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825A -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825A
KR20190100825A KR1020180021393A KR20180021393A KR20190100825A KR 20190100825 A KR20190100825 A KR 20190100825A KR 1020180021393 A KR1020180021393 A KR 1020180021393A KR 20180021393 A KR20180021393 A KR 20180021393A KR 20190100825 A KR20190100825 A KR 20190100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ity
magnet
force
magnetic
centrifug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풍
엄용호
엄지원
Original Assignee
엄재풍
엄지원
엄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풍, 엄지원, 엄용호 filed Critical 엄재풍
Priority to KR102018002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0825A/ko
Publication of KR2019010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10Alleged perpetua mobil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3/00Alleged dynamo-electric perpetua mobili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5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chains and sprockets; using toothed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의 자력과 중력, 원심력을 이용한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중력과 순수한 자석의 인력과 척력만을 이용하여 중력과 자력에너지를 기계적 운동에너지로 전환시켜 동력을 얻는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석과 중력을 이용한 회전 장치는 자석의 척력과 인력으로 발생하는 힘이 고정자석의 중심을 기준으로 항상 반대방향이며, 같은 크기로 발생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고자 하는 일은 회전중심을 기준하여 좌, 우에 작용하는 중력의 합이 같기 때문에 모멘트의 합도 같아 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가 난점이 있었다.
그러나 ,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엔트로피나 엔탈피의 변화의 에너지보존의 법칙이나 열역학적 제1법칙과는 전혀 관계없이 여러 개의 힘을 융합시킨 것으로 아인슈타인 박사의 특수상대성논리를 증명한 본 발명은 소모성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중력과 자석의 인력과 척력,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석의 자력과 회전반경이 다른 중력을 기계적 운동에너지로 전환시키며, 회전원심력을 이용한 가속 등을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므로 반드시 필요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A Equipment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Magnetic and Gravity and Centrifugal Force}
본 발명은 자석의 자력과 중력을 이용한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전기 및 기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작용반경이 다른 중력과 자석의 인력과 척력, 자체 발생 된 원심력을 이용하여 중력과 자력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시켜 동력을 얻는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자석의 자력과 전자력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1730년 프랑스의 Du Pey가 행한 실험에서 같은 종류의 전하는 서로 밀고 다른 종류의 전하는 서로 당긴다는 사실을 밝혔는데 Coulomb은 정밀한 뒤틀림 천칭을 이용하여 이를 정량화 하였다.
보통 이 힘을 Coulomb의 힘이라 부르며 같은 종류의 전하 사이에는 척력, 다른 종류의 전하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중력은 물체와 물체사이에 작용하는 만유인력의 일종으로 지구의 상에서는 지구중심으로 향하는 힘[g=9.81㎡/sec]을 일컫는다.
에너지를 얻기 위한 종래의 동력원으로는 목재, 석유, 경유, 휘발유, 알콜 등의 연료를 사용하였으나 현재에는 원자력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및 지하의 온수 개발, 세일가스 등의 동력을 얻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 이러한 동력원을 얻는 방법은 유한에너지를 이용한 방법으로서 이용하는 에너지는 한정된 유한에너지로 계속 고갈되고 있는 실정이며, 일정하고, 지속적이지 못해 지속적인 대체 에너지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었다.
또한, 상기 에너지원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는 개발에 많은 어려움과 비용이 투자되며, 특히 장비개발에 따른 시설비 및 그에 따른 인력이 필요하고, 자원 고갈에 따른 에너지 부족, 연료사용에 따른 공해발생, 자원발굴에 따른 자연훼손 등의 각종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한 쌍의 자석을 이용한 회전 장치는 자석의 척력과 인력으로 발생하는 힘이 자석의 중심을 기준으로 항상 반대방향이며, 같은 크기로 발생하기 때문에, 회전력과 역 회전력의 크기가 같아 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가 난점이 있었다.
