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740Y1 - 포장용 봉투 - Google Patents

포장용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740Y1
KR200470740Y1 KR2020120000842U KR20120000842U KR200470740Y1 KR 200470740 Y1 KR200470740 Y1 KR 200470740Y1 KR 2020120000842 U KR2020120000842 U KR 2020120000842U KR 20120000842 U KR20120000842 U KR 20120000842U KR 200470740 Y1 KR200470740 Y1 KR 200470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plate
incision
back plat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849U (ko
Inventor
박은진
Original Assignee
박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진 filed Critical 박은진
Priority to KR2020120000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74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7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27/12Closures
    • B65D27/20Closures using self-locking integral or attached elements
    • B65D27/22Tongue-and-slot or like closures; Tuck-in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27/32Opening devices incorporated during envelope manufacture
    • B65D27/34Lines of wea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 봉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운데 뒤판(1)을 형성하고 그 상, 하부에는 접지선(1a, 1b)을 형성하여 접지선(1a, 1b)을 경계로 하부에는 받침판(2)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덮개판(3)을 형성하되, 뒤판(1)의 양측에는 바깥쪽이 뒤판(1)과 이어지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절개선(101a)으로 삽지편(101)을 형성하고, 받침판(2)의 양측에는 결합부(201)를 형성하고, 하단부 중앙에는 걸편(301)이 끼워지는 걸림부(202)를 형성하며, 덮개판(3)의 상단부 중앙에는 소정 길이로 돌출된 걸편(301)을 형성하여, 덮개판(3)과 받침판(2)을 접지선(1a, 1b)을 따라 접어서 받침판(2)의 결합부(201)를 뒤판(1)의 삽지편(101)에 끼우고, 덮개판(3)의 걸편(301)을 받침판(2)의 걸림부(202)에 끼워서 봉투형으로 봉함하는 포장용 봉투에 있어서,
뒤판(1)의 삽지편(101)을 형성하기 위하여 뒤판(1) 양측에 형성된 절개선(101a)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모두 상향으로 형성하며,
받침판(2)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201)의 바깥쪽 단부에는 상향으로 절개선(201a)을 형성하여, 받침판(2) 양측의 절개선(201a)이 뒤판(1)의 삽지편(101) 형성을 위하여 양측에 형성된 절개선(101a)의 하단부에 끼워지도록 결합부(201)를 삽지편(101) 뒤쪽에 끼워서 결합하며,
덮개판(3)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된 걸편(30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절개선(301a)을 형성하고, 양측 절개선(301a) 간에는 절취선(301b)을 형성하며,
받침판(2) 중앙의 걸림부(202) 양측에는 바깥쪽으로 절개선(202a)을 형성하여 접지선(301c)을 따라서 접지된 걸편(301)의 상단부가 걸림부(202) 양측의 절개선(202a) 내부로 투입되어 봉함되게 구성함으로써 포장용 봉투의 접지 후 봉함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봉투의 개봉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봉투{Packing bags}
본 고안은 포장용 봉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간편한 접지방식과 봉함방식으로 봉투를 구성하여 명함이나 카드, 안내장과 같이 작고 납작한 내용물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봉이 용이하게 한 포장용 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함이나 카드, 안내장과 같이 작고 납작한 내용물을 내부에 수납하는 봉투는 전개 상태에서 접지선을 따라서 접은 다음 풀을 발라 붙여 봉함함으로써 봉투를 만든 후 그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한 다음 다시 봉투의 봉함부에도 풀을 발라서 봉함함으로써 봉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포장용 봉투는 접지 및 봉함에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봉함에 풀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증가하며, 봉함부에 풀을 발라 붙여서 봉함한 봉투의 경우에는 개봉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풀이 발라 붙여진 봉함부를 개봉하게 되면, 봉함부가 손상되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원 출원인은 포장용 봉투의 접지 및 봉함 과정에서 풀을 사용하지 않고, 접지선과 절개선을 이용하여 포장용 봉투를 간편하게 접어서 봉함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풀을 사용하지 않고 삽지편과 걸편을 이용해 봉함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한 명함봉투를 실용신안등록 받은 바 있다.
