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664Y1 -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664Y1
KR200467664Y1 KR2020110007323U KR20110007323U KR200467664Y1 KR 200467664 Y1 KR200467664 Y1 KR 200467664Y1 KR 2020110007323 U KR2020110007323 U KR 2020110007323U KR 20110007323 U KR20110007323 U KR 20110007323U KR 200467664 Y1 KR200467664 Y1 KR 200467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auxiliary
shaft
fing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191U (ko
Inventor
서민성
Original Assignee
서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성 filed Critical 서민성
Priority to KR2020110007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664Y1/ko
Priority to PCT/KR2011/006556 priority patent/WO2013024933A1/ko
Publication of KR201300011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1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6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8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combined with anaesthetis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7Specially designed finger grip means, e.g.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syringe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varying, regulating, indicating or limiting injection pressure
    • A61M5/488Limiting injection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는, 마취제 앰플을 투입 가능하도록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일측 끝단에는 보조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채 이동하도록 구성된 샤프트와, 샤프트 끝단에 설치되어 앰플의 피스톤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는 하푼과, 샤프트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어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가 포함되어 구성된, 국소마취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샤프트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샤프트 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주가압부와; 상기 주가압부의 측방 또는 후방 또는 측후방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주가압부의 측방 또는 후방 또는 측후방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서부터 샤프트 선단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보조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검지와 중지가 접촉하여 받침 역할을 하는 보조손잡이를 별도로 한 채 엄지손가락으로 피스톤을 가압하기 위한 손잡이에 샤프트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주가압부를 형성하고, 주가압부의 측방 또는 후방 또는 측후방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 보조가압부를 형성함으로써 최초 가압시에는 주가압부를 눌러 가압하다가 카트리지 내의 약제가 약 1/3 정도 남아 가압이 어려운 상태에서는 엄지손가락을 보조가압부로 이동하여 가압함으로써 카트리지 내의 약제 배출이 보다 원활해지며, 특히, 보조가압부는 주가압부의 측방 또는 측후방에 형성함으로써 엄지손가락을 곧추 세워 가압하는 것이 아닌 자연스럽게 주먹을 말아 쥐는 동선으로 가압을 하도록 함으로써 엄지두덩근의 힘을 최대한 이용하여 가압할 수 있게 하여 카트리지 내의 잔여 약제의 전달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보조가압부는 주가압부의 후방에 형성함으로써 엄지두덩근과 제1배측골간근을 최대한 이용하고, 최초의 힘점인 주가압부로부터 떨어진 부위에 새로운 힘점을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게 하여 카트리지 내의 잔여 약제의 전달이 보다 용이해진다.

Description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THE DENTAL SYRINGE WITH ASSISTANT PRESSURE PART FOR LOCAL ANESTHESIA}
본 고안은 치과 등에 사용되는 국소마취용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치과나 병원 등에서 약제를 주사함에 있어, 앰플 또는 카트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약제를 밀도가 낮은 조직이 아닌 밀도가 높은 조직에 주사할 때 가압이 용이하도록,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몸 전체를 마취하는 전신마취와 달리 국소적으로 적용하는 국소마취는 혈관이 아닌 조직에 마취제를 전달한다.
이처럼 국소마취를 위한 국소마취용 주사기는 마취제의 종류 및 마취 부위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기술들이 공개되어 왔다.
그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금속제 카트리지용 주사기로 흡인용(aspirating system)과 비흡인용이 있다.
흡인용은 국소마취시 주사바늘이 혈관에 직접 자입되어 마취액이 혈관으로 직접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사기이다. 주사바늘을 조직에 자입하고 주사액을 뒤로 흡인했을 때 혈액의 역류가 발생하면 주사바늘이 혈관에 자입된 것이기 때문에 바늘의 방향을 바꿈으로서 혈관이 아닌 조직에 마취액이 전달되도록 한다.
