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680Y1 -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680Y1
KR200468680Y1 KR2020110005095U KR20110005095U KR200468680Y1 KR 200468680 Y1 KR200468680 Y1 KR 200468680Y1 KR 2020110005095 U KR2020110005095 U KR 2020110005095U KR 20110005095 U KR20110005095 U KR 20110005095U KR 200468680 Y1 KR200468680 Y1 KR 200468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em
guide
sma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676U (ko
Inventor
최수용
이찬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Priority to KR2020110005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68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6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6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6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F16K17/3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of excessiv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냉온수 밸브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온수 유입구와 냉수 유입구가 외면에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온수와 냉수의 혼합실을 형성하는 플러그; 온도 조절 핸들이 결합되는 스템;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상기 스템과 결합되어 상기 스템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스템 가이드; 상기 스템 가이드의 이동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바이어스 스프링;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과 결합되어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이동하는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의 회전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온수 유입구와 상기 냉수 유입구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밸브; 상기 플러그 내에 설치되어 혼합수의 온도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어 상기 밸브의 추가적인 이동을 견인하는 SMA(Shape Memory Alloy) 스프링; 상기 SMA 스프링의 일측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SMA 스프링의 팽창 및 수축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밸브를 추가 이동시키는 SMA 스프링 가이드; 및 상기 밸브와 상기 SMA 스프링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온수와 냉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는 물 유동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밸브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온수와 냉수가 보다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Thermostat cartridge using SMA}
본 고안은, 온도에 따라 일정하게 힘과 강도가 변화되는 형상기억 합금 소재를 이용한 냉,온수 밸브용 서모스탯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온수, 냉수의 혼합 효율을 높이고 밸브의 작동을 민감하게 향상시켜 균일한 혼합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수도꼭지용 냉,온수 조절용 서모스탯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카트리지는 그 내부로 유입되는 온수 및 냉수의 유입량 또는 그 변화량을 자동으로 맞춰 주어 초기 세팅된 혼합수의 온도를 변화 없이 유지시켜 주기 위한 장치로서, 냉온수 밸브에 적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가열되면 팽창하고 식으면 수축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밸브를 동작시키는 왁스형 서모스탯 카트리지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서모스탯 카트리지는 내부의 일측에 왁스가 충진되어 온도변화를 감지한 후에 그에 이웃된 피스톤을 이동시킴으로써 온도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서모스탯 카트리지는 그 내부로 유입되는 온수 및 냉수의 유입량 또는 그 변화량을 자동으로 맞춰 주어 초기 세팅된 혼합수의 온도를 변화 없이 유지시켜 주기 위한 장치로서, 냉온수 밸브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가열되면 팽창하고 식으면 수축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밸브를 동작시키는 왁스형 서모스탯 카트리지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왁스형 서모스탯 카트리지는 내부의 일측에 왁스가 충진되어 온도변화를 감지한 후에 그에 이웃된 피스톤을 이동시킴으로써 온도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처럼 왁스를 이용하는 경우, 왁스의 반응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온도 조절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어렵고, 또한 왁스가 충진된 엘리먼트가 물에 접촉되면서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될 소지가 높아 그 감응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온도 조절과 관련한 반응속도를 왁스형 서모스탯 카트리지보다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오염 등의 문제로 인해 감응성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온도 조절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근래에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국내특허 등록 제10-0288683호에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머스탯 카트리지가 개시되고 있지만, 밸브가 온수 및 냉수 유입구에 접면하고 있어 큰 마찰계수로 인하여 형상기억 합금으로 된 스프링의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밸브와 온수 및 냉수 유입구의 접면부 사이로 이물질이 끼어 사용 중 밸브의 민감성이 저하되거나 오작동하는 요인이 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온수 밸브용 카트리지의 밸브 영역의 구조도로서, 케이스(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온수 유입구(111)와 냉수 유입구(112)를 개폐하기 위해 밸브(150)가 마련되는데, 밸브(150)의 외면은 밋밋한 평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밸브(150)와 케이스(110) 간의 간격(G1)은 매우 좁게 유지된다.
