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735Y1 - 발열 알림 구조체 - Google Patents

발열 알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735Y1
KR200466735Y1 KR2020100005838U KR20100005838U KR200466735Y1 KR 200466735 Y1 KR200466735 Y1 KR 200466735Y1 KR 2020100005838 U KR2020100005838 U KR 2020100005838U KR 20100005838 U KR20100005838 U KR 20100005838U KR 200466735 Y1 KR200466735 Y1 KR 200466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temperature
thermochromic
thermochromic laye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428U (ko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이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영 filed Critical 이호영
Priority to KR2020100005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735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4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7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6Thermosensitive pa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전자기기 특히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기기가 일정 온도 이상 발열된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신호를 보내 사용을 중단함으로써,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기재와, 제1 색상을 가지며 제1 온도 이상에서 변색되는 제1 열변색층과, 접착성분이 표면에 도포된 접착시트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색상을 가지며, 제2 온도 이상에서 변색되는 제2 열변색층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열 알림 구조체{ASSEMBLY HAVING ALERT FUNCTION FOR HEAT}
본 고안은 발열 알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필름 또는 휴대용 장치의 케이스에 발열 알림 기능이 추가된 발열 알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전자기기 특히 휴대전화, 노트북, MP3P, PMP 등 다양한 휴대용 기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들 전자기기 시장은 매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제품의 성능 또한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는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어 휴대되므로, 특별히 전자파에 의한 인체의 손상이나 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한 훼손으로 인해 신체에 위해가 없도록 안전사고 방지 대책에 필요하게 된다.
특히, 휴대기기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휴대기기용 배터리는 열에 취약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넘어갈 경우 내부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폭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미국 소비자제품보호위원회에 따르면, 연간 100여건 이상의 배터리 폭발과 화재사고가 보고된 바 있다.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휴대용 전자기기 등의 배터리 폭발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폭발에 의한 안전사고는 열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내부배터리 자발적인 발열현상에 의하거나 혹은 외부적 환경에 노출되어 온도가 상승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기기 중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열에 의한 안전사고를 대비할 필요가 있다. 현재 휴대용 기기에 널리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행해지고 있으나, 구조적인 한계상 배터리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본적으로 리튬 금속은 반응성이 매우 커서 폭발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 예를 들어 리튬이 물과 만나면 흰 연기와 함께 즉시 발화가 일어난다. 이는 알칼리 금속인 리튬이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키면서 급격한 속도로 반응하기 때문이다. 리튬 금속뿐만 아니라, 리튬-이온 배터리에는 수용성 전해액 대신 휘발성이 있는 유기성 전해액이 사용되는데 이 전해액은 휘발유보다 쉽게 발화되는 물질이다.
리튬이온전지는 리튬코발트산화물, 흑연 및 유기전해액 등의 주요 물질로 구성돼 있다. 기본적으로 화학물질의 상호 반응에 의해 전기를 저장하도록 고안된 제품이기 때문에 특히 주변의 사용 환경으로부터 안전성이 영향을 받게 된다. 리튬이온 전지는 특히 고온상태에 이르면 폭발의 위험성이 급격히 높아지게 된다. 고온다습한 장소에서 사용할 경우 위험성이 더 높아지게 된다. 또한, 리튬이온 전지는 외부충격에 취약하다. 배터리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면 양극과 음극을 나눈 분리막에 틈이 생기고, 반응이 빠른 속도로 일어나면서 많은 열이 발생해서 폭발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특히 못과 같이 날카로운 금속으로 찌르거나, 무거운 물체를 떨어뜨리거나, 지속적인 압력 등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에 전지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의 두 전극 판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주는 고분자 막이 파손되어 내부적인 단락을 유발하며 이는 전지 내부의 고온 상승으로 인한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리튬이온 전지는 과충전상태에서 열적으로 대단히 취약해지기 때문에 폭발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리튬 이외의 금속을 이용한 배터리들도 결국은 전자주개받개 반응을 통해서 발열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현 기술상태로는 발열 현상이 완벽하게 차단된 배터리를 개발하는 일은 용이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유기용매를 액체상태에서 고체상태로 전환한 리튬폴리머 전지가 제안된 바 있다. 이로 인해, 폭발 위험성이 줄어들긴 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한 것은 아니며, 해외에서는 최근 리튬폴리머 전지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금속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 자체 개선방안과는 별도로, 휴대용 전자기기가 배터리 내부 또는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열이 될 경우, 일정 온도 이상을 초과하기 전에 미리 사용자에게 일정 신호를 보내서 사용자가 휴대기기의 사용을 중단하거나 휴대기기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폭발에 의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착안되었으며, 본 고안의 과제는 사용자가 전자기기 특히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일정 온도 이상 발열된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신호를 보내 사용을 중단함으로써,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발열 알림 구조체는 합성수지 재질의 광학시트와, 제1 색상을 가지며 제1 온도 이상에서 변색되는 제1 열변색층과, 접착성분이 표면에 도포된 접착시트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색상을 가지며, 제2 온도 이상에서 변색되는 제2 열변색층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일정 온도(제1 온도 또는 제2 온도) 이상이 되면 제1 열변색층의 색상이 변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을 중단하거나, 신체로부터 전자기기를 이격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이상의 열변색층을 더 적층하여 각 온도별로 다양한 색을 구현하여 사용자가 색을 인지하여 온도에 관한 정보를 보다 정밀하게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발열 알림 구조체의 보다 상세한 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부분에서 후술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발열 알림 구조체는 사용자가 전자기기 특히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가 일정 온도 이상 발열된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신호를 보내 사용을 중단함으로써,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하거나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색변화를 이용하여 알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직관적으로 발열상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온도에 따라 여러 색을 나타냄으로써, 일정 온도 이전에 미리 휴대 전자기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전자기기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보호필름 또는 케이스에 상기 발열 알림 구조체를 적용함으로서, 상기 발열 알림 구조체의 열변색층에 의해 별도로 온도감지에 필요한 장비 없이도 사용자는 필름 형태의 발열 알림 구조체의 경우에는 액정화면에 본 고안에 따른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것 만으로, 액정화면 또는 전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발열감지가 가능해지며, 케이스 형태의 발열 알림 구조체의 경우에는 휴대용 기기를 본 케이스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휴대용 기기 전체를 보호함과 동시에 발열감지가 가능해진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발열 알림 구조체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발열 알림 구조체가 적용된 전자기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발열 알림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에 따른 색상변화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발열 알림 구조체가 적용된 전자기기의 다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발열 알림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구성에 따른 색상변화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변색"은 일정한 색이 다른 색으로 변화하는 경우를 의미하거나, 무색(투명)이었다가 유색으로 변하는 경우 또는 유색이었다가 무색(투명)으로 변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발열 알림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기재(10)와, 제1 색상을 가지며 제1 온도 이상에서 변색되는 제1 열변색층(30)과, 접착성분이 표면에 도포된 접착시트(20)를 포함하는 발열 알림 구조체(1)를 나타낸다.
