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502Y1 -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 Google Patents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502Y1
KR200469502Y1 KR2020120000293U KR20120000293U KR200469502Y1 KR 200469502 Y1 KR200469502 Y1 KR 200469502Y1 KR 2020120000293 U KR2020120000293 U KR 2020120000293U KR 20120000293 U KR20120000293 U KR 20120000293U KR 200469502 Y1 KR200469502 Y1 KR 200469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board
rotation
bus stop
billboard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500U (ko
Inventor
김세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광인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광인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광인기업
Priority to KR2020120000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50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5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5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displaying different signs depending upon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은 내부에 광고물이 수용된 광고판 프레임, 상기 광고판 프레임을 버스정류장 쉘터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회동수단, 및 관찰자의 주의를 유도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판 프레임을 설정된 각도로 정역회전시킴으로써 내부의 광고물이 다양한 광고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수단을 제어하는 회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은 관찰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변화되는 렌티큘러 이미지로 구성된 광고물이 내부에 수용된 광고판 프레임을 일정한 각도로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광고물이 다양한 광고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종래의 평면적인 광고물보다 관찰자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Advertising board of Bus stop Shelter}
본 고안은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쉼터를 제공하는 버스정류장 쉘터에 설치된 광고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정적인 평면광고 대신에 관찰 위치에 따라 입체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광고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렌티큘러 이미지를 적용함으로써 광고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하고 선진국화 되어가면서 도로 환경 시설물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심리는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기관 및 각 자치단체별로 이러한 시설물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과거에는 교통 표지판, 신호등, 보도블록 등이 상기 도로 환경 시설물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근래에는 버스정류소에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을 위한 기다림의 장소인 쉘터(shelter) 관련 시설물이 점차적으로 도시 미관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고 버스정류장 쉘터의 설치 수가 늘어나면서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버스정류장 쉘터 시설물은 사람들이 버스를 기다리면서 쉴 수 있는 쉼터이면서 버스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의 노선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나아가 광고판과 같은 광고수단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기업이나 자치단체들의 홍보수단으로도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광고수단을 구비한 버스정류장 쉘터에 관한 상세한 구성은 하기 [문헌 1]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의 경우 쉘터 시설물 일측에 고정된 프레임의 내부에 하나의 이미지를 가진 광고물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광고물의 교체를 통해서만 다른 광고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광고 이미지를 동시에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하나의 광고판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이미지의 갯수가 매우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의 경우 광고 이미지를 정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광고판의 정면 이외의 각도에 위치한 사람들에게는 광고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57988호 (2011. 8. 19. 공고)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설치되는 광고물을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로 변환될 수 있는 렌티큘러(lenticular) 이미지로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광고판을 통해서도 여러 가지 종류의 광고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상기 광고판이 미리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광고판의 정면에 위치하지 않은 관찰자도 광고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관찰자가 자신의 위치를 이동하지 않더라도 광고판의 회전에 의하여 다양한 광고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은 내부에 광고물이 수용된 광고판 프레임, 상기 광고판 프레임을 버스정류장 쉘터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회동수단, 및 관찰자의 주의를 유도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판 프레임을 설정된 각도로 정역회전시킴으로써 내부의 광고물이 다양한 광고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수단을 제어하는 회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고물은 관찰 각도에 따라 광고이미지가 변화되는 렌티큘러 이미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고판 프레임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제어부는 동작 감지센서에서 광고판 프레임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광고판 프레임을 정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광고판 프레임의 상하부에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고판 프레임을 버스정류장 쉘터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을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회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동축결합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회동축에 동축결합된 제2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모터입력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제어부는 모터입력 검출부에서 검출한 구동모터의 입력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이면 상기 광고판 프레임이 현재 회전하고 있는 방향인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고판 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제어부는 제2방향으로 광고판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경우 광고판 프레임의 위치가 처음 정역회전을 하기 이전의 위치인 초기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초기 위치에 도달한 경우이면 상기 광고판 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은 관찰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변화되는 렌티큘러 이미지로 구성된 광고물이 내부에 수용된 광고판 프레임을 일정한 각도로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광고물이 다양한 광고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종래의 평면적인 광고물보다 관찰자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한 버스정류장 쉘터의 A-A부 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버스정류장 쉘터의 "가"부의 상세 확대도,
도4는 도3의 B-B부 단면도,
도5는 도1에 도시한 버스정류장 쉘터에 포함된 광고판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및
도6은 도1에 도시한 버스정류장 쉘터에 포함된 광고판의 동작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버스정류장 쉘터의 A-A부 단면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한 버스정류장 쉘터의 "가"부의 상세 확대도이다.