이처럼 케이스(110)와 밸브(150) 간의 간격(G1)이 좁으면 밸브(150)의 동작에 따른 마찰면적(접촉면적)이 밸브(150)의 원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밸브(150)의 민감 운동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좁은 간격(G1)으로 이물질이 끼게 되면 잘 빠지지 않기 때문에 운동성이 더더욱 저하될 수 있는데 이는 밸브의 사용 중 온도조절 성능의 저하요인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항들을 개선하여 온수와 냉수의 유동이 혼합 효율이 향상되고 밸브가 민감하게 작동될 수 있는 구조가 요청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밸브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온수, 냉수의 혼합 효율을 높이고 밸브의 작동을 민감하게 향상시켜 균일한 혼합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수도꼭지용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냉,온수 조절용 서모스탯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온수 유입구와 냉수 유입구가 외면에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온수와 냉수의 혼합실을 형성하는 플러그; 온도 조절 핸들이 결합되는 스템;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상기 스템과 결합되어 상기 스템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스템 가이드; 상기 스템 가이드의 이동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바이어스 스프링;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과 결합되어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이동하는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의 회전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온수 유입구와 상기 냉수 유입구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밸브; 상기 플러그 내에 설치되어 혼합수의 온도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어 상기 밸브의 추가적인 이동을 견인하는 SMA(Shape Memory Alloy) 스프링; 상기 SMA 스프링의 일측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SMA 스프링의 팽창 및 수축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밸브를 추가 이동시키는 SMA 스프링 가이드; 및 상기 밸브와 상기 SMA 스프링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온수와 냉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는 물 유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물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온수 유입구와 상기 냉수 유입구에 인접한 상기 밸브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1 물 유동 가이드부; 및 상기 SMA 스프링 가이드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물 유동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의 일측 단부에는 물안내홈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물안내홈부는 아크(arc) 형상으로 유연하게 라운딩 처리된다.
본 고안은 상기 스템에 결합되며, 상기 스템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팽창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래치 결합되는 탄성 래치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밸브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온수, 냉수의 혼합 효율을 높이고 밸브의 작동을 민감하게 향상시켜 균일한 혼합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밸브용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조도,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밸브용 카트리지의 단면 구조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온수 밸브용 카트리지의 밸브 영역의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밸브용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조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온수 밸브용 카트리지는, 케이스(10), 스템(20), 스템 가이드(30), 바이어스 스프링(35),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40), 밸브(50), SMA(Shape Memory Alloy) 스프링 가이드(60), SMA 스프링(70), 그리고 플러그(8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본 실시예의 냉온수 밸브용 카트리지의 외관 일측을 형성한다. 케이스(10)의 타측에는 플러그(80)가 연결된다.
케이스(1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외면에는 군데군데에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오링(O-Ring)이 장착되는 장소를 이룬다.
오링은 결합 영역의 기밀 유지를 위해 마련되는 탄성 재질의 링(ring)이며, 다른 부분들에도 이링(E-Ring)과 함께 널리 사용되므로 이에 대한 도면 참조부호는 편의상 생략하였다.
이러한 케이스(10)의 외면에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유입구(11)와 냉수 유입구(12)가 형성된다. 온수 유입구(11)와 냉수 유입구(12)는 후술할 밸브(50)의 동작에 의해 그 개방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온수 유입구(11)와 냉수 유입구(12)의 외측에는 망 구조의 스트레이너(15, stainer)가 결합된다.
스트레이너(15)는 케이스(10)의 외면에서 온수 유입구(11)와 냉수 유입구(12)가 위치된 함몰 영역에 배치되어 온수와 냉수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역할을 한다. 자세히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스트레이너(15)는 용접에 의한 고정식 타입이나 고리 결합에 의한 교체식 타입 중 어느 한 타입일 수 있다.
