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771Y1 - 다목적 독서대 - Google Patents

다목적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771Y1
KR200469771Y1 KR2020110011310U KR20110011310U KR200469771Y1 KR 200469771 Y1 KR200469771 Y1 KR 200469771Y1 KR 2020110011310 U KR2020110011310 U KR 2020110011310U KR 20110011310 U KR20110011310 U KR 20110011310U KR 200469771 Y1 KR200469771 Y1 KR 200469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ading
support member
storage
connect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880U (ko
Inventor
김학성
Original Assignee
김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성 filed Critical 김학성
Priority to KR2020110011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77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8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7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Abstract

다목적 독서대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다목적 독서대는 지면에 놓이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기둥 부재;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둥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받침 부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둥 부재와 상기 받침 부재에 모두 결합되는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의 상단 후측부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독서 부재 지지 부재; 상기 독서 부재 지지 부재 상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도서 걸림턱이 형성되는 독서 부재; 상기 독서 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 상에 결합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전측에 앉은 사용자의 상체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함몰 홀; 상기 기둥 부재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다른 높이를 이루면서,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수납 서랍이 삽입될 수 있는 수납 서랍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 2 플레이트; 및 물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독서 부재의 지지를 위한 상기 한 쌍의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 홀;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다목적 독서대에 의하면, 사용자가 독서 부재에 놓인 도서를 읽으면서 제 1 플레이트에 놓인 서면에 필기하거나, 태블릿 피씨를 이용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제 2 플레이트에 소정의 물건 등을 올려 놓을 수 있으므로, 다목적 독서대를 여러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다목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독서대{Multipurpose reading desk}
본 고안은 다목적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독서대는 도서를 놓은 상태에서 독서를 할 수 있는 지지대를 말한다.
종래의 독서대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은 등록실용신안 제 20-0307095호(고안의 명칭: 서서도 공부하고 앉아서도 공부할 수 있는 겸용책상), 공개실용신안 제 20-1999-0019233호(고안의 명칭: 조정식 스텐드형 독서대), 등록실용신안 제 20-0379767호(고안의 명칭: 기능성 책받침 독서대)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독서대에 의하면, 읽기 위한 도서를 놓을 수 있는 등 그 기능이 단순하여, 독서대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작업의 기회를 주지 못하여 만족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독서대에 의하면, 독서대에 수납 기능이 떨어져, 물품 보관의 편의성이 떨어졌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다목적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품이 편리하게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다목적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는 지면에 놓이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기둥 부재;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둥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받침 부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둥 부재와 상기 받침 부재에 모두 결합되는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의 상단 후측부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독서 부재 지지 부재; 상기 독서 부재 지지 부재 상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도서 걸림턱이 형성되는 독서 부재; 상기 독서 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 상에 결합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전측에 앉은 사용자의 상체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함몰 홀; 상기 기둥 부재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다른 높이를 이루면서,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수납 서랍이 삽입될 수 있는 수납 서랍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 2 플레이트; 및 물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독서 부재의 지지를 위한 상기 한 쌍의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 홀;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 의하면, 사용자가 독서 부재에 놓인 도서를 읽으면서 제 1 플레이트에 놓인 서면에 필기하거나, 태블릿 피씨를 이용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제 2 플레이트에 소정의 물건 등을 올려 놓을 수 있으므로, 다목적 독서대를 여러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다목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 의하면, 제 1 플레이트와 독서 부재의 지지를 위한 한 쌍의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 사이에 수납 홀이 형성됨에 따라, 물품의 수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 도서와 태블릿 피씨가 놓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서 독서 부재와 제 1 플레이트가 제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서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 내부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서 수납 공간을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 도서와 태블릿 피씨가 놓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서 독서 부재와 제 1 플레이트가 제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서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 내부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100)는 받침 부재(150), 기둥 부재(110), 독서 부재(120),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113), 제 1 플레이트(130), 제 2 플레이트(140), 수납 서랍(141) 및 수납 홀(136)을 포함한다.
