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734Y1 -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 Google Patents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734Y1
KR200469734Y1 KR2020110010729U KR20110010729U KR200469734Y1 KR 200469734 Y1 KR200469734 Y1 KR 200469734Y1 KR 2020110010729 U KR2020110010729 U KR 2020110010729U KR 20110010729 U KR20110010729 U KR 20110010729U KR 200469734 Y1 KR200469734 Y1 KR 200469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ipe
handle
ho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464U (ko
Inventor
배희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73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4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4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7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는 소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부; 각각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갖는 제1배관 및 제2배관 중 높이가 낮은 제1배관의 제1플랜지에 형성된 플랜지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장착되는 플랜지 이동부;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플랜지의 상면에 놓여지면서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Centering Device for Flange hole of Pipe}
본 고안은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한 배관의 관이음시 플랜지홀을 센터링 할 수 있는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기체, 액체 등 각종 유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관(Pipe)을 이어 배치한 것이나 연결된 관들을 의미한다. 배관(Pipe)에는 연속적인 관이음을 위해 그 일단 또는 양단에 플랜지(Flange)가 형성된다.
플랜지는 배관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볼트 등을 통해 관이음을 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플랜지에는 다수의 플랜지홀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배관의 관이음시 어느 하나의 플랜지는 관이음되는 다른 플랜지와 접촉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플랜지홀들을 서로 일치시키는 센터링(Centering) 작업이 수행된다.
배관의 관이음 작업은 배관의 크기에 따라 작업 공구가 다소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중소형 배관의 경우 작업자가 뾰족한 공구를 사용하여 플랜지홀을 센터링한 후에 볼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 플랜지홀의 센터링 작업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플랜지홀들의 위치를 확인해가면서 센터링 공구의 뾰족한 부분을 플랜지홀들에 차례로 끼어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손에 많은 힘이 들어가는 등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센터링 공구를 사용할 때 손이 플랜지들의 사이에 끼게 되는 손협착 사고나 장시간 과도한 힘을 사용함에 따라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등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한국공개실용 2011-0005406호(선행문헌 1) 및 한국등록특허 0663670호(선행문헌 2)에 배관의 플랜지의 홀을 일치시키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구조는 나사부 및 고정볼트를 회전시켜 양 배관의 플랜지에 형성된 홀을 일치시키는 구조로서, 나사부 및 고정볼트를 회전시키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나사부 및 고정볼트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조정핸들 및 공구의 회전반경 또한 필요하여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 공개 실용 2011-0005406 선행문헌 2 : 한국 등록 특허 0663670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적은 힘을 사용하면서도 작업이 편리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부; 각각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갖는 제1배관 및 제2배관 중 높이가 낮은 제1배관의 제1플랜지에 형성된 플랜지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장착되는 플랜지 이동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플랜지의 상면에 놓여지면서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을 누르면 상기 플랜지 이동부가 움직이면서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높이조절을 통해 양쪽 플랜지홀들의 중심을 맞출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이동부는 상기 플랜지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 및 상기 높이조절볼트를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플랜지의 상면에 놓여지면서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의 하면은 상기 제2플랜지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는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장착되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단차진 높이를 갖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어느 영역이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는 지렛대 원리를 통해 작업자가 손잡이를 누르는 동작으로 쉽게 센터링이 가능하므로 힘과 시간이 절약되는 등 작업성이 현저하게 좋아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가 배관의 관이음에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 동작도로서 센터링 이전의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측면 동작도로서 센터링 이후의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1)는 크게 손잡이부(100), 플랜지 이동부(200),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100)는 플랜지 이동부(200)와 지지부(300)가 장착되는 주된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에는 플랜지 이동부(2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결합공(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30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100)의 어느 영역은 단면이 원형인 봉 형상일 수 있다.
손잡이부(100)는 플랜지 이동부(200), 지지부(300)와 함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센터링 작업시 힘의 이득을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100)는 단차진 높이를 갖도록 손잡이부(100)의 어느 영역은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 이동부(200)가 장착되지 않은 손잡이부(100)의 타단이 수평면에 대해 더 높은 높이를 갖도록 상부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손잡이부(100)의 타단은 지렛대 원리상 힘점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00)의 타단은 작업자가 손으로 쥐고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1)를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120)로 기능할 수 있다.
플랜지 이동부(200)는 손잡이부(100)의 일단에 장착되는데, 배관 이음시 어느 하나의 배관 플랜지(30, 도 3 내지 도 5 참조)에 형성된 플랜지홀(30a, 도 3 내지 도 5 참조)에 삽입되어 플랜지(30)의 위치가 이동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플랜지 이동부(200)는 지렛대 원리상 작용점 역할을 할 수 있다.