케이스(10)와 플러그(80)의 내부에는 혼합실(13)이 형성된다. 혼합실(13)은 온수와 냉수가 혼합되어 적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장소를 이룬다. 혼합실(13)의 일측, 다시 말해 플러그(80)의 단부에는 온도 조절이 완료된 혼합수가 토출되는 혼합수 토출구(14)가 형성된다.
스템(20)은 도시 않은 온도 조절 핸들이 결합되는 장소이다. 스템(20)은 그 일부분이 스템 가이드(30) 내에 배치되어 가이드되고 타부분은 스템 가이드(30)의 외측을 통해 케이스(10)의 바깥쪽으로 노출되게 마련된다.
스템(20)에는 탄성 래치유닛(90)이 결합된다. 탄성 래치유닛(90)은 스템(20)에 지지되는 래치(91)를 구비하며, 바이어스 스프링(35)의 탄성력에 기초한 스템(20)의 공회전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래치(9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되 내측으로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95)의 내면에 형성되어 스템(20)의 공회전을 저지시킨다. 탄성 래치유닛(90)의 단부측에는 스탑링(99)이 결합된다.
스템 가이드(30)는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40)와 함께 바이어스 스프링(35)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스템 가이드(30)는 스템(20)과 결합되어 스템(2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여 바이어스 스프링(35)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40)는 바이어스 스프링(35)과 결합되어 바이어스 스프링(35)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밸브(50)를 가압 이동시켜 온수 유입구(11) 및 냉수 유입구(12)의 개방도를 일차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혼합실(13)을 향한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40)의 외주면에는 물안내홈부(41)가 형성된다.
물안내홈부(41)는 아크(arc) 형상으로 유연하게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물안내홈부(41)는 물에 와류를 발생시켜 온수와 냉수가 잘 섞이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밸브(50)는 케이스(10) 내의 온수 유입구(11)와 냉수 유입구(12) 영역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온수 유입구(11)와 냉수 유입구(12)를 개폐, 즉 온수 유입구(11)와 냉수 유입구(12)의 개방도를 조절한다.
온수 유입구(11)와 냉수 유입구(12)에 인접한 밸브(50)의 외주면에는 제1 물 유동 가이드부(51)가 형성된다. 제1 물 유동 가이드부(51)는 밸브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제1 물 유동 가이드부(51)로 인해 온수와 냉수의 흐름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대해 도 2의 확대 부분을 참조하면, 밸브(5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1 물 유동 가이드부(51)는 밸브(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또한 규칙적으로 형성되면서 해당 위치에서 다수의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 물 유동 가이드부(51)는 SMA(Shape Memory Alloy) 스프링(70)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의 변화를 민감하게 받기 위해 마찰계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마찰면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홈 형태로 가공된 제1 물 유동 가이드부(51)가 형성됨에 따라 밸브(50)의 마찰면(마찰면적,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SMA 스프링(70)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의 변화를 민감하게 받을 수 있어 동작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제1 물 유동 가이드부(51)는 마찰면의 틈새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최대로 방지함으로써 요구되는 마찰계수에 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물 유동 가이드부(51)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부연 설명한다. 제1 물 유동 가이드부(51)가 밸브(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또한 규칙적으로 형성되면서 해당 위치에서 다수의 홈의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10)와의 간격(G)이 상대적으로 넓게 유지될 수 있다.
실제,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의 경우에는 제1 물 유동 가이드부(51)가 없기 때문에 도 6을 통해 설명한 것처럼 그 간격(G1)이 매우 좁다.