또한, 중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고자 하는 일은 회전중심을 기준하여 좌, 우에 작용하는 중력의 합이 같기 때문에 모멘트의 합도 같아 회전력은 0일 수밖에 없어 동력산출에 역시 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고정자와 회전자를 동일한 극으로 하여 회전체를 구성하려면 자석의 인력은 미약하게 작용하고 큰 척력만이 사용되는데, 특정의 회전 방향을 정해놓고 한 개의 자석은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자석을 회전방향으로 진행할 때, 고정된 자석의 전반부 척력은 반발하여 역회전 작용을 하고, 후반부의 척력이 회전 방향으로 추력하나, 그 크기가 동일하여 밀고 당기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회전 작용을 유도하기에 난점이 있다.
그러므로 , 고정자를 기구학적으로 움직여 회전자를 밀어 자력을 회전방향으로만 작용시키려는 방법과 여러 개의 자석을 사용하여 회전자 및 고정자를 구성하여 한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게 하는 등의 자력 이용기술과 회전중심에서부터 회전 반경을 틀리게 유도하여 중력의 모멘트를 이용하고자 하는 등등의 여러 가지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전기, 가스 열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회전반경이 틀리는 중력과 자석의 인력과 척력, 자체에서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석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자력과 중력을 물리적 운동에너지로 전환시켜 전자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는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한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를 얻기 위한 자석의 자력과 중력, 원심력을 이용하여 가속을 발생시키고 가속을 회전체에 인가하여 계속적으로 동력을 얻는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에 유해한 물질을 발생하지 않고 동력을 얻을 수 있는 중력과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동력을 얻는 회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물리를 기초로 하는 과학자들은 평면계산상의 짝힘이며, 방향이 반대인 중력과 자력의 힘을 에너지보존의 법칙을 들어 고정관념으로 불가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 중력과 자력(자석의 힘)은 물체를 움직여 일을 해도 그에 준하는 엔탈피와 엔트로피의 변화가 없다.
이는 중력과 자력의 힘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것이 열역학 제1법칙과는 무관하다는 증거이며, 그 짝힘을 기구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유도하는 기술이다.[그리고 실제로 중력으로 회전하며 에너지를 얻는 사실을 필요하다면, 동영상으로 제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중력으로 무게추의 모멘트 반경을 다르게 변화하여 회전하며, 회전방향의 전환으로 인해 무게추가 상승하는 하사점부근에 자력을 인가하여 무게추의 중력을 약화시키며, 회전력을 증가하는 자석 부를 설치하고, 무게추의 위치를 자석의 힘으로 역 중력 방향으로 밀어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무게추가 속도에 의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외부회전하면서 외부자석과 척력이 발생하여 가속도가 발생되며, 회전판에 중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안내 장치 상에 자석을 설치하여 원심력에 의해 고정 자석 척력의 고밀도 영역으로 진입시켜 강한 척력에 의해 회전력과 가속을 발생하게 하는 발전장치이다.
상세하게는 N극과 S극으로 형성된 단위 자석을 다수개 사용하여 한쪽으로 같은 극이 향하게 하여 띠 형태로 구성된 한부분의 고정자 자석 부를 회전궤도 외부에 고정자로 설치하고, 두 개의 궤도를 그리며 회전하며 이송되는 체인과 체인을 원형 바로 연결하고, 그 사이에 자석이 설치된 무게 추를 설치하며, 외부 띠자 석과 무게 추에 설치된 자석과의 척력을 이용하여 무게 추를 회전 중심 쪽으로 밀어 이동하여, 회전판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한쪽은 여러 개의 추에 중력이 작용하는 반경을 크게 하고, 다른 쪽은 작용 반경을 작게 하는 한편, 중심 쪽과 외부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하는 이송 장치 상에 자석이 원심력에 의해 외부고정자의 척력발생 자력영역으로 이송하게 되어 척력을 이용하여 회전에너지를 얻게 하였다.
또한, 체인기어의 측면에 소정의 각도로 안내되는 자석을 설치하고 외부에 고정자의 띠 자석을 설치하여 체인기어가 회전할 때, 그 원심력으로 고정자의 척력의 고밀도 영역으로 이동하며, 그때 발생되는 척력으로 회전력과 가속작용을 유도하게 하였다.
