强力生根环割技术方法
CN105612925A (zh) 甘蔗立式收割机
JP2005304495A (ja) 樹木の樹体ジョイント仕立て法
CN107771602B (zh) 一种三段式‘绞缢法’苹果矮化自根苗快速繁育方法
KR101191285B1 (ko) 원예용 접목클립
CN208783384U (zh) 一种果园用防脱型绑带
CN104115718B (zh) 一种对干形弯曲树木进行外科直化整形的树干校直器及其使用方法
CN103988751A (zh) 一种葡萄种植方法
CN202635014U (zh) 一种用于苗木控根容器内的松土器
KR200460858Y1 (ko) 묘목 고정용 타이
CN105248153B (zh) “剪式”枝接法
CN103828607A (zh) 桂花砧木接根技术
CN214070773U (zh) 一种用于大果榛子育苗的使用工具
EP2926639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icking out plants
CN103098656A (zh) 新型修枝剪
CN202931745U (zh) 多功能园艺植物栽培工具
CN103329731A (zh) 一种小型仙人掌的种植方法
CN211267798U (zh) 瓜类理蔓器
FI12253U1 (fi) Istutuslaite taimen istuttamiseksi
MD329Z (ro) Procedeu de producere a pomului altoit
CN213153045U (zh) 果树环割扎带
KR102231168B1 (ko) 접목용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