한편, 종래의 서모스탯 카트리지는 내부의 일측에 왁스가 충진되어 온도변화를 감지한 후에 그에 이웃된 피스톤을 이동시킴으로써 온도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온도 조절과 관련한 반응속도가 떨어지거나 오염 문제가 예상되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일반적인 구조 대신에 SMA(Shape Memory Alloy) 스프링(70)과 SMA 스프링 가이드(60)를 적용함으로써 왁스 적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SMA 스프링(70)은 탄성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밸브(50)의 이동을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SMA 스프링(70)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되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70)이며, 최초에 조립될 때는 원래 길이보다 미리 결정된 양만큼 수축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부연하면, SMA 스프링(70)의 원래 길이가 예컨대 22 mm라면, SMA 스프링(70)을 최초에 조립할 때는 SMA 스프링(70)을 예컨대, 14.7 mm, 16.5 mm, 19 mm의 길이가 되도록 미리 결정된 양만큼 수축시켜 조립하게 되며, 이후 혼합수의 온도가 증가하면 압축된 부분의 길이가 조금씩 증가하면서 SMA 스프링(70)의 일측에 삽입 배치된 SMA 스프링 가이드(60)가 SMA 스프링(70)과 함께 움직임으로써 밸브(50)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SMA 스프링 가이드(60) 역시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온도 조절 핸들(미도시)을 동작시키면 일차적으로 설정된 온수 및 냉수 유입량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유입되는 온수와 냉수의 혼합수에 의하여 전체 길이가 변하는 SMA 스프링(70)이 탄성적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되고, 이에 따라 SMA 스프링(70)에 결합된 SMA 스프링 가이드(60)가 밸브(50)를 가압 이동시켜 밸브(50)의 위치가 이차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종국적으로 온수와 냉수의 유입량을 결정하여 혼합수가 요구되는 온도대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SMA 스프링 가이드(60)에도 제2 물 유동 가이드부(61)가 형성되어 온수와 냉수의 흐름이 이 영역에서 보다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물 유동 가이드부(61) 역시 SMA 스프링 가이드(6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냉온수 밸브용 카트리지에 대한 작용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템(20) 영역에 결합될 수 있는 온도 조절 핸들(미도시)을 일정 온도로 맞추어 회전시키면 밸브(50)의 이동을 통해 온수 유입구(11)와 냉수 유입구(12)의 개방도가 일차적으로 결정된다.
이후에, 유입되는 온수와 냉수의 혼합수에 의하여 전체 길이가 변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SMA 스프링(70)이 탄성적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되며, 이에 연동되어 SMA 스프링 가이드(60)가 이동하면서 밸브(50)를 가압 이동시켜 밸브(50)의 위치가 다시 이차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종국적으로 온수와 냉수의 유입량이 결정되어 혼합수가 요구되는 온도대로 조절된 후 토출될 수 있다.
이때, 밸브(50)와 SMA 스프링 가이드(60)에는 물 유동가이드부가 설치됨으로써 밸브의 민감한 동작이 가능하며,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40)에는 물안내홈부가 와류를 일으켜 냉수와 온수의 혼합성이 증가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의 냉온수 밸브용 카트리지에 따르면, 밸브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온수와 냉수가 보다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밸브용 카트리지의 단면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탄성 래치유닛(90a)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케이스(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케이스(10)와 스템(20) 영역에 결합되어 스템(20)의 공회전을 저지시키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탄성 래치유닛(90a)은 스템(20)에 결합되며, 스템(2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팽창되면서 단부가 케이스(10)의 내벽에 래치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 래치유닛(90)은 스템(20)에 스템(2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91a)와, 스템(20)의 내부에 배치되어 래치(91a)가 스템(2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탄성바이어스되는 래치스프링(92a)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탄성 래치유닛(90a)이 적용되더라도 스템(20)의 공회전을 저지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특히 내장형으로 마련됨에 따라 콤팩트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온수 유입구
12 : 냉수 유입구 13 : 혼합실
15 : 스트레이너 20 : 스템
30 : 스템 가이드 35 : 바이어스 스프링
40 :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 41 : 물안내홈부
50 : 밸브 51 : 제1 물 유동 가이드부
60 : SMA 스프링 가이드 70 : SMA 스프링
80 : 플러그 90,90a : 탄성 래치유닛
91a : 래치 92a : 래치스프링

Claims (5)

  1. 온수 유입구와 냉수 유입구가 외면에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온수와 냉수의 혼합실을 형성하는 플러그;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으로 노출되게 마련되어 온도 조절 핸들이 결합되는 스템;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상기 스템과 결합되어 상기 스템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스템 가이드;
