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010Y1 -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 Google Patents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010Y1
KR200470010Y1 KR2020120008084U KR20120008084U KR200470010Y1 KR 200470010 Y1 KR200470010 Y1 KR 200470010Y1 KR 2020120008084 U KR2020120008084 U KR 2020120008084U KR 20120008084 U KR20120008084 U KR 20120008084U KR 200470010 Y1 KR200470010 Y1 KR 200470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ck
supporting
support
simpl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렬
Original Assignee
비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8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간이 구조물을 이루는 4개의 기둥(P)에 코너부분이 외접하여 체결볼트로서 코너 연결구(1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코너 연결구에는 프레임의 양단이 각 용접 설치되어 사각형의 틀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에 다수개의 데크(130)가 나란히 배열 부착되어 발판을 형성하는 데크 프레임(100)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프레임(100)은 사각형 틀을 이루도록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40), 제3프레임(160)으로 나뉘어 구성되되, 상기 제1프레임(120)은, 코너 연결구(110)를 통해 직각되는 3방향으로 ㄷ자 형태가 되게 코너 연결구와 용접되고, 각각의 제1프레임의 일면에는 데크(130)의 가장자리 및 저면 양측을 받치기 위한 받침턱부(121)가 형성되고, 받침턱부(121)의 하부에는 하부 두께를 형성하는 테두리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턱부의 상부 일측에는 배열된 데크 중 데크의 양단 상부측과 좌,우측에 위치하는 데크의 상부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데크를 지지하는 지지편(123)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140)은, 제1프레임(120)과 일치되어 데크(130)를 받치는 받침부(141) 및 받침부의 하부로부터 하부 두께를 형성하는 테두리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160)은, 제2프레임(140)의 받침부(141) 일면에 밀착되어 배열된 데크(130)의 일측을 수용하기 위한 제1절곡부(161)가 상부에 형성되고, 제1절곡부(161)의 반대측 하부에는 제2프레임(140)의 테두리부(142) 저면을 받치는 제2절곡부(162)가 형성되어 데크(130)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나란히 밀착되어 배열되는 데크의 조합은 직결나사로서 제1프레임의 받침턱부, 제2프레임의 받침부에 체결이 이루어지고, 제1프레임의 지지편 및 제3프레임의 제1절곡부에 의해 데크 양단과 가장자리를 수용함으로써, 구조물에 시설되어 오랜 시간이 경과 하더라도 데크의 뒤틀림방지와 데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발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Deck frame for structures}
본 고안은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간이 구조물에 적용되는 데크 프레임을 개선하여 데크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고정부위를 보강하여 설치에 따른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데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놀이터, 옥상 등 햇빛이 직사되는 장소에는 햇빛을 차단하고 그늘을 형성하여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정자 따위의 구조물이 설치된다. 또한 실내 놀이공간, 실외 놀이터 등에는 다양한 조합 놀이대를 이루는 구조물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합놀이대와 같은 간이 구조물은 흔들 통나무 건너기, 미로들, 터널, 미끄럼틀, 특수 놀이시설인 망, 줄타기 등이 복합적으로 시설된다.
이와 같은 조합놀이대는 여러 가지 놀이시설물을 조합하여 연계시킨 간이 구조물로서 하나의 놀이시설물에서 다른 놀이시설물로 이동하면서 즐길 수 있도록 각 구간을 연결하는 발판, 이동통로 및 대기장소에는 데크가 설치된다.
데크는 지면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들을 상호 연결하는 틀 형태의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의 경우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으로 제작되며, 틀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 내측에는 일정 폭을 갖는 데크가 부착 설치된다.