상기 다목적 지지대(100)는 전체적으로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번호 111은 상기 받침 부재(150)에서 연장되어 지면에 닿는 전복 방지부로, 상기 받침 부재(150)가 전복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상기 전복 방지부(111)는 상기 받침 부재(150)에서 서로 이격되면서 복수 개, 예를 들어 한 쌍 설치되어, 상기 받침 부재(150)가 전복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받침 부재(150)는 상기 전복 방지부(111)를 저면에 깔고 지면에 놓이는 부분이으로, 상기 받침 부재(150) 상에 상기 기둥 부재(110) 등이 설치된다. 상기 받침 부재(150)에는 복수 개의 바퀴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다목적 지지대(100)는 손쉽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기둥 부재(110)는 예시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부재(150)에서 수직 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이루면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기둥 부재(110)는 상기 받침 부재(150)에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113)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둥 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받침 부재(150)에서 상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 1 플레이트(130)를 지지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113)의 전면은 유선형을 이루고, 후면은 꺾인 선형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113)의 하단은 상기 받침 부재(150)에 결합되고, 그 각 내측면은 상기 기둥 부재(11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30)는 상기 독서 부재(1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113) 상에 결합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30)가 상기 독서 부재(120)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독서 부재(120)에 놓인 도서(10)를 읽으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130)에 놓인 서면에 필기를 하거나, 태블릿 피씨(20) 등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31은 상기 제 1 플레이트(130) 상에 형성되는 함몰 홀로서, 상기 제 1 플레이트(130) 전측에 앉은 사용자의 상체가 상기 함몰 홀(131)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 1 플레이트(130)와 사용자의 상체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번호 135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113)의 상단 후측부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돌출된 독서 부재 지지 부재로서, 상기 독서 부재 지지 부재(135) 상에 상기 독서 부재(120)가 결합된다.
상기 독서 부재(120)는 상기 독서 부재 지지 부재(135) 상에 결합되고, 독서가 가능하도록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도서 걸림턱(121)이 형성된다. 상기 독서 부재(120)에 도서(10)를 놓고 사용자가 독서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받침 부재(150) 상에 상기 기둥 부재(110)가 세워지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113)의 하단이 상기 받침 부재(150)에 결합되고, 그 각 내측면이 상기 기둥 부재(110)에 결합되며, 상기 독서 부재 지지 부재(135)가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113)의 상단 후측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독서 부재(1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130)가 함께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가 심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113)의 상부 내측에는 수납 플레이트(139)가 상기 한 쌍의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113)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납 플레이트(139)의 전면에는 전면 플레이트(137)가 설치되며, 상기 수납 플레이트(139)의 상단면의 대략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후면 플레이트(138)가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납 플레이트(139), 상기 전면 플레이트(137)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138)에 의해 안경, 필기구 등의 물품 수납이 가능한 수납 홀(13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플레이트(130)와 상기 독서 부재(120)의 지지를 위한 상기 한 쌍의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113) 사이에 상기 수납 홀(136)이 형성됨에 따라, 물품의 수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140)는 상기 한 쌍의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113) 중 일 측 부재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130)와 다른 높이,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플레이트(13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이루면서,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 플레이트(140)에 다양한 물건을 올려 놓아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140) 하부에는 수납 서랍(141)이 삽입될 수 있는 수납 서랍 삽입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다목적 독서대(100)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독서 부재(120)에 놓인 도서를 읽으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130)에 놓인 서면에 필기하거나, 태블릿 피씨를 이용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 2 플레이트(140)에 소정의 물건 등을 올려 놓을 수 있으므로, 상기 다목적 독서대(100)를 여러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다목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옥내 거실에 설치되는 쇼파 등에 앉은 사용자가 쇼파 등에 앉은 상태로 상기 다목적 독서대(100)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 편리성이 증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서 수납 공간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플레이트(237)가 수납 플레이트(239)에 회전축(26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납 홀(236)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축(263) 부근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237)에는 전면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0)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 플레이트(239)에는 제 1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2)와, 제 2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1)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 플레이트(239) 상에는 압력 감지 센서(265)가 설치되고, 후면 플레이트(238)를 관통하여 상기 수납 홀(236) 내측에는 가압부(266)가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266)에서는 가압축(268)이 연장되어 상기 후면 플레이트(238)를 관통하며, 상기 후면 플레이트(238)의 외측에는 상기 가압축(268)을 유압 등에 의해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가압 부재(267)가 배치된다.