    상기 스템 가이드의 이동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바이어스 스프링;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과 결합되어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이동하는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의 회전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온수 유입구와 상기 냉수 유입구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밸브;
    상기 플러그 내에 설치되어 혼합수의 온도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어 상기 밸브의 추가적인 이동을 견인하는 SMA(Shape Memory Alloy) 스프링;
    상기 SMA 스프링의 일측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SMA 스프링의 팽창 및 수축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밸브를 추가 이동시키는 SMA 스프링 가이드; 및
    상기 밸브와 상기 SMA 스프링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온수와 냉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는 물 유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밸브의 외주면과 상기 SMA 스프링 가이드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의 일측 단부에는 물안내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안내홈부는 아크(arc) 형상으로 유연하게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에 결합되며, 상기 스템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팽창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래치 결합되는 탄성 래치유닛을 더 포함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KR2020110005095U 2011-06-08 2011-06-08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KR200468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95U KR200468680Y1 (ko) 2011-06-08 2011-06-08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95U KR200468680Y1 (ko) 2011-06-08 2011-06-08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76U KR20120008676U (ko) 2012-12-18
KR200468680Y1 true KR200468680Y1 (ko) 2013-09-03

Family

ID=5139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095U KR200468680Y1 (ko) 2011-06-08 2011-06-08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68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3379A (ja) * 1986-08-21 1988-03-07 Daido Steel Co Ltd 流体混合弁
JPS6440766A (en) * 1987-08-01 1989-02-13 Shigeo Tochikubo Water-tight structure for shut-off valve of single cylinder type for mixing hot water and cold water
JP2011069477A (ja) 2009-09-28 2011-04-07 Toto Ltd 湯水混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3379A (ja) * 1986-08-21 1988-03-07 Daido Steel Co Ltd 流体混合弁
JPS6440766A (en) * 1987-08-01 1989-02-13 Shigeo Tochikubo Water-tight structure for shut-off valve of single cylinder type for mixing hot water and cold water
JP2011069477A (ja) 2009-09-28 2011-04-07 Toto Ltd 湯水混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76U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2580B2 (ja) ドロアを有するバルブ装置およびこの種のバルブを備える回路
US9932724B2 (en) Fluid control device
JP4785203B2 (ja) 湯水混合栓
KR200468680Y1 (ko)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CN111033100B (zh) 冷热水切换龙头
US6726110B2 (en) Thermostatically controlled mixing valve
CN109661632B (zh) 混合单元和包括这种混合单元的混合龙头
KR20160137204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체크밸브
IT201900003389A1 (it) Gruppo di regolazione a cartuccia con camera di compensazione e valvola idraulica comprendente il gruppo di regolazione a cartuccia.
CN108980416B (zh) 恒温阀和具有其的燃气热水器
TWI814879B (zh) 冷熱水混合閥
KR101007209B1 (ko)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서모스탯 카트리지
JP4979347B2 (ja) 湯水混合弁
KR100624758B1 (ko) 온수개폐밸브용 카트리지
TWI808209B (zh) 冷熱水混合閥
KR100991697B1 (ko)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온도 및 유량 조절형 서모스탯 카트리지
KR100742656B1 (ko) 자동 온도조절 밸브
CN111664269B (zh) 恒温阀芯和恒温水龙头
JP2001254868A (ja) 湯水混合水装置
KR101195246B1 (ko) 온도감응형 유로개폐 밸브
IT201900003433A1 (it) Gruppo di regolazione a cartuccia e valvola idraulica con doppia scala di regolazione della portata.
JP4682253B2 (ja) サーモスタット装置
KR101205371B1 (ko) 서모스탯 카트리지
JP7482573B1 (ja) ミキシングバルブ、温水生成装置、カートリッジ
KR101303298B1 (ko) 서모스탯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