금속제 카트리지용 주사기의 종류로 Astra사가 개발한 self-aspirating system이나 Ronvig A/S사에서 나온 self-aspirating system이 보급되고 있으며, 그 외에 치근막내 마취를 위한 피스톨형 주사기나 펜 형태의 치주인대 주사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대표적인 금속제 카트리지용 주사기의 형태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취제 앰플을 투입 가능하도록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일측 끝단에는 보조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채 이동하도록 구성된 샤프트와, 샤프트 끝단에 설치되어 앰플의 피스톤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는 하푼과, 샤프트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어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가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는 이러한 주사기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를 바늘 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샤프트가 이동하면서 하푼이 앰플 또는 카트리지의 피스톤을 가압하게 되고, 카트리지 일측에 바늘에 의해 찔려 카트리지 내부의 약제가 바늘을 통해 조직에 전달되게 된다.
도 3은 이러한 금속제 카트리지용 주사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치아(7) 주변에는 치조골(8)이 위치하고, 치조골(8)과 치아(7) 사이에 치주인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치조골 위에 잇몸(9, 치은)이 있고, 치조골과 치은사이에 골막이 형성되어 있다.
구강에는 연조직과 경조직이 있다. 뺨과 치은을 연결하는 점막과 같이 저항이 적은 연조직과, 저항감이 있는 연조직인 부착치은, 치주인대, 골막이 있으며, 골막 아래로 단단한 뼈인 경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소마취시 환자가 느끼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도 3의 좌측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항이 적은 부드러운 연조직에 먼저 마취하고 나서 어느 정도 해당 부위가 마취된 다음, 도 3의 우측 도면과 같이 저항감이 많은 단단한 연조직에 마취를 한다. 예를 들어 마취제 1앰플을 사용할 경우 2/3를 저함감이 적은 점막조직에 마취하고, 나머지 1/3을 저항감이 많은 치은 등에 마취 할 경우 조직의 저항감이 강해서 마취시 가압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는 주사기를 잡고 가압할 때 주로 사용하는 손의 근육을 나타낸다. 주사기를 가압할 때 엄지손가락주변에 작용하는 주된 근육은 제1배측골간근(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과 엄지두덩근(thenar muscles)이 있다. 도 4에서 엄지손가락에서 손등으로 하나의 선으로 표시된 것이 제1배측골간근을, 엄지손가락에서 손바닥으로 세 개의 선으로 표시된 것이 엄지두덩근을 나타낸 것이다.
제1배측골간근은 엄지손가락을 외전(abduction, 손등 방향)시키고, 엄지두덩근은 엄지손가락의 굽힘 및 내전(adduction, 손바닥 방향)즉, 주먹을 쥘 때 엄지손가락이 손바닥 쪽으로 들어오게 하는 근육이며, 제1배측골간근은 하나의 근육으로, 엄지두덩근은 세 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사용 중인 주사기의 경우에는 엄지손가락을 손잡이에 끼우고 자입방향으로 전진시킬 때 엄지두덩근의 힘을 최대한 이용하지 못한다. 엄지두덩근의 힘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는 주먹을 쥐듯이 엄지손가락이 손바닥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지만 손잡이의 고리가 제한되어 있어서 가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가압할 때 사용하는 제1배측골간근은 엄지두덩근보다 근육이 쉽게 피로해짐으로써 가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의 도 1, 6, 13에는 도면기호 28의 상단 양측으로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샤프트의 축 연장선상에 있는 부분을 가압하다 축을 벗어난 지점을 가압하기 위해서는 원형의 고리에서 손가락을 빼내는 동작을 취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도 1,2,3에는 샤프트의 축 연장선상에 있는 부분 양측으로 날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샤프트의 축 연장선상에 있는 부분과 그 인접 부분 사이에 별다른 경계가 없어 사용자가 연장선상에 있는 부분을 가압하다 손가락이 미끄러져 정확한 지점을 파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JP 2000-102607 (2000.04.11) WO 00/035519 (2000.06.22)
본 고안의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검지와 중지가 접촉하여 받침 역할을 하는 보조손잡이를 별도로 한 채 엄지손가락으로 피스톤을 가압하기 위한 손잡이에 샤프트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주가압부를 형성하고, 주가압부의 측방 또는 측후방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 보조가압부를 형성함으로써 최초 가압시에는 주가압부를 눌러 가압하다가 카트리지 내의 약제가 약 1/3 정도 남아 가압이 어려운 상태에서는 엄지손가락을 보조가압부로 이동하여 가압함으로써 카트리지 내의 약제 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보조가압부는 주가압부의 측방 또는 측후방에 형성함으로써 엄지손가락을 곧추 세워 가압하는 것이 아닌 자연스럽게 주먹을 말아 쥐는 동선으로 가압을 하도록 함으로써 엄지두덩근의 힘을 최대한 이용하여 가압할 수 있게 하여 카트리지 내의 잔여 약제의 전달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주가압부와 보조가압부 사이에 경계부를 형성하여 보조가압부를 누르다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주가압부에서 보조가압부로 간편하게 손가락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샤프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토크렌치의 원리를 적용하여 주가압부와 연결된 스프링삽입관이 하푼과 연결된 주가압부연결부재와 토크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엄지손가락으로 보조가압부를 가압할 때 무리하게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할하게 