또한, 도4는 도3의 B-B부 단면도이고, 도5는 도1에 도시한 버스정류장 쉘터에 포함된 광고판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6은 도1에 도시한 버스정류장 쉘터에 포함된 광고판의 동작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정류장 쉘터(1)는 보도블록(2)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10), 상기 지지부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부재(11), 상기 지지부재(10)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패널(12), 및 상기 지지부재(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0)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지면에 수직한 기둥형상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지지부재(10)는 지면과 평행한 보조 지지부재(1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붕부재(11)는 햇빛, 비 또는 눈 등을 막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콘크리트나 금속재질로 구성되었으나, 근래에는 채광이나 도시 미관과 같은 기능성을 고려하여 투명한 아크릴 재질 또는 유리 재질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자외선 차단을 위한 필름이 코팅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 재질 또는 유리 재질은 일반적인 아크릴이나 유리뿐만 아니라 고강도를 가지는 강화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 재질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는 이하의 설명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12)은 일반적으로 투명한 아크릴 재질 또는 강화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며, 버스정류장 명칭 및 버스노선정보 등이 인쇄된 필름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20)은 사각통 형상의 광고판 프레임(21)과, 상기 광고판 프레임(21) 내부에 수용되는 광고물(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광고판 프레임(21)은 일예로서 테두리 부분은 강도유지를 위하여 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전면 및 배면은 내부에 수용된 광고물(미도시)이 외부로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아크릴 재질이나 강화유리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판 프레임(21)의 전면과 배면에는 내부에 광고물 등을 수납하기 위하여 상하회동식(즉, 상면 일측에 회동힌지가 설치된 구조) 또는 전후회동식(즉, 측면 일측에 회동힌지가 설치된 구조) 도어(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고판 프레임(21)의 내부에는 각각 전면 도어와 배면 도어를 통해 외부에서 볼 수 있는 광고물이 수용되며, 상기 광고물들 사이에는 야간에도 상기 광고물들이 보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명장치(미도시)가 더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광고물(미도시)의 경우 종래의 평면적 이미지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서는 일예로서 관찰 각도에 따라 광고이미지가 변화되는 렌티큘러(lenticular) 이미지로 구성하였다.
상기 렌티큘러 이미지라 함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이미지가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예를 들어, 입체(3D/depth), 변환(Flip). 줌(Zoom), 몰핑(Morphing), 동영상(Motion) 등)로 변화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20)은 관찰자(예를 들어, 대기 승객 등)가 자신의 위치를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렌티큘러 이미지로 구성된 광고물의 변화되는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광고판 프레임(21)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30)은 광고판 프레임(21)의 상하부에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고판 프레임(21)을 버스정류장 쉘터(1)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회동축(31a,31b), 상기 회동축(31a,31b)을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2), 및 상기 구동모터(32)의 회전력을 회동축(31a,31b)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33a,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축(31a,31b)은 광고판 프레임(21)의 하부면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보도블록(2)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회동축(31a)과, 상기 광고판 프레임(21)의 상부면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지붕부재(1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패널(15)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회동축(31b)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하부 회동축(31a)과 상부 회동축(31b)을 각각 보도블록(2)과 지지패널(15)에 베어링 구조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다른 회동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하부 회동축(31a)이 보도블록(2)에 결합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광고판 프레임(21)이 설치되는 지지부재(10)의 하부에서 보도블록(2)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대(미도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2)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통상의 DC 모터 또는 스텝 모터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구동모터(32)는 지지패널(15)의 내부 공간(S)에 수용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15)의 내부 공간(S)에는 상기 구동모터(32)의 회전력을 상부 회전축(31b)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33a,33b)가 더 수용되는데, 상기 동력전달부재(33a,33b)는 구동모터(32)의 회전축(32a)에 동축결합된 제1기어(33a)와, 상기 제1기어(33a)와 치합되고 상기 상부 회동축(31b)에 동축결합된 제2기어(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부재(33a,33b)를 기어부재를 이용하여 구현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구동모터(32)를 직접 상부 회동축(31b)에 결합시키는 방식 등 공지된 여러 가지 다른 동력전달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20)은 