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406Y1 -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406Y1
KR200470406Y1 KR2020120008486U KR20120008486U KR200470406Y1 KR 200470406 Y1 KR200470406 Y1 KR 200470406Y1 KR 2020120008486 U KR2020120008486 U KR 2020120008486U KR 20120008486 U KR20120008486 U KR 20120008486U KR 200470406 Y1 KR200470406 Y1 KR 200470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article
position information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
Original Assignee
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 filed Critical 김주
Priority to KR2020120008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4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4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용한 물품이 도난되는 경우에 물품의 위치정보를 추적할 수 있으며, 물품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물품 주변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로 물품이 위치한 곳의 영상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른 물품과 일체 또는 부착된 형태로 구성되며, 물품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확인용단말; 및, 복수 개의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송출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영상관리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변경하는 카메라구동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관리부;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부가 설치된 곳에 관한 기준위치정보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확인용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수신단말; 상기 수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기준위치정보와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카메라부의 기준위치정보에서 상기 물품의 위치정보의 차를 지속적으로 연산하여 상기 기준위치정보에서 기설정된 제1거리범위값을 벗어나면 제1위험메세지를 생성하는 위치확인용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관리부는 상기 카메라구동부와 연동하는 카메라제어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제어부는 상기 수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카메라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의 위치정보를 향하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ANTI THEFT OF ITEMS}
본 고안은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요한 물품이 도난되는 경우에 물품의 위치정보를 추적할 수 있으며, 물품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물품 주변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로 물품이 위치한 곳의 영상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트나 서점 또는 백화점등에서는 물품의 도난방지를 위한 전자태그를 부착하고, 출입구 주변에 있는 전자 태그 검출기인 물품감지기를 이용하여 물품이 전자 태그 검출기를 지나치는 경우에 물품의 도난을 감시하는 방식의 매우 단순한 시스템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에 관한 선행문헌으로써,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7-0001314호에서는 RFID 기술을 이용한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RFID 기술을 이용한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태그가 전자 태그 검출기 주변을 지나치는 경우에 물품의 도난을 방지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은 폐쇄된 공간의 특정 출입구만 물품 감지기를 사용하면 되므로, 도난 방지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이 적용되기 어려운 물품이 있다. 일예로, 군대의 총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총기는 군대의 감시 업무에 따라 보초를 서는 초병들이 하루 종일 휴대하게 되는데, 이 경우, 초병이 탈영을 결심한 경우에는 총기를 들고 탈영하는 경우가 많으며, 간혹, 민간인이 총기를 탈취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선행문헌과 같은 종래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은 개방된 형태의 공간에서 경계근무를 서야하기 때문에, 군대의 경계근무 시스템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부분의 초병 근무는 2인 1조나 3인 1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나, 이는 인력만을 이용한 감시 체계이므로 인력 이외에 다른 감시체계를 확보해야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품이 활동영역에서 벗어난 경우, 이에 대한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물품의 도난시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해결책이 강구된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은 물품과 일체 또는 부착된 형태로 구성되며, 물품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확인용단말; 및, 복수 개의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송출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영상관리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변경하는 카메라구동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관리부;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부가 설치된 곳에 관한 기준위치정보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확인용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수신단말; 상기 수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기준위치정보와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카메라부의 기준위치정보에서 상기 물품의 위치정보의 차를 지속적으로 연산하여 상기 기준위치정보에서 기설정된 제1거리범위값을 벗어나면 제1위험메세지를 생성하는 위치확인용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관리부는 상기 카메라구동부와 연동하는 카메라제어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제어부는 상기 수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카메라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의 위치정보를 향하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물품이 감시영역의 일정범위에서 이탈한 경우, 관제실에서 이에 대한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여 물품이 도난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물품을 기준으로 카메라부가 회동되도록 하여 물품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모니터링 되도록 함으로써, 물품의 도난 상황이나 현장 상황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효과는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간략하게 서술했으며, 본 고안의 효과는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해결수단과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의 이용에 관한 구성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의 