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774Y1 - 위생시설 및 냉동,냉장창고용 걸레받이 - Google Patents

위생시설 및 냉동,냉장창고용 걸레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774Y1
KR200466774Y1 KR2020100002084U KR20100002084U KR200466774Y1 KR 200466774 Y1 KR200466774 Y1 KR 200466774Y1 KR 2020100002084 U KR2020100002084 U KR 2020100002084U KR 20100002084 U KR20100002084 U KR 20100002084U KR 200466774 Y1 KR200466774 Y1 KR 200466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ature
warehouse
cold storage
wall
refrig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533U (ko
Inventor
유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Priority to KR2020100002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77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5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5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7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창고용 걸레받이는: 압출성형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배면에 형성되어 외부충격시 충격을 완충하도록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와,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차단부 및 몸체의 하단부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창고의 벽체와 바닥면에 연이어 접하는 곡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생시설 및 냉동,냉장창고용 걸레받이{BASEBOARD FOR SANITARY FACILITIES AND FREEZING/REFRIGERATING STORAGE}
본 고안은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질로 이루어져 창고의 하단부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밀착력에 의해 굽도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걸레받이는 벽면과 바닥면이 연결되는 굽도리에 부착하여 걸레질할 때 굽도리의 벽지가 더러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걸레받이는 위생시설 및 냉장, 냉동창고, 식품공장, 제약공장 등의 우레탄 패널이나 EPS 패널을 사용하는 창고에서도 사용되는데, 이는 패널의 하단부를 대차 등의 운반기구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SUS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용 걸레받이가 설치되고 있다.
조적이나 콘크리트 걸레받이를 설치할 경우에는 운반기구가 부딪히면 파손이 쉽고, 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하부에 라운딩부의 형성이 용이하지 못해 틈새에 이물질이 끼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SUS 나 금속의 걸레받이를 설치할 경우에는 조적이나 콘크리트 걸레받이와 마찬가지로 운반기구의 충돌에 의해 파손이 쉽고, 파손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으로 고가의 수리비가 소요되어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보건복지부에서 제정된 "식품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이 제정되어져 식품위생 기준이 점차적으로 엄격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식품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 HACCP)이라 함은 식품의 원료관리, 제조, 가공, 조리 및 유통의 모든 과정에서 위해한 물질이 식품에 혼입되거나 식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과정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기준을 말한다.
이러한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 등에는 바닥틈새에 이물질이나 물이 고이지 않도록 걸레받이를 설치하는 실정이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우레탄 패널 및 EPS 패널을 사용하는 고장 또는 창고의 하단부를 운반기구 등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부착되는 면과 이격되지 않도록 밀착되어 굽도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는: 압출성형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배면에 형성되어 외부충격시 충격을 완충하도록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와,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차단부 및 몸체의 하단부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창고의 벽체와 바닥면에 연이어 접하는 곡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의 전면에는 고정위치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는 연질의 PE, PP, PVC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곡률부의 끝단에는 곡률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곡률부의 배면에는 접착면이 형성되고, 접착면은 창고 모서리에 충진되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와 창고의 벽체 사이에는 보강패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는 종래 고안과 달리 압출성형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배면에 형성되어 외부충격시 충격을 완충하도록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와,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차단부 및 몸체의 하단부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창고의 벽체와 바닥면에 연이어 접하는 곡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의 전면에는 고정위치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는 연질의 PE, PP, PVC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곡률부의 끝단에는 곡률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곡률부의 배면에는 접착면이 형성되고, 접착면은 창고 모서리에 충진되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와 창고의 벽체 사이에는 보강패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의 설치를 보인 도면,
