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052Y1 -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052Y1
KR200469052Y1 KR2020130005347U KR20130005347U KR200469052Y1 KR 200469052 Y1 KR200469052 Y1 KR 200469052Y1 KR 2020130005347 U KR2020130005347 U KR 2020130005347U KR 20130005347 U KR20130005347 U KR 20130005347U KR 200469052 Y1 KR200469052 Y1 KR 200469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ower
fluid
forc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기
Original Assignee
최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기 filed Critical 최영기
Priority to KR2020130005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0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0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10Alleged perpetua mobili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3/00Alleged dynamo-electric perpetua mobil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그넷의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생산하는 동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의 같은 극성 사이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금속 제어판을 인출입하여, 상기 마그넷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교차 발생시켜, 척력의 힘을 유압으로 바꾸고, 유압을 일정한 압력으로 저장하며, 저장된 유압을 통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HYDRODYNAMIC POWER PLANT WITH MAGNET}
본 고안은 마그넷의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생산하는 동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의 같은 극성 사이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금속 제어판을 인출입하여, 상기 마그넷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교차 발생시켜, 척력의 힘을 유압으로 바꾸고, 유압을 일정한 압력으로 저장하며, 저장된 유압을 통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석은 다른 극성끼리는 당기는 인력이 있고, 도 금속 자성체를 가까이 하면 극성에 관계없이 당기는 인력이 있다. 반면 영구자석의 같은 극성끼리는 밀어내는 척력의 힘이 있다. 또한 유압의 특성은 압축이 불가능하지만 고 압력 유압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유압을 에너지 손실 없이 사용 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저장 압력을 피스톤(실린더) 평균 압력 대비 90%로 유지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에서 고르지 않은 압력을 하나로 통일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유압 에너지를 동력 에너지로 바꾸는 것 또한 일반화 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0-0104411호 『영구자석의 반발력을 액체자석으로 제어하는 동력장치』와 종래기술 특허공개 제10-2008-0047300호 『영구자석식 회전전기, 풍력발전시스템, 영구자석의 착자방법』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 공개특허 제10-2010-0104411호 『영구자석의 반발력을 액체자석으로 제어하는 동력장치』는 회전자와 고정자의 동일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되, 고정자 측에 액체자석을 넣은 신축성 있는 주머니를 부착하여, 회전자가 고정자 측으로 진입할 때 생기는 반발력으로 액체자석은 퇴각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진입시에 발생하는 반발력을 최소화하고, 회전자가 고정자의 중심에서 퇴각할 때 액체자석은 진입방향으로 다시 복귀하는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여 진입시의 반발력보다 퇴각시의 반발력을 크게 함으로서 연속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영구자석의 반발력을 액체자석으로 제어하는 동력장치를 제시하고,
또한 상기 종래기술 특허공개 제10-2008-0047300호 『영구자석식 회전전기, 풍력발전시스템, 영구자석의 착자방법』는 영구자석식 회전전기, 특히 풍력발전용 영구자석식 회전전기에서 발열한 발전기를 냉각하기 쉬운 구조로 하여 체격을 축소하여 저비용화하는 것으로서, 영구자석 회전자는 회전자 철심으로 이루어지고, 영구자석이 회전자 철심의 영구자석 슬롯에 넣어져 있고, 상기 영구자석은 1극에 대하여 2개씩 배치되며, 영구자석 회전자는 극 사이에 냉각용 통풍로를 설치하고, 그곳에 냉각풍을 흘림으로서 발전기 내부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자석식 회전전기, 풍력발전시스템, 영구자석의 착자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자석 상호간에 발생하는 인력과 척력으로 인하여 자석을 회전시켜 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회전력을 가하기 어려워 동력에 일정한 힘을 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 공개특허 제특1998-016959호 『차량용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내장한 동력추진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차량의 진행속도를 계산함과 