카트리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결국, 카트리지 내의 약재가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 토크의 힘과 엄지두덩근의 힘을 이용함으로써 어렵지 않게 카트리지 내의 약제를 공급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샤프트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샤프트 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주가압부와; 상기 주가압부의 측방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주가압부의 측방에서부터 샤프트 선단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보조가압부와; 사용자의 손가락이 주가압부와 보조가압부 사이를 직선상으로 이동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가압부와 보조가압부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샤프트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샤프트 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주가압부와; 상기 주가압부의 측후방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주가압부의 측후방에서부터 샤프트 선단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보조가압부와; 사용자의 손가락이 주가압부와 보조가압부 사이를 직선상으로 이동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가압부와 보조가압부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는, 두 개의 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두 부재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샤프트는, 하푼이 연결되며 내측으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푼연결관과; 일측이 상기 하푼연결관과 나사결합되고, 타측 끝단에 구 형상의 베어링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봉과; 일측 끝단에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 내측에 스프링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삽입홀 일측에 스프링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어링을 제외한 삽입봉이 스프링삽입홀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삽입관과; 일측 끝단은 스프링걸림턱에 맞닿고, 타측 끝단은 하푼연결관 끝단에 맞닿도록 상기 스프링삽입관의 스프링삽입홀에 삽입되어 있는 코일스프링과; 일측 끝단에 상기 돌출턱이 끼워지는 돌출턱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턱삽입홈 내측으로 상기 삽입봉의 베어링이 삽입되는 베어링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삽입홀을 관통한 삽입봉의 베어링이 베어링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 끝단에 주가압부가 연결되어 있는 주가압부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베어링에는 제1핀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가압부연결부재에는 베어링삽입홈과 연통된 제2핀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핀이 상기 제1핀삽입홀과 제2핀삽입홀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검지와 중지가 접촉하여 받침 역할을 하는 보조손잡이를 별도로 한 채 엄지손가락으로 피스톤을 가압하기 위한 손잡이에 샤프트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주가압부를 형성하고, 주가압부의 측방 또는 측후방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 보조가압부를 형성함으로써 최초 가압시에는 주가압부를 눌러 가압하다가 카트리지 내의 약제가 약 1/3 정도 남아 가압이 어려운 상태에서는 엄지손가락을 보조가압부로 이동하여 가압함으로써 카트리지 내의 약제 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보조가압부는 주가압부의 측방 또는 측후방에 형성함으로써 엄지손가락을 곧추 세워 가압하는 것이 아닌 자연스럽게 주먹을 말아 쥐는 동선으로 가압을 하도록 함으로써 엄지두덩근의 힘을 최대한 이용하여 가압할 수 있게 하여 카트리지 내의 잔여 약제의 전달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 주가압부와 보조가압부 사이에 경계부를 형성하여 보조가압부를 누르다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주가압부에서 보조가압부로 간편하게 손가락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샤프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토크렌치의 원리를 적용하여 주가압부와 연결된 스프링삽입관이 하푼과 연결된 주가압부연결부재와 토크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엄지손가락으로 보조가압부를 가압할 때 무리하게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할하게 카트리지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카트리지 내의 약재가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 토크의 힘과 엄지두덩근의 힘을 이용함으로써 어렵지 않게 카트리지 내의 약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국소마취용 주사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국소마취용 주사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국소마취용 주사기를 치과 시술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주사기를 잡고 가압할 때 주로 사용하는 엄지손가락 주변의 근육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사용시 손가락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보조가압부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토크를 이용한 샤프트의 구성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도면에 따른 측면도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도 8의 도면에 따른 단면개략도.
