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197Y1 -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197Y1
KR200468197Y1 KR2020110002096U KR20110002096U KR200468197Y1 KR 200468197 Y1 KR200468197 Y1 KR 200468197Y1 KR 2020110002096 U KR2020110002096 U KR 2020110002096U KR 20110002096 U KR20110002096 U KR 20110002096U KR 200468197 Y1 KR200468197 Y1 KR 200468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folding chair
frame
hing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534U (ko
Inventor
곽준석
Original Assignee
곽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3965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68197(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곽준석 filed Critical 곽준석
Priority to KR2020110002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19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5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3Supports for the arms movable to inoperativ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의자에 앉기 전 이나 혹은 앉은 후 기립할 때 접의자 측방에 있는 암레스트를 세울 수 있도록 한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접의자에 이용자가 앉을 때 둔부와 닿게 되는 좌석부(20)와 신체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30)와 상기 좌석부(20)와 등받이부(30)를 연결하여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전, 후방프레임(40)(50)과 신체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60)와 이용자가 메모를 하거나 책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강용 테이블(70)과 상기 암레스트(60)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61) 일측 단부는 전방프레임(40)에 고정된 힌지부재(41)와 조립되고, 암레스트(6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61)의 힌지구멍(61a)과 힌지부재(41)의 힌지구멍(41a)에는 힌지축(41b)이 결합되는 접의자(10)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41)에는 상기 힌지축(41b)에 의해 결합된 프레임(61)을 중심으로 일측은 원형판넬(41d)이고, 타측은 원추형판넬(41e)로 형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The arm rest which is established in the folding chair}
본 고안은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의자에 앉기 전 이나 혹은 앉은 후 기립할 때 접의자 측방에 있는 암레스트를 세울 수 있도록 한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강의실이나 실/내외 교육장과 같은 장소에서 널리 보급된 의자 중에 하나가 접의자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접의자는 주 기능으로는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석 이외에도 본인이 지참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과, 책과 메모지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접의자 전방의 공간에 수강용 테이블 및 편하게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 제시된 구조물 중에 암레스트는 접의자에서 고정된 구조로써, 용자가 접의자에 착석할 때에는 암레스트를 피하면서 앉아야 하고, 좌석에서 기립할 때에도 암레스트를 피해서 빠져 나가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다 하겠다.
또한, 이용자가 가방을 휴대한 경우에 가방끈 등이 암레스트에 걸리는 것이 장애물에 대한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접의자에 이용자가 앉거나 기립할 때 암레스트를 세울 수 있도록 하여 통행에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접의자에 이용자가 앉을 때 둔부와 닿게 되는 좌석부(20)와 신체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30)와 상기 좌석부(20)와 등받이부(30)를 연결하여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전, 후방프레임(40)(50)과 신체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60)와 이용자가 메모를 하거나 책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강용 테이블(70)과 상기 암레스트(60)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61) 일측 단부는 전방프레임(40)에 고정된 힌지부재(41)와 조립되고, 암레스트(6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61)의 힌지구멍(61a)과 힌지부재(41)의 힌지구멍(41a)에는 힌지축(41b)이 결합되는 접의자(10)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41)에는 상기 힌지축(41b)에 의해 결합된 프레임(61)을 중심으로 일측은 원형판넬(41d)이고, 타측은 원추형판넬(41e)로 형성된 것으로 달성된다.
삭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접의자 측방에 부착된 암레스트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가 접의자 측방으로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접의자에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암레스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암레스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동수단의 다른실시예의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접의자(10)에는 이용자가 앉을 때 둔부와 닿게 되는 좌석부(20)와 신체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30)와 상기 좌석부(20)와 등받이부(30)를 연결하여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전, 후방프레임(40)(50)과 신체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60)와 사용자가 메모를 하거나 책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강용 테이블(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레스트(60)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61) 일측 단부는 전방프레임(40)에 고정된 힌지부재(41)와 조립되고, 암레스트(6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61)의 힌지구멍(61a)과 힌지부재(41)의 힌지구멍(41a)에는 힌지축(41b)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힌지부재(41)에는 상기 힌지축(41b)에 의해 결합된 프레임(61)을 중심으로 일측은 원형판넬(41d)이고, 타측은 원추형판넬(41e)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1) 측면에는 암레스트(60)가 회전할 때 원추형판넬(41e)의 내부표면과 마찰을 일으켜 암레스트(60)의 자유운동을 방지하는 제동수단(6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동수단(62)은 복수의 돌기(62a)(62b)가 형성될 수 도 있고, 부채꼴형 돌기(62c)가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자가 접의자(10)에 착석하기 전에 접의자(10)에 있는 암레스트(60)가 세워져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걸리는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좌석부(20)에 그대로 착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암레스트(60)가 수평으로 내려가 있는 경우에는 장애물이 있어 일단 암레스트(60)를 수직으로 세워서 좌석부(20)에 앉게 된다. 이때 암레스트(60) 작용을 살펴 볼 것 같으면 힌지축(41b)을 중심으로 암레스트(60)에 부착된 프레임(61) 회전하게 되고, 프레임(61)의 회전각도가 약 90°이상 도달하면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수단(62)인 제1,2돌기(62a)(62b)는 원추형판넬(41e)에서 벗어나면서 암레스트(60)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수직으로 세워져 있던 암레스트(60)를 다시 하강시키면
원추형판넬(41e)에서 벗어나 있던 제1,2돌기(62a)(62b)는 원추형판넬(41e) 내로 진입됨과 동시에 제1,2돌기(62a)(62b)와 원추형판넬(41e) 내부표면과 마찰이 발생하여 암레스트(60)는 수평방향으로 천천히 내려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접의자에 앉기 전이나 또는 앉은 후에 기립할 때 접의자 측방에 있는 암레스트를 개방하여 장애물을 해소함으로써, 이용자는 편리하게 접의자를 이용하게 되고. 이용자가 착용한 옷이 걸리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10: 접의자 20: 좌석부
30: 등받이부 40: 전방프레임
41: 힌지부재 41a:힌지구멍
41b: 힌지축 41c: 연결체
41d: 원형판넬 41e: 산형판넬
50: 후방프레임 60: 암레스트
61: 프레임 61a: 힌지구멍
62: 제동수단 62a,62b: 돌기
62c: 부채꼴형 돌기 70: 수강용 테이블

