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176Y1 -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 Google Patents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176Y1
KR200467176Y1 KR2020110010763U KR20110010763U KR200467176Y1 KR 200467176 Y1 KR200467176 Y1 KR 200467176Y1 KR 2020110010763 U KR2020110010763 U KR 2020110010763U KR 20110010763 U KR20110010763 U KR 20110010763U KR 200467176 Y1 KR200467176 Y1 KR 200467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rive shaft
parasol
drive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기철
이정제
김정훈
김동수
안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프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프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프네트웍스
Priority to KR2020110010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1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1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06Automatic cl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Landscapes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관을 따라 상하 운동하는 실린더 형상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덮개천을 펼치거나 접는 다수의 지지관으로 구성된 파라솔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이 구동관 상의 일정 높이에 있도록 구동축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걸림쇠; 및 상기 걸림쇠로부터 상방향으로 구동관 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구동축의 상승 운동시 구동관 내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돌출부 및 구동관 내부에 배치된 고정핀과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고정쇠;를 포함하고, 바람에 의해 상승 운동한 구동축의 상단부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부가 고정핀과 결합하면, 상기 걸림쇠가 구동관 내부로 들어감에 따라 상기 구동축의 하강 운동 및 상기 지지관이 덮개천을 접는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압력을 걸림쇠 부근에 가하지 않더라도 파라솔의 파손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덮개천이 접히도록 동작하여 파라솔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Auto folding parasol by wind power}
본 고안은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라솔 쪽으로 바람이 일정 기준 이상 불어오는 경우 자동으로 덮개천이 접혀져서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파라솔은 일반적으로 우산과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아파트 공용공간, 공공장소, 광장, 휴식 장소, 식당, 편의점, 해수욕장 및 정원 등에 설치된다.
관리자나 사용자가 이러한 파라솔을 관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파라솔의 수량이 많거나 설치된 거리가 먼 경우에는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다. 특히, 해수욕장과 같이 수십 또는 수백개의 파라솔을 배치해 놓은 장소에 갑자기 강풍이 불거나 비바람이 심한 경우에는 한정된 인원만으로 모든 파라솔을 접거나 관리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파라솔의 덮개천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운데 봉을 기준으로 다수의 살대들이 방사상으로 펼쳐져 있게 된다. 이러한 살대들은 강풍에 취약하고 특히, 파라솔의 하부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쉽게 파손되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센서를 부착하여 자동으로 접히도록 하거나 한국등록특허 제10-0674034호에서 개시하는 것처럼 일정 풍속 이상에서 자동으로 풀리는 안전핀을 설치하여 공기 저항을 줄이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센서를 부착하는 경우 센서가 고장나서 동작하지 않을 수 있고 초기비용 및 관리비용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전핀이 강제적으로 풀려서 자연스럽게 덮개천의 일부분 또는 전부가 뒤집혀져 공기저항을 줄이는 방법은, 파라솔 재설치를 위해 안전핀을 다시 결합시키고 덮개천을 초기 위치로 되돌리는 번잡스러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덮개천의 펼침 또는 접힘 운동에 관계되는 구동축이 바람에 의해 상승 운동하는 힘을 활용하여 구동축이 일정 높이에 있도록 지지하는 걸림쇠를 구동관 내부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기계적인 구성만으로 강풍이 불때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은, 구동관을 따라 상하 운동하는 실린더 형상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덮개천을 펼치거나 접는 다수의 지지관으로 구성된 파라솔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이 구동관 상의 일정 높이에 있도록 구동축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걸림쇠; 및 상기 걸림쇠로부터 상방향으로 구동관 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구동축의 상승 운동시 구동관 내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돌출부 및 구동관 내부에 배치된 고정핀과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고정쇠;를 포함하고, 바람에 의해 상승 운동한 구동축의 상단부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부가 고정핀과 결합하면, 상기 걸림쇠가 구동관 내부로 들어감에 따라 상기 구동축의 하강 운동 및 상기 지지관이 덮개천을 접는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의 가압을 위한 구동축의 상승 운동량은 상기 지지관의 장력, 상기 고정쇠의 설치 위치 및 상기 