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221Y1 - 셔트 블라인드 및 그를 포함한 셔트 장치 - Google Patents
셔트 블라인드 및 그를 포함한 셔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8221Y1 KR200468221Y1 KR2020120001799U KR20120001799U KR200468221Y1 KR 200468221 Y1 KR200468221 Y1 KR 200468221Y1 KR 2020120001799 U KR2020120001799 U KR 2020120001799U KR 20120001799 U KR20120001799 U KR 20120001799U KR 200468221 Y1 KR200468221 Y1 KR 20046822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 unit
- rotation
- shaft unit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1—Locking arrangements
- E06B2009/802—Locking arrangements located in or close to shutter box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9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immobilising the closure member in various chosen positions
- E06B2009/905—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immobilising the closure member in various chosen positions using wrap spring clutch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셔트를 풀고 감는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셔트 블라인드 및 그를 포함한 셔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회전에 따라 셔트를 펼치고, 역회전에 따라 상기 셔트를 천천히 감는 셔트 장치로서, 제1 고정축 유닛, 속도 조절 유닛, 충격 완충 유닛, 감속볼 유닛 및 회전축 유닛을 구비한 셔트 블라인드; 상기 셔트 블라인드의 끝단부를 인입하여 고정시키는 볼록 체결구와 상기 볼록 체결구로부터 연장되어 관통 형상으로 된 관통구를 구비하는 제2 고정축 유닛; 상기 관통구에 인입되어 상기 볼록 체결구의 일측과 접촉하여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체; 상기 관통구에 인입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체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이후의 상기 스프링 회전체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 스프링; 및 상기 관통구에 인입된 후 상기 관통구의 끝단 부근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 유닛의 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움직여 상기 탄성 스프링을 감고 푸는 스프링 회전체;를 포함하는 셔트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본 고안은 감속볼 유닛이 회전축 유닛의 내면과 맞닿는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회전과 역회전시 서로 다른 마찰력을 발생시켜 셔트의 풀기나 감는 동작이 부드러워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감속볼 유닛이 회전축 유닛의 내면과 맞닿는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회전과 역회전시 서로 다른 마찰력을 발생시켜 셔트의 풀기나 감는 동작이 부드러워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셔트 블라인드 및 그를 포함한 셔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셔트를 풀고 감는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셔트 블라인드 및 그를 포함한 셔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케이스 장치는 냉장이 필요한 야채, 과일 및 육류 등과 같이 신선도를 유지해야하는 식료품을 진열하기 위한 쇼케이스 장치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상기 쇼케이스 장치는 전면에 배치된 선반 전면을 차단하기 위하여 셔트 장치를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셔트 장치는 개장시 식료품의 판매를 위하여 걷혀지고, 폐장시에는 닺혀져 냉기가 쇼케이스의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셔트 장치는 약한 마찰 작용에 따라 회전되어 쇼케이스의 전면부에서 닺혀지거나, 다소 강한 마찰 작용에 따라 회전되어 쇼케이스의 전면부에서 쉽게 개방되어진다. 이러한 동작은 사람의 약한 힘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어 셔트 장치의 개폐(풀리거나 감겨짐의 동작)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반면, 셔트 장치는 창문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었다. 창문에 설치되는 셔트 장치도 앞서 설명한 쇼케이스 장치의 셔트 장치와 같은 원리로 동작한다. 