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051Y1 -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051Y1
KR200470051Y1 KR2020120004832U KR20120004832U KR200470051Y1 KR 200470051 Y1 KR200470051 Y1 KR 200470051Y1 KR 2020120004832 U KR2020120004832 U KR 2020120004832U KR 20120004832 U KR20120004832 U KR 20120004832U KR 200470051 Y1 KR200470051 Y1 KR 200470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pace
cutting line
contents
confirmation window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묵
Original Assignee
데코리아 제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코리아 제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데코리아 제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4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0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0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 B65D5/54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and defining after rupture a lid hinged about a line located in the top surface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4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dividing a tubular body into separat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포장 대상이 되는 내용물이 다수 개 수용되도록 내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의 상부에 상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부의 전방에 정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의 후방에 배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부의 양 측방에 측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의 하부에 저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 정면부, 배면부, 측면부 및 저면부는 지류로 이루어쳐 있고, 전개도 상태에서 꺾여 조립되어 있으며, 정면부의 상부측에 형성된 제1개구부와, 상기 제1개구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부에 형성된 제2개구부로 구성된 내부확인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확인창에는 투명한 재질의 투명필름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부와 배면부는 서로 분리된 채 상면부의 끝단에 배면부의 상부 내측으로 꺾여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롤리팝 제품이 수용되는 묶음 포장 케이스의 상면과 정면을 일체로 연결한 내부확인창을 형성하고 여기에 투명 필름이 설치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롤리팝 제품의 디자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묶음 포장 단위로 내용물을 확인하고, 케이스의 분리나 변형 없이 판매할 수 있게 되고, 전개도 형태로 펼쳐진 지류를 절곡하여 조립되면서 연결 상태를 이루는 삽입부가 상면부와 배면부가 연결되는 지점이 되도록 함으로써 내부확인창의 상면부측과 정면부측이 시각적으로 일체로 개방되어 시각적 장애 없이 내용물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간편하게 절취선을 따라 상부의 커버를 분리함으로써 낱개 단위로 판매할 때 분리 작업이 용이해지며, 특히, 양 측면부와 정면부를 연결하는 절취선을 형성하여, 상부의 커버를 완전히 분리한 채 낱개 제품을 전시, 판매하도록 할 수도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측면부의 절취선만을 절취한 상태에서 전면부의 절취선을 기준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 일부를 꺼낸 다음 삽입부를 배면부 측에 끼워 넣어 케이스 형상을 유지하고, 내용물을 보호하거나, 일부 제품이 판매된 상태에서 묶음 포장 케이스의 틀을 유지한 채 묶음 포장 단위로 제품을 판매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 케이스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Installation case with window}
본 고안은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포장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내부확인창이케이스의 전면 및 상면에 일체로 연결된 채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의 정면부 뿐만 아니라 상부 형태도 일견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절취선이 전면 및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커버를 분리하거나, 커버를 회동 개폐시킬 수 있으며, 커버의 분리나 회동 개폐시 케이스에 끼워지는 삽입부가 배면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어 시각적 장애 없이 내용물을 원할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포장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탕, 초콜릿, 젤리나 과자 등을 포장하기 위한 케이스는 통상적으로 종이나 비닐 계통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종이 재질의 케이스는 육면체 형상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초콜릿 등과 같은 제품을 제조사에서는 낱개 단위의 소포장하고, 이를 다시 묶음 포장으로 시판하게 된다.