돌출부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핀은 구동관 내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핀과 걸림 결합하도록 결합부의 일단에 하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핀은, 상기 돌기와 걸림 결합하는 고정면 및 상기 걸림 결합을 방해하는 곡선면으로 이루어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를 회전시키도록 몸통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관 외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축의 하강 운동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하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제1경사면을 구비하는 해제쇠; 상기 구동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해제쇠가 가압되면 압축되고, 상기 구동축이 하강 운동하여 상기 해제쇠를 지나가면 상기 해제쇠가 초기 위치로 돌아가도록 운동하는 탄성체; 및 상기 구동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해제쇠가 가압되면 상승 운동하여 상기 결합부와 고정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해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관의 상승 운동에 따라 상기 걸림쇠 및 고정쇠가 초기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관 내부에 제2경사면을 구비한 해제쇠가 가이드 홈을 따라 가압되면, 상기 해제관은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서 상승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제관은 구동관 내벽에 고정 설치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 및 가이드되어 상하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압력을 걸림쇠 부근에 가하지 않더라도 파라솔의 파손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덮개천이 접히도록 동작하여 파라솔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사용하면 강풍이 불 때마다 많은 인력을 동원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덮개천을 접을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파라솔의 종류나 유형에 상관없이 구동관 내부에 기계적 설비를 저렴한 비용으로 추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제품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경우에 따라 고정핀으로부터 연장된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동 접힘 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및 선택 가능성을 더욱 부가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의 사시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인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에 적용 가능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나타난 고정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의 단면도로서 파라솔이 접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도시된 구성 중 일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표기하지 않았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의 사시도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동관(100)을 따라 상하 운동하는 실린더 형상의 구동축(11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축(110)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지지관(120)이 연결되고, 구동축(110)의 상하 운동과 함께 지지관(120)이 작용하여 덮개천을 펼치거나 접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파라솔은 크기, 가격, 용도 등의 조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은 구동축(110)이 구동관(100) 상의 일정 높이에 있도록 구동축(1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걸림쇠(130); 및 그 걸림쇠(130)로부터 상방향으로 구동관(100) 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형성되되, 구동축(110)의 상승 운동시 구동관(100) 내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돌출부(141) 및 구동관(100) 내부에 배치된 고정핀(150)과 결합하는 결합부(142)로 이루어지는 고정쇠(140);를 포함하고, 바람에 의해 상승 운동한 구동축(110)의 상단부가 돌출부(141)를 가압하여 결합부(142)가 고정핀(150)과 결합하면, 걸림쇠(130)가 구동관(100) 내부로 들어감에 따라 구동축(110)의 하강 운동 및 지지관(120)이 덮개천을 접는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쇠(130)는 구동축(110)이 구동관(100) 상의 일정 높이에 있도록 구동축(110)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걸림쇠(130)는 구동관(100) 상에 형성된 홀을 통해 일부분이 구동관(100) 외부로 노출되어 있도록 배치되고, 그 일부분은 구동축(11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평평한 면 부분과 압력을 가하기 위한 비스듬한 면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관(100) 내부에 있는 걸림쇠(130) 부분 중에서 상단부는 후술할 고정쇠(140)와 연결부(135)에 의해 연결되고, 하단부는 구동관(100) 내벽에 설치된 구조물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그 구조물에 인장 스프링(131)이 설치되어 있어, 걸림쇠(130)가 초기 위치로 돌아가도록 힘을 가해줄 수 있다. 이러한 걸림쇠(130)는 후술할 고정쇠(140)의 작용에 의해 구동관(100) 내부로 완전히 들어간다.
고정쇠(140)는 상술한 걸림쇠(130)로부터 상방향으로 구동관(100) 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고정쇠(140)의 움직임에 의해 걸림쇠(130)는 연동한다. 이러한 고정쇠(140)는 구동관(100)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돌출부(141) 및 구동관(100) 내부에 있는 결합부(142)로 이루어진다.
