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551Y1 - 주류용 병 패키지 - Google Patents

주류용 병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551Y1
KR200468551Y1 KR2020110007308U KR20110007308U KR200468551Y1 KR 200468551 Y1 KR200468551 Y1 KR 200468551Y1 KR 2020110007308 U KR2020110007308 U KR 2020110007308U KR 20110007308 U KR20110007308 U KR 20110007308U KR 200468551 Y1 KR200468551 Y1 KR 200468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or
bottle
folded
support member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179U (ko
Inventor
정주연
Original Assignee
정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연 filed Critical 정주연
Priority to KR2020110007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55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1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1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5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급 와인이나 양주 등의 주류용 병을 보관 및 운반 할 수 있는 주류용 병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사각형 형태의 접을 수 있는 재질을 전개도를 이용하여, 복수 번 접어서 제조함으로써, 종이가 낭비되는 부분을 줄임과 동시에 제작과정을 단순화 할 수 있는 주류용 병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주류용 병 패키지{Alcohol Bottle Package}
본 고안은 고급 와인이나 양주 등의 주류용 병을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주류용 병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사각형 형태의 접을 수 있는 재질을 복수 번 접어서 제조함으로써, 제조과정이 간편한 주류용 병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류용 병 패키지는 여러 가지 재질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주류용 병 패키지가 대중적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낱개 또는 복수개 단위로 판매 및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도 1은 종래의 주류용 보관 상자에 관해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공개특허 2011-0052844의 종래 '주류용기 포장상자'는 종이재질로 형성되며, 상자의 본체부재(1)와 상자의 뚜껑(4)과, 상자의 본체부재(1)의 내부에 위치하며, 주류용 병(400)을 안착시키는 홈(2)이 구비되어 있는 내부부재(5)와 상기 홈(2)의 상면에 플로킹 섬유층(3)이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며, 내부부재(5)는 스티로폼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 기술은 주류용 병(400)이 안착되는 상기 홈(2)에 스티로폼 소재의 내부부재(5)를 안착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이 주류용 병(4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홈의 상면에 형성된 플로킹 섬유층(3)으로 인해 다양한 섬유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자연적으로 분해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스티로폼과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사용되고 난 후 방치될 때에 환경오염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수용성 접착제, 스티로폼, 종이 등의 여러 소재로 형성됨으로 인해 많은 제작비가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여러 가지 구성으로 인해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내부에 주류용 병이 수납되는 공간에 배치됨으로 인해, 수납공간의 크기에 일치하는 주류용 병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주류용 병의 용량이 크거나 작은 경우, 별도로 크기를 맞춰서 제조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고, 이에 따른 인력소모와 많은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은 외부 케이스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병을 완전히 밀폐하는 구성으로서, 외부 케이스를 개봉하지 않는 한 주류용 병에 담긴 주류의 색상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으며, 이는 주류를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의 구매의욕을 고취시키는 데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주류용기 포장상자'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주류용 병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은 있지만, 주류용 병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없음으로 인해, 운반할 때, 주류용 병이 크게 흔들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52844(2011.05.1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과 제작과정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주류용 병을 수용할 수 있으며, 육안으로 주류용 병에 담긴 주류를 관찰할 수 있고, 운반할 때 주류용 병의 흔들림을 방지 할수 있는 주류용 병 패키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직사각형 형태에서 다수번의 접힘을 통해 형성되고, 주류용 병(400)을 감싸는 주류용 병 패키지(1000)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패널 형태로 병의 바닥(430)을 받치는 받침부재(100); 상기 받침부재(100)의 우측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접힌 제 1측벽(210)과 2개의 패널형태로서 상기 제 1측벽(210)의 끝단에서 정면의 단면이 '<' 형태로 접히고, 상하부 측면에 주류용 병의 몸체(420)가 수용되는 제 1, 2홀(221, 222)이 형성된 제 1몸체수용부(220)와 상기 제 1몸체(420)수용부(220)의 끝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접힌 제 2측벽(230)과 상기 제 2측벽(230)의 끝단에서, 상기 