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985Y1 - 책상용 와이어 캡 - Google Patents

책상용 와이어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985Y1
KR200468985Y1 KR2020100012869U KR20100012869U KR200468985Y1 KR 200468985 Y1 KR200468985 Y1 KR 200468985Y1 KR 2020100012869 U KR2020100012869 U KR 2020100012869U KR 20100012869 U KR20100012869 U KR 20100012869U KR 200468985 Y1 KR200468985 Y1 KR 200468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desk
support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448U (ko
Inventor
김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2020100012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985Y1/ko
Priority to CN2011205162377U priority patent/CN202353126U/zh
Publication of KR201200044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4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9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용 와이어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무용 책상에서 컴퓨터, 조명등에 연결된 전선류를 정리하기 위한 와이어 캡이, 커버의 원터치 동작으로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책상(1) 후단의 장착홈에 감싸며 끼워져 바닥면이 상기 책상(1) 저면과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11)를 갖고, 상기 베이스(11)의 양측단에서 후단을 향해 돌출된 측벽부(14)에 이동가이드구멍(15)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의 내벽면에 장착홀(12)과 후단을 향해 돌출된 지지판(13)이 성형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14)에 형성된 이동가이드구멍(15)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축(21)이 양 측면에 형성되고, 내면에 스트라이커(22)와 상기 지지판(13)과 겹쳐지는 고정판(23)이 돌출 형성된 커버(20)와;
상기 케이스(10)의 지지판(13)과 커버(20)의 고정판(23)을 관통해 상호 연결하는 고정축(30)과;
상기 고정축(30)에 끼워져 일단은 케이스(10)의 지지판(13)에 끼워져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커버(20)의 내벽에 지지되어 커버(20)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텐션스프링(40)과;
상기 케이스의 장착홀(12)에 결합되며, 커버(20) 개방 시에 스트라이커(22)가 끼워져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원터치로 열림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부재(50)로 구성되어 달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양측 측벽부(14)에, 가이드기어(16a)가 내부에 형성된 호형상의 장공홀(16)을 성형하고, 커버(20)의 양측벽에 댐퍼(60)를 체결고정하여, 상기 댐퍼(60)의 회전기어(61)와 가이드기어(16a)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커버(20)의 개폐속도가 일정하게 제어되도록 한다.
또, 상기 텐션스프링(40)은 양단부가 케이스(10)의 지지판(13)에 끼워져 고정되고, 중앙부로 돌출된 텐션부(41)가 커버(20)내벽에 맞닿아 커버(20)의 복귀응력을 갖게 성형한다.