그러나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명함봉투는 한두 장의 명함을 넣은 상태로 봉함을 하게 되면 봉함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나, 여러 장의 명함을 넣게 되면, 그 부피로 인하여 봉투의 봉함이 임의로 해체되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삽지편과 걸편을 이용한 봉투의 봉함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봉투의 봉함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포장용 봉투를 제공하는 데 있다.
가운데 뒤판(1)을 형성하고 그 상, 하부에는 접지선(1a, 1b)을 형성하여 접지선(1a, 1b)을 경계로 하부에는 받침판(2)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덮개판(3)을 형성하되, 뒤판(1)의 양측에는 바깥쪽이 뒤판(1)과 이어지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절개선(101a)으로 삽지편(101)을 형성하고, 받침판(2)의 양측에는 결합부(201)를 형성하고, 하단부 중앙에는 걸편(301)이 끼워지는 걸림부(202)를 형성하며, 덮개판(3)의 상단부 중앙에는 소정 길이로 돌출된 걸편(301)을 형성하여, 덮개판(3)과 받침판(2)을 접지선(1a, 1b)을 따라 접어서 받침판(2)의 결합부(201)를 뒤판(1)의 삽지편(101)에 끼우고, 덮개판(3)의 걸편(301)을 받침판(2)의 걸림부(202)에 끼워서 봉투형으로 봉함하는 포장용 봉투에 있어서,
뒤판(1)의 삽지편(101)을 형성하기 위하여 뒤판(1) 양측에 형성된 절개선(101a)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모두 상향으로 형성하며,
받침판(2)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201)의 바깥쪽 단부에는 상향으로 절개선(201a)을 형성하여, 받침판(2) 양측의 절개선(201a)이 뒤판(1)의 삽지편(101) 형성을 위하여 양측에 형성된 절개선(101a)의 하단부에 끼워지도록 결합부(201)를 삽지편(101) 뒤쪽에 끼워서 결합하며,
덮개판(3)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된 걸편(30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절개선(301a)을 형성하고, 양측 절개선(301a) 간에는 절취선(301b)을 형성하며,
받침판(2) 중앙의 걸림부(202) 양측에는 바깥쪽으로 절개선(202a)을 형성하여 접지선(301c)을 따라서 접지된 걸편(301)의 상단부가 걸림부(202) 양측의 절개선(202a) 내부로 투입되어 봉함되게 한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포장용 봉투의 접지 방식을 좀더 간소화하여 봉투 접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장용 봉투의 접지 후 봉함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에 보관되는 명함을 양측에서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써, 명함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명함 봉투 양측의 개방감을 최소화함으로써, 개방부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내부에 보관된 명함이 이탈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절취선을 이용해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개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개 상태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접지와 봉함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걸편이 걸림부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덮개판과 걸편의 절단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전개 상태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운데에 형성된 뒤판(1)과, 뒤판(1)의 상, 하부에 형성된 접지선(1a, 1b, 301c)을 경계로 상부에 형성된 덮개판(3)과 하부에 형성된 받침판(2)으로 구성된다.
이때, 뒤판(1)의 양측에는 바깥쪽이 뒤판(1)과 이어지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절개선(101a, 201a, 202a, 301a)으로 삽지편(101)을 형성하게 되는데, 삽지편(101) 형성을 위하여 형성된 호형의 절개선(101a, 201a, 202a, 301a)은 상단부와 하단부를 모두 상향으로 형성하게 된다.
한편, 받침판(2)의 양측에는 결합부(201)를 형성하되, 결합부(201)의 바깥쪽 단부에는 상향으로 절개선(201a)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뒤판(1)과 받침판(2)을 구분하는 접지선(1a)을 기준으로 하여 받침판(2)을 상향으로 접어서, 받침판(2) 양측의 결합부(201)를 뒤판(1) 양측에 형성된 절개선(101a)을 통해 삽지편(101) 뒤쪽으로 끼워넣으면 뒤판(1)과 받침판(2) 사이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다.