이하 본 고안의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의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는 종래의 국소마취용 주사기와 마찬가지로 본체(1), 샤프트(2), 하푼(2a), 보조손잡이(6)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에는 마취제 앰플 또는 카트리지(3)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일측 끝단에는 보조손잡이(6)가 설치되어 있되,
이 보조손잡이(6)는 사용자가 중지와 검지를 대어 손잡이(5)를 가압할 때 받침대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샤프트(2)는 본체(1) 내부에 일측이 삽입된 채 본체(1) 내부 통로를 따라 전, 후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샤프트(2)의 끝단에 하푼(2a)이 설치되어 하푼(2a)이 앰플 끝단의 피스톤에 삽입된 후 가압을 해제한 채 뒤로 당길 때 피스톤을 뒤로 당겨서 앰플을 제거 할 수 있다.
손잡이(5)는 샤프트(2)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어 본체(1)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대고 가압하여 샤프트(2)를 밀어 카트리지(3)의 피스톤을 가압하면서 바늘(4)이 카트리지(3) 내부와 연통되면서 약제가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국소마취용 주사기와는 다르게 손잡이(5)가 주가압부(10)와 보조가압부(20)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가압부(10)는 종래의 손잡이(5)와 마찬가지로 샤프트(2)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샤프트(2)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가압부는 폭이 1 ~ 4 cm 정도가 되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주가압부(10)는 종래의 일반적인 손잡이(5)와 마찬가지로 흡인용으로 사용되기 위한 고리 형태나 비흡인용으로 사용되기 위한 판 형의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한편, 보조가압부(20)는 상기 주가압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가압부(10)의 측방 또는 측후방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주가압부(10)의 측방 또는 측후방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서부터 샤프트(2) 선단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가압부(20)의 위치 중 주가압부(10)의 측방에 위치한 구성은 엄지손가락을 보조가압부(20)에 댄 후 가압하는 동작이 마치 주먹을 쥐는 동작과 같은 현상을 갖게 하여 엄지손가락의 자연스러운 회전 반경으로 가압을 하게 된다.
이는, 엄지두덩근을 최대한 이용하여 주먹을 꽉 쥐는 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엄지손가락을 후방으로 재위치해서 엄지두덩근과 제1배측골간근을 최대한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 보조가압부(20)의 위치 중 주가압부(10)의 측후방에 위치한 구성은 주가압부(10)의 전진이 어려운 상태에서 손가락을 뒤로 물러나게 하여 최초의 힘점보다 후방에 새로운 힘점을 형성함으로써 다시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카트리지(3)내의 약제를 마지막까지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보조가압부(20)가 주가압부(10)의 측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나타낸 것이다. 좌측 도면을 보면 마취할 때 처음에는 엄지손가락으로 주가압부(10)를 누르는 상태를 나타낸다. 우측 도면을 보면 약이 조금 남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이 측후방으로 물러난 상태에서 지그시 주먹을 쥐는 형태로 보조가압부(20)를 가압하게 되면 손가락에 별다른 힘을 주지 않는 느낌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 보조가압부(20)는 주가압부(10)의 측방에 위치하며, 손가락의 회전 반경을 고려하여 보조가압부(20)는 주가압부(10) 선단으로부터 0.5 ~ 4 cm 측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보조가압부(20)는 주가압부(10)의 측후방에 위치할 때, 보조가압부(20)는 주가압부(10) 선단으로부터 0.5 ~ 4 cm 측방에, 샤프트(2)와 주가압부(10)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1 ~ 8 cm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의 보조가압부(20)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인용 및 비흡인용에 맞게 다양한 판 또는 고리 형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며, 도면에 나타난 구성은 본 고안의 국소마취용 주사기의 일 예를 든 것으로 더 다양한 형태의 예를 제시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예시된 도면에는 주가압부(10)와 보조가압부(20)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주가압부(10)와 보조가압부(20) 사이를 직선상으로 이동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돌출된 경계부(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경계부(15)를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보조가압부(20)의 위치를 확실하게 인지하도록 하여 정확한 지점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보조가압부(20)를 가압하는 중에 손가락이 미끄러져 주가압부(10) 측에 위치하면서 가압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주가압부(10) 또는 보조가압부(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모두 다 고리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주가압부(10) 또는 보조가압부(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모두 다 동그란 단면의 형태로 제작되어 손으로 꽉 쥘 때 눌리는 부위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처럼 주가압부(10)의 측방 또는 측후방에 보조가압부(20)를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앰플의 가압에 상당한 힘이 들어갈 수 있다.