도면 번호 269는 제어 부재이고, 도면 번호 271은 상기 수납 홀(236) 내부를 조명할 수 있는 조명 부재이고, 도면 번호 270은 상기 조명 부재(271)와 상기 후면 플레이트(238)를 연결하는 조명 연결 부재이다.
도면 번호 264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237)에 설치되어,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스피커 등의 음향 발생 부재이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0), 상기 제 1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2), 상기 제 2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1), 상기 압력 감지 센서(265), 상기 가압 부재(267), 상기 조명 부재(271), 상기 음향 발생 부재(264) 등은 상기 제어 부재(269)와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사용자가 상기 전면 플레이트(237)를 당길 때, 상기 전면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0)와 상기 제 1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2)가 서로 접촉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 부재(269)가 상기 압력 감지 센서(265)에 의한 감지값에 따라 상기 수납 홀(236)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다음, 상기 음향 발생 부재(264)를 통해 물품의 수납 여부에 대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압력 감지 센서(265)에 의해 상기 수납 홀(236) 내에 물품이 수납되어 있는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 플레이트(237)를 더 당겨, 상기 전면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0)와 상기 제 2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1)가 서로 접촉되도록 하면, 상기 제어 부재(269)가 상기 가압 부재(267)를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가압축(268)과 상기 가압부(266)가 전진되어, 상기 수납 홀(236) 내부의 물품이 상기 전면 플레이트(237) 쪽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수납 홀(236) 내부의 물품을 꺼내기가 편리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 감지 센서(265)에 의해 상기 수납 홀(236) 내에 물품이 수납되어 있지 아니한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 플레이트(237)를 더 당겨, 상기 전면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0)와 상기 제 2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1)가 서로 접촉되도록 하면, 상기 제어 부재(269)는 상기 가압 부재(267)를 작동시키지 아니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압축(268)과 상기 가압부(266)도 전진되지 아니하여, 상기 수납 홀(236) 내부에 물품을 적치하기가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0)와 상기 제 1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2)가 서로 접촉되거나, 상기 전면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0)와 상기 제 2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261)가 서로 접촉되면, 상기 제어 부재(269)는 상기 조명 부재(271)가 켜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수납 홀(239)에 물품이 편리하게 수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다목적 독서대에 의하면,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물품이 편리하게 수납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3)

  1. 지면에 놓이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기둥 부재;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둥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받침 부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둥 부재와 상기 받침 부재에 모두 결합되는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의 상단 후측부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독서 부재 지지 부재;
    상기 독서 부재 지지 부재 상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도서 걸림턱이 형성되는 독서 부재;
    상기 독서 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 상에 결합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전측에 앉은 사용자의 상체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함몰 홀;
    상기 기둥 부재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다른 높이를 이루면서,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수납 서랍이 삽입될 수 있는 수납 서랍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 2 플레이트; 및
    물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독서 부재의 지지를 위한 상기 한 쌍의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 홀;을 포함하는 다목적 독서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의 상부 내측에는 수납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제 1 플레이트 지지 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납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전면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수납 플레이트의 상단면에서 상방으로 후면 플레이트가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납 플레이트,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수납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독서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가 상기 수납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납 홀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는 전면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 플레이트에는 제 1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와, 제 2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 플레이트 상에는 압력 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후면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수납 홀 내측에는 가압부가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에서는 가압축이 연장되어 상기 후면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외측에는 상기 가압축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가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다목적 독서대는 상기 수납 홀 내부를 조명할 수 있는 조명 부재;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향 발생 부재;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 상기 제 1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 상기 제 2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 상기 압력 감지 센서, 상기 가압 부재, 상기 조명 부재 및 상기 음향 발생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플레이트가 당겨지면, 상기 전면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와 상기 제 1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가 서로 접촉되어, 상기 제어 부재가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 의한 감지값에 따라 상기 수납 홀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다음, 상기 음향 발생 부재를 통해 물품의 수납 여부에 대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고,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수납 홀 내에 물품이 수납되어 있는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져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와 상기 제 2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가 서로 접촉되면, 상기 제어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를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가압축과 상기 가압부가 전진되어, 상기 수납 홀 내부의 물품이 상기 전면 플레이트 쪽으로 이동되며,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수납 홀 내에 물품이 수납되어 있지 아니한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져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와 상기 제 2 수납 플레이트측 연결 단자가 서로 접촉되면,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를 작동시키지 아니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압축과 상기 가압부도 전진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독서대.