즉, 창문에 설치되는 셔트 장치는 햇빛을 가리거나 쬐기 위하여 사람의 약한 힘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되어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셔트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나, 개폐시 중도에 멈추거나 빨리/늦게 풀리거나 감겨지는 등, 원활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주위 구조물로 충격을 주어 자주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셔트가 중도에 멈추거나 빨리/늦게 풀리거나 감겨지는 개폐 동작을 개선하여 안정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고, 주변 구조물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셔트 블라인드 및 그를 포함한 셔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르면, 회전에 따라 셔트를 펼치고, 역회전에 따라 상기 셔트를 천천히 감는 셔트 장치내의 셔트 블라인드에 있어서, 셔트 브라켓의 일측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의 단면이 십자 형상을 이루되, 상기 십자 형상의 각 볼록면이 타원 모양을 이루는 제1 고정축 유닛; 상기 제1 고정축 유닛의 십자 형상에 끼워져 미세하게 유동성을 발휘하도록, 상기 십자 형상에 대응하는 동일한 형상이되,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내면에 형성되는 십자홈과 외면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요철홈을 구비하는 속도 조절 유닛; 상기 속도 조절 유닛이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속도 조절 유닛에 이웃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축 유닛에 끼워지는 충격 완충 유닛; 상기 제1 고정축 유닛, 속도 조절 유닛과 충격 완충 유닛을 내부에 장착하고, 외주면에 결합된 셔트를 펼치거나 감도록 회전과 역회전을 발생시키는 회전축 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요철홈에 안착된 후, 윗면이 상기 회전축 유닛의 내부면과 맞닿아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유닛의 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요철홈에서 좌우로 이동되어 각기 다른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감속볼 유닛;을 포함하는 셔트 블라인드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축 유닛은, 상기 일단이 암나사로 구비될 경우,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십자 형상으로 된 십자형 몸체와, 상기 암나사에서 도출된 브라켓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십자홈은, 기준선으로부터 5°내지 15°의 기울기(θ)로 기울어져 있음으로써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요철홈은, 완만히 볼록하게 튀어나와 중앙에 형성된 돌출면과, 상기 돌출면에 이웃하여 대칭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 유닛은, 플라스틱 와샤와 실리콘 링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회전에 따라 셔트를 펼치고, 역회전에 따라 상기 셔트를 천천히 감는 셔트 장치로서, 셔트 블라인드; 상기 셔트 블라인드의 끝단부를 인입하여 고정시키는 볼록 체결구와 상기 볼록 체결구로부터 연장되어 관통 형상으로 된 관통구를 구비하는 제2 고정축 유닛; 상기 관통구에 인입되어 상기 볼록 체결구의 일측과 접촉하여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체; 상기 관통구에 인입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체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이후의 상기 스프링 회전체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 스프링; 및 상기 관통구에 인입된 후 상기 관통구의 끝단 부근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 유닛의 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움직여 상기 탄성 스프링을 감고 푸는 스프링 회전체;를 포함하는 셔트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다른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축 유닛은, 인입된 상기 스프링 회전체가 빠지지 않고 걸리도록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회전체의 내부를 통과한 끝단이 셔트 브라켓의 측벽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고정축 유닛과 속도 조절 유닛이 암수의 체결 구조로서 십자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속도 조절 유닛의 기울어진 십자 형상 구조로 인하여 체결시 유동성을 확보하게 되어, 감속볼 유닛이 회전축 유닛의 내면과 맞닿는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회전과 역회전시 서로 다른 마찰력을 발생시켜 셔트의 풀기나 감는 동작이 부드러워지는 효과가 있다.