받침부재(100)의 좌측단 측으로 경사지게 접히고, 측면에 주류용 병의 병목(410)이 수용되는 제 3홀(241)이 형성된 병목수용부(240)와 상기 병목수용부(240)의 끝단에서 상기 받침부재(100)의 우측단 측으로 경사지게 접히고, 측면에 주류용 병의 병목(410)이 수용되는 제 4홀(251)이 형성된 제 1회동부(250) 가 구비되어 있는 제 1지지부재(200); 2개의 패널형태로서, 상기 받침부재(100)의 좌측단에서 정면의 단면이 '>'형태로 정점에 따른 단면이 상기 제 1측벽(210)과 맞닿게 접히고, 상하부 측면에 주류용 병의 몸체(420)가 수용되는 제 6, 7홀(311, 312)이 형성된 제 2몸체수용부(310)와 상기 제 2몸체수용부(310)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접힌 제 3측벽(320)과 상기 제 3측벽(320)의 끝단에서 상기 제 1회동부(250)의 상부에 상기 제 1회동부(250)와 대향되게 접히고, 측면에 주류용 병의 병목(410)이 수용되는 제 8홀(331)이 형성된 제 2회동부(3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부재(200)는 상기 제 1회동부(250)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이나 길이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히고, 측면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제 5홀(261)이 형성된 제 1손잡이부(26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부재(300)는 상기 제 2회동부(33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손잡이부(260)와 대향되게 접히고, 측면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제 9홀(341)이 형성된 제 2손잡이부(34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2몸체수용부(220, 310)는 상기 제 1몸체수용부(220)의 하부에 형성된 패널 형태와 상기 제 2몸체수용부(310)의 상부에 형성된 패널 형태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류용 병 패키지(1000)는 상기 제 1, 2지지부재(200, 300) 및 받침부재(10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류용 병 패키지(1000)는 종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천 재질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용 병 패키지.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주류용 병 패키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접을 수 있는 재질을 복수 번 접어서 제작함으로써, 낭비되는 부분을 줄임과 동시에 제작과정을 단순화 하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주류용 병 패키지는 주류용 병의 일부 공간만을 감싸고, 일부 공간을 개방함으로써, 육안으로 주류용 병에 담긴 주류의 색깔을 관찰이 가능하여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고취시킬 수 있으며, 주류용 병이 수용되는 홀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주류용 병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주류용 병패키지는 주류용 병을 감싸는 부분을 다수의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운반할 때 주류용 병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주류용 병 패키지는 주류용 병을 수용하지 않을 때, 접힌 부분을 펼쳐서 접히기 전의 패널형태로 돌아갈 수 있으므로, 보관이 편리하고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 주류용기 포장상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주류용 병의 구조를 표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류용 병 패키지의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 병 패키지를 이용하여 주류용 병을 보관할 때의 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 병 패키지를 이용하여 주류용 병을 보관할 때의 정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 병 패키지를 이용하여 주류용 병을 운반할 때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 병 패키지를 이용하여 주류용 병을 운반할 때의 정면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주류용 병 패키지(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주류용 병의 구조를 표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류용 병 패키지의 전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 병 패키지를 이용하여 주류용 병을 보관할 때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 병 패키지를 이용하여 주류용 병을 보관할 때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 병 패키지를 이용하여 주류용 병을 운반할 때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 병 패키지를 이용하여 주류용 병을 운반할 때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류용 병(400)은 병목(410), 몸체(420), 바닥(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류용 병 패키지(1000)는 받침부재(100), 제 1지지부재(200) 및 제 2지지부재(300)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형태의 접을 수 있는 재질을 다수번의 접힘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00)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주류용 병의 바닥(430)을 받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받침부재(100)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나, 주류용 병의 바닥(430)을 받칠 수 있는 형태라면 좀 더 다양한 형태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 1지지부재(200)는 도 4에 표시된 방향표시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00)의 우측단과 연결되어 제 1, 2측벽(210, 230), 제 1몸체수용부(220), 병목수용부(240), 제 1회동부(250), 제 1손잡이부(2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 1측벽(210)은 상기 받침부재(100)의 우측단과 접힘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100)의 우측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접혀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몸체수용부(220)는 