종래의 데크 프레임의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38908호에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목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판형상의 발판(60a)이 배열된 데크(60)와, 속이 빈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하는 내벽의 중앙에 횡간지지편(10a)(20a)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으로 내향 돌출되어 데크(60)에 배열된 발판(60a)들의 양단부가 얹혀져 나사(80)들로 결합되는 직사각 단면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프레임(10)(20)과, 속이 빈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하는 내벽의 중앙에 횡간지지편(10a)(20a)과 대향하는 종간지지편(30a)(40a)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으로 내향으로 돌출되어 데크(60)의 최 외각 발판의 일측 면이 얹혀져 나사로 결합되는 직사각 단면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3 및 제4프레임(30)(40)과, 일측 면이 기둥의 외주면 일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절개된 다각형 단면형상의 절개부(50a)를 가지고 제1 및 제2프레임(10)(20)과 제3 및 제4프레임(30)(40)의 양단부와 각각 용접되어 기둥의 외주면에 체결공(50b)(50c)을 통해 볼트로 고정되는 코너 연결구(50)로 구성된다.
도 2는 데크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데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1 및 제2프레임(10)(20)과 제3 및 제4프레임(30)(40)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사각 틀 형상으로 상기 코너 연결구와 조합이 이루어지며, 데크(60)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과 제3 및 제4프레임(30)(40)의 상부에서 안치되어 배열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과 제3 및 제4프레임(30)(40)측 횡간지지편(10a)(20a), 종간지지편(30a)(40a)의 하부에서 나사(80)로 데크(60)를 관통하지 않는 범위에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데크(60)의 양단 및 좌측과 우측에 최종 배치되는 가장자리 측은 상기 횡간지지편(10a)(20a), 종간지지편(30a)(40a)의 상면으로부터 직각되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과 제3 및 제4프레임(30)(40)의 상부 내측 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과 제3 및 제4프레임(30)(40)과 동일선상으로 데크(60)가 최종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통상 데크는 습기나 물에 쉽게 부식되지 않는 조건의 방부목을 이용한 것이나 상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과 제3 및 제4프레임(30)(40)의 상단 면과 동일선상을 이루기 때문에 데크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과 제3 및 제4프레임(30)(40)의 틈새 사이로 빗물이 스며드는 현상과, 데크를 수시로 밟고 지나다니는 과정에서 잦은 충격에 의해 나사(80)의 체결부분이 헐거워지는 사례가 발생한다.
이는 시간이 경과 할수록 프레임에 고정된 데크의 뒤틀림이 발생하여 데크의 처음 설치와는 다르게 어느 한 부분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 사례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데크 설치는 어느 하나의 데크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여 발이 빠지는 안전사고는 물로 그 주변의 데크가 점차 이탈되기 때문에 잦은 유지보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이 구조물에 적용되는 데크 프레임을 개선하여 데크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고정부위를 보강하여 설치에 따른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데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간이 구조물을 이루는 4개의 기둥에 코너부분이 외접하여 체결볼트로서 코너 연결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코너 연결구에는 프레임의 양단이 각 용접 설치되어 사각형의 틀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에 다수개의 데크가 나란히 배열 부착되어 발판을 형성하는 데크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프레임은 사각형 틀을 이루도록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제3프레임으로 나뉘어 구성되되, 상기 제1프레임은, 코너 연결구를 통해 직각되는 3방향으로 ㄷ자 형태가 되게 코너 연결구와 용접되고, 각각의 제1프레임의 일면에는 데크의 가장자리 및 저면 양측을 받치기 위한 받침턱부가 형성되고, 받침턱부의 하부에는 하부 두께를 형성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턱부의 상부 일측에는 배열된 데크 중 데크의 양단 상부측과 좌,우측에 위치하는 데크의 상부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데크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ㄷ자 형태의 개방된 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2프레임은, 제1프레임과 일치되어 데크를 받치는 받침부 및 받침부의 하부로부터 하부 두께를 형성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은, 제2프레임의 받침부 일면에 밀착되어 배열된 데크의 일측을 수용하기 위한 제1절곡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제1절곡부의 반대측 하부에는 제2프레임의 테두리부 저면을 받치는 제2절곡부가 형성되어 데크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데크는 상부 양측에 직결나사가 체결되어 제1프레임의 받침턱부에 체결되어 각각 배열된 데크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3프레임의 