돌출부(141)는 상술한 구동축(110)이 상승 운동하면 구동관(100) 내부 방향으로 가압된다. 구동축(110)이 상승 운동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파라솔의 덮개천은 바람 특히, 파라솔 하단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과 저항하고, 덮개천과 연결된 다수의 지지관(120)에도 그 저항력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지지관(120)과 연결된 구동축(110)은 전달된 저항력뿐만 아니라 직접 아래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으로 인해 상승 운동하게 된다. 돌출부(141)에는 비스듬한 면 부분이 있는데, 바람에 의해 상승 운동한 구동축(110)의 상단부가 돌출부(141)를 가압하면서 그 비스듬한 면 부분을 따라 용이하게 상승한다.
이때, 위와 같이 구동축(110)이 상승 운동하여 돌출부(141)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기 위해 필요한 풍력의 값이 결정되어야 한다. 파라솔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을 정도의 바람이 부는 경우에만 자동으로 덮개천이 접힘으로써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자면, 풍력은 구동축(110)의 상승 운동량과 관계가 있는데, 이러한 구동축(110)의 상승 운동량은 다수의 지지관(120)의 장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쇠(140)가 설치되는 위치 및 돌출부(141)에서 비스듬한 면 부분의 기울기를 설계 및 조절하여 풍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덧붙여서, 걸림쇠(130)의 하단부에 인장 스프링(131)이 설치된 경우에는 지지관(120)의 장력뿐만 아니라 인장 스프링(131)의 탄성력도 함께 고려하여 풍력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파라솔이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바람 세기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대응하도록 지지관(120)의 장력, 인장 스프링(131)의 탄성력, 고정쇠(140)의 위치, 돌출부(141)의 기울기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파라솔을 설계할 수 있다.
결합부(1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110)이 돌출부(141)를 가압하면 구동관(100) 내부에 배치된 고정핀(150)과 결합한다. 결합부(142)와 고정핀(150)이 결합함에 따라 결합부(142)를 포함하는 고정쇠(140)와 연동하는 상술한 걸림쇠(130)도 구동관(100) 내부로 완전하게 들어간다. 여기서, 결합부(142)와 고정핀(150)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구동관(100) 내벽에 고정 설치된 고정핀(150)과 결합부(142)의 일단에 하방향으로 연장된 돌기(143)가 걸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노출된 걸림쇠(130) 부분에 압력을 가하지 않아도 고정쇠(140)와 함께 연동하는 걸림쇠(130)가 구동관(100) 내부로 들어감에 따라 바람에 의해 상승 운동한 구동축(110)은 걸림쇠(130)에 걸리지 않고 하강 운동할 수 있다. 구동축(110)이 구동관(100)을 따라 하강 운동함에 따라 구동축(110)에 연결된 다수의 지지관(120)은 덮개천을 접는다. 따라서 강한 바람이 불어오거나 임계점을 넘는 정도의 바람이 파라솔의 하단으로부터 들어오는 경우라도 본 고안을 사용하여 파라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은 상술한 걸림쇠(130)와 고정쇠(140)를 초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작용하는 구성인 해제쇠(160), 탄성체(170), 해제관(180)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해제쇠(160)는 상술한 구동축(110)의 하강 운동 경로에 배치되어 구동축(110)의 하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제1경사면(161)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해제쇠(160)의 제1경사면(161)은 실질적으로 일직선의 외곽 라인을 갖는 구동축(110)에 비해 굴곡이 있도록 형성되고, 구동축(110)의 외곽 라인과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구동축(110)이 걸림쇠(130)의 영향없이 하강 운동하면 해제쇠(160)는 구동축(110)의 하단부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구동관(100) 내부로 들어간다.