상기 제 1측벽(210)의 끝단 상부와 접힘 연결되어, 2개의 패널 형태로 정면의 단면이 '<' 형태로 접혀서 형성되며, 상하부 측면에 주류용 병의 몸체(420)가 수용되는 제 1, 2홀(221, 22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2측벽(230)은 상기 제 1몸체수용부(220)와 접힘 연결되어, 상기 제 1몸체수용부(220)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접혀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2측벽은 주류용 병(400)의 우측면을 감싸는 구성으로서, 패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좀 더 다양한 형태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병목수용부(240)는 상기 제 2측벽(230)과 접힘 연결되어, 상기 제 2측벽(230)의 끝단에서 상기 받침부재(100)의 좌측단 측으로 경사지게 접혀서 형성되며, 측면에 병의 병목(410)이 수용되는 제 3홀(241)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병목수용부(240)는 주류용 병(40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몸체수용부(220)와 평행하게 접혀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회동부(250)는 상기 병목수용부(240)의 끝단과 접힘 연결되어, 측면에 주류용 병의 병목(410)이 수용되는 제 4홀(251)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430) 받침부의 우측단 측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병목수용부(240)와 연결되는 부분을 회동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손잡이부(260)는 상기 제 1회동부(250)의 끝단과 접힘 연결되어, 측면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제 5홀(261)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 1회동부(250)와 연결되는 부분을 회동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 2지지부재(300)는 상기 받침부재(100)의 좌측단과 접힘 연결되어 제 2몸체수용부(310), 제 3측벽(320), 제 2회동부(330), 제 2손잡이부(3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 2몸체수용부(310)는 상기 받침부재(100)의 좌측단에서 접힘 연결되어, 2개의 패널형태로 정면의 단면이 '>'형태로 정점에 따른 모서리가 상기 제 1측벽(210)과 맞닿게 접어서 형성되며, 상하부 측면에 병의 몸체(420)가 수용되는 제 6, 7홀(311, 3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3측벽(320)은 상기 제 2몸체수용부(310)의 끝단과 접힘 연결되어, 상기 제 2몸체수용부(310)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접혀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3측벽(320)은 주류용 병(400)의 좌측면을 감싸는 구성으로서, 패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좀 더 다양한 형태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 2회동부(330)는 상기 제 3측벽(320)의 끝단과 접힘 연결되어, 상기 제 1회동부(25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회동부(250)와 대향되게 형성되며, 측면에 병의 병목(410)이 수용되는 제 8홀(331)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 3측벽(320)과 접힘 연결된 부분을 회동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제 2손잡이부(340)는 상기 제 2회동부(330)와 접힘 연결되어, 상기 제 1손잡이부(260)와 대향되게 형성되며, 측면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제 9홀(341)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 2회동부(330)와 접힘 연결된 부분을 회동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몸체수용부(220)의 하부에 형성된 패널 형태와 상기 제 2몸체수용부(310)의 상부에 형성된 패널 형태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2몸체수용부(220, 310)에 구비된 상기 제 1, 2, 6, 7홀(221, 222, 311, 312)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주류용 병의 몸체(420) 크기에 따라, 간편하게 절단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회동부(250, 330) 및 병목수용부(240)에 구비된 상기 제 3, 4, 8홀(241, 251, 331)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주류용 병의 병목(410) 크기에 따라, 간편하게 절단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주류용 병 패키지(1000)는 주류용 병(400)이 수용되는 홀의 크기를 간편하게 절단하여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주류용 병(400)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2손잡이부(260, 340)에 구비된 상기 제 5, 9홀(261, 341)은 손가락을 넣어 운반할 때, 운반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직사각형 형태에 근접한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손가락을 쉽게 넣기 위한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 병 패키지(1000)는 주류용 병(400)의 보관과 운반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본 고안의 주류용 병 패키지(1000)를 이용하여 병을 보관할 때, 상기 제 1, 2몸체수용부(220, 310)는 상기 받침부재(100)와 평행하게 접어서 배치하고, 상기 제 1, 2 손잡이부(260, 340)는 길이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어서 배치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주류용 병 패키지(1000)는 주류용 병(400)을 보관할 때,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상자 형상으로 일정영역이 개방된 구조로, 육안으로 주류용 병(400)에 담긴 주류의 색깔을 관찰이 가능하여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고취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에 의하면, 본 고안의 주류용 병 패키지(1000)를 이용하여 병을 운반 할 때, 먼저, 상기 제 1, 2손잡이부(260, 340)를 길이방향으로 접은 다음, 상기 제 1, 2손잡이부(260, 340)에 구비된 상기 제 5, 9홀(261, 341)에 손가락을 넣는다.