전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직결나사가 제2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호 대응되는 제1프레임의 받침턱부에는 배열된 데크의 저면 받침과 제1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한 각관이 용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3프레임은 알루미늄 강재로 압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구조물에 적용 설치되는 데크 프레임에서, 나란히 밀착되어 배열되는 데크의 조합은 직결나사로서 제1프레임의 받침턱부, 제2프레임의 받침부에 체결이 이루어지고, 제1프레임의 지지편 및 제3프레임의 제1절곡부에 의해 데크 양단과 가장자리를 수용함으로써, 구조물에 시설되어 오랜 시간이 경과 하더라도 데크의 뒤틀림방지와 데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발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데크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데크 프레임에 데크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종래 데크 프레임이 구조물의 기둥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데크 프레임이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프레임에 데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도 7에서 데크의 고정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에 데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데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프레임이 실시된 간이 구조물을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간이 구조물을 이루는 4개의 기둥(P)에 코너부분이 외접하여 체결볼트로서 코너 연결구(1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코너 연결구에는 프레임의 양단이 각 용접 설치되어 사각형의 틀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에 다수개의 데크(130)가 나란히 배열 부착되어 발판을 형성하는 데크 프레임(100)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프레임(100)은 사각형 틀을 이루도록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40), 제3프레임(160)으로 나뉘어 구성되되, 상기 제1프레임(120)은, 코너 연결구(110)를 통해 직각되는 3방향으로 ㄷ자 형태가 되게 코너 연결구와 용접되고, 각각의 제1프레임의 일면에는 데크(130)의 가장자리 및 저면 양측을 받치기 위한 받침턱부(121)가 형성되고, 받침턱부(121)의 하부에는 하부 두께를 형성하는 테두리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턱부의 상부 일측에는 배열된 데크 중 데크의 양단 상부측과 좌,우측에 위치하는 데크의 상부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데크를 지지하는 지지편(123)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ㄷ자 형태의 개방된 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2프레임(140)은, 제1프레임(120)과 일치되어 데크(130)를 받치는 받침부(141) 및 받침부의 하부로부터 하부 두께를 형성하는 테두리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160)은, 제2프레임(140)의 받침부(141) 일면에 밀착되어 배열된 데크(130)의 일측을 수용하기 위한 제1절곡부(161)가 상부에 형성되고, 제1절곡부(161)의 반대측 하부에는 제2프레임(140)의 테두리부(142) 저면을 받치는 제2절곡부(162)가 형성되어 데크(130)와 조합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프레임(120, 140, 160)은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 강재로 압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데크(130)는 습기에 강한 방부목을 일정길이로 절단한 것으로서, 배열되는 데크 중 도면상에서 좌측과 우측 끝부분에 배치되는 데크는 코너 연결구의 직각된 형상으로 인해 그 양측은 직각으로 가공되어 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크 프레임(100)에 적용되는 데크(130)는 상부 양측에 직결나사(S1)가 체결되어 제1프레임(120)의 받침턱부(121)에 체결되어 각각 배열된 데크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프레임(140)의 전면에 밀착 조합되는 제3프레임(160)의 전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직결나사(S2)가 제2프레임(140)에 체결된다. 도면상에서는 상기 직결나사(S2)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체결되는 상태와 그 위치를 예시한 것으로서, 제작된 제3프레임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임을 밝힌다.
한편, 상호 대응되는 제1프레임(120)의 받침턱부(121)에는 배열된 데크(130)의 저면 받침과 제1프레임(120)을 보강하기 위한 각관(150)이 용접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관(150)은 상기 제1 내지 3프레임(120, 140, 160)과 동일한 알루미늄 강재로 제작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1은 코너 연결구에 형성된 결합공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기둥에 고정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데크 프레임의 설치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크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120)을 직각되는 3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여기에 코너 연결구(110)를 제1프레임의 각 모서리부분에 직각이 유지되게끔 위치시켜 ㄷ자 형태로 용접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개방된 측은 제2프레임(140)을 위치시켜 사각형의 틀 모양으로 용접한다.