광고판 프레임(2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4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방지부(40)는 대기 승객 등이 고의로 광고판 프레임(21)의 회전을 방해하거나 강제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동수단(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방지부(40)는 지지패널(15)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패널(15)의 하부면을 통해 승강하여 출몰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바(41)와, 상기 고정바(41)가 하강하는 경우 고정바(41)의 일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광고판 프레임(21)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홈(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41)는 통상의 도어개폐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방식에 의하여 전동식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하강시에는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홈(42)에 삽입됨으로써 광고판 프레임(21)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고 승강시에는 일측 단부가 고정홈(42)에서 빠지게 됨으로써 상기 광고판 프레임(21)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방지부(40)가 고정바(41)와 고정홈(42)으로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구동모터(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릴레이 등의 전자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는 걸림쇠 구조나 마찰부재 등을 이용하여 동력전달부재(33a,33b), 회동축(31a,31b) 또는 구동모터의 회전축(32a)의 회전을 방지하는 통상의 록킹(locking)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20)의 경우 광고판 프레임(21), 지지부재(10) 또는 지지패널(15) 등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작 감지센서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동작 감지센서부(120)에서 광고판 프레임(21)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에 광고판(20)이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대기 승객 등이 없는 경우에도 광고판(20)이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수단(30) 및 회전방지부(40)가 지지패널(15)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 보도블록(20)의 내부(즉, 하부 회동축(31a)측)에 매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20)의 동작구성을 살펴보면, 입력부(110)를 통해 광고판(20)의 동작을 개시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광고판(20)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신호를 구동모터(32)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동작 감지센서부(120)에서 광고판(20)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에 광고판(20)이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터입력 검출부(150)에서 검출한 구동모터(32)의 입력이 비정상인 경우이면 회전방지부(40)를 작동시켜 광고판(20)의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별도로 구비된 타이머부(140)를 이용하여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20)의 구체적인 동작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입력부(110)를 통하여 광고판(20)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동작 감지센서부(120)의 출력을 이용하여 광고판(20)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S10, S20).
또한, 상기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제어부(100)는 광고판(20) 주변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0), 판단결과 움직임이 없는 경우이면 S20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고 움직임이 있는 경우이면 메모리부(130)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광고판 프레임(21)을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정역회전시키게 된다(S40).
이때,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는 일정한 위치에 있는 관찰자가 광고물의 렌티큘러 이미지가 변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스정류정 쉘터 광고판(20)은 광고판 프레임(21)이 일정한 각도로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광고물이 다양한 광고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종래의 평면적인 광고물보다 관찰자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S40 단계가 수행되면 제어부(100)는 구동모터(32)의 입력을 검출하고(S50), 검출된 모터입력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60).
이때, 상기 설정값은 구동모터(32)가 정격에서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의 입력값(예를 들면, 상한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입력값의 범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S60 단계의 판단결과, 구동모터(32)의 입력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이면 제어부(100)는 구동모터(32)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비정상적인 동작상태라고 판단하여 광고판(20)을 현재 회전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S70), 구동모터(32)의 입력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이면 정상적인 동작상태라고 판단하여 S50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또한, 상기 S7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광고판(20)의 위치가 처음 정역회전을 하기 이전의 위치인 초기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80), 도달하지 않은 경우이면 S70 단계를 수행하고 도달한 경우이면 일정 시간 동안 광고판(2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회전방지부(40)를 동작시킨 후 다시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광고판(20)을 정역회전시키게 된다(S90).
