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852Y1 - 락 스프링 - Google Patents

락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852Y1
KR200466852Y1 KR2020100010580U KR20100010580U KR200466852Y1 KR 200466852 Y1 KR200466852 Y1 KR 200466852Y1 KR 2020100010580 U KR2020100010580 U KR 2020100010580U KR 20100010580 U KR20100010580 U KR 20100010580U KR 200466852 Y1 KR200466852 Y1 KR 200466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lock spring
cutout
insertion memb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797U (ko
Inventor
이기수
Original Assignee
(주)티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티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100010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85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7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7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8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Abstract

본 고안은 피삽입부재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락 스프링(Lock Spring)에 관한 것으로, 양단이 이격된 원통형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함몰되면서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돌출부와, 돌출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몸체부에서 돌출부의 일측을 포함하여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락 스프링 {Lock Spring}
본 고안은 락 스프링(Lock Sprin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삽입부재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락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피삽입부재에 삽입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부재의 예로는 캡(Cap)에 결합되는 스타일러스 팬이나 터치팬의 예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부재의 결합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면, 통상 캡의 내주면에 환형 돌출부 또는 내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스타일러스 팬이나 터치팬의 삽입 부위의 외주면에 홈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스타일러스 팬이나 터치팬을 캡에 삽입 결합할 때 캡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팬의 홈부에 걸려짐으로써 피삽입부재에 대한 삽입부재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결합 구조는 피삽입부재의 내주면에서 형성되는 돌출부가 캡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삽입부재의 착탈 결합의 반복에 따라 돌출부가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가 다소 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삽입부재의 결합 과정에 많은 힘을 들여야 함은 물론 삽입부재의 삽입 부위 외주면이 돌출부에 의해 마모됨으로써 삽입부재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마모의 문제는 캡과 삽입부재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를 함께 수반한다.
뿐만 아니라, 돌출부가 탄력적인 가변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삽입부재를 피삽입부재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사용자가 느끼는 착탈감이 매우 불량한 문제가 있다.
전술한 종래 삽입부재의 피삽입부재에 대한 착탈 결합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은, 돌출부의 마모가 최소화됨은 물론 삽입부재의 착탈 결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면서 삽입부재와 피삽입부재 간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하는 락 스프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이 제시하는 락 스프링은, 양단이 이격된 원통형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함몰되면서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돌출부와, 돌출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몸체부에서 돌출부의 일측을 포함하여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돌출부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돌출부에 인접하여 절개부가 형성됨에 따라 돌출부의 중심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돌출부가 안정적인 가변 복원성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에 기인하여 돌출부의 마모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삽입 부재의 결합이나 분리시 양호한 착탈감을 갖게 함은 물론이고, 삽입부재의 삽입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락 스프링은 돌출부 및 절개부의 형성이 단순 프레스 작업과 펀칭 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 편의성이나 제조 시간의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 스프링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락 스프링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락 스프링의 전개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절개부의 다른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락 스프링의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락 스프링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락 스프링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 스프링(1)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락 스프링(1)은 몸체부(100)와 돌출부(200)와 절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틸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박판을 벤딩(bending)가공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몸체부(100)의 양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이격되며, 이격된 폭만큼 몸체부(100)가 탄력적으로 오므라지거나 혹은 몸체부(100)의 양단이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몸체부(100)는 도 5에 도시된 피삽입부재(11), 예컨대 터치팬이나 스타일러스 팬이 결합되는 캡과 같은 부재에 그 내주면을 두르도록 몸체부(100) 양단의 이격된 폭만큼 몸체부(100)를 오므려 결합할 수 있다.
