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079Y1 - 모바일 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079Y1
KR200470079Y1 KR2020110011074U KR20110011074U KR200470079Y1 KR 200470079 Y1 KR200470079 Y1 KR 200470079Y1 KR 2020110011074 U KR2020110011074 U KR 2020110011074U KR 20110011074 U KR20110011074 U KR 20110011074U KR 200470079 Y1 KR200470079 Y1 KR 200470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character
mounting
mounting member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712U (ko
Inventor
안효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피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피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피센스
Priority to KR2020110011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07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7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7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0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장착부재와; 이 장착부재의 후측에 고정되고, 피규어(figure), 모형, 인형 중 어느 하나의 캐릭터 또는 동물이나 식물의 형상을 가지며, 일부분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세워지도록 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외력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어가 이 지지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캐릭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폰, 태블릿 PC, PMP를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편리한 거치 및 거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모바일 기기의 통신 등을 위한 즉시 사용 및 거치 상태의 휴대가 편리하도록 하며, 다양한 형태 구현 및 액세사리로서의 역할을 겸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와 편의성을 충족시키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거치대{Mobile device stand}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태블릿 PC, PMP를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편리한 거치 및 거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다양한 형태 구현 및 액세사리로서의 역할을 겸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와 편의성을 충족시키도록 구성된 모바일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중에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는 휴대폰, 즉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현재는 각 개인이 필수적으로 이를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동 중에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등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스마트폰 등과 같이 휴대폰은 점차 기능이 다양화되어 이동 중 활용성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동영상 시청, 인터넷 검색 등의 경우 거치대에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 거치대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획일적인 외형으로 인해 거치에 따른 불편함을 초래하면서 사용자가 사용 중 쉽게 싫증을 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와 편의성을 충족시키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휴대폰의 거치뿐만 아니라, 아이패드, 갤럭시탭 등의 다양한 태블릿 PC나 이북(e-book), PMP, 네비게이션을 비롯하여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거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0264 (2011. 7. 1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442746 (2008. 12. 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8142 (2000. 5. 1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233087 (2001. 9. 28.)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폰, 태블릿 PC, PMP를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편리한 거치 및 거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모바일 기기의 통신 등을 위한 즉시 사용 및 거치 상태의 휴대가 편리하도록 하며, 다양한 형태 구현 및 액세사리로서의 역할을 겸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와 편의성을 충족시키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가 디스플레이부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의 후측에 고정되고, 캐릭터 또는 동물이나 식물의 형상을 가지며, 일부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세워지도록 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캐릭터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장착되도록 전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릭터부재는, 봉제 인형으로 이루어지고, 꼬리를 가진 캐릭터나 동물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꼬리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외력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와이어가 상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부분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릭터부재는, 상기 캐릭터나 상기 동물의 손과 발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장착부재의 측부에 고정되고, 머리가 상기 장착부재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캐릭터부재의 손에 줄로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닦을 수 있도록 하는 클리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부재는, 피규어(figure), 모형, 인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휴대폰, 태블릿 PC, PMP를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편리한 거치 및 거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모바일 기기의 통신 등을 위한 즉시 사용 및 거치 상태의 휴대가 편리하도록 하며, 다양한 형태 구현 및 액세사리로서의 역할을 겸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와 편의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다른 사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는 장착부재(110)와, 캐릭터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110)는 모바일 기기(1)가 디스플레이부(2)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데, 예컨대, 모바일 기기(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거나, 프레임에 조임부재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의 양측을 가압하는 거치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처럼 모바일 기기(1)가 장착되도록 전면에 개구(111)가 형성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장착부재(110)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경우, 모바일 기기(1)의 착탈을 위하여 휨이 가능한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모바일 기기(1)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버튼이나 스위치의 노출을 위하여 노출용 홀 내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휴대폰,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휴대가 가능한 아이패드, 갤럭시탭, 갤럭시노트 등의 태블릿 PC나 이북(e-book) 또는 PMP 등의 다양한 휴대용 정보처리기기나 통신기기 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릭터부재(120)는 장착부재(110)의 후측에 고정되고, 캐릭터 또는 동물이나 식물의 형상을 가지며, 일부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장착부재(110)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1)가 세워지도록 하는 지지부(121)가 마련되도록 한다.
캐릭터부재(12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고양이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밖에도 다양한 동물을 비롯하여 장미나 해바라기 등의 식물 형상, 그 밖에 애니메이션의 출연 캐릭터나 제품이나 회사를 홍보하기 위한 캐릭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피규어(figure), 모형, 인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처럼 봉제 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꼬리를 가진 캐릭터나 동물 형상을 가짐으로써 꼬리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부(12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캐릭터부재(120)는 지지부(12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외력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와이어(122), 예컨대 철, 동, 구리 등의 금속이나 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22)가 지지부(121)를 포함하는 부분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122)가 캐릭터부재(120)의 몸체 내측으로부터 꼬리를 이루는 지지부(121)의 내측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캐릭터부재(120)는 캐릭터나 동물의 손(123)과 발(124)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장착부재(110)의 측부에 접착제나 박음질 또는 볼트나 스크루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고, 머리(125)가 장착부재(110)의 상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장식적인 기능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캐릭터부재(120)의 손(123)에는 클리너(130)가 설치될 수 있다. 클리너(130)는 캐릭터부재(120)의 손(123)에 줄(131)로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1)의 디스플레이부(2)를 닦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클리너(130)는 디스플레이부(2)를 닦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조 또는 천연 재질의 천을 사용하여 캐릭터부재(120)와 어울리는 형상의 봉제 인형, 예컨대 쥐 모양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태블릿 PC, PMP를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기기(1)를 디스플레이부(2)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부재(110)에 장착시킨 다음, 캐릭터부재(120)를 설치면에 세우게 되면, 지지부(121)가 설치면에 지지됨으로써 장착부재(110)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1)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한다. 이때, 지지부(121) 내의 와이어(122)를 변형시킴으로써 일례로 꼬리로 이루어진 지지부(121)의 각도를 조절하여 장착부재(110)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1)의 거치 각도를 변경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부재(120)를 옆으로 눕히게 됨으로써 모바일 기기(1)의 디스플레이부(2)에 대한 시청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일례로 꼬리로 이루어진 지지부(121)의 각도 조절을 통해서 모바일 기기(1)의 거치 각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거치된 모바일 기기(1)를 통화시에는 캐릭터부재(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그대로 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릭터부재(120)와 함께 휴대도 가능하도록 하고, 캐릭터부재(120)에 연결된 클리너(130)는 오염된 디스플레이부(2)를 닦을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모바일 기기(1)의 편리한 거치 및 거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모바일 기기(1)의 통신 등을 위한 즉시 사용이나 거치 상태의 휴대가 편리하도록 하며, 다양한 형태 구현 및 액세사리로서의 역할을 겸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와 편의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모바일 기기 2 : 디스플레이부
110 : 장착부재 111 : 개구
120 : 캐릭터부재 121 : 지지부
122 : 와이어 123 : 손
124 : 발 125 : 머리
130 : 클리너 131 : 줄