그런데, 이처럼 낱개 단위로 포장된 묶음포장 케이스는 그 속에 들어있는 낱포장된 제품의 외관을 소비자가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전시 효과가 저감되고, 낱포장된 제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투명 재질의 포장재를 사용하거나 묶음포장 케이스의 상단을 절취하여야만 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과자의 묶음 포장 케이스"(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18097호, 특허문헌 1)에는 묶음 포장의 옆면 상부를 일부 절개하여 낱포장된 과자의 외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가 제품을 보고 선택할 수 있는 전시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묶음 포장 케이스에 제품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묶음 포장 케이스의 일부를 절취한 후에야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술은 낱개 단위의 제품만을 소비자에게 보여줄 수 있을 뿐, 묶음 포장 단위로 제품을 확인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내용물을 미리 확인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시를 위해 판매점에서 포장 케이스 일부를 절취, 절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묶음 포장된 케이스 내용물 중 일부가 판매된 후에 포장 케이스를 그대로 활용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덮개 역할을 하는 부분이 없어지므로 묶음 포장 케이스를 다각도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스틱에 부착된 사탕, 초콜릿, 젤리 등의 제품을 통상적으로 거래업계에서 롤리팝이라 부르는데, 이러한 롤리팝 제품은 제품이 스틱이 꽂혀 있는 상태에서 투명한 비닐로 포장하고, 이 제품을 별도의 스탠드 등에 꽂아놓은 상태에서 묶음 포장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롤리팝 제품은 스틱에 꽂혀 있는 제품에 다양한 캐릭터 등을 형성하여 주요 소비 대상인 어린이나 유아들에게 이러한 제품의 디자인을 어필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낱개 단위로 구매하기도 하지만 선물로 활용하기 위해서 어른들은 내부에 수용된 제품의 디자인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묶음 포장이 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구매할 수도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묶음 포장 케이스의 경우 주로 케이스의 어느 일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투명한 비닐을 씌운 형태만 있어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 대상이 되는 제품의 외관을 보다 잘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20-1998-0018097 (1998.07.06)
본 고안의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롤리팝 제품이 수용되는 묶음 포장 케이스의 상면과 정면을 일체로 연결한 내부확인창을 형성하고 여기에 투명 필름이 설치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롤리팝 제품의 디자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묶음 포장 단위로 내용물을 확인하고, 케이스의 분리나 변형 없이 판매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전개도 형태로 펼쳐진 지류를 절곡하여 조립되면서 연결 상태를 이루는 삽입부가 상면부와 배면부가 연결되는 지점이 되도록 함으로써 내부확인창의 상면부측과 정면부측이 시각적으로 일체로 개방되어 시각적 장애 없이 내용물을 파악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간편하게 절취선을 따라 상부의 커버를 분리함으로써 낱개 단위로 판매할 때 분리 작업이 용이해지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양 측면부와 정면부를 연결하는 절취선을 형성하여, 상부의 커버를 완전히 분리한 채 낱개 제품을 전시, 판매하도록 할 수도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측면부의 절취선만을 절취한 상태에서 전면부의 절취선을 기준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 일부를 꺼낸 다음 삽입부를 배면부 측에 끼워 넣어 케이스 형상을 유지하고, 내용물을 보호하거나, 일부 제품이 판매된 상태에서 묶음 포장 케이스의 틀을 유지한 채 묶음 포장 단위로 제품을 판매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 케이스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포장 대상이 되는 내용물이 다수 개 수용되도록 내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의 상부에 상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부의 전방에 정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의 후방에 배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부의 양 측방에 측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의 하부에 저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 정면부, 배면부, 측면부 및 저면부는 지류로 이루어쳐 있고, 전개도 상태에서 꺾여 조립되어 있으며, 정면부의 상부측에 형성된 제1개구부와, 상기 제1개구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부에 형성된 제2개구부로 구성된 내부확인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확인창에는 투명한 재질의 투명필름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부와 배면부는 서로 분리된 채 상면부의 끝단에 배면부의 상부 내측으로 꺾여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내부에 포장 대상이 되는 내용물이 다수 개 수용되도록 내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의 상부에 상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부의 전방에 정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의 후방에 배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부의 양 측방에 측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의 하부에 저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 정면부, 배면부, 측면부 및 저면부는 지류로 이루어쳐 있고, 전개도 상태에서 꺾여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와 정면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채 꺾여 있고, 상면부의 후방 끝단에 상면부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꺾여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는 배면부의 내부측으로 삽입되어 배면부의 내측면에 접하고, 상기 두 측면부에는 각각 상면부 끝단과 배면부 끝단이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정면부의 양측 끝단의 중간지점까지 이르는 제1절취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면부에는 두 개이 제1절취선 끝단을 연결하는 제2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 제1절취선에 의해 분할된 측면부의 상부, 제2절취선에 의해 분할된 정면부의 상부 및 상면부로 구성된 커버가 형성되어 있고, 제1절취선에 의해 분할된 측면부의 하부, 제2절취선에 의해 분할된 정면부의 하부, 저면부 및 배면부로 이루어진 몸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면부에는 양측 끝단이 정면부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부 끝단은 정면부와 상면부가 만나는 모서리까지 형성되어 있고, 하부 끝단은 상기 제2절취선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개구부와, 정면이 상기 제1개구부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양측 끝단은 정면부의 양측 끝단과 평행하게 배면부 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측 끝단은 상면부와 배면부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제2개구부로 구성된 내부확인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확인창에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 재질의 투명필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면부의 상단과 상면부의 양측 끝단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측면부의 상단에 측면부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꺾여 형성된 보조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삽입부는 상면부의 하부측으로 삽입되어 상면부의 저부와 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롤리팝 제품이 수용되는 묶음 포장 케이스의 상면과 정면을 일체로 연결한 내부확인창을 형성하고 여기에 투명 필름이 설치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롤리팝 제품의 디자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묶음 포장 단위로 내용물을 확인하고, 케이스의 분리나 변형 없이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전개도 형태로 펼쳐진 지류를 절곡하여 조립되면서 연결 상태를 이루는 삽입부가 상면부와 배면부가 연결되는 지점이 되도록 함으로써 내부확인창의 상면부측과 정면부측이 시각적으로 일체로 개방되어 시각적 장애 없이 내용물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 간편하게 절취선을 따라 상부의 커버를 분리함으로써 낱개 단위로 판매할 때 분리 작업이 용이해진다.