이 때, 제 1, 2손잡이부(260, 340)를 통해 전체적으로 힘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 1, 2몸체수용부(220, 310)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됨과 동시에 서로 대향된 측면이 밀착되며, 상기 병목수용부(240)와 상기 제 1, 2회동부(250, 330)도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제 1, 2회동부(250, 330)가 서로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2몸체수용부(220, 310)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 1, 2, 6, 7홀(221, 222, 311, 312)에 수용된 주류용 병의 몸체(420)를 지그재그로 맞물림과 동시에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하며, 서로 대향된 측면이 서로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 1, 2몸체수용부(220, 310)의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병목수용부(240)와 상기 제 1, 2회동부(250, 330)도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 3, 4, 8홀(241, 251, 331)에 수용된 주류용 병의 병목(410)을 지그재그로 맞물림과 동시에, 흔들리지 않게 단단하게 고정하며, 상기 제 1, 2회동부(250, 330)의 대향된 측면이 서로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 1, 2회동부(250,330)의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주류용 병 패키지(1000)는 주류용 병(400)이 수용되는 부분을 다수의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을 이용하여, 주류용 병(400)을 운반할 때, 주류용 병(4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주류용 병 패키지(1000)는 종이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 또는 천재질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높은 강도를 지닌 종이재질의 소재라면 좀 더 다양한 접을 수 있는 재질의 소재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주류용 병 패키지(1000)는 직사각형 형상의 접을 수 있는 재질을 전개도를 이용하여 복수 번 접어서 제작함으로써, 종이가 낭비되는 부분을 줄임과 동시에 제작과정을 단순화하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주류용 병 패키지(1000)는 주류용 병(400)을 수용하지 않을 때, 접힌 부분을 펼쳐서 접히기 전의 패널형태로 돌아갈 수 있으므로, 보관이 편리하고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종래 기술의 주류 용기 포장상자
1 : 본체부재 2 : 홈
3 : 플로킹 섬유층 4 : 뚜껑
5 : 내부부재
1000 : 주류용 병 패키지
100 : 받침부재 200 : 제 1지지부재
210 : 제 1측벽 220 : 제 1몸체수용부
221 : 제 1홀 222 : 제 2홀
230 : 제 2측벽 240 : 병목수용부
241 : 제 3홀 250 : 제 1회동부
251 : 제 4홀 260 : 제 1손잡이부
261 : 제 5홀 300 : 제 2지지부재
310 : 제 2몸체수용부 311 : 제 6홀
312 : 제 7홀 320 : 제 3측벽
330 : 제 2회동부 331 : 제 8홀
340 : 제 2손잡이부 341 : 제 9홀
400 : 주류용 병
410 : 병목 420 : 몸체
430 : 바닥

Claims (6)

  1. 직사각형 형태에서 다수번의 접힘을 통해 형성되고, 주류용 병(400)을 감싸는 주류용 병 패키지(1000)에 있어서,
    패널 형태로 병의 바닥(430)을 받치는 받침부재(100);
    상기 받침부재(100)의 우측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접힌 제 1측벽(210)과 2개의 패널형태로서 상기 제 1측벽(210)의 끝단에서 정면의 단면이 '<' 형태로 접히고, 상하부 측면에 주류용 병의 몸체(420)가 수용되는 제 1, 2홀(221, 222)이 형성된 제 1몸체수용부(220)와 상기 제 1몸체수용부(220)의 끝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접힌 제 2측벽(230)과 상기 제 2측벽(230)의 끝단에서, 상기 받침부재(100)의 좌측단 측으로 경사지게 접히고, 측면에 주류용 병의 병목(410)이 수용되는 제 3홀(241)이 형성된 병목수용부(240)와 상기 병목수용부(240)의 끝단에서 상기 받침부재(100)의 우측단 측으로 경사지게 접히고, 측면에 주류용 병의 병목(410)이 수용되는 제 4홀(251)이 형성된 제 1회동부(250) 가 구비되어 있는 제 1지지부재(200);
    2개의 패널형태로서, 상기 받침부재(100)의 좌측단에서 정면의 단면이 '>'형태로 정점에 따른 단면이 상기 제 1측벽(210)과 맞닿게 접히고, 상하부 측면에 주류용 병의 몸체(420)가 수용되는 제 6, 7홀(311, 312)이 형성된 제 2몸체수용부(310)와 상기 제 2몸체수용부(310)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접힌 제 3측벽(320)과 상기 제 3측벽(320)의 끝단에서 상기 제 1회동부(250)의 상부에 상기 제 1회동부(250)와 대향되게 접히고, 측면에 주류용 병의 병목(410)이 수용되는 제 8홀(331)이 형성된 제 2회동부(3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류용 병 패키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부재(200)는