돌출부(200)는 몸체부(100)의 외측면에서 함몰되면서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200)는 프레스 가공 등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대체로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돌출부(200)는 중심부위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곡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형상의 특징에 기인하여 돌출부(200)의 중심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그 외력은 원을 형성하는 돌출부(200)의 가장자리쪽으로 고르게 분산된다.
따라서, 돌출부(200)는 그 중심 부위에 반복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돌출부(200)가 쉽게 함몰된다거나 또는 후술할 절개부(300)의 형성에 따라 돌출부(200)가 갖게 되는 가변 복원성이 짧은 기간 내에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돌출부(200)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돌출부(200)가 적당한 가변 복원성, 즉 탄성력을 갖도록 몸체부(100)에는 절개부(300)가 형성된다. 절개부(300)는 펀칭 가공 등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300)는 돌출부(200)의 중심부위에서 이격되는 몸체부(100)의 위치에서 돌출부(200)의 일측을 포함하면서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 절개부(300)의 형성으로 인해 돌출부(200) 중심부위의 일측에는 절개부(300) 내의 영역에서 형성되는 공간(301)이 마련되며, 이 공간(301) 영역 내에서는 돌출부(200)의 중심부위를 지탱하는 지지력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절개부(300)가 전혀 형성되지 않은 경우보다 돌출부(200)의 중심부위가 가변될 수 있는 폭이 커진다.
그리고, 돌출부(200)의 중심부위는 절개부(300)가 형성되지 않은 돌출부(200)의 다른 부위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복원성을 갖게 된다.
이때, 절개되지 않은 돌출부(200) 부위의 가장자리(211)는 원호를 형성하기 때문에 돌출부(200)의 중심 부위의 복원성은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본 실시예의 락 스프링(1)이 뛰어난 탄성 복원력과 더불어 돌출부(200)가 쉽게 마모되지 않는 향상된 내구성을 갖게 되는 원인이 된다.
한편,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의 락 스프링(1)이 전개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절개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절개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00)의 좌, 우 양측에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절개부(300)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돌출부(200) 중심부위의 좌우 폭(W1)이 돌출부(200) 상, 하측의 좌우 폭(W2)보다 좁게 형성된다.
반면, 도 4에서와 같이 절개부(300)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전술한 원형 절개부(300)의 예와 돌출부(200) 상, 하측의 좌우 폭(W2)이 서로 같다고 할 때 돌출부(200) 중심부위의 좌우 폭(W1)이 원형 절개부(300)의 예와 비교하여 더 크게 형성된다.
양자의 예는 절개부(300)에 의해 돌출부(200)가 필요한 가변 복원성을 갖게 하는 점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도 3에 도시된 원형 절개부(300)의 예는 도 4에 도시된 사각형 절개부(300)의 예와 비교하여 외력 작용시 돌출부(200) 중심부위의 가변폭이 더 크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락 스프링(1)은 돌출부(200)의 중심부위의 필요한 가변폭을 고려하여 이에 적절히 대응하도록 전술한 절개부(300) 형상의 예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돌출부(200)의 중심 부위는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삽입부재(13)를 피삽입부재(11)에 대하여 착탈할 때 부드러운 착탈감을 유발하면서 사용자가 힘을 덜 가해도 착탈이 가능하도록, 돌출부(200)의 중심 부위를 평면으로 함으로써 돌출 높이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전술한 돌출부(200) 및 절개부(300)가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3곳에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몸체부(100)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적어도 1곳 이상에서 필요한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본 실시예의 락 스프링(1)이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일 예로서 예컨대 스타일러스 팬이나 터치팬과 같은 삽입부재(13)가 캡과 같은 피삽입부재(11)에 삽입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락 스프링(1)은 피삽입부재(11)의 내주면에서 형성된 안착홈(12) 사이에 결합된다. 그리고, 돌출부(200)는 피삽입부재(11)의 개방된 일측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부재(13)의 삽입시에 삽입부재(13)의 외주면에 닿아 탄력적으로 가변된다.
그리고, 삽입 과정에서 삽입부재(13)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14)의 위치가 돌출부(200)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돌출부(200)가 다시 가변 복원되면서 홈부(14)에 걸려지게 된다.
삽입부재(13)가 피삽입부재(11)로부터 이탈되는 과정 또한 전술한 삽입 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돌출부(200)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에서는 본 실시예의 락 스프링(1)이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예로서 다단 신축되는 로드 안테나의 구조에 적용되는 예가 도시되고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예는 돌출부(200)의 다른 예로서 몸체부(100)의 내측면에서 함몰되면서 몸체부(1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200)의 예가 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돌출부(200)가 형성된 본 실시예의 락 스프링(1)은 보다 작은 직경의 안테나 로드(21)에서 그 외주면에 이격 형성된 돌기(22) 사이로 안테나 로드(21)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이 안테나 로드(21)는 보다 큰 직경의 안테나 로드(23) 내부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돌출부(200)는 보다 큰 직경의 안테나 로드(23) 내주면에 대하여 탄력적인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힘을 가하여 로드 안테나를 필요한 길이만큼 신장 또는 축소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신축 조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보다 작은 직경의 안테나 로드(21)가 보다 큰 직경의 안테나 로드(23)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락 스프링(1)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시된 예와 달리 절개부(300)가 돌출부(200)의 상, 하측에서 대칭되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1; 락 스프링 11; 피삽입부재
13; 삽입부재 14; 홈부
100; 몸체부 200; 돌출부
300; 절개부