특히, 양 측면부와 정면부를 연결하는 절취선을 형성하여, 상부의 커버를 완전히 분리한 채 낱개 제품을 전시, 판매하도록 할 수도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측면부의 절취선만을 절취한 상태에서 전면부의 절취선을 기준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 일부를 꺼낸 다음 삽입부를 배면부 측에 끼워 넣어 케이스 형상을 유지하고, 내용물을 보호하거나, 일부 제품이 판매된 상태에서 묶음 포장 케이스의 틀을 유지한 채 묶음 포장 단위로 제품을 판매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 케이스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1절취선만을 절취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
이하 본 고안의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내부확인창이 구비된묶음 포장용 케이스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포장 대상이 되는 내용물이 다수 개 수용되도록 내부공간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내용물은 다양한 제품이 가능하나, 스틱(1)에 부착된 사탕, 초콜릿, 젤리등과 같은 과자(2) 종류가 바람직하다.
이는, 롤리팝 제품의 경우 본 고안과 같이 내부확인창(70)을 형성했을 때 보다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고안의 포장용 케이스는 내부공간부(10)를 기준으로, 내부공간부(10)의 상부에 상면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부(10)의 전방에 정면부(3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10)의 후방에 배면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부(10)의 양 측방에 측면부(5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10)의 하부에 저면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상면부(20), 정면부(30), 배면부(40), 측면부(50) 및 저면부(60)는 지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개도 상태에서 각 부분의 경계 부분들이 꺾여 조립되어 형성된다.
도면상에서는 본 고안의 포장용 케이스가 육면체 형태로 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포장용 케이스는 정면부(30)의 상부측에 형성된 제1개구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개구부(71)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부(20)에 형성된 제2개구부(72)로 구성된 내부확인창(70)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제1개구부(71)와 제2개구부(72)가 별도로 경계 없이 형성됨에 의해 내부에 투명하게 낱개 포장된 내용물의 상면과 정면을 파악할 수 있어 입체적인 디자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내부확인창(7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끝단이 정면부(30)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부 끝단은 정면부(30)와 상면부(20)가 만나는 모서리까지 형성되어 있고, 하부 끝단은 상기 제2절취선(110)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개구부(71)와, 정면이 상기 제1개구부(71)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양측 끝단은 정면부(30)의 양측 끝단과 평행하게 배면부(40) 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측 끝단은 상면부(20)와 배면부(40)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제2개구부(7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개방된 내부확인창(7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의 투명필름(80)이 설치되어 부착되어 있어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투명필름(80)은 비닐, 셀로판지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나 유리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20)와 배면부(40)는 서로 분리된 채 상면부(20)의 끝단에 배면부(40)의 상부 내측으로 꺾여 삽입되는 삽입부(90)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면부(20)와 정면부(30)는 일체로 이루어진 채 꺾여 있고, 상면부(20)의 후방 끝단에 상면부(20)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꺾여 형성된 삽입부(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90)는 배면부(40)의 내부측으로 삽입되어 배면부(4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포장용 케이스는 상기 두 