구동 상태에 관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의 이용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의 구동 상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은 위치확인용단말(10), 감시카메라관리부(20), 수신단말(30) 및, 위치확인용서버(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확인용단말(10), 감시카메라관리부(20), 수신단말(30) 및, 위치확인용서버(40)들간에 연동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통신 방식은 근거리통신망, 불루트스, 무선 네트워크, 인터넷 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통신망과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 및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확인용단말(10)은 물품과 일체 또는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물품이 위치한 곳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물품은 총기류에 관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총기류는 초병이 보초 근무를 서는 동안에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위치확인용단말(10)은 위치정보와 함께 RFID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확인용단말(10)은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지피에스 수신부와, 특정 식별ID을 포함하는 RFID부 및, 위치정보를 발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위성 항법 정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감시카메라관리부(20)는 초병이 근무를 서는 지역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부(21)와, 카메라부(21)에서 송출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 및 판독하는 영상관리부(22)와, 카메라부(21)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부(21)의 촬영방향을 변경하는 카메라구동부(23) 및, 카메라부(21)들과 카메라구동부(23) 및 영상관리부(22)와 연동하여 카메라부(21)와 카메라구동부(23) 및 영상관리부(22)의 구동상태와 시스템 운용 상태를 기록하고 다른 운영 장치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구동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관리부(20)는 경계근무를 서는 초병이 서는 경계근무지의 주변에 설치되며, 적 또는 침입자를 판단하는 구동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감시카메라관리부(20)는 물품에 결합되는 위치확인용단말(10)을 추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감시카메라관리부(20)의 물품 추적 기능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단말(30)은 복수 개의 카메라부(21) 각각에 설치되어 카메라부(21)가 설치된 곳에 관한 기준위치정보를 구비하며, 위치확인용단말(10)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수신단말(30)은 위치확인용단말(10)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후술한 위치확인용서버(4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수신단말(30)은 위치확인용단말(10)의 RFID부에 저장된 식별ID을 수신하여 위치확인용서버(40)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수신단말(30)은 경계근무지와 같이 넓은 영역에서 위치확인용단말(10)의 신호가 약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치확인용단말(10)과 연동하여 위치확인용단말(10)에서 수신되는 위치정보 및 식별ID을 포함한 신호를 증폭한 상태에서 위치확인용서버(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위치확인용서버(40)는 수신단말(30)과 연동하여 수신단말(30)의 기준위치정보와 위치확인용단말(10)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카메라부(21)의 기준위치정보에서 물품의 위치정보의 차를 지속적으로 연산하여 기준위치정보에서 기설정된 제1거리범위값을 벗어나면 제1위험메세지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1위험메세지는 제1거리범위값을 벗어난 경우에 경계근무를 서는 초병을 관리하는 상황실에 전파되도록 하여 상황실에서 물품인 총기가 경계근무지의 일정거리를 이탈한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은 관리자단말(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단말(50)은 위치확인용서버(40)와 연동하며, 위치확인용서버(40)에서 생성된 제1위험메세지를 전달받게 된다. 이 경우, 관리자단말(50)은 피씨, 타블릿피씨, 노트북 및,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가능한 휴대용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단말(50)은 상황실에서 감독 근무를 하는 선임 병사 또는 간부들이 상황실에 비치되거나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관리자단말(50)을 통해 총기가 경계근무지에서 일정거리 이탈한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총기 이탈시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은 물품을 휴대하고 다니는 위치확인용단말(10)의 위치정보를 위치확인용서버(40)로 전달하고, 위치확인용서버(40)에서 물품인 총기가 기설정된 제1거리범위값을 벗어나는 경우 제1위험메세지를 관리자단말(50)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황실의 관리자가 제1위험메세지를 보고 물품인 총기가 분실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위치확인용단말(10)은 단말 고유의 식별ID를 구비하고, 수신단말(30)은 위치정보와 함께 식별ID를 감지하여 위치확인용서버(40)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위치확인용서버(40)는 식별ID와 대응하는 물품의 고유정보가 구비되어 물품의 세부 신상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의 세부 신상정보는 총기의 총기번호와 총기번호에 따른 초병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황실에서는 총기를 휴대하여 경계 근무지의 특정 위치에서 보초를 서는 병사의 신원정보와 총기의 번호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어, 경계 근무지에서 총기가 이탈되는 경우에 즉각적으로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의 감시카메라관리부(20)는 카메라제어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제어부(25)는 카메라구동부(23)와 연동한다. 이 경우, 카메라제어부(25)는 수신단말(30)과 연동하여 위치확인용단말(10)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카메라부(21)의 촬영방향이 위치정보를 향하도록 물품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카메라구동부(23)를 구동시켜 촬영방향으로 변경하게 된다. 이때, 초병이 근무를 서는 동안 총기를 휴대하게 되면, 경계 근무지에 설치되는 카메라구동부(23)는 카메라제어부(25)의 의해 제어되어 카메라부(21)의 촬영방향이 물품인 총기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초병이 근무를 서는 경계근무지에 설치된 카메라부(21)는 물품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추적하여 상황실에 설치된 모니터 화면에 물품인 총기를 기준으로 화면이 생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황실에서는 총기를 기준으로 모니터의 화면이 전환되어 초병의 근무상황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은 물품인 총기가 경계근무지에서 벗어난 경우, 상황실에서 이에 대한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총기 이탈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물품이 감시영역의 일정범위에서 이탈한 경우, 관제실에서 이에 대한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여 물품이 도난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은 물품을 기준으로 카메라부(21)가 회동되도록 하여 물품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모니터링 되도록 함으로써, 물품의 도난 상황이나 현장 상황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물품의 예로, 총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서, 물품은 총기이외에 다른 물건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기술된 구성요소들의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위치확인용단말 20 ; 감시카메라관리부