KR2020110011310U 2011-12-20 2011-12-20 다목적 독서대 KR200469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310U KR200469771Y1 (ko) 2011-12-20 2011-12-20 다목적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310U KR200469771Y1 (ko) 2011-12-20 2011-12-20 다목적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880U KR20130003880U (ko) 2013-06-28
KR200469771Y1 true KR200469771Y1 (ko) 2013-11-07

Family

ID=5074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310U KR200469771Y1 (ko) 2011-12-20 2011-12-20 다목적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7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0221A (zh) * 2020-01-09 2020-05-15 哈尔滨学院 一种多功能英语教学用讲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860U (ko) * 1996-01-31 1997-08-12 김학성 책상
KR200351622Y1 (ko) 2004-03-08 2004-05-24 정운영 독서대가 부설된 상
JP2007503245A (ja) 2003-08-26 2007-02-22 サンフン ラ 万能書見台
KR200458992Y1 (ko) 2010-07-12 2012-03-21 김학성 다목적 독서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860U (ko) * 1996-01-31 1997-08-12 김학성 책상
JP2007503245A (ja) 2003-08-26 2007-02-22 サンフン ラ 万能書見台
KR200351622Y1 (ko) 2004-03-08 2004-05-24 정운영 독서대가 부설된 상
KR200458992Y1 (ko) 2010-07-12 2012-03-21 김학성 다목적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880U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9230S1 (en) Case with stand for an MP3 player device
USD559090S1 (en) Channel support unit for a suspended storage structure
USD637583S1 (en) Device stand
USD589787S1 (en) Showcase storage container for collectible items
USD559529S1 (en) Case with stand for an MP3 player device
USD618939S1 (en) Convertible foldout wall mount desk
USD600250S1 (en) MP3 player speaker
KR200469771Y1 (ko) 다목적 독서대
USD503296S1 (en) Combination dry erase and chalkboard desk
USD695532S1 (en) Flower over the cabinet/drawer hanger support for household items
KR2014013634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US20140353270A1 (en) Stackable storage rack assembly
USD554707S1 (en) Storage case and support cradle for video gaming device
USD690946S1 (en) Flower over the cabinet/drawer hanger support for household items
USD604971S1 (en) Computer retail display stand
CN209939233U (zh) 一种多功能收纳展示盒
USD553687S1 (en) Pen stand
CN201523944U (zh) 一种多用途置物台
JP2021164896A (ja) テーブル
CN206999995U (zh) 一种随意组装的新型收纳文具组合
JP5336121B2 (ja) ワゴン装置、およびこのワゴン装置とデスク装置との組合せ家具
USD595988S1 (en) Storage container for optical media
KR200458992Y1 (ko) 다목적 독서대
KR20080000833U (ko) 책장 겸용 책상
CN211154559U (zh) 一种多功能床头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