Claims (3)

  1. 양단이 이격된 원통형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외측면에서 함몰되면서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돌출부(200); 및
    상기 돌출부(20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몸체부(100)에서 상기 돌출부(200)의 일측을 포함하여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300);를 포함하는 락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0) 부위의 가장자리(211)는 원호를 형성하며,
    상기 절개부(300)는 원형 또는 사각형이면서 상기 돌출부(200)의 양측에서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절개부(300)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돌출부(200) 중심부위의 좌우 폭(W1)이 돌출부(200) 상, 하측의 좌우 폭(W2)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00)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돌출부(200) 중심부위의 좌우 폭(W1)이 돌출부(200) 상, 하측의 좌우 폭(W2)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스프링.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0)의 중심은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스프링.
KR2020100010580U 2010-10-14 2010-10-14 락 스프링 KR200466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580U KR200466852Y1 (ko) 2010-10-14 2010-10-14 락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580U KR200466852Y1 (ko) 2010-10-14 2010-10-14 락 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97U KR20120002797U (ko) 2012-04-24
KR200466852Y1 true KR200466852Y1 (ko) 2013-05-13

Family

ID=4660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580U KR200466852Y1 (ko) 2010-10-14 2010-10-14 락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85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223A (ja) 1999-03-05 2000-09-22 Nippon Antenna Co Ltd 摺動バネおよび車載用アンテナ
JP2009188873A (ja) 2008-02-08 2009-08-20 Smk Corp 多段収納式ロッドアンテ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223A (ja) 1999-03-05 2000-09-22 Nippon Antenna Co Ltd 摺動バネおよび車載用アンテナ
JP2009188873A (ja) 2008-02-08 2009-08-20 Smk Corp 多段収納式ロッドア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97U (ko)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5974B1 (en) Shaving razors and shaving cartridges
USD535055S1 (en) Hair binder
CN108290304B (zh) 剃须刀和剃须刀架
USD543351S1 (en) Fob
USD539104S1 (en) Mug holder
KR20110068132A (ko) 원활한 단계적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 완구
US20100150642A1 (en) Ring binder
USD495089S1 (en) Hair comb
KR200466852Y1 (ko) 락 스프링
TWI681428B (zh) 按鈕開關
CN111053335A (zh) 腕戴设备的连接机构以及腕戴设备
WO2016125302A1 (ja) 紐留め具
US6768069B1 (en) Micro switch
JP2010264147A (ja) スナップボタン
USD901501S1 (en) Contact card reader
CN211186087U (zh) 腕戴设备的连接机构以及腕戴设备
USD916097S1 (en) Keycap having lid
KR100760848B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US11801712B2 (en) Caster swivel restriction structure
KR200398495Y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KR100820065B1 (ko) 전원스위치
JP6199750B2 (ja) 紐留め具
KR101711569B1 (ko) 슬라이드 개폐식 링 바인더
JP6478049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KR101646016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뜨개질용 가이드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