Claims (5)

  1. 접의자에 이용자가 앉을 때 둔부와 닿게 되는 좌석부(20)와 신체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30)와 상기 좌석부(20)와 등받이부(30)를 연결하여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전, 후방프레임(40)(50)과 신체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60)와 이용자가 메모를 하거나 책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강용 테이블(70)과 상기 암레스트(60)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61) 일측 단부는 전방프레임(40)에 고정된 힌지부재(41)와 조립되고, 암레스트(6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61)의 힌지구멍(61a)과 힌지부재(41)의 힌지구멍(41a)에는 힌지축(41b)이 결합되는 접의자(10)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41)에는 상기 힌지축(41b)에 의해 결합된 프레임(61)을 중심으로 일측은 원형판넬(41d)이고, 타측은 원추형판넬(41e)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1) 측면에는 암레스트(60)가 회전할 때 원추형판넬(41e)의 내부표면과 마찰을 일으켜 암레스트(60)의 자유운동을 방지하는 제동수단(62)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62)은 복수의 돌기(62a)(6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62)은 부채꼴형 돌기(62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










KR2020110002096U 2011-03-14 2011-03-14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 KR200468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96U KR200468197Y1 (ko) 2011-03-14 2011-03-14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96U KR200468197Y1 (ko) 2011-03-14 2011-03-14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534U KR20120006534U (ko) 2012-09-24
KR200468197Y1 true KR200468197Y1 (ko) 2013-07-30

Family

ID=5139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096U KR200468197Y1 (ko) 2011-03-14 2011-03-14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19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824A (ko) * 2008-10-10 2008-10-29 신은성 접이식 의자 및 배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824A (ko) * 2008-10-10 2008-10-29 신은성 접이식 의자 및 배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534U (ko) 201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4580A (ko) 의자 구조 및 의자
US20160206096A1 (en) Swing chair
KR101045677B1 (ko) 절첩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US20150115671A1 (en) Swing Chair
JP6382501B2 (ja) 椅子
CN210520537U (zh) 一种方便生产和使用的休闲椅
KR200468197Y1 (ko) 접의자에 설치된 암레스트
KR101589829B1 (ko) 소형 접이식 의자
EP2242398B1 (en) A rocking chair mechanism
WO2023061066A1 (zh) 一种座椅
KR101069192B1 (ko) 가슴받이와 팔받이 및 발받침으로 사용가능한 상하 회동형 신체지지부를 구비한 의자
KR101496727B1 (ko) 접철식 좌식의자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JP5705979B2 (ja) シート座面姿勢調整
KR101074020B1 (ko) 등판기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의자
KR101591947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CN209769736U (zh) 一种安装在座椅扶手上的茶几
KR101194543B1 (ko) 원심축을 이용한 등받이의 기울기 조절 가능한 쇼파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101293305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KR200414598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CN204318067U (zh) 一种折叠式办公椅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KR102205600B1 (ko) 다목적 가구
KR20170034688A (ko) 2인용 접이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