상기 제2프레임(140)은 제1프레임에 대해 제1프레임(120)의 지지편(123)이 형성되지 않은 형상으로서, 제2프레임(140)의 받침부(141) 상면을 통해 데크(130)를 설치한다.
상기 데크(130)는 다수개 조합이 나란히 각 측면이 밀착하는 조건으로 배열되는 것으로서, 이는 상호 대응되는 제1프레임(120)과 제1프레임(120)의 설정된 간격에 맞추어 다수개로 나뉘어 조합이 이루어진다.
데크(130)의 조합은 상호 대응되는 제1프레임(120)의 좌측과 우측에 가장 먼저 배치된다.
이점은 상기 코너 연결구(110)의 적용 설치에 따라 그 직각되게 데크(130)의 양측을 절단가공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이유에서 선 조합되고, 양단이 동일하게 가공된 나머지 데크(130)의 양단을 수용하여 조합한다.
이때 데크(130)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제1프레임(120)의 지지편(123)과 받침턱부(121) 사이에 안내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배열된 데크(130)의 양측은 상부에서 직결나사(S1)를 이용한 제1프레임(120)의 받침턱부(121), 제2프레임(140)의 상면이 되는 받침부(141)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첨부된 도 8은 제1프레임(120)의 받침턱부(121)에 데크(130)의 일측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데크(130)의 고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프레임(140)의 전면에는 첨부된 도 4 및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프레임(160)을 조합한다.
상기 제3프레임(160)의 상부측 제1절곡부(161)는 제2프레임(140)의 받침부(141) 상부에 위치된 데크(130)의 상단부분을 수용하는 형태가 되고, 하부측 제2절곡부(162)는 제2프레임(140)의 테두리부(142) 저면을 받치는 형태가 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120)의 테두리부(122)와 동일한 위치선상이 되게 조합되며, 제3프레임(160)의 외측에서는 직결나사(S2)를 등간격으로 체결하여 제2프레임(140)에 제3프레임(160)을 견고하게 고정 부착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각 제1내지 제3프레임(120, 140, 160)과 데크(130)의 조합은 4개의 기둥(P)에 각 코너 연결부(110)를 안내되도록 하여 기둥의 해당하는 높이에 데크프레임을 위치시키고, 상기 코너 연결구(110)에 형성된 결합공(111)을 통해 기둥(P)에 체결볼트를 각 2점씩 체결하여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간이 구조물의 기둥에 데크 프레임을 설치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데크(130)는 제1프레임(120)의 지지편(123)과 받침턱부(121) 사이, 제2프레임(140)의 받침부(141) 상부와 제3프레임(160)의 제1절곡부(161) 사이에 데크의 양단 및 좌측과 우측에 해당하는 데크의 가장자리가 안내되어 있기 때문에 오랜 사용에 있어서도 데크가 프레임으로부터 들뜨거나 뒤틀리는 현상과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프레임(100)은 상호 대응되는 제1프레임(120)의 받침턱부(121)를 횡으로 잇는 다수개의 각관(150)이 부가적으로 설치됨으로서 데크(130)를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평평한 데크의 편평한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발 걸림 현상을 없애 조합놀이대와 같은 구조물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명을 대폭 연장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데크 프레임 110: 코너 연결구
120: 제1프레임 121: 받침턱부
122: 테두리부 123: 지지편
130: 데크 140: 제2프레임
141: 받침부 142: 테두리부
150: 각관 160: 제3프레임
161: 제1절곡부 162: 제2절곡부
S1,S2: 직결나사 P: 기둥

Claims (5)

  1. 간이 구조물을 이루는 4개의 기둥(P)에 코너부분이 외접하여 체결볼트로서 코너 연결구(1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코너 연결구에는 프레임의 양단이 각 용접 설치되어 사각형의 틀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에 다수개의 데크(130)가 나란히 배열 부착되어 발판을 형성하는 데크 프레임(100)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프레임(100)은 사각형 틀을 이루도록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40), 제3프레임(160)으로 나뉘어 구성되되,
