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329Y1 - 노크하는 문손잡이 - Google Patents

노크하는 문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329Y1
KR200470329Y1 KR2020120010286U KR20120010286U KR200470329Y1 KR 200470329 Y1 KR200470329 Y1 KR 200470329Y1 KR 2020120010286 U KR2020120010286 U KR 2020120010286U KR 20120010286 U KR20120010286 U KR 20120010286U KR 200470329 Y1 KR200470329 Y1 KR 200470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handle
unit
sensor unit
vis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호찬
한재규
Original Assignee
한재규
서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규, 서호찬 filed Critical 한재규
Priority to KR2020120010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3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3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Abstract

본 고안은 노크하는 문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문자의 손이 문손잡이에 닿으면 노크소리가 실내로 전달되고, 실내자의 음성신호에 의해 문을 개방하는 노크하는 문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노크하는 문손잡이는 출입문의 외부측 문손잡이에 설치되며, 방문자의 손이 문손잡이를 터치함과 동시에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게 되는 터치센서부; 상기 터치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실내자에게 방문자가 왔음을 출력스피커에 의해 노크소리를 안내하는 사운드출력부; 실내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인식센서부; 출입문의 외부측 문손잡이의 상단부에 방문자가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LED램프로 구성되는 표시부; 출입문 내부측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출입문을 자동으로 잠금/해제하도록 설치되는 개폐장치; 상기 터치센서부 및 음성인식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사운드출력부, 개폐장치 및 표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크하는 문손잡이{Knocking at the door handle}
본 고안은 방문자의 손이 문손잡이에 닿으면 노크소리가 실내로 전달되고, 실내자의 음성신호에 의해 문을 개방하는 노크하는 문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을 열고 닫을시에 방문자가 노크를 하지 않고 불쑥 문을 열고 방으로 들어올 경우 안에 있는 실내자는 무척 놀라고 당황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방문자가 출입문의 문손잡이를 터치함과 동시에 실내자에게 노크소리가 전달되도록 하고, 실내자의 음성만으로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노크하는 문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출입문의 외부측 문손잡이에 설치되며, 방문자의 손이 문손잡이를 터치함과 동시에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게 되는 터치센서부; 상기 터치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실내자에게 방문자가 왔음을 출력스피커에 의해 노크소리를 안내하는 사운드출력부; 실내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인식센서부; 출입문의 외부측 문손잡이의 상단부에 방문자가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LED램프로 구성되는 표시부; 출입문 내부측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출입문을 자동으로 잠금/해제하도록 설치되는 개폐장치; 상기 터치센서부 및 음성인식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사운드출력부, 개폐장치 및 표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노크하는 문손잡이에 의하면, 출입문에 설치되는 문손잡이를 터치함으로써, 실내자에게 노크소리가 절달되고 실내자의 음성인식을 통한 출입문이 자동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생활에서 잊기 쉬운 노크에 의한 예절을 쉽게 인식하게 함과 아울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게 되는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노크하는 문손잡이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노크하는 문손잡이의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노크하는 문손잡이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노크하는 문손잡이의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노크하는 문손잡이는 방문자의 손이 닿이면 감지하도록 출입문 외부측 문손잡이(1)에 설치되는 터치센서부(10), 부저소리 또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출력부(20),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인식센서부(30), 출입문(2)을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0), 출입문(2)의 내측에 설치되어 출입문(2)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센서부(10)는 출입문(2)의 외부측 문손잡이(1)에 설치되며, 방문자의 손이 문손잡이(1)를 터치함과 동시에 감지되어 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사운드출력부(20)는 출력스피커로 구성되며, 제어부(60)에 의해 출력스피커로 실내자에게 방문자가 왔음을 부저소리 또는 음성과 같은 노크소리를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사운드출력부(20)는 출입문(2)의 내측 또는 개폐장치(50) 및 제어부(60)에 포함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센서부(30)는 실내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여 개폐장치(50)를 제어하도록 마이크(31)가 설치되며, 실내자의 음성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출입문(2)의 내측 상부 또는 개폐장치(50) 및 제어부(60)와 아울러 포함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는 출입문(2)의 외부에 LED램프를 설치하여 방문자가 출입문(2)의 개폐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40)는 녹색, 적색등의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잠김/해제와 같은 글귀에 램프가 점등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개폐장치(50)는 출입문(2) 내부측에 설치되어 제어부(60)의 신호에 따라 출입문(2)을 자동으로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되되, 하우징내에 걸림부 및 구동부(도면에 미도시)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60)는 터치센서부(10) 및 음성인식센서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사운드출력부(20), 개폐장치(50) 및 표시부(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각 센서부 및 개폐장치(50)에 의해 자동으로 출입문(2)을 잠금/해제하는 기능 및 기술적 구성은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노크하는 문손잡이(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방문자가 출입문(2)의 문손잡이(1)를 잡거나 터치하게 되면, 터치센서부(10)에 의해 감지신호가 제어부(60)로 출력되게 되고, 제어부(60)에서 사운드출력부(20)를 제어하여 부저또는 음성으로 소리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실내자가 음성으로 네! 들어오세요 라는 소리를 내게 되면 음성인식센서부(30)에서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부(60)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60)에서 개폐장치(50)의 잠금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표시부(40)를 통해 출입문(2)의 개폐여부를 방문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문손잡이 2 : 출입문
10 : 터치센서부 20 : 사운드출력부 30 : 음성인식센서부
40 : 표시부 50 : 개폐장치 60 : 제어부