이때, 상기 초기위치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고판(20)이 처음 정역회전을 하기 이전의 위치로서, 이는 상기 고정바(41)와 고정홈(42)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즉, 고정바(41)가 고정홈(42)에 삽입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회전방지부(40)를 동작시켜 광고판(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구동모터(3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과부하에 의한 구동모터(32)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10 : 지지부재 11 : 지붕부재
15 : 지지패널 20 : 광고판
30 : 회동수단 31a,31b : 회동축
32 : 구동모터 33a,33b : 동력전달부재
40 : 회전방지부

Claims (7)

  1. 내부에 광고물이 수용된 광고판 프레임;
    상기 광고판 프레임을 버스정류장 쉘터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회동수단;
    관찰자의 주의를 유도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판 프레임을 설정된 각도로 정역회전시킴으로써 내부의 광고물이 다양한 광고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수단을 제어하는 회동제어부: 및
    상기 광고판 프레임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제어부는 동작 감지센서에서 광고판 프레임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광고판 프레임을 정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물은 관찰 각도에 따라 광고이미지가 변화되는 렌티큘러 이미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광고판 프레임의 상하부에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고판 프레임을 버스정류장 쉘터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을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회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동축결합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회동축에 동축결합된 제2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모터입력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제어부는 모터입력 검출부에서 검출한 구동모터의 입력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이면 상기 광고판 프레임이 현재 회전하고 있는 방향인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판 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제어부는 제2방향으로 광고판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경우 광고판 프레임의 위치가 처음 정역회전을 하기 이전의 위치인 초기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초기 위치에 도달한 경우이면 상기 광고판 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KR2020120000293U 2012-01-12 2012-01-12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KR200469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93U KR200469502Y1 (ko) 2012-01-12 2012-01-12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93U KR200469502Y1 (ko) 2012-01-12 2012-01-12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500U KR20130004500U (ko) 2013-07-22
KR200469502Y1 true KR200469502Y1 (ko) 2013-10-22

Family

ID=5073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293U KR200469502Y1 (ko) 2012-01-12 2012-01-12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5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646B1 (ko) 2022-04-08 2022-09-29 주식회사 디샤인 버스 정류장 옥외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6219B (zh) * 2018-09-20 2020-03-20 湖南省康德佳林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座椅切换功能的智能公交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558Y1 (ko) * 2004-01-15 2004-05-24 이원섭 렌티큘라 전용 속도, 각도 조정 장치 및 Up/Dn회전간판
KR20090098166A (ko) * 2008-03-13 2009-09-17 (주) 예진디자인 회전타입 광고용 간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558Y1 (ko) * 2004-01-15 2004-05-24 이원섭 렌티큘라 전용 속도, 각도 조정 장치 및 Up/Dn회전간판
KR20090098166A (ko) * 2008-03-13 2009-09-17 (주) 예진디자인 회전타입 광고용 간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646B1 (ko) 2022-04-08 2022-09-29 주식회사 디샤인 버스 정류장 옥외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500U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70228B1 (en) A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display device
US11900835B2 (en) Vehicular display device
CN102105925A (zh) 一种用于在建筑物上显示视频图像的装置
US20180052321A1 (en) Light-sensing heads-up display with reflective and emissive modes
KR200469502Y1 (ko)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CN106004361B (zh) 车用遮光板、遮光板系统、车辆及遮光和显示方法
WO2019048271A1 (de) Fahrzeug mit anzeigeeinheit
CN205810310U (zh) 双面滚动广告灯箱
KR200396095Y1 (ko) 전광판의 회전 지지장치
CN109403239B (zh) 具有投影功能的道闸
KR101955385B1 (ko) 엘이디 트라이 비전
EP2600333B1 (de) Baustelleninformationsvorrichtung
CN205910988U (zh) 广告门
KR20180101091A (ko) 주차 차단기에 설치되는 광고 장치
CN206726681U (zh) 一种卷轴多面广告箱
KR101905106B1 (ko) 하이브리드 옥외 표시장치
JP2000206909A (ja) 駐車場表示装置
KR101208664B1 (ko)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
JP2003271079A (ja) 表示ユニット、および大型表示装置
CN205142364U (zh) 一种双向治安监控设备
CN212484801U (zh) 一种市政路牌安装用多功能安装支架
JP2020086139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2148902B1 (ko) 주차안내 전광판
CN219637749U (zh) 一种方便更换的新材料智能标志牌
CN210955987U (zh) 一种可多方位显示多画面的广告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