예들 들면, 셔트를 풀경우 마찰력을 강하게 발생시켜 사람의 손에 의해 이끌려 움직이게 하고, 셔트를 감을 경우 마찰력을 약하게 발생시켜 사람의 손에 의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천천히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셔트의 부드러운 개폐 동작으로 인하여, 셔트 블라인드 또는 셔트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어, 셔트 블라인드 또는 셔트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람의 약한 힘만으로도 셔트의 개폐가 자동에 가깝게 이루어져 사용성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플라스틱 와샤와 실리콘 링으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 유닛의 구비로 인하여, 제1 고정축 유닛에 끼워진 복수 개의 속도 조절 유닛간의 충돌과 움직임을 줄여주어 원활한 셔트의 풀기나 감는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트 블라인드(100)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유닛(120) 및 감속볼 유닛(140) 간의 관계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트 장치(10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유닛(120) 및 감속볼 유닛(140) 간의 관계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트 장치(10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트 블라인드(100)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트 블라인드(100)는 셔트 장치내에 포함되어진 구조물로서, 제1 고정축 유닛(110), 속도 조절 유닛(120), 충격 완충 유닛(130), 감속볼 유닛(140) 및 회전축 유닛(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셔트 장치라 함은 식료품의 진열대에 놓인 쇼케이스에 장착되어 셔트를 펴거나 감는데 사용되는 장치이거나 윗창문(또는 윗창틀)에 장착되어 햇빛을 가리거나 쬐는데 필요한 셔트를 펴거나 감는데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셔트 장치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사람의 힘(수동)에 의해 셔트를 펴거나 감는 용도로서 사용되는 장치라면 본 고안의 셔트 장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1 고정축 유닛(110)은 셔트 브라켓(미도시, 셔트 블라인드를 포함하고 있는 셔트 장치의 양 끝단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임)의 일측벽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고, 또 이후에 설명될 제1 고정축 유닛(110), 속도 조절 유닛(120), 충격 완충 유닛(130) 및 감속볼 유닛(140) 등을 끼우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제1 고정축 유닛(110)은 셔트 브라켓의 일측벽에 가까운 측에 형성된 암나사(112)와 상기 암나사(11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외형적으로 일자 형상이며 상기 일자 형상의 내부 단면이 십자 형상(111a)으로 이루어진 십자형 몸체(111)와, 상기 암나사(112)에 체결되어 암나사(112)와 십자형 몸체(111)의 경계 부위까지 끼워져 고정되는 수나사(113) 및 셔트 브라켓에 고정되기 위하여 암나사(112)의 외면에 돌출되어 있는 브라켓 고정부(114)를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중에서 십자형 몸체(111)는 십자 형상(111a)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십자 형상(111a)의 각 볼록면이 타원 모양(111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타원 모양(111b)의 십자 형상(111a)은 이후에 설명될 속도 조절 유닛(120)을 끼워 십자형 몸체(111)의 표면을 따라 좌우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조이다. 이로써, 십자 형상(111a)에 의해 굴곡된 상태로 원통 모양을 갖는 십자형 몸체(111)이 되어진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속도 조절 유닛(120)은 제1 고정축 유닛(110)의 십자 형상(111a)에 끼워져 상기 십자 형상(111a)과의 접촉으로부터 미세하게 유동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십자 형상(111a) 처럼 동일한 형상이되,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내면에 형성되는 십자홈(121)를 구비한다.
그러나, 속도 조절 유닛(120)의 외면은 원통 모양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속도 조절 유닛(120)은 원통 모양의 외면 둘레(표면을)를 따라 이격되어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요철홈(122)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요철홈(122)이라 함은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위와 오목하게 들어간 부위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내면적으로 십자홈(121)과 외적으로 요철홈(122)으로 이루어진 속도 조절 유닛(120)이 앞서 설명한 제1 고정축 유닛(110)의 십자 형상(111a)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로 제1 고정축 유닛(110)의 십자 형상(111a)에 끼워져 제1 고정축 유닛(11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 유닛(130)은 속도 조절 유닛(120)이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속도 조절 유닛(120)에 이웃하여 배치되어 속도 조절 유닛(120) 간의 충돌과 움직임을 방지한다.
이때, 복수 개의 속도 조절 유닛(120)에 이웃하여 배치됨은 충격 완충 유닛(130)의 사이 또는 속도 조절 유닛(120)에 끼워진 충격 완충 유닛(130) 중 최외측에 형성된 충격 완충 유닛(130)의 주변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사용되었다. 물론, 충격 완충 유닛(130)도 속도 조절 유닛(120)처럼 제1 고정축 유닛(110)에 끼워져서 속도 조절 유닛(120) 간의 충돌과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 유닛(130)은 플라스틱 와샤(131)와 실리콘 링(132)으로 구비될 수 있다. 플라스틱 와샤(131)와 실리콘 링(132) 처럼, 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면, 속도 조절 유닛(120) 간의 충돌과 움직임이 쉽게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감속볼 유닛(140)은 속도 조절 유닛(120)의 요철홈(122)에 안착되어, 상기 요철홈(122) 내에서 좌우로 움직임을 갖도록 둥근 원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감속볼 유닛(140)의 용도와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에서 설명될 회전축 유닛(150)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축 유닛(150)의 설명후에 언급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회전축 유닛(150)은 제1 고정축 유닛(110), 속도 조절 유닛(120), 충격 완충 유닛(130) 및 감속볼 유닛(140)을 모두 내부에서 수용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의 내외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 유닛(150)은 외주면에 결합되어진 셔트(미도시, 창문 또는 진열대에 설치된 셔트 장치에서 풀리거나 감겨지는 대상체를 의미함)를 펼치거나 감도록 회전과 역회전을 발생시킨다. 물론 사람에 의해 인위적으로 셔트를 펴거나 감는 행위에 의해서 회전축 유닛(150)의 회전과 역회전이 발생될 것이다.