    상기 제1프레임(120)은, 코너 연결구(110)를 통해 직각되는 3방향으로 ㄷ자 형태가 되게 코너 연결구와 용접되고, 각각의 제1프레임의 일면에는 데크(130)의 가장자리 및 저면 양측을 받치기 위한 받침턱부(121)가 형성되고, 받침턱부(121)의 하부에는 하부 두께를 형성하는 테두리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턱부의 상부 일측에는 배열된 데크 중 데크의 양단 상부측과 좌,우측에 위치하는 데크의 상부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데크를 지지하는 지지편(123)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ㄷ자 형태의 개방된 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2프레임(140)은, 제1프레임(120)과 일치되어 데크(130)를 받치는 받침부(141) 및 받침부의 하부로부터 하부 두께를 형성하는 테두리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160)은, 제2프레임(140)의 받침부(141) 일면에 밀착되어 배열된 데크(130)의 일측을 수용하기 위한 제1절곡부(161)가 상부에 형성되고, 제1절곡부(161)의 반대측 하부에는 제2프레임(140)의 테두리부(142) 저면을 받치는 제2절곡부(162)가 형성되어 데크(130)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130)는 상부 양측에 직결나사(S1)가 체결되어 제1프레임(120)의 받침턱부(121)에 체결되어 각각 배열된 데크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160)의 전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직결나사(S2)가 제2프레임(14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호 대응되는 제1프레임(120)의 받침턱부(121)에는 배열된 데크(130)의 저면 받침과 제1프레임(120)을 보강하기 위한 각관(150)이 용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프레임(120, 140, 160)은 알루미늄 강재로 압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KR2020120008084U 2012-09-11 2012-09-11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KR200470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084U KR200470010Y1 (ko) 2012-09-11 2012-09-11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084U KR200470010Y1 (ko) 2012-09-11 2012-09-11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010Y1 true KR200470010Y1 (ko) 2013-11-20

Family

ID=5074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084U KR200470010Y1 (ko) 2012-09-11 2012-09-11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01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908Y1 (ko) 2007-05-23 2008-03-27 비엔지 주식회사 놀이시설물용 데크 프레임
KR101009810B1 (ko) 2009-02-11 2011-01-19 홍창진 시설물 조립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908Y1 (ko) 2007-05-23 2008-03-27 비엔지 주식회사 놀이시설물용 데크 프레임
KR101009810B1 (ko) 2009-02-11 2011-01-19 홍창진 시설물 조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1691542B1 (ko) 비계
CN109235861B (zh) 一种应用于小高层建筑的装配式脚手架
KR200480718Y1 (ko) 목재 부식이 방지되는 난간 결속구조
CN104533135B (zh) 一种可快速安装和拆卸的围栏装置
KR100968216B1 (ko) 조립식 지붕구조물
CN109138170A (zh) 角柱可拆的装配式钢结构建筑独立模块
KR20120114515A (ko) 조립식 정자
CA3103226A1 (en) Modular support frame
KR101388823B1 (ko) 폼 장치
KR200445310Y1 (ko)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KR200438908Y1 (ko) 놀이시설물용 데크 프레임
KR200470010Y1 (ko)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KR100381724B1 (ko) 교각 점검대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397522B1 (ko) 건축물 시공용 작업대
US20100140018A1 (en) Scaffold with handrail frames provided with post sections
JP2009027771A (ja) 分電盤架台
CN211622273U (zh) 一种钢结构柱
JP3121964U (ja) 作業用の架台及び足場
KR101474720B1 (ko) 데크용 가드레일포스트
KR20140090040A (ko) 친환경 장식 및 조립결합력을 향상시킨 난간
JP5634456B2 (ja) 足場用の幅木
KR101109492B1 (ko) 거푸집 판넬의 조립틀 구조
JPH0754480A (ja) 枠組足場ならびにその組立、解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