이때, 해제쇠(160)는 구동관(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63)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가이드 홈(163)은 구동관(100) 내벽에 설치된 스틱과 함께 해제쇠(16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해제쇠(160)는 구동축(110)의 작용에 의해 가이드 홈(163)을 따라 가압될 수 있다. 덧붙여, 해제쇠(160)는 구동관(100) 내부에 제2경사면(162)을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제2경사면(162)은 후술할 해제관(180)과의 관계에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탄성체(170)는 구동관(100) 내부에 배치되어 상술한 해제쇠(160)가 가압되면 압축되고, 구동축(110)이 하강 운동하여 해제쇠(160)를 지나가면 해제쇠(160)가 초기 위치로 돌아가도록 운동할 수 있다. 탄성체(170)는 해제쇠(160)가 가압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 또는 탄성력을 해제쇠(160)에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해제관(180)은 구동관(10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해제쇠(160)가 가압되면 상승 운동하여 상술한 결합부(142)와 고정핀(150)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해제관(180)의 상승 운동은 해제쇠(160)가 가이드 홈(163)을 따라 가압될 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해제쇠(160)의 제2경사면(162)을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해제관(180)은 구동관(100) 내벽에 고정 설치된 하나 이상의 지지부(181, 182)에 의해 지지 및 가이드되어 상하 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쇠(130)와 고정쇠(140)가 연동함으로써 구동축(110)이 하강 운동하면 해제쇠(160)를 가압하게 되고, 해제쇠(160)의 움직임이 해제관(180)의 상승 운동을 야기하여 걸림쇠(130) 및 고정쇠(140)를 초기 위치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고정핀(150)와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가 본 고안의 어느 경우에라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고안인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에 적용 가능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나타난 고정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110)의 상승 운동으로 인해 결합부(142)와 고정핀(150)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함에 따라 자동 접힘이 일어나게 되는데, 다른 실시예의 고정핀(150)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자동 접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동할 수 있다.
고정핀(150)은 몸통부와 손잡이(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몸통부는 상술한 돌기(143)와 걸림 결합하는 고정면(151) 및 걸림 결합을 방해하는 곡선면(152)으로 이루어진다. 즉, 몸통부는 비대칭적인 봉 형상으로 제작되고, 정상적인 봉 형상을 이루는 곡선면(152)과 비대칭적인 형상을 이루는 고정면(15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몸통부의 형상이 도 2a에 도시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면(151)은 고정쇠(140)의 돌기(143)와 걸림 결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곡선면(152)은 이러한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해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때, 구동관(100)에는 몸통부가 연장될 수 있는 구멍이 있고 그 구멍의 크기에 맞는 베어링이 있어 고정핀(150)의 회동을 도울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손잡이(153)는 상술한 몸통부를 회전시키도록 몸통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관(100) 외부에 형성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관(100) 외부에 형성된 손잡이(153)를 사용자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핀(150)의 몸통부도 함께 회전(화살표①)하게 된다. 손잡이(153)에는 '자동접힘', '잠금'과 같이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 메세지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손잡이(153)의 형상 등은 몸통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2b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핀(150)의 작동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153)를 회전시켜 '자동접힘' 상태에 있도록 한 경우, 몸통부의 고정면(151)이 고정쇠(140)의 돌기(143)와 걸림 결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바람에 의해 구동축(110)이 상승 운동하여 고정쇠(140)의 돌출부(141)가 가압되면 돌기(143)가 고정면(151)과 걸림 결합하게 된다.