여기서, 회전축 유닛(150)의 내부에 장착된 구성 중 제1 고정축 유닛(110)은 브라켓 고정부(114)를 매개로 셔트 브라켓과 결합되어져 있기 때문에 회전축 유닛(150)의 내부에서 회전이 되지 않아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회전축 유닛(150)의 내부에 장착된 구성 중 속도 조절 유닛(120)은 감속볼 유닛(140)을 통하여 회전축 유닛(150)의 회전시에 발생된 회전축 유닛(150)과의 간접적인 접촉 영향을 받아 십자 형상(111a)내에 결속된 십자홈(121)의 기울기 각도 만큼 움직임(유동성)이 발생되어진다.
이때, 매개체로서 작용하는 감속볼 유닛(140)은 복수 개의 요철홈(122)에 안착된 후, 윗면이 상기 회전축 유닛(150)의 내부면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접촉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회전축 유닛(150)의 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복수 개의 요철홈(122)에서 감속볼 유닛(140)이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각기 다른 마찰력이 발생되어 십자홈(121)의 기울기 각도 만큼 움직임(유동성)이 발생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움직임(유동성)이 확보되면, 궁극적으로 회전축 유닛(150)의 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셔트를 쉽게 펴거나 부드럽게 감을 수 있다. 즉, 회전축 유닛(150)의 회전에 대응하여 감속볼 유닛(140)과 회전축 유닛(150) 간에는 마찰력이 줄어들어 셔트를 사람의 힘에 의존하여 가볍게 펼 수 있다.
반면, 회전축 유닛(150)의 역회전에 대응하여 감속볼 유닛(140)과 회전축 유닛(150) 간에는 마찰력이 높아져 셔트를 사람의 손 힘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서서히 감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속도 조절 유닛(120) 및 속도 조절 유닛(120)과 감속볼 유닛(140)간의 관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유닛(120) 및 감속볼 유닛(140) 간의 관계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유닛(120)은 내면에 기울어진 상태로 관통된 십자홈(121)과 표면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요철홈(122)을 구비한다.
상기 십자홈(121)은 기준선으로부터 5°내지 15°의 기울기(θ)로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5°내지 15°의 기울기(θ)로 십자홈(121)이 기울어지면, 제1 고정축 유닛(110)의 십자 형상(111a)에 끼워질 경우 십자 형상(111a)내에서 기울어지는 형태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속도 조절 유닛(120)이 십자홈(121)의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반면, 상기 복수 개의 요철홈(122)은 완만히 볼록하게 튀어나와 중앙 부위에 형성된 돌출면(122c)과, 상기 돌출면(122c)에 이웃하여 대칭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면(122a, 122b)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요철홈(122)의 오목면(122a, 122b)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감속볼 유닛(140)이 회전축 유닛(150)의 내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축 유닛(150)이 회전 또는 역회전될 경우 다른측의 오목면(122a, 122b)으로 이동된다. 이동되는 감속볼 유닛(140)은 속도 조절 유닛(120)의 기울어진 각도만큼 회전축 유닛(150)의 내면과 닿는 강도가 달라져 회전축 유닛(150)의 회전 또는 역회전시 각기 다른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회전축 유닛(150)의 회전에 대응하여 감속볼 유닛(140)과 회전축 유닛(150) 간에는 마찰력이 줄어드는 형태로 감속볼 유닛(140)이 오목면(122a, 122b)중 어느 한측에서 돌출면(122c)을 타고 다른측으로 이동될 경우, 사람의 힘에 의존하여 셔트를 쉽게 펼칠수 있게 된다.