이때, 뒤판(1)에 삽지편(101)을 형성하기 위하여 뒤판(1)에 형성된 절개선(101a)은 상단부와 하단부를 모두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판(2)의 결합부(201)를 삽지편(101) 뒤쪽으로 끼워넣으면 결합부(201)의 바깥쪽 단부에 형성된 절개선(201a)과 삽지편(101)을 형성하는 절개선(101a)의 하단부가 서로 만나서 끼워지기 때문에 결합부(201)는 삽지편(101)의 뒤쪽에 위치하게 되고, 받침판(2)의 양측 가장자리는 삽지편(101)의 앞쪽에 위치함으로써 삽지편(101) 뒤쪽에 끼워진 결합부(201)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뒤판(1)의 삽지편(101)에 받침판(2)의 결합부(201)를 끼워넣어 수납부를 형성한 후에 그 수납부에 명함이나 소형 카드와 같은 내용물을 수납하고, 뒤판(1)과 덮개판(3)을 구분하는 접지선(1b)을 기준으로 하여 덮개판(3)을 하향으로 접어서 수납부를 봉함하게 된다.
이때, 덮개판(3)의 중앙에 형성된 걸편(301)의 접지선(301c)을 기준으로 걸편(301)의 끝 부분을 내측 상향으로 접은 후 그 접힌 부분을 받침판(2) 중앙의 걸림부(202)로 투입하게 되는데, 걸림부(202)의 좌우 폭은 걸편(301)의 좌우 폭보다 좁지만, 걸림부(202)의 양측에는 바깥쪽으로 절개선(20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편(301)은 걸림부(202) 양측의 절개선(202a)에 의해 걸림부(202) 내측으로 투입된 후 상향으로 접혀 고정됨으로써 봉투의 봉함 상태를 간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편(301)의 끝 부분(301d)이 상향으로 접힌 상태로 걸림부(202)에 끼워져 봉투의 봉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납부에 내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걸편(301)의 끝 부분(301d)이 걸림부(202)에 걸리기 때문에 봉함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봉투의 봉함 상태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봉함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 봉투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봉투의 봉함하는 걸편(30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절개선(301a)을 형성하고, 양측 절개선(301a) 간에는 절취선(301b)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봉함이 이루어진 봉투를 개봉할 때에는 걸편(301)의 절개선(301a)을 이용해 절취선(301b)을 따라서 걸편(301)을 절개하면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덮개판(3)을 고정한 걸편(301)과 덮개판(3)이 절단되면서 덮개판(3)을 들어올려 봉함된 봉투의 수납부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뒤판 1a, 1b: 접지선
101: 삽지편 101a: 절개선
2: 받침판 201: 결합부
201a: 절개선 202: 걸림부
202a: 절개선 3: 덮개판
301: 걸편 301a: 절개선
301b: 절취선 301c: 접지선
A: 내용물

Claims (1)

  1. 가운데 뒤판(1)을 형성하고 그 상, 하부에는 접지선(1a, 1b)을 형성하여 접지선(1a, 1b)을 경계로 하부에는 받침판(2)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덮개판(3)을 형성하되, 뒤판(1)의 양측에는 바깥쪽이 뒤판(1)과 이어지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절개선(101a)으로 삽지편(101)을 형성하고, 받침판(2)의 양측에는 결합부(201)를 형성하고, 하단부 중앙에는 걸편(301)이 끼워지는 걸림부(202)를 형성하며, 덮개판(3)의 상단부 중앙에는 소정 길이로 돌출된 걸편(301)을 형성하여, 덮개판(3)과 받침판(2)을 접지선(1a, 1b)을 따라 접어서 받침판(2)의 결합부(201)를 뒤판(1)의 삽지편(101)에 끼우고, 덮개판(3)의 걸편(301)을 받침판(2)의 걸림부(202)에 끼워서 봉투형으로 봉함하는 포장용 봉투에 있어서,
    뒤판(1)의 삽지편(101)을 형성하기 위하여 뒤판(1) 양측에 형성된 절개선(101a)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모두 상향으로 형성하며,
    받침판(2)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201)의 바깥쪽 단부에는 상향으로 절개선(201a)을 형성하여, 받침판(2) 양측의 절개선(201a)이 뒤판(1)의 삽지편(101) 형성을 위하여 양측에 형성된 절개선(101a)의 하단부에 끼워지도록 결합부(201)를 삽지편(101) 뒤쪽에 끼워서 결합하며,
    덮개판(3)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된 걸편(30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절개선(301a)을 형성하고, 양측 절개선(301a) 간에는 절취선(301b)을 형성하며,
    받침판(2) 중앙의 걸림부(202) 양측에는 바깥쪽으로 절개선(202a)을 형성하여 접지선(301c)을 따라서 접지된 걸편(301)의 상단부가 걸림부(202) 양측의 절개선(202a) 내부로 투입되어 봉함되게 구성한 포장용 봉투.