동시에 연산된 속도를 판정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한 제어부에서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며 극성을 바꾸는 전자석과 상기한 전자석의 변환되는 극성에 의해 반발력으로 회전하는 영구자석을 구성하는 동력추진장치를 갖는 동력추진부와 상기한 동력추진부의 회전동력으로 차량을 진행하도록 회전하는 동력회전부를 포함하며, 동력추진부의 동력추진장치는 길게 연장된 원통형으로 내부에는 빈공간을 형성한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소정두께의 원통형을 형성한 영구자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내장한 동력추진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차량에 구비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의 동력에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보조동력을 추진하여 동력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영구자석을 회전함으로써 동력을 추진하는 경우 일정한 동력을 전달하기 어렵고, 동력 전달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는 수단이 없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 공개특허 제특1998-073693호 『영구자석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받침대 상에 관체형태의 하우징을 형성하되, 그 안으로는 자장차단물을 관체형태로 삽입시킨 후 사방 4개소에 융기부가 형성되고, 각 융기부사이에는 라운딩진 경사로 이루어진 홈이 형성된 가이드를 삽입하며, 4개소에 구멍이 형성된 회전체를 가이드 안으로 삽입시키되, 회전체의 각 구멍에는 핀과 스프링으로 조립되면서 단부에 영구자석이 부착된 요동체를 조립하고, 중심으로는 4개소의 돌출단에 각기 영구자석이 부착된 축을 삽입하여서, 구성된 하우징을 순차적으로 연결조립하고 각 하우징 안으로는 시계방향으로 15도의 각도 이동이 되도록 하여 상기한 회전체를 각각 연결 삽입시키며, 축상의 돌출단의 위치 또한 시계방향으로 15도 각도이동이 된 채 각 하우징 내부에 위치토록 한 후 좌측단에 위치하는 회전체에는 기어를 가지는 관체를 조립하고 우측단의 회전체와 축단을 연결하며, 실린더의 피스톤 상에 설치된 세루모타의 피니언과 상기한 기어가 치합되도록 하고 관체를 관통하는 축 단에는 전자클러치를 설치하여 피동축에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를 제시하고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요동체의 영구자석과 돌출단의 영구자석이 근접함으로서 발생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회전체를 회전함으로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는데, 각 영구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회전체를 회전하는 경우 반발력의 힘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렵고, 이로인해 회전속도도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음으로서, 일정한 동력을 전달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에 있어서,
서로 같은 극을 마주하여 구비되는 두 개의 마그넷과 마그넷들 사이에 구비되어 인력 척력을 제어하는 제어판을 포함하는 자력부재와, 상기 자력부재에 연결된 동력부재로 이루어진 발전수단을 통하여 인력과 척력을 반복함으로써 동력부재의 유체를 이동시키며, 유압을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동력부재에 연결되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저장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연결되어 유체의 흐름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터빈을 포함한 회전수단을 통하여 회전운동을 발생시켜 동력을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발전수단을 저장수단에 복수개로 구비하여 동력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동력부재로 재투입되는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조절콕을 구비하여 재투입되는 유압을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마그넷이 제어판에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는
서로 같은 극을 마주하여 구비되는 두 개의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들 사이에 인출되어 마그넷들의 인력 및 척력을 제어하는 제어판을 포함하는 자력부재와, 상기 자력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들의 인력 및 척력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를 구비한 동력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전수단;과
상기 발전수단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재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투입되는 유입부와, 유입되는 유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중력추 및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저장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에 흐름에 의하여 회전하는 터빈과, 터빈을 회전시킨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로로 이루어진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는 두 개의 마그넷의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한 자력부재를 구비하여 고장의 위험이 없어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추가적인 원료 없이 동력을 생산 할 수 있어 파급 효과가 클 뿐 아니라,