따라서 , 무게 추에 중력이 작용하는 단계, 인력과 척력으로 인해 중력이 약 중력으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약 중력에서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단계, 원심력이 회전력을 변환하며, 다시 원심력이 작용하는 단계 등에서 지속적 운동 에너지와 가속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장치의 구현을 달성하였다.
상기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지금까지 에너지를 얻기 위해 인류가 발견한 연료인 석유, 가스, 핵물질 등의 수단을 벗어나, 소음공해. 환경공해. 폭발의 위험. 방사능의 피폭. 자원의 고갈 등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고,
2. 무공해, 저비용, 고효율의 청정에너지를 자력을 이용하여 영구적인동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오염발생 원인으로부터 차단하여 지구환경을 보존하고 쾌적한 환경 속에서 인류에 삶을 유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무공해 청정에너지 산업 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3. 태양광, 풍력, 등과 같이 예측 불가능한 에너지원이 아니며, 수력, 바이오 등과 같이 대규모 발전시설이어야 효율적발전이 아닌 에너지원으로서 간단한 시설로 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반드시 필요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4. 에너지를 단위, 지역 등을 세분화하여 직접공급을 할 수 있으므로 원거리를 송전할 필요가 없어 전기를 직류로 변환하여 바로 사용함으로서 감전 사고에서 안전할 수 있다.
제1도 : 본 발명의 주요 부품 설치도.
제2도 : 본 발명의 주요부분 부품 조립 확대도.
제3도 : 본 발명의 주요구성부분 확대설명도.
제4도 :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제5도 : 본 발명의 측면의 주요부분구성도.
제6도 : 본 발명의 측면의 "재"부분 확대도.
제7도 : 본 발명의 측면의 중간부분 확대도.
제8도 : 본 발명의 측면의 "풍"부분 확대도.
제9도 : 본 발명의 "가"-"가"단면의 원심력, 중력, 자력작용도.
제10도 : 본 발명의 "나"-"나"단면의 초기구동 및 원심력작용도.
제11도 : 본 발명의 "다"-"다" 단면의 자력의 역 중력의 회전력작용도.
제12도 : 본 발명의 "라"-"라" 단면의 자력의 회전력 작용도.
*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설명.
01) 체인기어 02) 캠 03) 한 방향클러치
04) 스토퍼 05) 중력구동안내판 07) 안내 봉
09) 회전판 10) 간헐클러치 11) 중력 추
13) 자석 15) 구동축 17) 봉자석
19) 고정 봉 20) 베어링 21) 커버
23) 칼라(collar) 25) 종동체인기어 27) 체인
30) 안내레일 31) 원호 띠 자석 33) 고정자
34) 구동체인기어 35) 회전자 36) 원형 축
37) 코일스프링 41) 역중력용자석하우징 50) 직선운동레일
61) 척력작용자석 63) 전자석 65) 가속자석
66) 중력감소자석 81) 내부출력자석 82) 외부출력자석
85) 하부내부자석 86) 하부외부자석 88) 한 방향베어링
반복되거나 대칭되는 것은 지시하지 않았음.
표시 없는 곳은 공간 및 장치의 일반부분임
화살표는 자력작용의 표시 및 물체의 이동 및 회전 표시임.
본 발명의 구성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자력과 중력, 그리고 원심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는 방법으로 제1도에서 제12도까지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15)의 정 중간에 중공자석(17)을 설치하고; 상기 중공자석(17)의 양쪽에 소정의 거리를 띄워서 베어링(20)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20)에서 외부로 소정의 거리를 띄워서 한 방향베어링(88)이 조립 설치된 중력추(11)를 설치하고; 상기 중력 추(11)의 외부로 소정의 거리를 띄운 양단에 체인(27)을 설치하여, 동력전달 부를 완성한다.