21 ; 카메라부 22 ; 영상관리부
23 ; 카메라구동부 24 ; 시스템구동부
25 ; 카메라제어부 30 ; 수신단말
40 ; 위치확인용서버 50 ; 관리자단말

Claims (4)

  1. 물품과 일체 또는 부착된 형태로 구성되며, 물품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확인용단말; 및, 복수 개의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송출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영상관리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변경하는 카메라구동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관리부;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부가 설치된 곳에 관한 기준위치정보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확인용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수신단말; 상기 수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기준위치정보와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카메라부의 기준위치정보에서 상기 물품의 위치정보의 차를 지속적으로 연산하여 상기 기준위치정보에서 기설정된 제1거리범위값을 벗어나면 제1위험메세지를 생성하는 위치확인용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관리부는 상기 카메라구동부와 연동하는 카메라제어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제어부는 상기 수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카메라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의 위치정보를 향하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은 단말 고유의 식별ID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단말은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식별ID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확인용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확인용서버는 상기 식별ID와 대응하는 상기 물품의 고유정보가 구비되어 상기 물품의 세부 신상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
KR2020120008486U 2012-09-21 2012-09-21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 KR200470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486U KR200470406Y1 (ko) 2012-09-21 2012-09-21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486U KR200470406Y1 (ko) 2012-09-21 2012-09-21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406Y1 true KR200470406Y1 (ko) 2013-12-11

Family

ID=5075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486U KR200470406Y1 (ko) 2012-09-21 2012-09-21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40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3673A (ja) * 1998-11-25 200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監視装置
KR20010088641A (ko) * 2001-08-16 2001-09-28 최인동 이격감지경보시스템
JP2004318782A (ja) 2003-04-12 2004-11-11 System Hearts:Kk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及び情報端末
KR20060132300A (ko) * 2005-06-17 2006-12-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원격지 실시간 감시 및 도난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3673A (ja) * 1998-11-25 200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監視装置
KR20010088641A (ko) * 2001-08-16 2001-09-28 최인동 이격감지경보시스템
JP2004318782A (ja) 2003-04-12 2004-11-11 System Hearts:Kk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及び情報端末
KR20060132300A (ko) * 2005-06-17 2006-12-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원격지 실시간 감시 및 도난방지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6955B2 (en) Firearm telematics devices for monitoring status and location
ES2732909T3 (es) Sistema antirrobo usado para servicio al cliente
US11293710B2 (en) Firearm event monitoring
US10764542B2 (en) Camera activation in response to firearm activity
US9752840B1 (en) Internet of things (IoT) automated intelligence module (AIM) and management system
US11397064B2 (en) Firearm event monitoring and profiling
EP32292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unauthorized intruders using drones integrated with a security system
US9704132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ies of a connected object associated with a user ID
US11650021B2 (en) Weapon usage monitoring system with geolocation-based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US20140378088A1 (en) Wiretapping Firearms Through a Wireless Network
US10094631B2 (en) Method of tracking firearms by automatic electronic communication system
US1145019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ecurity system
KR100920477B1 (ko) Rfid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캐비넷
CN107038830A (zh) 一种枪支动态管理系统和方法
US2022007469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of weapons with alerts to enable rapid awareness of unauthorized events
KR20100110468A (ko)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US20150077255A1 (en) Invisible concealed weapon identification system
KR200470406Y1 (ko)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
US10311440B2 (en) Context-aware deterrent and response system for financial transaction device security
KR101724087B1 (ko) 비콘과 스마트cctv를 이용한 전자순찰방법
US103868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unusual behavior using unmanned mobile machines
KR101942076B1 (ko)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US116152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identification of hems
US20170132735A1 (en) Enforcement services techniques
KR20170068964A (ko) 총기의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