공해가 발생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며,
구조가 간단하여 대량생산 할 수 있어 화석연료의 대체 효과가 크며, 누적 발전 가동 수가 증가하면 원자력 발전을 대체 할 수 도 있으며,
이동 가능한 발전장치로서, 지역, 건물, 공장 등으로 분산되어 발전 가능하게 하여 추가 송전 시설이 필요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의 블록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의 흐름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전수단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수단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수단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넷(111)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P)에 사용되는 유체 흐름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마그넷(111)의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는 발전수단(10)을 통하여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고, 이러한 유체는 상기 저장수단(20)으로 이동하되, 상기 발전수단(10)의 동력부재(13)에 구비되는 실린더(133)의 왕복운동으로 유압을 형성하며, 다시 유체는 저장수단(20)에서 회전수단(30)으로 이동하여 회전수단(30)에 구비되어 있는 터빈(31)을 회전시킴으로서 동력을 형성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넷(111)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P)는 상기의 설명과 같이 자력부재(11)와 동력부재(13)로 이루어진 발전수단(10)과,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20) 및 유체의 흐름으로 터빈(31)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자력부재(11)는 서로 같은 극을 마주하여 구비되는 두 개의 마그넷(111)과, 상기 마그넷(111)들 사이에 인출되어 마그넷(111)들의 인력 및 척력을 제어하는 제어판(115)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영구자석, 즉 마그넷(111)의 사용 제품으로 "리프팅 마그네트"는 자성체 금속을 10톤까지 자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전자석의 힘으로 "자기 부상 열차"가 자력의 힘으로 철로에서 8m/m 뜬 채 운영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듯 마그넷(111)은 같은 극성끼리 맞대면 서로 강하게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마그넷(111) 사이에 자성체 금속 강판을 지정된 홈으로 밀어 넣으면,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당기는 인력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마그넷(111)의 척력과 인력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마그넷(111)은 원기둥 모양이나 사각기둥 모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그넷(111)의 양단부, 즉 각 마그넷(111)이 서로 마주보는 단부와 그 반대 단부를 제외하고는 자성체 자성체 금속으로 마그넷(111)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성체 금속으로 덮인 부분은 자력이 발생하지 않고, 자성체 금속이 덮이지 않은 부분으로 자력(가오스)이 몰려, 자성체 금속으로 덮지 않은 마그넷(111)보다 더 강한 자력이 표출되어 서로 마주보는 마그넷(111)들 상호간에 발생하는 인력이나 척력이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상기 각 마그넷(111) 사이에는 상기 마그넷(111)들 사이를 입출하는 제어판(115)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제어판(115)은 도 3의 일점쇄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에 삼각형을 덧붙인 모양, 즉 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판(115)이 상기 각 마그넷(111)들 사이, 즉 인력 또는 척력이 형성되는 자력부(113)에 들어가는 경우 상기 제어판(115)의 뾰족한 부분, 즉 입출부(115a)가 먼저 들어가게 되고 평탄부(115b)가 나중에 투입되며, 반대로 상기 제어판(115)이 상기 자력부(113)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는 상기 평탄부(115b)가 먼저 빠지고, 입출부(115a)가 나중에 빠지게 되어, 상기 자력부(113)에 상기 마그넷(111)이 입출할 때 상기 자력부(113)에 형성되는 자력의 힘을 덜 받으며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출부(115a)는 상기 평탄부(115b)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마그넷(111)의 인력 또는 척력을 받는 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판(115)이 상기 마그넷(111) 사이를 입출할 때 저항을 최소화 하여 입출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어판(115)이 상기 자력부(113)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자력부(113)에 형성되는 마그넷(111)들 사이의 척력을 차폐 시켰다가, 빠져 나갈수록 상기 제어판(115)의 양쪽에서 상기 제어판(115)을 당기는 힘과, 상기 마그넷(111)끼리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교차됨으로서, 상기 제어판(115)을 상기 자력부(113)에 입출되도록 왕복운동을 하는 경우에 적은 힘이 사용되게 되고, 상기 제어판(115)의 이동은 일반적으로 공기의 압력, 즉 공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그넷(111)보다 