이때, 중공자석(17)은 구동축(15)은 키로서 고정하여야 하고, 중력 추(11)는 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야 하므로 구동축(15)과 한 방향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한 방향베어링(88)과 함께 설치하여야 자력의 척력에 의해 초기 시동성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가속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회전판(09)의 안쪽으로 조립될 곳에 두개의 스토퍼(04) 사이에 중력구동안내판(05)을 안내 봉(07)에 끼워, 안내 봉(07)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설치하고, 스토퍼(04)를 회전판(09)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중력구동안내판(05)에는 오일리스 베어링이 내장되어 안내봉(07)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하고, 회전판(09)이 설치된 반대편면상에 고정축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 축에 한 방향클러치(03)를 끼워 설치하고; 상기 한 방향클러치(03)의 다른 면에 간헐클러치(10)를 설치하고; 상기 간헐클러치(10)외면에 캠(02)을; 상기 캠(02)의 다른 면에 체인기어(01)를 동심도가 유지되게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하여 중력의 구동 부를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기술한 대로 조립설치가 완성된 두개의 회전판(09)의 설치된 부분이 서로 대향하게 하여 고정 봉(19)으로 하여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고, 중앙의 회전축으로 바디부분의 상부에 조립 설치한다.
다른 한편, 장치의 하부에는 두 개의 종동체인기어(25)를 상부의 체인기어(01)의 넓이와 일치하게 하여 중앙에 회전축을 끼우고, 두 개의 종동체인기어(25)를 고정 봉(19)으로 대향하게 고정하게 하여 하부바디에 설치한 후, 기 완성된 동력전달부의 체인(27)을 체인기어(01)와 종동체인기어(25)상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조립설치 방법을 체인(27)을 선 설치한 후, 하나씩 조립 설치할 수도 있다.
이어서, 중력 추(11)가 회전 운동 시 베어링(20)을 안내 하는 직선운동레일(50) 바디중간부에 걸쳐 설치하고, 원호로 움직이는 안내레일(30)을 하부바디에 설치하고, 중력 추(11)의 궤적에 따라 하부바디에는 중력감소자석(66)을 설치하고, 상부바디에는 원호 띠 자석(31)을 설치하며, 중력 추(11)가 들려지는 구간에 역중력용자석하우징(41)을 설치하고 ; 중간의 중공자석(17)의 회전 궤적에 따라 하부바디의 중간에는 가속자석(65)을 설치하고, 중력 추(11)가 들려지는 하부구간에는 하부내부자석(85)과 하부외부자석(86)을 설치하고, 중력 추(11)가 들려지는 상부바디에는 내부출력자석(81)과 외부출력자석(82)을 설치한다.
이때, 설치되는 자극의 방향과 위치와 간격이 중요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규소강판 또는 일반 연강 등의 자장의 세기를 흡수하는 차폐물질을 사용하여야 효율적이다.
또 다른 한편, 상부바디에 설치한 척력작용자석(61)은 중력 추(11)의 원심력을 회전력으로 유도하기 위함이며, 전자석(63)은 체인기어(01)의 원심력으로 중력 추(11)를 가속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회전운동 시에 하강 체인(27)과 상승 체인(27)의 사이의 바디중간지점에 고정자(33)와 회전자(35)로 구성되어 구동체인기어(34)가 회전자(35)의 자력으로 회전하는 자력 회전 장치를 설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이 완료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제1도에서 제12도까지의 제시된 도면에 의거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중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회전판(09)에서 중력 추(11)가 슬라이딩되면서 회전중심의 Y-축을 중심으로 양쪽의 모멘트의 합의 차이로 회전하는 것은, 그 합의 차이가 작아서 거대한 에너지의 출력이 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판(09)상에서 중력 추(11)가 슬라이딩되는 부분을 상, 하로 분리하여 그 사이에 다수개의 중력 추(11)를 설치함으로서, 모멘트의 차이가 크게 하여 회전력을 증대하고, 하부 바디부에서는 중공자석(17)을 가속자석(65)으로 회전력을 인가하고, 하부내부자석(85)과 하부외부자석(86)으로 중력을 약화시켜 회전력을 증대시킨다.