    상기 제 1회동부(250)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이나 길이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히고, 측면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제 5홀(261)이 형성된 제 1손잡이부(26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용 병 패키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부재(300)는
    상기 제 2회동부(33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손잡이부(260)와 대향되게 접히고, 측면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제 9홀(341)이 형성된 제 2손잡이부(34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용 병 패키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몸체수용부(220, 310)는
    상기 제 1몸체수용부(220)의 하부에 형성된 패널 형태와 상기 제 2몸체수용부(310)의 상부에 형성된 패널 형태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용 병 패키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류용 병 패키지(1000)는
    상기 제 1, 2지지부재(200, 300) 및 받침부재(10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용 병 패키지.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류용 병 패키지(1000)는 종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천 재질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용 병 패키지.
KR2020110007308U 2011-08-12 2011-08-12 주류용 병 패키지 KR200468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308U KR200468551Y1 (ko) 2011-08-12 2011-08-12 주류용 병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308U KR200468551Y1 (ko) 2011-08-12 2011-08-12 주류용 병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79U KR20130001179U (ko) 2013-02-20
KR200468551Y1 true KR200468551Y1 (ko) 2013-08-22

Family

ID=5139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308U KR200468551Y1 (ko) 2011-08-12 2011-08-12 주류용 병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55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288A (ja) * 1994-03-31 1995-10-17 Petsuku:Kk 瓶収納箱
KR100545325B1 (ko) 2004-11-22 2006-01-24 주식회사 태평양 포장 케이스 제조방법
JP3123261U (ja) * 2005-11-22 2006-07-20 修 伊藤 ダンボール製の瓶類収納箱
KR20110052844A (ko) * 2009-11-13 2011-05-19 황찬정 주류용기 포장상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288A (ja) * 1994-03-31 1995-10-17 Petsuku:Kk 瓶収納箱
KR100545325B1 (ko) 2004-11-22 2006-01-24 주식회사 태평양 포장 케이스 제조방법
JP3123261U (ja) * 2005-11-22 2006-07-20 修 伊藤 ダンボール製の瓶類収納箱
KR20110052844A (ko) * 2009-11-13 2011-05-19 황찬정 주류용기 포장상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79U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91227U (zh) 一种折叠储物箱包
US8079472B2 (en) Deployable container for bottles or the like
TWI393661B (zh) 緩衝材與包裝箱
JP2017165438A (ja) 包装体、及び商品収容体の運搬方法
KR200468551Y1 (ko) 주류용 병 패키지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KR20200075263A (ko)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KR200378625Y1 (ko) 포장용 상자
KR101572778B1 (ko) 조립식 상자
CN110088012A (zh) 篮筐式装载件、装运纸箱和包装系统
KR101508732B1 (ko) 포장용 상자
KR200420833Y1 (ko) 음식물 보관용 종이박스
KR20110035369A (ko) 분말형 세제 포장 용기
KR200451475Y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갖는 화장품 포장용 상자
CN214029780U (zh) 一种手提包装盒
KR200459316Y1 (ko) 쿠키 포장상자
KR20090028906A (ko) 계란판 구조물
KR20080004312U (ko) 제품용기 포장상자
JP3179593U (ja) 包装体
KR200310459Y1 (ko) 포장상자
KR200447274Y1 (ko) 술병 포장케이스
KR20110126234A (ko) 종이접이형 화장소모품 수납박스
KR200430540Y1 (ko) 접이형 포장박스
WO2024047846A1 (ja) 包装箱および包装箱用シート
KR102018563B1 (ko)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