Description

책상용 와이어 캡 {a desk for Wire Cap}
본 고안은 책상용 와이어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무용 책상에서 컴퓨터, 조명등에 연결된 전선류를 정리하기 위한 와이어 캡이, 커버의 원터치 동작으로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책상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의 전원선 및 기타 전선을 가지런히 정리하기 위하여 상판의 모서리부에 와이어 캡이 구비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 캡은 대부분 책상에 뚫어지는 원형의 홀에 끼워져 장착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와이어 캡은 합성수지재로 일체의 구성을 갖게 성형하거나, 커버와 케이스가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커버가 개폐되는 구성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원형의 와이어 캡을 장착하기 위해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판의 끝단이 아닌 내측 공간에 관통홀을 형성시켜야 하므로, 책상의 공간 활용도가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책상 상판으로 와이어 캡이 돌출되어 컴퓨터 및 기타 사무기기의 위치 이동시 와이어 캡과 부딪치며 사무기기가 넘어져 고장이 발생되는 어려움도 있었다.
또한, 상기 와이어캡이 케이스와 커버가 분리되는 방식인 경우에는, 전선정리 시 커버의 이탈 및 분실의 우려가 많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책상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판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원터치 동작으로 커버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책상용 와이어 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와 커버의 개폐동작을 댐퍼를 이용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책상용 와이어 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책상(1) 후단의 장착홈을 감싸며 끼워져 바닥면이 상기 책상(1) 저면과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11)를 갖고, 상기 베이스(11)의 양측단에서 후단을 향해 돌출된 측벽부(14)에 이동가이드구멍(15)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의 내벽면에 장착홀(12)과 후단을 향해 돌출된 지지판(13)이 성형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14)에 형성된 이동가이드구멍(15)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축(21)이 양 측면에 형성되고, 내면에 스트라이커(22)와 상기 지지판(13)과 겹쳐지는 고정판(23)이 돌출 형성된 커버(20)와;
상기 케이스(10)의 지지판(13)과 커버(20)의 고정판(23)을 관통한 상태로 축설치되어 케이스(10)로부터 커버(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축(30)과;
상기 고정축(30)에 끼워져 일단은 케이스(10)의 지지판(13)에 끼워져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커버(20)의 내벽에 지지되어 커버(20)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텐션스프링(40)과;
상기 케이스의 장착홀(12)에 결합되며, 커버(20) 개방 시에 스트라이커(22)가 끼워져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원터치로 열림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부재(50)로 구성되어 달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양측 측벽부(14)에, 가이드기어(16a)가 내부에 형성된 호형상의 장공홀(16)을 성형하고, 커버(20)의 양측벽에 댐퍼(60)를 체결고정하여, 상기 댐퍼(60)의 회전기어(61)와 가이드기어(16a)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커버(20)의 개폐속도가 일정하게 제어되도록 한다.
또, 상기 텐션스프링(40)은 양단부가 케이스(10)의 지지판(13)에 끼워져 고정되고, 중앙부로 돌출된 텐션부(41)가 커버(20)내벽에 맞닿아 커버(20)의 복귀응력을 갖게 성형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하면, 와이어 캡을 책상의 끝단에 장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래치와 텐션 스프링을 사용하여 커버를 간단하게 원터치 개폐시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 댐퍼를 이용해 커버가 부드럽게 회동되게 하여, 소비자의 감성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장착된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실시 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텐션스프링의 동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인 책상용 와이어 캡은, 사무용 책상에서 컴퓨터, 조명등에 연결된 전선류를 정리하기 위한 와이어 캡이, 커버의 원터치 동작으로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우선,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전선 정리를 위한 와이어 캡(100)의 커버(20)가 회전되는 장치로서, 책상(1)의 끝단을 따라 케이스(10)가 끼워져 저부에서 볼트 체결되도록 하였다.