플랜지 이동부(200)는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부재(210), 고정브라켓(220), 연결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재(210)는 다른 플랜지홀(40a, 도 3 내지 도 5 참조)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플랜지홀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부재가 착탈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재(210)는 일단(211)이 플랜지홀에 끼워질 수 있는 볼트부재, 핀 부재 등일 수 있다.
고정브라켓(220)은 삽입부재(21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브라켓(220)은 일단에 삽입부재(210)가 장착되도록 결합부재 탈착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 탈착공(221)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삽입부재(21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220)의 타단은 연결부재(2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핀공(2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브라켓(220)의 삽입부재 탈착공(221)과 핀공(223)은 서로 직교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230)는 고정브라켓(22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손잡이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230)의 힌지공(232)에는 전술한 고정브라켓(220)의 핀공(223)과 힌지축(240)이 결합되면서, 연결부재(230)와 고정브라켓(230)은 상호 회동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230)는 높이조절볼트(231)와 고정너트(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높이조절볼트(231)는 일단이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이 고정브라켓(220)의 핀공과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공(232)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볼트(231)는 일단이 손잡이부(100)의 결합공(110)에 삽입되고, 타단은 고정브라켓(220)과 힌지결합될 수 있다. 고정너트(233)는 높이조절볼트(23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손잡이부(100)의 결합공(110) 상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연결부재(230)는 손잡이부(100)에서 높이가 조절되므로 손잡이부(100)에 대해 고정브라켓(2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재(230)가 손잡이부(100)에 대해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되므로 플랜지의 높이와 크기에 따라 플랜지 이동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부(300)는 손잡이부(100)에 장착되며 손잡이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300)는 배관의 이음시 다른 플랜지(40, 도 3 내지 도 5 참조)의 상면에 놓여지면서 손잡이부(100)를 지지하면서 지렛대 원리상 받침점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부(300)는 플랜지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여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배관의 이음시 다른 플랜지의 상면에 놓여지는 지지부(300)의 위치를 다양한 플랜지의 폭에 대응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00)는 지지본체(310), 위치고정부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본체(310)는 손잡이부(10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장착공(320)이 형성되며, 플랜지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블록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지지본체(310)의 하면(311)은 플랜지에 놓여져 받침점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플랜지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본체(310)는 아래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위치고정부재(340)는 지지본체(31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고정부재(340)는 지지본체(310)를 상부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나비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본체(310)의 상부에는 장착공(320)에 연통되는 볼트공(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플랜지의 크기에 따라 지지본체(310)의 위치를 손잡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절하게 이동한 후, 위치고정부재(340)를 통해 지지본체(310)를 손잡이부(100)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위치고정부재(340)로 예시한 나비볼트는 손쉽게 조임과 풀림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1)는 손잡이부(100)의 타단에 마련된 손잡이(120)를 누르면 플랜지 이동부(200)가 지지부(300)를 회동축으로 하여 움직일 수 있다. 이때, 플랜지 이동부(200)에 체결된 어느 하나의 플랜지(30, 도 3 내지 도 5 참조)와 다른 플랜지(40, 도 3 내지 도 5 참조)의 높이조절을 통해 마주보는 플랜지홀들(30a, 40a)은 센터링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1)가 배관의 관이음에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 동작도로서 센터링 이전의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측면 동작도로서 센터링 이후의 상태도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상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배관(또는 플랜지)으로 기술된 좌측에 위치한 배관을 제1배관(3), 다른 배관으(또는 플랜지)로 기술된 우측에 위치한 배관을 제2배관(4)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제1배관(3)에 형성된 플랜지 및 플랜지홀을 각각 제1플랜지(30) 및 제1플랜지홀(30a)이라고 칭하고, 제2배관(4)에 형성된 플랜지 및 플랜지홀을 제2플랜지(40) 및 제2플랜지홀(40a)이라 칭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제1배관(3)에 형성된 제1플랜지홀(30a)에 플랜지 이동부(200)의 삽입부재(210)를 끼워 고정한다. 이어서 제2배관(4)의 제2플랜지(40) 상부면에 지지부(300)를 올려놓는다. 