또는 과도하게 강한 힘을 주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보조가압부(20)를 가압하기에 용이하고, 또한 과도한 힘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8 내지 10과 같이 샤프트에 토크렌치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샤프트(2)는, 두 개의 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두 부재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샤프트의 구성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푼연결관(30), 삽입봉(40), 스프링삽입관(50), 코일스프링(70), 주가압부연결부재(60)로 구성할 수 있다.
하푼연결관(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하푼과 연결되며, 타측 선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중공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하푼연결관(30)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32)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봉(40)과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삽입봉(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외주면에 제2나사산(4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푼연결관(30)의 중공부(31)로 삽입되면서 제1나사산(32)과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삽입봉(40)의 타측 끝단에는 구 형상의 베어링(42)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삽입관(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에 돌출턱(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 내측에는 스프링삽입홀(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스프링삽입홀(51) 내벽면에는 코일스프링(70)의 일측 끝단을 지지하는 스프링걸림턱(5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삽입봉(40)은 베어링(42)이 돌출턱(5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삽입홀(51)을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취한다.
한편, 코일스프링(70)은 일측은 스프링걸림턱(51a)에 맞닿고, 타측 끝단은 하푼연결관(30) 끝단에 맞닿은채 상기 스프링삽입관(50)의 스프링삽입홀(51) 내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삽입봉(40)이 내측으로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제1나사산(32)과 제2나사산(41)의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탄성복원력이 가감되는 구조를 갖는다.
주가압부연결부재(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에 상기 스프링삽입관(50)의 돌출턱(52)이 끼워지도록 돌출턱삽입홈(6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끝단에는 주가압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가압부연결부재(60)의 끝단에는 다수 개의 걸림돌기(6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돌출턱삽입홈(61)에 돌출턱(52)이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삽입관(50)이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주가압부연결부재(60)의 돌출턱삽입홈(61) 내측으로는 상기 삽입봉(40)의 베어링(42)이 삽입되도록 구 형상의 베어링삽입홈(6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스프링삽입관(50)의 돌출턱(52)이 돌출턱삽입홈(61)에 끼워지고, 삽입봉(40)의 베어링(42)이 베어링삽입홈(64)에 끼워진 상태에서 베어링삽입홈(64)에 끼워진 베어링(42)이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삽입관(50), 삽입봉(40), 하푼연결관(30)이 주가압부연결부재(6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특히 하푼연결관(30)과 삽입봉(40)의 나사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코일스프링(70)의 탄성복원력이 가감되어 하푼연결관(30)에 가해지는 힘의 정도에 따라 주가압부연결부재(60)가 회전하게 되는 구조이다.