또는 덮개천을 자동으로 접는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정한 상태로 둘 수도 있다. 손잡이(153)를 회전시켜 '잠금' 상태에 있도록 한 경우, 구동축(110)의 상승 운동에 의해 고정쇠(140)의 돌기(143)가 몸통부의 곡선면(152) 부근으로 이동한다. 곡선면(152)은 걸림 결합을 방해하는 형태로 제작되므로, 가압된 고정쇠(140)가 고정핀(150)과 결합할 수 없게 된다. 계속해서 고정쇠(140)와 연동되는 걸림쇠(130)는 구동관(100) 내부로 들어가지 않게 되고, 구동축(110)은 걸림쇠(130)에 의해 지지되어 여전히 일정 높이에 있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의 단면도로서 파라솔이 접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파라솔이 파손될 정도의 강한 바람이 불어 본 고안에서의 구동축(110)이 구동관(100)을 따라 상승 운동(화살표①)하고, 이로 인해 구동축(110)의 상단부가 고정쇠(140)의 돌출부(141)를 가압하는 도면이다. 고정쇠(140)가 가압되어 구동관(100) 내부로 들어가면(화살표②), 결합부(142)와 고정핀(150)이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부(142)의 일단에 하방향으로 연장된 돌기(143)를 구비하여 고정핀(150)에 걸림 결합한다. 결합에 의해 고정쇠(140)로부터 하방향으로 구동관(100) 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쇠(130)도 구동관(100) 내부로 들어간다(화살표③). 도 3에서는 구동축(110)과 연결된 다수의 지지관(120)이 덮개천을 완전히 펼쳐지게 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3에서 도시한 상태의 연속 동작으로서 구동축(110)이 구동관(100)을 따라 하강 운동(화살표①)하는 도면이다. 걸림쇠(130)가 고정쇠(140)와 연동되어 구동관(100) 내부로 들어간 상태이므로, 구동축(110)은 걸림쇠(130)의 방해를 받지 않고 하강 운동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구동축(110)과 연결된 다수의 지지관(120)이 덮개천을 절반 정도 접고 있는 상태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도 4에서 도시한 상태의 연속 동작으로서 구동축(110)의 하단부가 해제쇠(160)의 제1경사면(161)를 가압하는 도면이다. 구동축(110)의 하강 운동 경로에 배치된 해제쇠(160)는 가이드 홈(163)에 의해 인도되어 구동관(100) 내부로 들어가며(화살표①), 해제쇠(160)의 움직임에 따라 탄성체(170)가 압축됨과 동시에 해제관(180)이 제2경사면(162)을 따라 상승 운동(화살표②)한다. 이때, 해제관(180)은 구동관(100) 내벽에 고정 설치된 지지부(181, 182)에 의해 지지 및 가이드되어 상승 운동할 수 있다. 해제관(180)이 결합부(142) 특히, 돌기(143)와 고정핀(150) 간의 결합을 해제(화살표③)함에 따라 고정쇠(140)의 돌출부(141)는 구동관(100) 외부로 나온다(화살표④). 고정쇠(140)와 연동되는 걸림쇠(130)도 함께 외부로 나오게 된다. 덧붙여서, 걸림쇠(130)의 하단 부근에 설치된 인장 스프링(131)이 걸림쇠(130)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구동축(110)과 연결된 다수의 지지관(120)이 작용하여 덮개천을 거의 접은 상태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도 5에서 도시한 상태의 연속 동작으로서 구동축(110)이 하강 운동하여 해제쇠(160)를 지나가면(화살표①) 해제쇠(160)가 초기 위치로 돌아가는 도면이다. 탄성체(170)는 구동축(110)이 해제쇠(160)를 지나가는 동안 압축되어있다가 해제쇠(160)를 지나가면 탄성력 혹은 복원력에 의해 해제쇠(160)가 초기 위치로 돌아가도록 힘을 가한다(화살표②). 도 6에서 걸림쇠(130)는 완전하게 초기 위치로 돌아가고 인장 스프링(131)의 탄성력이 이를 도울 수 있다. 고정쇠(140)도 고정핀(150)과 분리되어 완전하게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구동축(110)이 해제쇠(160)보다 아래로 하강 운동하므로, 덮개천이 완전히 접힌 상태이다.