지지부(300)의 지지본체(310)는 손잡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플랜지(40)의 위치에 맞게 이동한 후 위치고정부재(34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배관들(3, 4)에 본 실시예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1)가 장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3)과 제2배관(4)의 위치가 서로 나란하지 않아 제1플랜지홀(30a)과 제2플랜지홀(40a)의 센터링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 놓여질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잡이부(100)의 손잡이(120)를 쥐고 화살표 ① 방향처럼 아래로 누르게 되면 손잡이부(100)는 지지부(300)를 중심축으로 회동하면서 플랜지 이동부(200)가 화살표 ② 방향처럼 상승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브라켓(220)과 삽입부재(210)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정브라켓(220)에 대해 삽입부재(210)는 화살표 ③ 방향처럼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재(210)에 고정된 제1플랜지(30)는 상승하면서 제2플랜지(40)와 나란한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고, 제1플랜지홀(30a) 및 제2플랜지홀(40a)사이에 센터링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는 지렛대 원리를 통해 작업자가 손잡이를 누르는 동작으로 쉽게 센터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힘과 시간이 절약되는 등 작업성이 현저하게 좋아질 수 있다. 작업성이 좋으므로 배관이 높게 설치된 고소 작업시나 공간이 협소 또는 파이프가 밀집된 지역에서도 센터링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센터링 공구를 사용할 때 손이 플랜지들의 사이에 끼게 되는 손협착 사고나 장시간 과도한 힘을 사용함에 따라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등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본 고안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행문헌 1 및 선행문헌2와 비교하여, 지랫대 구조로서 손잡이부(100)의 작동반경만 확보하면 되므로, 나사부 및 고정볼트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조정핸들 및 공구의 회전반경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협소한 작업공간에도 비교적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단순히 손잡이부(100)을 내리는 작업 만으로 제1플랜지홀(30a) 및 제2플랜지홀(40a)의 중심을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나사부 및 고정볼트를 회전시키는 방법보다 작업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적은 힘을 사용하면서도 작업이 편리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센터링 공구 3 : 제1배관
4 : 제2배관 30 : 제1플랜지
40 : 제2플랜지 30a : 제1플랜지홀
40a : 제2플랜지홀 100 : 손잡이부
110 : 결합공 120 : 손잡이
200 : 플랜지 이동부 210 : 삽입부재
220 : 고정브라켓 230 : 연결부재
231 : 높이조절볼트 233 : 고정너트
300 : 지지부 310 : 지지본체
320 : 장착공 330 : 볼트공
340 : 위치고정부재

Claims (9)

  1. 소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부;
    각각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갖는 제1배관 및 제2배관 중 높이가 낮은 제1배관의 제1플랜지에 형성된 플랜지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장착되는 플랜지 이동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플랜지의 상면에 놓여지면서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을 누르면 상기 플랜지 이동부가 움직이면서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높이조절을 통해 양쪽 플랜지홀들의 중심을 맞추는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이동부는
    상기 플랜지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 및
    상기 높이조절볼트를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플랜지의 상면에 놓여지면서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의 하면은 상기 제2플랜지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는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장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단차진 높이를 갖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부 영역이 절곡된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KR2020110010729U 2011-12-02 2011-12-02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KR200469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29U KR200469734Y1 (ko) 2011-12-02 2011-12-02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29U KR200469734Y1 (ko) 2011-12-02 2011-12-02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64U KR20130003464U (ko) 2013-06-12
KR200469734Y1 true KR200469734Y1 (ko) 2013-11-05

Family

ID=5073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729U KR200469734Y1 (ko) 2011-12-02 2011-12-02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73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70B1 (ko) * 2005-07-06 2007-0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정렬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70B1 (ko) * 2005-07-06 2007-0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정렬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64U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37429U (zh) 一种高效聚苯乙烯管切割装置
CN102049564B (zh) 切割机及其护罩组件
KR101359506B1 (ko) 배관의 플랜지홀 정렬 장치
CN203664998U (zh) 便于工件焊接的装置
CN205325261U (zh) 一种翻转式钻孔夹具
KR200469734Y1 (ko) 배관의 플랜지홀 센터링 공구
CN206718215U (zh) 一种玉石切割夹具
CN207172293U (zh) 一种家装板式切割锯
KR20150064493A (ko) 파이프 절단 면취장치
CN107775113A (zh) 一种设有纳米刀头的圆弧切割工装
CN205342536U (zh) 一种用于连杆大孔径镗削加工的夹具
CN107088629A (zh) 户外输电线路铁塔搭建中钢筋的矫直切断装置
KR20130017279A (ko) 클램핑 장치
KR101340231B1 (ko) 파이프 연결 지그
CN201543910U (zh) 切割机及其护罩组件
CN105127777A (zh) 直角工件定位装置
CN103821344A (zh) 附着式功能一体化支承座
CN209022177U (zh) 一种切管组合工具
CN102049567B (zh) 切割机及其护罩组件
JP4551457B2 (ja) 固定装置付き回転切削装置
CN205350144U (zh) 轻型检具地面防滑定位装置
CN206263029U (zh) 一种便携式手动弯排工具
KR20190019265A (ko) 파이프 절단장치
CN215968577U (zh) 一种轻便式电钻辅助工具
CN205496448U (zh) 钢筋弯曲机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