한편, 바디의 중간지점에 설치된 자력 회전 장치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구동체인기어(34)는 한쪽으로는 중력을 강화시키고, 반쪽에서는 역 중력을 크게 하여 회전력을 증대시킨다.
또 다른 한편, 상부의 원호 띠 자석(31)은 중력 추(11)의 원심력을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며, 내부출력자석(81)과 외부출력자석(82) 중력 추(11) 측면에 설치된 자석(13)과의 인력과 척력의 밀고 당기는 힘의 결산에 의거하여 중력 추(11)를 회전운동하게 한다.
불가능하다는 고정관념이 지배하는 이론적 사실은 과학자들의 도면상의 수치와 이론적 해석 계산보다는 실제로 제작을 통하여 구현하는 것이 더 정확한 실증을 할 수 있으며, 중력이나 자력, 원심력 등을 각개로 사용하고자하는 방법보다 다른 에너지를 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것이다.
실제로 수치를 넣어 컴퓨터를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가 있으며, 중력만으로 장치를 구성하여 발전하는 실례를 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 강력한 네오디움 자석 또는 코발트계자석을 통하여 상기자석 장치 등을 구성하고, 또한 자석 회전 장치를 구성하고, 바디의 설치높이를 높이고 설치공간을 넓게 하여 중력 추(11)의 개수를 늘려 구성하면 대용량의 발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중력 추(11)의 중량과 원심력으로 발생하는 가속력과 자석의 척력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어 대용량의 발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 기계장치의 소규모나 대규모로 출력의 크기를 조정하여 발전할 수 있으며, 스마트그리드의 실현으로 에너지난을 극복 할 수 있으며, 오지에서도 에너지난의 극복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의 본 발명을 실시 하기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구동축(15)의 정 중간에 중공자석(17)을 설치하고; 상기 중공자석(17)의 양쪽에 일정 거리를 띄워서 베어링(20)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20)에서 외부로 일정 거리를 띄워서 한 방향베어링(88)이 조립 설치된 중력 추(11)를 설치하고; 상기 중력 추(11)의 외부로 일정 거리를 띄운 양단에 체인(27)을 설치하여, 동력전달 부와,
    구동축(15)상에 중간에 중공자석(17)을 키로서 설치하고, 중력 추(11)를 구동축(15)에 방향베어링(88)과 함께 끼워 설치하고,
    회전판(09)의 안쪽으로 두개의 스토퍼(04) 사이에 중력구동안내판(05)을 안내 봉(07)에 끼워 안내 봉(07)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설치하며, 스토퍼(04)를 회전판(09)상에 복수로 설치하고,
    오일리스 베어링이 내장된 중력구동안내판(05)에 안내 봉(07)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하고, 회전판(09)이 설치된 반대편면상에 고정 축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 축에 한 방향클러치(03)를 끼워 설치하고; 상기 한 방향클러치(03)의 다른 면에 간헐클러치(10)를 설치하고; 상기 간헐클러치(10)에 캠(02)의 외면에 설치하고; 상기 캠(02)의 다른 면에 체인기어(01)가 설치되는 중력구동파트와, 두 개의 종동체인기어(25)를 상부의 체인기어(01)의 넓이와 일치하게 하여 중앙에 회전축을 끼우고, 두 개의 종동체인기어(25)를 고정 봉(19)으로 고정하게 하여 하부바디에 설치한 후, 기 완성된 동력전달부의 체인(27)을 체인기어(01)와 종동체인기어(25)상에 설치하며,
    장치의 바디 상, 하부에 걸쳐 베어링(20)을 안내 하는 직선운동레일(50)을 안내레일(30)을 하부바디에 설치하고, 중력 추(11)의 궤적에 따라 하부바디에는 중력감소자석(66)을 설치하고, 상부바디에는 원호 띠 자석(31)을 설치하며, 중력 추(11)가 들려지는 구간에 역중력용자석하우징(41)을 설치하고 ; 중간의 중공자석(17)의 회전 궤적에 따라 하부바디의 중간에는 가속자석(65)을 설치하고, 중력 추(11)가 들려지는 하부구간에는 하부내부자석(85)과 하부외부자석(86)을 설치하고, 중력 추(11)가 들려지는 상부바디에는 내부출력자석(81)과 외부출력자석(82)을 설치하며,