반면, 회전축 유닛(150)의 역회전에 대응하여 감속볼 유닛(140)과 회전축 유닛(150) 간에는 마찰력이 높아지는 형태로 감속볼 유닛(140)이 오목면(122a, 122b)중 어느 한측에서 돌출면(122c)을 타고 다른측으로 이동될 경우 사람의 손 힘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셔트를 서서히 감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속도 조절 유닛(120)은 일측에 형성된 격벽(123)을 구비한다. 이러한 격벽(123)은 충격 완충 유닛(130)과 접촉할 경우 충격 완충 유닛(130)의 회전을 더욱더 막아 밀착되는데 도움이 된다.
제2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트 장치(10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트 장치(1000)는 회전에 따라 셔트를 펼치고, 역회전에 따라 상기 셔트를 천천히 감을 수 있는 장치로서, 셔트 블라인드(100), 제2 고정축 유닛(200), 스프링 고정체(300), 탄성 스프링(400) 및 스프링 회전체(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셔트 블라인드(1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충분히 설명되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제2 고정축 유닛(200)은 셔트 블라인드(100)의 끝단부(111a)를 인입하여 고정시키는 볼록 체결구(210)과 상기 볼록 체결구(210)로부터 연장되어 길게 늘어진 관통 형상으로 된 관통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구(220)는 볼록 체결구(210)와 맞닿은 측과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걸림턱(221b)을 구비한다. 이때, 걸림턱(221b)의 용도는 이후에 설명될 스프링 회전체(500)을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고정체(300)는 관통구(220)의 끝단부(221a)를 통하여 볼록 체결구(210)의 일측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인입된 후, 이후에 설명될 탄성 스프링 (400)을 고정시킨 상태로 관통구(220)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 스프링(400)은 관통구(220)에 인입되어 스프링 고정체(300)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410)이 이후에 설명될 스프링 회전체(500)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탄성 스프링(400)은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예: 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한 힘)이 가해지면 옆으로 쉽게 감기거나 풀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회전체(500)는 관통구(220)에 인입된 후 관통구(220)의 끝단 부근(221b)에 고정되어, 셔트 블라인드(100)의 회전축 유닛(150)의 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움직여 탄성 스프링(400)을 감고 푸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스프링 회전체(500)는 셔트 블라인드(100)의 회전축 유닛(150)과 회전과 역회전에 영향을 받아 동일하게 회전과 역회전이 발생되기 때문에 탄성 스프링(400)을 감고 풀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 회전체(500)는 홈(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홈은 고리 형태의 탄성 스프링(400)의 타단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로써, 스프링 고정체(300), 탄성 스프링(400) 및 스프링 회전체(500)가 결합된 상태로 관통구(220)에 삽입되어 볼록 체결구(210)의 앞단까지 위치하여 스프링 고정체(300)가 먼저 고정되고, 스프링 회전체(500)가 걸림턱(221b)에 걸려 고정됨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여 탄성 스프링(400)을 감고 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스프링 회전체(500)는 외주면에도 홈(510)이 있어 셔트 브라켓의 다른 일측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셔트 장치(1000)는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셔트 블라인드(100), 제2 고정축 유닛(200), 스프링 고정체(300), 스프링 회전체(400) 및 스프링 회전체(500)가 상호 결합되어 완성된 결과를 보여준다. 셔트 블라인드(100), 제2 고정축 유닛(200), 스프링 고정체(300), 탄성 스프링(400) 및 스프링 회전체(500)가 상호 결합된 후 셔트(미도시)를 달고 있는 셔트 블라인드(100)의 회전축 유닛(150)에 끼워진다.
이로써, 회전축 유닛(150)이 회전 또는 역회전이 발생되면 스프링 회전체(500)가 회전 또는 역회전 되고, 스프링 회전체(500)의 영향에 있는 스프링 회전체(500)가 또한 회전 또는 역회전되며, 스프링 회전체(500)에 고정된 탄성 스프링(400)이 비로서 옆으로 감기거나 풀린다.