즉, 책상(1)의 후단에 장착홈을 형성하고, 본 발명인 와이어 캡(100)을 상기 장착홈에 끼워 설치하는 것으로, 와이어 캡(100)을 구성하는 케이스(10)의 바닥면을 책상(1) 저면에 볼트체결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책상(1)에 체결 고정된 와이어 캡(100)은, 크게 케이스(10)에 커버(20)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커버(20)의 원터치 동작으로 열림 및 닫힘상태로 전환시키는 텐션스프링(40)과 래치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책상(1) 후단의 장착홈에 감싸며 끼워져 바닥면이 상기 책상(1) 저면과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11)를 갖고, 상기 베이스(11)의 양측단에서 후단을 향해 돌출된 측벽부(14)에 이동가이드구멍(15)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의 내벽면에 장착홀(12)과 후단을 향해 돌출된 지지판(13)이 성형된다.
그리고, 커버(20)는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축(21)이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14)에 호 형상을 갖고 성형된 이동가이드구멍(15)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에 스트라이커(22)와 상기 스트라이커(22)를 중심으로 양측에 지지판(13)과 겹쳐지는 고정판(23)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양측 측벽부(14)에는, 이동가이드구멍(15) 하단에서 가이드기어(16a)가 내부에 형성된 호형상의 장공홀(16)을 더 성형하고, 커버(20)의 양측벽에 댐퍼(60)를 체결고정시켜, 상기 댐퍼(60)의 회전기어(61)와 가이드기어(16a)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커버(20)의 개폐속도가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댐퍼(60)는 각종 기기의 회동부분이나 미끄럼 동작부분이 급격히 작동하여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으로, 상기 커버(20)의 개폐시 가이드축(21)이 이동가이드구멍(15)을 따라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기어(16a)와 맞물린 댐퍼(60)의 회전기어(61)가 회전속도를 감쇄시켜 커버(20)가 항상 일정한 속도로 개폐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상기 케이스(10)의 지지판(13)과 커버(20)의 고정판(23)을 관통하여 케이스(10)로부터 커버(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축(30)에는, 텐션스프링(40)이 끼워져 커버(20) 외면이 책상 상면과 동일한 평행면을 갖도록 상부로 밀어올리는 응력을 주게 된다.
즉, 상기 텐션스프링(40)은, 고정축(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이 케이스(10)의 지지판(13)에 끼워지고, 다른 일단은 커버(20)의 내벽에 지지되어 커버(20)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 것이며, 도 3에서와 같이 중앙부로 돌출된 텐션부(41)가 커버(20) 내벽에 맞닿아 커버(20)의 복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장착홀(12)에 결합되는 래치부재(50)는, 커버(20)가 하부로 회전하는 개방 시에 커버(20) 내면에 형성된 스트라이커(2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커버(20)의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래치부재(50)는 원터치로 스트라이커(22)의 잠금 및 풀림을 해제할 수 있는 일반적인 부품으로 자세한 내부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커버(20)의 스트라이커(22)가 래치부재(50)에 끼워진 잠금 상태에서, 커버(20)를 원터치 동작하면 래치부재(50)가 풀림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커버(20)는 텐션스프링(40)의 복귀응력에 의해 닫힘상태를 갖도록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 캡(100)의 작동구성은,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된다.
우선, 도 4a와 같은 닫힘 상태는, 커버(20)에 의해 케이스(10)가 차폐된 상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의 이동가이드구멍(15)에 커버(20)의 가이드축(21)이 상단에 위치되고, 가이드기어(16a) 상단에는 댐퍼(60)의 회전기어(61)가 맞물려 있으며, 도 5a에서와 같이 커버(20)가 고정축(30)에 끼워진 텐션스프링(40)의 탄성으로 책상(1)의 상면과 커버(20) 외면이 평행하게 놓여 진다.
상기와 같이, 닫힘 상태인 와이어 캡(100)을 전선 종류를 정리하기 위해서 커버(20)를 도 4b와 같이 하부 방향으로 내리면, 이동가이드구멍(15)과 장공홀(16)의 가이드기어(16a)의 원호부를 따라 가이드축(21)과 회전기어(61)가 회전하면서 이동되며, 커버(20) 내면에 형성된 스트라이커(22)가 래치부재(50)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20)는 열림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도 5b와 같이 고정축(30)을 중심으로 커버(20)의 내벽에 맞닿은 텐션부(41)가 하부로 회전하면서, 텐션스프링(40)에 복원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22)로 커버(20)가 고정되게 한다.
따라서, 케이스(10)의 후단에서 커버(20)가 열림 상태를 갖고 있어, 기타 전선류를 통과시켜 정리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커버(20)를 닫을 때에는 도 4c와 같이 커버(20)를 다시 누르게 되면, 커버(20)의 스트라이커(22)가 케이스(10)의 래치부재(50)에서 이탈(Push-Push 구조)되고, 텐션스프링(40)의 복원력을 통해 커버(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되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와이어 캡(100)이 결합된 책상(1)의 끝단부에서, 노출된 커버(20)를 누르게 되면 간편하게 커버(20)를 열 수 있게 되고, 커버(20)를 다시 눌러서 간편하게 커버(20)를 닫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베이스
12 - 장착홀 13 - 지지판
14 - 측벽부 15 - 이동가이드구멍
16 - 장공홀 16a - 가이드기어
20 - 커버 21 - 가이드축
22 - 스트라이커 23 - 고정판
30 - 고정축 40 - 텐션스프링
41 - 텐션부 50 - 래치부재
60 - 댐퍼 61 - 회전기어
100 - 와이어 캡