    상부바디의 중력 추(11)의 시작점에 척력작용자석(61)을, 전자석(63)은 중력 추(11)의 회전시작점에 설치하고, 하강 체인(27)과 상승 체인(27)의 사이의 바디 중간지점에 고정자(33)와 회전자(35)로 구성되어 구동체인기어(34)가 회전자(35)의 자력으로 회전하는 자력 회전 장치를 설치하는 특징이 있는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한 방향베어링(88)을 한 방향 클러치와 래칫스톱을 이용한 한 방향회전 장치로 대치하여 설치한 동력전달부가 특징인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스토퍼(04) 사이에 중력구동안내판(05)을 안내봉(07)의 가이드 장치를 단면이 삼각, 사각인 직선구동시스템의 안내 장치로 대치하여 설치한 중력구동파트가 특징인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한 방향클러치(03)를 한 방향베어링으로 대치하고, 다른 면에 간헐클러치(10)를 체인기어(01)의 다른 면 등에 분리하여 설치한 중력구동파트가 특징인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역중력용자석하우징(41)을 중력으로 하강하는 구간에 중력과 동일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바디 중간지점에 고정자(33)와 회전자(35)로 구성되어 구동체인기어(34)가 회전자(35)의 자력으로 회전하는 자력 회전 장치를 상부의 회전중심축에 연결설치하거나, 하부의 회전중심축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중력 추(11)가 들려지는 하부구간에는 하부내부자석(85)과 하부외부자석(86)을 설치하고, 중력 추(11)가 들려지는 상부바디에는 내부출력자석(81)과 외부출력자석(82)을 설치하는 것을 전자석으로 대치하여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KR1020180021393A 2018-02-21 2018-02-21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KR20190100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393A KR20190100825A (ko) 2018-02-21 2018-02-21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393A KR20190100825A (ko) 2018-02-21 2018-02-21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825A true KR20190100825A (ko) 2019-08-29

Family

ID=6777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393A KR20190100825A (ko) 2018-02-21 2018-02-21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08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2395B2 (en) Gravity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20080174121A1 (en) Gravitational magnetic energy convertor
US20120280588A1 (en) Magnetic rotational device
US9590482B2 (en) Magnetic levitation power device
KR20190100825A (ko) 중력과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발전장치
KR101112772B1 (ko) 연속운동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한 영구자석의 순간척력을 이용한 충격량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20180116724A (ko) 자력을 이용한 회전 장치와 그 회전 장치의 고정자와 회전자 설치구조
US20130119674A1 (en) Bamiji permanent magnet generator (bpmg)
US20150035415A1 (en) Automatic Permanent Magnet Electrical Machinery
KR20120124157A (ko) 자석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070079214A (ko) 마그네틱을 이용한 동력 발생장치
CN103280873A (zh) 大飞轮发电机
KR20170081546A (ko) 자석을 이용한 회전 장치와 그 회전 장치의 고정자와 회전자의 구조.
JP5712318B1 (ja) 回転体装置
CA27484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magnets
KR20210009950A (ko)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로 만든 전자석의 자력과, 중력모멘트, 자력, 원심력을 이용한 융합 회전 장치와 발전장치
KR20050045781A (ko) 중력과 자력을 이용한 발전 방법 및 그 장치
CN201947208U (zh) 磁能动力发电装置
KR20160099900A (ko) Ccm 전류발전설비장치
KR20180122908A (ko) 자력을 이용한 회전 장치와 그 회전 장치의 고정자와 회전자 설치구조
KR20160111331A (ko) 조류력 발전 시스템
KR20180118016A (ko) 자력을 이용한 회전 장치와 그 회전 장치의 고정자와 회전자 설치구조
TWI666857B (zh) 磁力能源轉動機
KR20210155316A (ko) 출력을 향상시킨 발전장치
CN117040236A (zh) 原子磁能的磁变动力和能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