즉, 샤프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토크렌치의 원리를 적용하여 주가압부와 연결된 스프링삽입관(50)이 하푼과 연결된 주가압부연결부재(60)와 토크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엄지손가락으로 보조가압부를 가압할 때 무리하게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할하게 카트리지를 가압할 수 있게 되며, 카트리지 내의 약재가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 토크의 힘과 엄지두덩근의 힘을 이용함으로써 어렵지 않게 카트리지 내의 약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베어링(42)이 베어링삽입홈(64)에 끼워진 채 360도 자유롭게 회전하게 하는 것보다 일정한 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이드해주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42)에 제1핀삽입홀(42a)을 형성하고, 주가압부연결부재(60)에는 베어링삽입홈(64)과 연통된 제2핀삽입홀(63)을 형성하는 한편 고정핀(80)으로 하여금 상기 제1핀삽입홀(42a)과 제2핀삽입홀(63)을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베어링(42)은 고정핀(80)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푼연결관(30)의 외주면에 눈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눈금을 읽고 코일스프링(70)에 가해지는 압력을 파악하여 눈금에 따라 코일스프링(70)의 탄성복원력을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는 조직 밀도가 높은 부위에 사용하는 치과용 국소마취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교적 카트리지의 약제가 완전 전달되기 어려운 다양한 주사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1 : 본체 2 : 샤프트
2a : 하푼 3 : 카트리지
4 : 바늘 5 : 손잡이
6 : 보조손잡이 7 : 치아
8 : 치조골 9 : 잇몸(치은)
9a : 뺨 10 : 주가압부
15 : 경계부 20 : 보조가압부
15 : 경계부 30 : 하푼연결관
31 : 중공부 32 : 제1나사산
40 : 삽입봉 41 : 제2나사산
42 : 베어링 42a : 제1핀삽입홀
50 : 스프링삽입관 51 : 스프링삽입홀
51a : 스프링걸림턱 52 : 돌출턱
60 : 주가압부연결부재 61 : 돌출턱삽입홈
62 : 걸림돌기 63 : 제2핀삽입홀
64 : 베어링삽입홈 70 : 코일스프링
80 : 고정핀

Claims (5)

  1. 국소마취용 주사기에 있어서,
    샤프트(2)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샤프트(2)를 가압하도록 된 주가압부(10)와;
    상기 주가압부(10)의 측방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샤프트(2)를 가압하도록 된 보조가압부(20)와;
    사용자의 손가락이 주가압부(10)와 보조가압부(20) 사이를 직선상으로 이동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가압부(10)와 보조가압부(20)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계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2. 국소마취용 주사기에 있어서,
    샤프트(2)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샤프트(2)를 가압하도록 된 주가압부(10)와;
    상기 주가압부(10)의 측후방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샤프트(2)를 가압하도록 된 보조가압부(20)와;
    사용자의 손가락이 주가압부(10)와 보조가압부(20) 사이를 직선상으로 이동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가압부(10)와 보조가압부(20)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계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는,
    두 개의 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두 부재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는,
    일측 끝단에 하푼이 연결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중공부(31)가 형성되어 있는 하푼연결관(30)과;
    일측이 상기 하푼연결관(30)과 나사결합되고, 타측 끝단에 구 형상의 베어링(42)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봉(40)과;
    일측 끝단에 돌출턱(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 내측에 스프링삽입홀(51)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삽입홀(51) 일측에 스프링걸림턱(5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어링(42)을 제외한 삽입봉(40)이 스프링삽입홀(51)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삽입관(50)과;
    일측 끝단은 스프링걸림턱(51a)에 맞닿고, 타측 끝단은 하푼연결관(30) 끝단에 맞닿도록 상기 스프링삽입관(50)의 스프링삽입홀(51)에 삽입되어 있는 코일스프링(70)과;
    일측 끝단에 상기 돌출턱(52)이 끼워지는 돌출턱삽입홈(61)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턱삽입홈(61) 내측으로 상기 삽입봉(40)의 베어링(42)이 삽입되는 베어링삽입홈(64)이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삽입홀(51)을 관통한 삽입봉(40)의 베어링(42)이 베어링삽입홈(64)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 끝단에 상기 주가압부(10)에 연결되어 있는 주가압부연결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42)에는 제1핀삽입홀(4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가압부연결부재(60)에는 베어링삽입홈(64)과 연통된 제2핀삽입홀(63)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핀(80)이 상기 제1핀삽입홀(42a)과 제2핀삽입홀(63)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KR2020110007323U 2011-08-12 2011-08-12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KR200467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323U KR200467664Y1 (ko) 2011-08-12 2011-08-12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PCT/KR2011/006556 WO2013024933A1 (ko) 2011-08-12 2011-09-05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323U KR200467664Y1 (ko) 2011-08-12 2011-08-12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91U KR20130001191U (ko) 2013-02-20