KR2020120000842U 2012-02-03 2012-02-03 포장용 봉투 KR200470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842U KR200470740Y1 (ko) 2012-02-03 2012-02-03 포장용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842U KR200470740Y1 (ko) 2012-02-03 2012-02-03 포장용 봉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49U KR20130004849U (ko) 2013-08-13
KR200470740Y1 true KR200470740Y1 (ko) 2014-01-07

Family

ID=5140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842U KR200470740Y1 (ko) 2012-02-03 2012-02-03 포장용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7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928U (ko) 2015-02-13 2016-08-23 박은진 포장용 봉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145U (ja) * 1992-10-16 1994-05-17 株式会社大成社紙業 カード収納用ポケットを備えた封筒
KR200368227Y1 (ko) 2004-08-24 2004-11-17 박은진 명함봉투
KR200439225Y1 (ko) 2007-02-16 2008-03-27 박은진 명함 봉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145U (ja) * 1992-10-16 1994-05-17 株式会社大成社紙業 カード収納用ポケットを備えた封筒
KR200368227Y1 (ko) 2004-08-24 2004-11-17 박은진 명함봉투
KR200439225Y1 (ko) 2007-02-16 2008-03-27 박은진 명함 봉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928U (ko) 2015-02-13 2016-08-23 박은진 포장용 봉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49U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94322A1 (en) Sealable Bag Assembly
CN205098606U (zh) 一种连体自锁式折叠包装箱
JP5841702B2 (ja) 包装用箱及びその展開シート
KR200470740Y1 (ko) 포장용 봉투
JP4804938B2 (ja) 切り花用の包装ケース
JP2015199518A (ja) 吊り下げ包装箱
CN202987686U (zh) 易封装包装盒
JP2006188261A (ja) ヘッダー付包装箱
CN210762038U (zh) 一种带固定功能的打包塑料袋
CN208264787U (zh) 自锁式纸箱
CN210823477U (zh) 包装袋
CN203402503U (zh) 易拉罐饮料的快速包装纸结构
CN109051163A (zh) 一种自扣封装包装纸盒
CN211711327U (zh) 包装盒子
CN103832656A (zh) 易封装包装盒
CN208775206U (zh) 一种竖插式免胶带封装的包装盒
CN204021469U (zh) 手提袋
CN210592922U (zh) 一种单向拿取内装物品的包装盒
CN208453394U (zh) 一种快速折叠式包装盒
KR200365977Y1 (ko) 명함 봉투
CN209142597U (zh) 一种用于单薄产品的内衬盒
KR101124367B1 (ko) 경사인출부가 구비된 경사면오픈상품지기
CN209321472U (zh) 一种便于折叠的包装盒
CN108792167A (zh) 一种插销水果箱
CN201737307U (zh) 一种咖啡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