Claims (7)

  1.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후측에 고정되고, 피규어(figure), 모형, 인형 중 어느 하나의 캐릭터 또는 동물이나 식물의 형상을 가지며, 일부분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세워지도록 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외력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어가 이 지지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캐릭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부재는,
    봉제 인형으로 이루어지고, 꼬리를 가진 캐릭터나 동물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꼬리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부재는,
    상기 캐릭터나 상기 동물의 손과 발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장착부재의 측부에 고정되고, 머리가 상기 장착부재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부재의 손에 줄로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닦을 수 있도록 하는 클리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
  7. 삭제
KR2020110011074U 2011-12-13 2011-12-13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200470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074U KR200470079Y1 (ko) 2011-12-13 2011-12-13 모바일 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074U KR200470079Y1 (ko) 2011-12-13 2011-12-13 모바일 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712U KR20130003712U (ko) 2013-06-21
KR200470079Y1 true KR200470079Y1 (ko) 2013-11-26

Family

ID=5074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074U KR200470079Y1 (ko) 2011-12-13 2011-12-13 모바일 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07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19U (ko) * 1998-09-29 1998-12-05 양영석 신축성 핸드폰 케이스
KR20110001588U (ko) * 2009-08-08 2011-02-16 남석호 휴대폰에 장착된 휴대폰 거치용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19U (ko) * 1998-09-29 1998-12-05 양영석 신축성 핸드폰 케이스
KR20110001588U (ko) * 2009-08-08 2011-02-16 남석호 휴대폰에 장착된 휴대폰 거치용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712U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313Y1 (ko)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WO2009116970A1 (en) Display mounting for a decorative object
KR200462244Y1 (ko) 휴대폰 거치장치
KR200470079Y1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
CN210274194U (zh) 一种磁铁吸附手机壳
KR200465340Y1 (ko) 휴대폰 거치대
CN201063672Y (zh) 带支架的手机
KR20230015610A (ko)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CN208158698U (zh) 一种带拉环支架的手机壳
CN104267512B (zh) 一种嵌设在眼镜腿上的支撑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055302A (zh) 多功能手机套
CN205039891U (zh) 多功能手机支架
CN205051748U (zh) 钢铁侠手机壳
KR20140005390U (ko) 화면 거치가 편리한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JP3069651U (ja) 携帯電話スタンド兼用クリップ
KR20140003500U (ko) 휴대폰의 이어폰 걸이장신구
ITRM20060242U1 (it) Capi e accessori di abbigliamento equipaggiati di cuffiette e tasca per l'utilizzo di dispositivi elettronici multimediali dotati di uscita audio
CN205336507U (zh) 一种与智能手表适配的蓝牙音响
CN216015939U (zh) 一种具有支架功能的伸缩数据线
CN201752119U (zh) 一种便于观看视频的移动终端及其支撑结构
CN206948421U (zh) 一种可变张力及自动扣橡皮筋手机套
KR101218268B1 (ko) 핸드폰 액세사리 겸용 케이스
CN210670188U (zh) 一种手机支架
CN202696854U (zh) 一种弹扣式耳机通用饰品
CN205610883U (zh) 一种耳机防尘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