Claims (3)

  1. 책상(1) 후단의 장착홈을 감싸며 끼워져 바닥면이 상기 책상(1) 저면과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11)를 갖고, 상기 베이스(11)의 양측단에서 후단을 향해 돌출된 측벽부(14)에 이동가이드구멍(15)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의 내벽면에 장착홀(12)과 후단을 향해 돌출된 지지판(13)이 성형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14)에 형성된 이동가이드구멍(15)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축(21)이 양 측면에 형성되고, 내면에 스트라이커(22)와 상기 지지판(13)과 겹쳐지는 고정판(23)이 돌출 형성된 커버(20)와;
    상기 케이스(10)의 지지판(13)과 커버(20)의 고정판(23)을 관통한 상태로 축설치되어 케이스(10)로부터 커버(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축(30)과;
    상기 고정축(30)에 끼워져 일단은 케이스(10)의 지지판(13)에 끼워져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커버(20)의 내벽에 지지되어 커버(20)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텐션스프링(40)과;
    상기 케이스의 장착홀(12)에 결합되며, 커버(20) 개방 시에 스트라이커(22)가 끼워져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원터치로 열림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부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책상용 와이어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양측 측벽부(14)에, 가이드기어(16a)가 내부에 형성된 호형상의 장공홀(16)을 성형하고, 커버(20)의 양측벽에 댐퍼(60)를 체결고정하여, 상기 댐퍼(60)의 회전기어(61)와 가이드기어(16a)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커버(20)의 개폐속도가 일정하게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 책상용 와이어 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션스프링(40)은 양단부가 케이스(10)의 지지판(13)에 끼워져 고정되고, 중앙부로 돌출된 텐션부(41)가 커버(20)내벽에 맞닿아 커버(20)의 복귀응력을 갖게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 책상용 와이어 캡.
KR2020100012869U 2010-12-13 2010-12-13 책상용 와이어 캡 KR200468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869U KR200468985Y1 (ko) 2010-12-13 2010-12-13 책상용 와이어 캡
CN2011205162377U CN202353126U (zh) 2010-12-13 2011-12-12 桌用电线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869U KR200468985Y1 (ko) 2010-12-13 2010-12-13 책상용 와이어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448U KR20120004448U (ko) 2012-06-21
KR200468985Y1 true KR200468985Y1 (ko) 2013-09-26

Family

ID=4654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869U KR200468985Y1 (ko) 2010-12-13 2010-12-13 책상용 와이어 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8985Y1 (ko)
CN (1) CN20235312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75B1 (ko) * 2015-02-09 2016-10-14 주식회사 코아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JP7157767B2 (ja) * 2017-12-28 2022-10-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用外装体及び外装体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905Y1 (ko) 2001-05-17 2001-10-15 장종국 책상의 파워코드 정렬장치
KR200276885Y1 (ko) 2002-01-28 2002-05-27 송진태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KR20070004364A (ko) * 2005-07-04 2007-01-09 주식회사 코아스웰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한 책상
KR100875879B1 (ko) 2007-06-29 2008-12-24 주식회사 코아스웰 책상용 전선정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905Y1 (ko) 2001-05-17 2001-10-15 장종국 책상의 파워코드 정렬장치
KR200276885Y1 (ko) 2002-01-28 2002-05-27 송진태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KR20070004364A (ko) * 2005-07-04 2007-01-09 주식회사 코아스웰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한 책상
KR100875879B1 (ko) 2007-06-29 2008-12-24 주식회사 코아스웰 책상용 전선정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448U (ko) 2012-06-21
CN202353126U (zh)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0955B2 (en) Biaxial hing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US7464439B2 (en) Hinge
KR200468985Y1 (ko) 책상용 와이어 캡
JP3207350U (ja) ロック装置及びケースとロック装置との組立体
KR200391340Y1 (ko) 모니터 내장형 컴퓨터 책상
US20110154615A1 (en) Hinge
KR100688445B1 (ko)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한 책상
KR200457428Y1 (ko)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의 클램핑 장치
WO2021085595A1 (ja) ロックレバーおよび開閉装置
CN109373685B (zh) 冰箱
US20180229521A1 (en) Printer
US20120274197A1 (en) Enclosure
US20110116216A1 (en) Electronic device
RU2676671C2 (ru) Электрощит
KR930004895Y1 (ko) 퍼스널 컴퓨터의 엘씨디 조립체 자동 개방장치
JPS639073Y2 (ko)
JP4639779B2 (ja) 机天板等におけるコード取出用切欠きのカバー装置
JP2018170433A (ja) セキュリティボックス
KR100647542B1 (ko) 도어클로져
JP4328700B2 (ja) 開閉扉機構及び該機構を備えた携帯型機器
TW202248547A (zh) 鉸鏈及使用此鉸鏈的事務機器
KR101143989B1 (ko) 차량용 선글라스 케이스
JP4034786B2 (ja) パソコン本体ケース
TWI356667B (en) Battery fixture device
KR100996905B1 (ko) 반도체 칩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