측면부(50)에는 각각 상면부(20) 끝단과 배면부(40) 끝단이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정면부(30)의 양측 끝단의 중간지점까지 이르는 제1절취선(1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면부(30)에는 두 개이 제1절취선(100) 끝단을 연결하는 제2절취선(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제1절취선(100) 및 제2절취선(110)을 따라 모두 절취하게 되었을 때의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제1절취선(100)에 의해 분할된 측면부(50)의 상부, 제2절취선(110)에 의해 분할된 정면부(30)의 상부 및 상면부(20)로 구성된 커버(120)가 형성되어 있고, 제1절취선(100)에 의해 분할된 측면부(50)의 하부, 제2절취선(110)에 의해 분할된 정면부(30)의 하부, 저면부(60) 및 배면부(40)로 이루어진 몸체(130)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전개도 상태에서 조립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50)의 상단과 상면부(20)의 양측 끝단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측면부(50)의 상단에 측면부(50)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꺾여 형성된 보조삽입부(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삽입부(140)는 상면부(20)의 하부측으로 삽입되어 상면부(20)의 저부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저면부(6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전개도 상태에서의 조립이 용이치 못하게 되므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립부(160)가 형성되어 종래의 다양한 종이 박스의 저면 구조를 적용하여 서로 겹쳐지는 등의 방식으로 내용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아울러,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40)의 측면에 연장된 접착부(150)를 형성하여 서로 연결되는 측면부(50)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함으로써 전개도 상태에서의 조립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내부확인창이 구비된묶음 포장용 케이스는 내부확인창(70)이 포장 케이스의 상면과 정면을 별도의 경계 없이 일체로 연결하면서 형성되어 있어 소비자로 하여금 롤리팝 제품의 디자인을 일견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이처럼 묶음 포장용 케이스의 표면 일부가 투명하게 되어 있음으로 인해 묶음 포장용 케이스 일부를 뜯어내지 않고도 묶음 포장 상태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또, 전개도 형태로 펼쳐진 지류를 절곡하여 조립되면서 연결 상태를 이루는 삽입부(90)가 상면부(20)와 배면부(40)가 연결되는 지점이 되도록 함으로써 내부확인창(70)의 상면부(20)측과 정면부(30)측이 시각적으로 일체로 개방되어 시각적 장애 없이 내용물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제1절취선(100) 및 제2절취선(110)의 구성과 맞물려, 간편하게 제1절취선(100) 및 제2절취선(110)을 따라 절취하게 되면 커버(120)가 쉽게 분리되므로, 낱개 단위로 판매할 때 분리 작업이 용이해지기도 한다.
제2절취선(110)을 절취하면 상기와 같이 커버(120)를 완전 분리할 수 있는 반면, 제2절취선(110)을 따라 절취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삽입부(90)를 배면부(40)에서 꺼낸 다음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절취선(110)을 기준으로 절곡하여 내용물의 일부를 꺼내거나 넣은 다음 다시 삽입부(90)를 배면부(40) 내측으로 끼워 넣게 되면 전체적인 케이스의 형상을 유지하고, 내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낱포장된 제품에 먼지가 끼지 않게 되는 등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되며, 또, 일부 제품이 판매된 상태에서 묶음 포장 케이스의 틀을 유지한 채 묶음 포장 단위로 제품을 판매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이는 종래의 묶음 포장용 케이스에 비해 케이스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내부확인창이 구비된묶음 포장용 케이스는 각종 사탕, 초콜릿, 젤리 등이 스틱에 꽂혀 낱포장된 롤리팝 제품이나, 일반 스낵류 등 다양한 제품의 포장에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기로 낱포장된 롤리팝 제품의 포장에 적합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포장용 케이스는 육면체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측벽부를 다단으로 하거나 상면부, 저면부, 배면부 등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도 적용된다 할 것이다.