이처럼 본 고안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압력을 걸림쇠 부근에 가하지 않더라도 파라솔의 파손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덮개천이 접히도록 동작하여 파라솔을 보호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실시예와 몇몇 도면에 의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구동축 110 : 구동관
120 : 지지관 130 : 걸림쇠
140 : 고정쇠 150 : 고정핀
160 : 해제쇠 170 : 탄성체
180 : 해제관

Claims (7)

  1. 구동관을 따라 상하 운동하는 실린더 형상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덮개천을 펼치거나 접는 다수의 지지관으로 구성된 파라솔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이 구동관 상의 일정 높이에 있도록 구동축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걸림쇠; 및
    상기 걸림쇠로부터 상방향으로 구동관 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구동축의 상승 운동시 구동관 내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돌출부 및 구동관 내부에 배치된 고정핀과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고정쇠;를 포함하고,
    바람에 의해 상승 운동한 구동축의 상단부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부가 고정핀과 결합하면, 상기 걸림쇠가 구동관 내부로 들어감에 따라 상기 구동축의 하강 운동 및 상기 지지관이 덮개천을 접는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가압을 위한 구동축의 상승 운동량은 상기 지지관의 장력, 상기 고정쇠의 설치 위치 및 상기 돌출부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구동관 내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핀과 걸림 결합하도록 결합부의 일단에 하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돌기와 걸림 결합하는 고정면 및 상기 걸림 결합을 방해하는 곡선면으로 이루어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를 회전시키도록 몸통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관 외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하강 운동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하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제1경사면을 구비하는 해제쇠;
    상기 구동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해제쇠가 가압되면 압축되고, 상기 구동축이 하강 운동하여 상기 해제쇠를 지나가면 상기 해제쇠가 초기 위치로 돌아가도록 운동하는 탄성체; 및
    상기 구동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해제쇠가 가압되면 상승 운동하여 상기 결합부와 고정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해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관의 상승 운동에 따라 상기 걸림쇠 및 고정쇠가 초기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관 내부에 제2경사면을 구비한 해제쇠가 가이드 홈을 따라 가압되면, 상기 해제관은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서 상승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해제관은 구동관 내벽에 고정 설치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 및 가이드되어 상하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KR2020110010763U 2011-12-05 2011-12-05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KR200467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63U KR200467176Y1 (ko) 2011-12-05 2011-12-05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63U KR200467176Y1 (ko) 2011-12-05 2011-12-05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176Y1 true KR200467176Y1 (ko) 2013-05-30

Family

ID=5367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763U KR200467176Y1 (ko) 2011-12-05 2011-12-05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1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277B1 (ko) * 2018-10-01 2019-12-04 장석진 파라솔 안전 장치
KR102459910B1 (ko) 2022-09-08 2022-10-27 김정기 파라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697Y1 (ko) 2002-01-07 2002-04-10 주식회사명진공업 파라솔의 작동관 단속키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697Y1 (ko) 2002-01-07 2002-04-10 주식회사명진공업 파라솔의 작동관 단속키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277B1 (ko) * 2018-10-01 2019-12-04 장석진 파라솔 안전 장치
KR102459910B1 (ko) 2022-09-08 2022-10-27 김정기 파라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5477B1 (en) Self closing stationary umbrella
CN109667467B (zh) 具有自锁式中心锁的可折叠帐篷
CN101674759B (zh) 可折叠的儿童围栏
US7654371B1 (en) Hold open rod with rotatably mounted pawls as locking members and a snubber
KR20090051220A (ko) 패키징 장치, 패키징 장치를 위한 잠금 메커니즘 그리고 이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200467176Y1 (ko)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파라솔
GB2466707A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secure retraction device.
CN103431593B (zh) 多功能遮阳装置
US4319600A (en) Umbrella
CN211818479U (zh) 具有中心锁和加固杆的可折叠帐篷
KR102152372B1 (ko) 와이어 파손방지기능을 갖는 접이식 대형 파라솔
CN210114122U (zh) 悬臂伞
US10145141B2 (en) Collapsible canopy
US20180023315A1 (en) Collapsible, erectable canopy shelter with a crank system
KR20230106548A (ko) 과수용 햇빛 차단 파라솔
KR100582995B1 (ko)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KR20120064153A (ko) 분진방지용 슈트 장치
JP3205300U (ja) 折り畳みテント
CN106586760A (zh) 防止无机房电梯限速器自动复位的装置
CN211882577U (zh) 悬臂伞
CN106401273A (zh) 顶部能连动的快搭帐篷架杆
KR20160111710A (ko) 빗물 묻음 방지를 위한 반대 접이식 우산
KR100649589B1 (ko)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KR100844122B1 (ko) 자동 접철식 텐트용 캐노피
CN202311638U (zh) 具有安全结构的多折伞自动开收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