Claims (1)

  1. 출입문(2)의 외부측 문손잡이(1)에 설치되며, 방문자의 손이 문손잡이(1)를 터치함과 동시에 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게 되는 터치센서부(10);
    상기 터치센서부(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60)에 의해 실내자에게 방문자가 왔음을 출력스피커에 의해 노크소리를 안내하는 사운드출력부(20);
    실내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인식센서부(30);
    출입문(2)의 외부측 문손잡이(1)의 상단부에 방문자가 출입문(2)의 개폐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LED램프로 구성되는 표시부(40);
    출입문(2) 내부측에 설치되며 제어부(60)에 의해 출입문(2)을 자동으로 잠금/해제하도록 설치되는 개폐장치(50);
    상기 터치센서부(10) 및 음성인식센서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사운드출력부(20), 개폐장치(40) 및 표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하는 문손잡이.

KR2020120010286U 2012-11-12 2012-11-12 노크하는 문손잡이 KR200470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86U KR200470329Y1 (ko) 2012-11-12 2012-11-12 노크하는 문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86U KR200470329Y1 (ko) 2012-11-12 2012-11-12 노크하는 문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329Y1 true KR200470329Y1 (ko) 2013-12-09

Family

ID=5075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286U KR200470329Y1 (ko) 2012-11-12 2012-11-12 노크하는 문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3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0110A (zh) * 2020-05-13 2020-08-14 四川天翼网络服务有限公司 一种闸机门禁
KR20210055955A (ko) 2019-11-08 2021-05-18 최태원 노크 페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225Y1 (ko) * 1994-05-11 1996-06-24 한승 도난 경보기가 내장된 도어 록
JP2006207120A (ja) 2005-01-25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アハンドル装置とそれを備えたドア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225Y1 (ko) * 1994-05-11 1996-06-24 한승 도난 경보기가 내장된 도어 록
JP2006207120A (ja) 2005-01-25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アハンドル装置とそれを備えたドア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955A (ko) 2019-11-08 2021-05-18 최태원 노크 페달
CN111540110A (zh) * 2020-05-13 2020-08-14 四川天翼网络服务有限公司 一种闸机门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077B1 (ko)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NZ721542A (en) Method for utilizing a wireless connection to unlock an opening
KR101805859B1 (ko) 접근 형태에 따라 시큐리티 유지모드와 시큐리티 해제모드 간에 자동 전환하는 댁내 방범 시스템
US20170138762A1 (en) Door-window sensor
CN204013890U (zh) 基于热释电传感检测的室内摄像监控系统
KR200470329Y1 (ko) 노크하는 문손잡이
WO2017117402A3 (en) Window sensing device with movement detection
CN104563547A (zh) 一种智能淋浴房
CN207260839U (zh) 一种用于智能开窗器的儿童检测系统
KR101945228B1 (ko) 방향인식 카운트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CN204731910U (zh) 带有振动与红外传感检测控制的室内防盗系统
CN206129074U (zh) 一种智能防盗门
CN203368641U (zh) 一种监控系统
JP2011169041A (ja) 窓の開閉検出システム
CN206331541U (zh) 门窗开闭监控装置
CN104715585A (zh) 窗户关闭检测系统
CN204627369U (zh) 一种带智能拉手的atm防护舱舱门
CN207526313U (zh) 红外感应防盗窗框
CN104265016A (zh) 一种单向安全防护电话亭
JP3168871U (ja) 後付け直接反射式ビームスイッチ
CN202522888U (zh) 电动天窗控制器
CN203084798U (zh) 声控门
CN202887279U (zh) 一种主动民用安防系统
CN208564276U (zh) 一种防夹安全门
KR101400726B1 (ko) 미닫이창용 외부 침입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