상기 제어판의 평탄부(115b)의 면적이 크게 구성되어 자력을 완벽하게 차단 및 형성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발전수단(10)에는 자력부재(11)에 구비되어 유압을 펌핑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넷(111)들의 인력 및 척력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133)를 구비한 동력부재(13)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동력부재(13)는 내부에 승하공간(131a)을 구비한 하우징(131)과, 상기 승하공간(131a)을 따라 승하강 왕복운동하는 실린더(133)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린더(133)는 상기 마그넷(111)과 직렬연결되어, 상기 마그넷(111)에 척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133)를 하강(상기 실린더(133)와 직렬연결된 마그넷(111)의 반대방향) 하여 상기 하우징(131) 내부에 있는 유체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마그넷(111)에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실린더(133)를 상승(상기 실린더(133)와 직렬연결된 마그넷(111) 방향)시켜, 유체를 상기 하우징(131) 내부에 투입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면에는(도4 참고) 보다 과장되게 표현하였으나, 상기 마그넷(111)은 상기 동력부재(13)의 실린더(133)보다 단면적이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단면적이라 함은 실린더(133)가 유체를 가압하는 면적과 상기 마그넷(111)의 척력 또는 인력이 발생하는 면적을 말하며,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넷(111)과 실린더(133)의 단면적 비율이 5:1이면, 상기 마그넷(111)이 400kg을 밀어내는 힘이 있다면 실린더(133)에 작용하는 유압은 2000kg의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넷(111)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P)에는 상기 발전수단(10)과 연결되며, 상기 동력부재(13)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투입되는 유입부(25), 상기 유입부(25)를 통한 유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중력추(23) 및 상기 일정하게 가압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27)로 이루어진 저장수단(20)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저장수단(20)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전수단(1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발전수단(10)은 상기 저장수단(20)의 외면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장수단(2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공간(211)을 구비한 본체(21)와, 상기 본체(21) 내부에 구비되어 일정하게 유체를 가압하는 중력추(23) 및 상기 중력추(23)와 상기 본체(21) 사이에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231)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수단(20) 내부에 일정한 압력을 가압할 수 있는데, 상기의 예와 같이 상기 마그넷(111)이 400kg를 밀어내는 힘이 있다면 유압은 2000kg의 압력이 발생하고, 있때 상기 실린더(133)의 내부에는 2톤의 압력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압력이 증강된 유압을 상기 저장수단(20)에 저장하게 되고,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체의 상부에서 가압하는 중력추(23)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21)의 내부 지름이 클수록 비례해서 중력추(23)가 커지게 되는데, 실제 지름의 크기는 상기 발전수단(10)의 동력부재(13)를 이루는 하우징(131)의 지름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저장수단(20)의 내부압력은 상기 동력부재(13)의 평균압력의 90프로 수준으로, 상기 복수개로 구비되는 동력부재(13)의 압력이 상기 저장수단(20)의 압력보다 크게 구성되어 후술하는 회전수단(30)에 가해지는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수단(30)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수단(30)은 상기 저장수단(20)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27)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회전하는 터빈(31)과, 상기 터빈(31)을 회전시킨 유체는 상기 회전수단(30)의 배출부(27)와 연결되는 압력해제통에 구비되며, 압력해제통에 구비된 유체는 다시 상기 발전수단(10)의 동력부재(13)에 재투입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압력해제통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동력부재(13)에 투입되는 경우 동력부재(13)에 구비되는 유입로(135)를 통하여 상기 동력부재(13)로 재유입되게 되는데, 상기 유체를 유입하기 위하여 상기 마그넷(111)은 인력이 작용하게 되며, 인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어판(115)으로 마그넷(111)이 서로 당겨지는데, 이 경우 상기 마그넷(111)과 상기 제어판(115)이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로(135)에는 유입조절콕(135a)을 구비하여 상기 유입로(135)의 유입구멍을 작게 조절함으로서 유체가 재유입되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마그넷(111)과 상기 제어판(115)의 충돌을 방지 할 수 있다.