1 : 스틱 2 : 과자
10 : 내부공간부 20 : 상면부
30 : 정면부 40 : 배면부
50 : 측면부 60 : 저면부
70 : 내부확인창 71 : 제1개구부
72 : 제2개구부 80 : 투명필름
90 : 삽입부 100 : 제1절취선
110 : 제2절취선 120 : 커버
130 : 몸체 140 : 보조삽입부
150 : 접착부 160 : 조립부

Claims (3)

  1. 삭제
  2. 포장용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에 포장 대상이 되는 내용물이 다수 개 수용되도록 내부공간부(1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10)의 상부에 상면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부(10)의 전방에 정면부(3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10)의 후방에 배면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부(10)의 양 측방에 측면부(5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부(10)의 하부에 저면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20), 정면부(30), 배면부(40), 측면부(50) 및 저면부(60)는 지류로 이루어쳐 있고, 전개도 상태에서 꺾여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20)와 정면부(30)는 일체로 이루어진 채 꺾여 있고, 상면부(20)의 후방 끝단에 상면부(20)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꺾여 형성된 삽입부(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90)는 배면부(40)의 내부측으로 삽입되어 배면부(40)의 내측면에 접하고,
    상기 두 측면부(50)에는 각각 상면부(20) 끝단과 배면부(40) 끝단이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정면부(30)의 양측 끝단의 중간지점까지 이르는 제1절취선(1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면부(30)에는 두 개의 제1절취선(100) 끝단을 연결하는 제2절취선(110)이 형성되어 있어,
    제1절취선(100)에 의해 분할된 측면부(50)의 상부, 제2절취선(110)에 의해 분할된 정면부(30)의 상부 및 상면부(20)로 구성된 커버(120)가 형성되어 있고,
    제1절취선(100)에 의해 분할된 측면부(50)의 하부, 제2절취선(110)에 의해 분할된 정면부(30)의 하부, 저면부(60) 및 배면부(40)로 이루어진 몸체(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면부(30)에는 양측 끝단이 정면부(30)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부 끝단은 정면부(30)와 상면부(20)가 만나는 모서리까지 형성되어 있고, 하부 끝단은 상기 제2절취선(110)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개구부(71)와,
    정면이 상기 제1개구부(71)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양측 끝단은 정면부(30)의 양측 끝단과 평행하게 배면부(40) 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측 끝단은 상면부(20)와 배면부(40)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제2개구부(72)로 구성된 내부확인창(7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확인창(70)에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 재질의 투명필름(8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50)의 상단과 상면부(20)의 양측 끝단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측면부(50)의 상단에 측면부(50)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꺾여 형성된 보조삽입부(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삽입부(140)는 상면부(20)의 하부측으로 삽입되어 상면부(20)의 저부와 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확인창이 구비된묶음 포장용 케이스.
KR2020120004832U 2012-06-07 2012-06-07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 KR200470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32U KR200470051Y1 (ko) 2012-06-07 2012-06-07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32U KR200470051Y1 (ko) 2012-06-07 2012-06-07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051Y1 true KR200470051Y1 (ko) 2013-11-25

Family

ID=5074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832U KR200470051Y1 (ko) 2012-06-07 2012-06-07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0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043B1 (ko) 2019-04-23 2020-04-10 김지혜 막대 과자 묶음 포장용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6031A (ja) * 2004-04-06 2005-10-27 Crecia Corp ロール状物展示用紙製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6031A (ja) * 2004-04-06 2005-10-27 Crecia Corp ロール状物展示用紙製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043B1 (ko) 2019-04-23 2020-04-10 김지혜 막대 과자 묶음 포장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6312B (zh) 具有闭合折翼的多重可拆分包装
BR112012023637B1 (pt) Dispensadores de múltiplas peças para produtos de confeitaria
US8672130B2 (en) Blister package having partially exposed blister tray
CA2925023A1 (en) Packaging
US20120160731A1 (en) Comestible packaging having product viewing window
US5156266A (en) Foldable container blank
US20120164284A1 (en) Folded dual split package
WO2013000159A1 (en) Packaging and display case for dissimilar objects
JP4467147B2 (ja) 包装展示兼用箱
KR200470051Y1 (ko) 내부확인창이 구비된 묶음 포장용 케이스
KR100885978B1 (ko) 절취공을 가지는 개선된 포장박스
JP3121163U (ja) 鏡餅用包装箱及びそれを用いた鏡餅包装体
KR200330213Y1 (ko) 포장물품을 진열하기 위한 종이상자
KR101322822B1 (ko) 막대과자용 묶음 포장 케이스
KR20100003635U (ko) 컵케이크 포장케이스
KR20230110928A (ko) 스낵류 묶음 포장 용기
JP6872779B2 (ja) 包装容器及び包装容器組立用シート
KR200306895Y1 (ko) 과자용 포장상자
TWM486622U (zh) 具展示架折疊轉換結構之包裝盒
JP5471595B2 (ja) 鏡餅セット包装箱
KR20220008304A (ko) 식품 제품용 포장 및 식품 제품용 포장의 제조 방법
KR20210094754A (ko) 스낵류 묶음 포장 용기
JP6158561B2 (ja) 組立式紙芝居舞台
KR20100008327U (ko) 접이식 포장상자
JP3115462U (ja) 外装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