여기서, 탄성 스프링(400)의 감김은 스프링 회전체(500)의 회전에 따라 셔트가 내려질 때 발생되는 현상이며, 탄성 스프링(400)의 풀림은 감겨진 상태에서 스프링 회전체(500)의 역회전에 따라 셔트가 감길때 발생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셔트 블라인드(100)의 마찰 영향을 받아 풀리거나 감겨지는 속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셔트 블라인드 110 : 제1 고정축 유닛
111 : 십자형 몸체 112 : 암나사
113 : 수나사 114 : 브라켓 고정부
111a: 십자 형상 111b : 타원 모양
120 : 속도 조절 유닛 121 : 십자홈
122 : 요철홈 130 : 충격 완충 유닛
131 : 플라스틱 와샤 132 : 실리콘 링
140 : 감속볼 유닛 150 : 회전축 유닛
200 : 제2 고정축 유닛 300 : 스프링 고정체
400 : 탄성 스프링 500 : 스프링 회전체
111 : 십자형 몸체 112 : 암나사
113 : 수나사 114 : 브라켓 고정부
111a: 십자 형상 111b : 타원 모양
120 : 속도 조절 유닛 121 : 십자홈
122 : 요철홈 130 : 충격 완충 유닛
131 : 플라스틱 와샤 132 : 실리콘 링
140 : 감속볼 유닛 150 : 회전축 유닛
200 : 제2 고정축 유닛 300 : 스프링 고정체
400 : 탄성 스프링 500 : 스프링 회전체
Claims (7)
- 회전에 따라 셔트를 펼치고, 역회전에 따라 상기 셔트를 천천히 감는 셔트 장치내의 셔트 블라인드로서,
셔트 브라켓의 일측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의 단면이 십자 형상(111a)을 이루되, 상기 십자 형상(111a)의 각 볼록면이 타원 모양(111b)을 이루는 제1 고정축 유닛(110);
상기 제1 고정축 유닛(110)의 십자 형상(111a)에 끼워져 미세하게 유동성을 발휘하도록, 상기 십자 형상(111a)에 대응하는 동일한 형상이되,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내면에 형성되는 십자홈(121)과 외면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요철홈(122)을 구비하는 속도 조절 유닛(120);
상기 속도 조절 유닛(120)이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속도 조절 유닛(120)에 이웃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축 유닛(110)에 끼워지는 충격 완충 유닛(130);
상기 제1 고정축 유닛(110), 속도 조절 유닛(120)과 충격 완충 유닛(130)을 내부에 장착하고, 외주면에 결합된 셔트를 펼치거나 감도록 회전과 역회전을 발생시키는 회전축 유닛(150); 및
상기 복수 개의 요철홈(122)에 안착된 후, 윗면이 상기 회전축 유닛(150)의 내부면과 맞닿아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유닛(150)의 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요철홈(122)에서 좌우로 이동되어 각기 다른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감속볼 유닛(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트 블라인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축 유닛(110)은,
상기 일단이 암나사(112)로 구비될 경우, 상기 암나사(112)에 체결되는 수나사(113)와, 상기 암나사(11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십자 형상(111a)으로 된 십자형 몸체(111)와, 상기 암나사(112)에서 도출된 브라켓 고정부(1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셔트 블라인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홈(121)은,
기준선으로부터 5°내지 15°의 기울기(θ)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셔트 블라인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홈(122)은,
완만히 볼록하게 튀어나와 중앙에 형성된 돌출면(122c)과, 상기 돌출면(122c)에 이웃하여 대칭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면(122a, 12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셔트 블라인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 유닛(130)은, 플라스틱 와샤(131)와 실리콘 링(1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셔트 블라인드. - 회전에 따라 셔트를 펼치고, 역회전에 따라 상기 셔트를 천천히 감는 셔트 장치로서,
상기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셔트 블라인드(100);
상기 셔트 블라인드(100)의 끝단부(111a)를 인입하여 고정시키는 볼록 체결구(210)와 상기 볼록 체결구(210)로부터 연장되어 관통 형상으로 된 관통구(220)를 구비하는 제2 고정축 유닛(200);
상기 관통구(220)에 인입되어 상기 볼록 체결구(210)의 일측과 접촉하여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체(300);
상기 관통구(220)에 인입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체(300)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410)이 이후의 상기 스프링 회전체(500)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 스프링 (400); 및