도 3 과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의 설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의 설치를 보인 도면이며, 도 3 과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100)는 몸체(110), 탄성돌기(120), 이물질 차단부(130) 및 곡률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10)는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즉, 몸체(110), 탄성돌기(120), 이물질 차단부(130) 및 곡률부(140)는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길이에 제한 없이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해당길이만큼 절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는 연질의 PE, PP, PVC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연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파손의 염려가 없고, 재질의 특성에 의해 창고의 벽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탄성돌기(120)는 몸체(110)의 배면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돌기(120)가 창고의 벽체 하단부에 접하게 되므로 탄성돌기(120)에 의해 공기층이 형성되며, 탄성돌기(120)는 외부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돌기(120)가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은 압출 성형으로 제작하기 위함이다.
탄성돌기(120) 중에 어느 하나의 탄성돌기(120a)는 다른 탄성돌기(120)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넓은 면적을 지닌 탄성돌기(120a)와 대응되는 몸체(110)의 전면에는 고정위치표시부(115)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위치표시부(115)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몸체(110)를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위치표시부(115)는 몸체(110)의 압출 성형시에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함몰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물질 차단부(130)는 몸체(1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벽체와 몸체(110)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물질 차단부(130)는 몸체(110)에서 창고의 벽체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곡률부(140)는 몸체(110)의 하단부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창고의 벽체와 바닥면에 연이어 접한다.
곡률부(140)의 두께는 몸체(110)에 비해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하중에 의해 창고의 모서리에 안착되어 들뜸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곡률부(140)의 끝단에는 상기 곡률부(14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바닥면에 착되는 밀착부(142)가 형성된다.
밀착부(142)는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자체탄성력에 의해 밀착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곡률부(140)의 배면에는 접착면(144)이 형성되고, 접착면(144)은 창고 모서리에 충진되는 접착제(150)에 의해 고정된다.
접착제(15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창고 모서리와 곡률부(140) 사이에 채워짐으로써,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물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몸체(110)와 창고의 벽체 사이에는 보강패널(160)이 더 구비되어 외부 충격시 몸체(110)로부터 벽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추가적으로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패널(160)은 몸체(110)와 마찬가지로 연질의 PE, PP, PVC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용 걸레받이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창고용 걸레받이(100)는 연질의 PE, PP,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재질의 특성상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운반기구가 부딪히는 충격 등으로부터 창고의 벽체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됨에 따라 길이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가격이 저렴한 효과를 지닌다.
이러한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100)는 창고의 벽체 하단부에 설치된다.
몸체(110)가 벽체에 접하고, 몸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곡률부(140)는 벽체와 바닥면을 연이어 접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벽체에 고정한다.
이때, 몸체(110)의 전면에는 고정위치표시부(115)가 형성되어 탄성돌기(120) 중 면적이 넓은 탄성돌기(120a)측으로 정확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곡률부(140)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벽체와 바닥면이 이루는 모서리에 접착제(150)를 도포한 후 곡률부(140)를 부착하면 창고용 걸레받이(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곡률부(140)는 몸체(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하중에 의해 모서리에 더욱 밀착된다.
몸체(110)의 상단부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이물질 차단부(130)에 의해 틈새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120)에 의해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으로부터 벽체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곡률부(140)의 배면에는 접착면(144)이 형성되어 접착제(150)와 넓은 면이 접하여 견고히 접착되어 내부공간을 제거함으로써, 내측으로 물이 흐르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곡률부(140)의 끝단에는 얇은 두께의 밀착부(142)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창고의 물청소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바닥면이 울퉁불퉁하게 고르지 못할 경우에도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창고의 하단부 벽체를 충격 및 창고의 침수 등의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를 지닌다.
본 고안은 창고에 적용되는 걸레받이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
110 : 몸체 115 : 고정위치표시부
120 : 탄성돌기 130 : 이물질 차단부
140 : 곡률부 142 : 밀착부
144 : 접착면 150 : 접착제
160 : 보강패널