KR200467664Y1 true KR200467664Y1 (ko) 2013-07-04

Family

ID=4771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323U KR200467664Y1 (ko) 2011-08-12 2011-08-12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7664Y1 (ko)
WO (1) WO2013024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99Y1 (ko) * 2014-03-28 2014-06-18 김학범 의료용 복합 마취장치
CN104491967A (zh) * 2015-01-07 2015-04-08 李霞 一种麻醉喷药装置
KR101720604B1 (ko) 2015-06-30 2017-03-2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약물 주입 장치
CN106421990B (zh) * 2016-08-05 2023-01-10 宁波口腔医院集团有限公司 角度可调节碧兰麻剂注射器
KR102344093B1 (ko) 2019-10-31 2021-12-2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약물 주입 장치
CN114602031B (zh) * 2022-03-07 2024-01-26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一医学中心 局部麻醉用注射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2595A (en) 1995-09-28 1996-12-10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Aspirating syringe having a plunger guide for a reciprocating plunger assembly
JP2000102607A (ja) 1998-09-28 2000-04-11 Showa Yakuhin Kako Kk 歯科用カートリッジ式注射器
WO2000035519A1 (en) 1998-12-15 2000-06-22 Achim Berlovan Syringe and coordinated needle set for injections and more specifically for orthodental anesthesi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2096B1 (fr) * 2008-06-06 2012-03-16 Rexam Pharma La Verpilliere Dispositif de securite pour un dispositif d'inj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2595A (en) 1995-09-28 1996-12-10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Aspirating syringe having a plunger guide for a reciprocating plunger assembly
JP2000102607A (ja) 1998-09-28 2000-04-11 Showa Yakuhin Kako Kk 歯科用カートリッジ式注射器
WO2000035519A1 (en) 1998-12-15 2000-06-22 Achim Berlovan Syringe and coordinated needle set for injections and more specifically for orthodental anesthes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91U (ko) 2013-02-20
WO2013024933A1 (ko) 201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664Y1 (ko)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US9033936B2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ES2291204T3 (es) Pieza manual para dispositivo de inyeccion con una aguja retraible y giratoria.
TWI323180B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rive mechanisms and assembly suitable for use in drug delivery device,drug delivery device incorporating the drive mechanism,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rug delivery device
CA2932976C (en) Single use device for delivery of cartridge drugs
CA1192065A (en) Dental instrument - pdl syringe
US20090234322A1 (en) Method of dental tissue injection using an array of micro-needles
WO2012020957A2 (ko)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주사기
CN111032124A (zh) 用于注射容纳在医疗容器中的组合物的辅助注射装置
US20050209571A1 (en) Syringe with split/adjustable thumb ring
US9687606B2 (en) Articulating applicators/injectors for administration of liquid anesthetic and other liquids
CN202844261U (zh) 自动注射器结构
KR200456373Y1 (ko)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EP2814540A1 (en) Revolving multi-cartridge hypodermic syringe and method of use
US11141531B2 (en) Dental safety syringe
US20200214818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ispensing of periodontal medication
CN115634021A (zh) 伸缩式多点微创穿刺注射装置
US110838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utralizing local anesthetic
US20200360053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traosseous dental anesthetization
US20220192705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traosseous dental anesthetization
US10772659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traosseous dental administration
TWI250032B (en) A pressure controlling, quantity controlling mixing syringe device
AU2014200639B2 (en) Single use device for delivery of cartridge drugs
CN201055567Y (zh) 自动肌肉、皮下注射器
TWM451146U (zh) 自動注射器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