상기 관통구(220)에 인입된 후 상기 관통구(220)의 끝단 부근(221b)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 유닛(150)의 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움직여 상기 탄성 스프링(400)을 감고 푸는 스프링 회전체(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트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축 유닛(200)은,
인입된 상기 스프링 회전체(500)가 빠지지 않고 걸리도록 걸림턱(221b)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회전체(500)의 내부를 통과한 끝단(221a)이 셔트 브라켓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셔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1799U KR200468221Y1 (ko) | 2012-03-07 | 2012-03-07 | 셔트 블라인드 및 그를 포함한 셔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1799U KR200468221Y1 (ko) | 2012-03-07 | 2012-03-07 | 셔트 블라인드 및 그를 포함한 셔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8221Y1 true KR200468221Y1 (ko) | 2013-08-01 |
Family
ID=5139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1799U KR200468221Y1 (ko) | 2012-03-07 | 2012-03-07 | 셔트 블라인드 및 그를 포함한 셔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8221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9463B1 (ko) | 2004-03-19 | 2006-02-08 |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 회전롤의 권회속도 제어용 감속장치 |
KR20090009490U (ko) * | 2008-03-18 | 2009-09-23 | 김상익 | 회전유격을 갖는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
KR20110072309A (ko) * | 2009-12-22 | 2011-06-29 | 백승진 | 베어링이 구비된 롤 방충망 |
KR101098404B1 (ko) | 2011-02-11 | 2011-12-26 | 금중식 | 롤 스크린의 감속장치 |
-
2012
- 2012-03-07 KR KR2020120001799U patent/KR20046822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9463B1 (ko) | 2004-03-19 | 2006-02-08 |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 회전롤의 권회속도 제어용 감속장치 |
KR20090009490U (ko) * | 2008-03-18 | 2009-09-23 | 김상익 | 회전유격을 갖는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
KR20110072309A (ko) * | 2009-12-22 | 2011-06-29 | 백승진 | 베어링이 구비된 롤 방충망 |
KR101098404B1 (ko) | 2011-02-11 | 2011-12-26 | 금중식 | 롤 스크린의 감속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39217B1 (en) |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 |
JP3163685U (ja) | ブラインドシステム | |
TW201500634A (zh) | 捲簾 | |
US9212518B2 (en) | Control device for shades | |
KR20150125950A (ko) |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 |
CA3050941A1 (en) | Roll-up retractabl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 |
CN112133191B (zh) | 一种拼接屏 | |
US20150176331A1 (en) | Damping Positioner | |
CN205604918U (zh) | 滑动支撑装置及窗户 | |
KR200468221Y1 (ko) | 셔트 블라인드 및 그를 포함한 셔트 장치 | |
US11384599B2 (en) | Roller blind and control device thereof | |
KR101451637B1 (ko) |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의 전동개폐장치 | |
US20130240661A1 (en) | Chain Guide for a Roller Blind or Roller Shade | |
CN113618694A (zh) | 一种易搬运的工具柜 | |
CN209012442U (zh) | 一种用于有机肥车间旋风除尘器的安全翻板阀 | |
KR101659398B1 (ko) |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 |
CN107143233B (zh) | 具有门缝间隙调节功能的门铰链结构 | |
CN110051179A (zh) | 一种循环传动展示机 | |
CN105089406B (zh) | 推拉门系统及其缓冲装置 | |
US9770963B1 (en) | Windshield sunshade | |
US20070241314A1 (en) | Damper | |
US7918264B2 (en) | Constant viscosity speed reducer | |
CN221838216U (zh) | 百叶窗帘的一体式控制结构 | |
CN116331111B (zh) | 一种汽车隐藏式储物盒结构 | |
KR200486630Y1 (ko) | 부분 개폐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