Claims (6)

  1. 압출성형으로 형성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배면에 형성되어 외부충격시 충격을 완충하도록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120);
    상기 몸체(1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차단부(130); 및
    상기 몸체(110)의 하단부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창고의 벽체와 바닥면에 연이어 접하는 곡률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돌기(120) 중 어느 하나의 탄성돌기(120a)는 다른 탄성돌기(12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넓은 면적의 상기 탄성돌기(120a)와 대응되는 상기 몸체(110)의 전면에는 고정위치표시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곡률부(140)는 상기 몸체(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하중에 의해 모서리에 밀착되며;
    상기 곡률부(140)의 끝단에는 상기 곡률부(14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연질의 PE, PP, PVC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부(140)의 배면에는 접착면(144)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면(144)은 창고 모서리에 충진되는 접착제(15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와 창고의 벽체 사이에는 보강패널(1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시설 및 냉동, 냉장창고용 걸레받이.
KR2020100002084U 2010-02-26 2010-02-26 위생시설 및 냉동,냉장창고용 걸레받이 KR200466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084U KR200466774Y1 (ko) 2010-02-26 2010-02-26 위생시설 및 냉동,냉장창고용 걸레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084U KR200466774Y1 (ko) 2010-02-26 2010-02-26 위생시설 및 냉동,냉장창고용 걸레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533U KR20110008533U (ko) 2011-09-01
KR200466774Y1 true KR200466774Y1 (ko) 2013-05-13

Family

ID=4508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084U KR200466774Y1 (ko) 2010-02-26 2010-02-26 위생시설 및 냉동,냉장창고용 걸레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7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98A (ko) * 2019-07-29 2021-02-08 (주)미솜이앤텍 마감용 몰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223B1 (ko) * 2018-10-06 2019-08-16 (주)진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걸레받이구조물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층간소음방지장치
AT522789B1 (de) * 2019-10-22 2021-02-15 Franz Neuhofer Bodenabschlussleiste
KR102585547B1 (ko) * 2023-02-27 2023-10-05 유진숙 식품 제조시설용 코너 몰딩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98A (ko) * 2019-07-29 2021-02-08 (주)미솜이앤텍 마감용 몰딩
KR102214335B1 (ko) * 2019-07-29 2021-02-15 홍기범 마감용 몰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533U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774Y1 (ko) 위생시설 및 냉동,냉장창고용 걸레받이
US20100180627A1 (en) Heat-insulating wall for a refrigerating device
US9410571B2 (en) Vacuum triple-structure suction plate
US20110316405A1 (en) Domestic refrigeration device and door tray for a refrigeration device
MXPA04012528A (es) Protector de esquina de gabinete.
US20180044062A1 (en) Storage container and mounting system
US9528751B2 (en) Storage assemblies
PT1651914E (pt) Perfil de vedação para uma tampa deslizante de um frigorífico
CN104884882A (zh) 适用于冷却装置门上的搁架
CN104949437A (zh) 一种冰箱内饰防护装置及冰箱
JP5274942B2 (ja) フロアマット
KR100993837B1 (ko) L-패드형 도크 씰
US10119255B2 (en) Stainless steel mop sink assembly
US20150323242A1 (en) Cooling device having a storage plate comprising a profile
CA2543241A1 (en) A shower or bath wall panel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20130126426A (ko) 수축 및 팽창 방지용 저장 용기
JP6481931B2 (ja) 床構造
KR20110000953A (ko) 가전제품 또는 가구의 상부 보호용 커버 플레이트
US20110089796A1 (en) Frame assembly for reflective cabinet door
CN105466132B (zh) 真空储藏单元及包括该真空储藏单元的制冷设备
KR200438957Y1 (ko) 단열패널 마감재가 구비된 개방형 쇼케이스
RU168436U1 (ru) Профильное изделие для монтажа фотолюминесцентной ленты
WO2009124864A3 (de) Kältegerät mit türabsteller
KR101348143B1 (ko) 에이비에스 욕실 천장판 보강재
KR0125806Y1 (ko) 건물용 선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