다시 도 1의 블록도를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넷(111)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P)의 흐름을 설명하면,
상기 발전수단(10)의 자력부재(11)에 구비되는 제어판(115)이 상기 마그넷(111)들 사이에 인출됨에 따라 상기 마그넷(111)들 사이에는 인력과 척력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111)의 척력으로 인하여 유체가 상기 동력부재(13)에서 상기 저장수단(20)으로 투입되며, 투입된 유체는 상기 배출부(27)를 통하여 상기 회전수단(30)으로 투입되어 상기 터빈(31)을 회전시킴으로서, 동력을 생성하고,
동력을 생성한 유체는 다시 회전수단(30)에 구비되어 있는 배출로(33)를 통하여 압력해제통에 저장되고,
상기 마그넷(111)의 인력으로 인하여 상기 압력해제통에 저장된 유체를 다시 상기 동력부재(13)로 투입시키게 된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
10 : 발전수단 11 : 자력부재 111 : 마그넷
113 : 자력부 115 : 제어판 115a : 입출부
13 : 동력부재 131 : 하우징 131a : 승하공간
133 : 실린더 135 : 유입로 135a : 유입조절콕
20 : 저장수단 21 : 본체 211 : 저장공간
23 : 중력추 231 : 오링 25 : 유입부
27 : 배출부 30 : 회전수단 31 : 터빈
33 : 배출로

Claims (4)

  1. 서로 같은 극을 마주하여 구비되는 두 개의 마그넷(111)과, 상기 마그넷(111)들 사이에 인출되어 마그넷(111)들의 인력 및 척력을 제어하는 제어판(115)을 포함하는 자력부재(11)와, 상기 자력부재(11)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111)들의 인력 및 척력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133)를 구비한 동력부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전수단(10);과
    상기 발전수단(10)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재(13)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투입되는 유입부(25)와, 유입되는 유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중력추(23) 및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27)로 이루어진 저장수단(20); 및
    상기 저장수단(20)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27)를 통해 유입된 유체에 흐름에 의하여 회전하는 터빈(31)과, 터빈(31)을 회전시킨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로(33)로 이루어진 회전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재(11)의 제어판(115)은 자력의 힘을 받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그넷(111)은 동력부재(13)의 실린더(133)보다 단면적이 크고,
    상기 발전수단(10)은 하나의 저장수단(20)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단(10)에서
    상기 마그넷(111)의 일부를 자성체 금속으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재(11)의 마그넷(111)은
    상기 동력부재(13)의 실린더(133)와 직렬연결되고,
    상기 회전수단(30)에는 압력해제통이 더 구비되며,
    상기 마그넷(111)의 척력으로 인하여 유체가 상기 동력부재(13)에서 상기 저장수단(20)으로 투입되며, 투입된 유체는 상기 배출부(27)를 통하여 상기 회전수단(30)으로 투입되어 상기 터빈(31)을 회전하고,
    터빈(31)을 회전한 유체는 다시 상기 배출로(33)를 통하여 압력해제통으로 이동하고, 상기 압력해제통에서 다시 상기 동력부재(13)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
KR2020130005347U 2013-07-01 2013-07-01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 KR200469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347U KR200469052Y1 (ko) 2013-07-01 2013-07-01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347U KR200469052Y1 (ko) 2013-07-01 2013-07-01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052Y1 true KR200469052Y1 (ko) 2013-09-25

Family

ID=5073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347U KR200469052Y1 (ko) 2013-07-01 2013-07-01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05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196A (ko) * 1996-12-11 1998-09-15 박병재 자력 기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196A (ko) * 1996-12-11 1998-09-15 박병재 자력 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4068B (zh) 电机
US20130264828A1 (en) Rotational kinetic energy conversion system
CN102687375A (zh) 具有磁性驱动器的磁悬浮飞轮能量存储系统
CN102933843A (zh) 利用旋转运动向线性运动的转换的发电机
KR200469052Y1 (ko) 마그넷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장치
WO2013149627A1 (de) Skalierbare vorrichtung und anordnung zur speicherung und abgabe von energie
US2015028823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verting torque
US9537368B2 (en) Magnetic power generator for hybrid vehicle and/or electric power plant
CN209671127U (zh) 基于多稳态驰振的流体能量捕获器
CN106870288A (zh) 基于磁致伸缩的旋转压电式微风发电装置
US9641045B2 (en) Electromagnetic platform motor (EPM) (EPM-1) (EPM-2)
WO2009052729A1 (fr) Moteur à énergie magnétique
CN101436811A (zh) 新式永磁机
CN108755681B (zh) 一种土木建筑用水面夯实器
CN102938601B (zh) 一种利用压电堆进行位置锁止的大位移磁作动器
CN201142624Y (zh) 转动定子助力电动机
CN103457516A (zh) 镂刻磁体能量转换装置
JP2011097815A (ja) 磁力駆動エンジン
DE102016013966A1 (de) Überschlagschaukel-Generator-Kombination: Perpetuum mobile
CN105262321A (zh) 一种磁能及弹簧蓄能转换为机械能的装置
CN201478989U (zh) 磁铁吸引动力发电机
CN201378817Y (zh) 永磁能动力机
KR20190100825A (ko)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CN205141914U (zh) 一种手摇式双输出发电机
WO2024010564A1 (en) Magnetic repulsion motor and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