기재(10)는 상기 구조체의 중심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열변색층(30)을 보호하는 기능 및 상기 구조체가 액정의 전면 또는 휴대용 기기의 일부, 배터리 삽입 위치, 케이스 등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재(10)는 합성수지 재질의 광학시트 형태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불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또는 휴대용 기기의 하드 케이스 또는 소프트 케이스의 외면 자체를 기재(10)로 하여 케이스의 외면에 상기 구성이 적층되어 케이스에 발열 알림 구조체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발열 알림 구조체(1)는 휴대기기의 외면에 부착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선택에 따라, 투명 또는 반투명한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발열 알림 구조체를 인서트로 하여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열 알림 구조체가 필름 형태로 제작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며 다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보호 필름 역할을 수행하는 필름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의 표면에 부착되어 표면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주목적이므로, 이를 위해서는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이 왜곡없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또는 PMP 등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들 제품은 전체 표면이 고광택 사출에 의한 하이그로시 제품으로서, 표면의 잔기스를 방지하기 위해 액정표시부 뿐만 아니라 기기의 전체면을 보호하는 전면(全面)보호필름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면보호필름의 경우에는 반드시 투명한 재질일 필요는 없다. 기재(10)는 필름 형태이거나 케이스 형태인 경우 모두 전자기기의 표면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질기고 가벼운 재질로서 보호작용에 뛰어난 PVC 또는 PET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접착시트(20)는 실제 전자기기 제품의 전면 또는 일부, 케이스에 접착되도록 하는 층으로서, 표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접착물질에는 제한이 없다. 접착시트(20)로 인해 발열 알림 구조체가 휴대기기 또는 케이스에 밀착되어 발열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온도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제1 열변색층(30)은 실제 온도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발열 알림 구조체의 색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열변색층(30)은 투명한 초박형 시트 상에 열변색 염료가 도포된 형태이거나, 열변색 염료가 형성된 층 자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제2 열변색층(40)도 마찬가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열변색 염료(Thermochromic ink)는 외부온도에 따라 특정한 색상이 발현되거나 특정한 색상이 소멸하는 특수한 염료를 지칭한다. 제작방법에 따라 다양한 감응온도에 의해 다양한 색상이 발현 또는 소멸되도록 할 수 있다. 열변색 염료 입자는 마이크로 단위의 크기를 가지며, 그 형태는 캡슐 또는 슬러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가해지면 색이 변했다가 다시 돌아오는 가역성 색소와, 한번 온도가 가해지면 색이 영구적으로 변하여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는 비가역 색소로 구분된다.
열변색 염료는 감응온도 이하에서는 일정한 화학결합구조를 유지하고 있고, 이 결합구조에 맞는 파장의 빛을 반사하여 특정한 색상을 나타낸다. 상기 열변색 염료가 지속적인 온도 상승 환경에 노출되어 감응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일정하게 유지되던 화학결합구조가 파괴되어 상기 특정한 색상 영역의 파장을 반사하지 못하게 되어 색이 사라지고 무색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반대로, 감응온도 이하에서는 화학결합구조가 생성되지 못하여 무색 또는 일정한 색을 나타내다가 감응온도 이상이 되면 화학결합구조가 생성되어 일정한 색 또는 다른 색으로 변색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1 열변색층(30)은 상기한 열변색 염료가 포함되어,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색상이 변하여 사용자가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최근 배터리의 대부분의 비율을 차지하는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구조적, 통계적인 위험온도는 섭씨 60도 내외이기 때문에, 55도 내지 60도 사이에서 변색되는 열변색 염료를 채용한 제1 열변색층(30)을 사용하여 위험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변색 예를 들어 투명한 색에서 적색으로 바뀌는 등의 변색 작용에 의해 사용자가 위험온도에 도달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발열 알림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기재(10)와, 제1 색상을 가지며 제1 온도 이상에서 변색되는 제1 열변색층(30)과, 제2 색상을 가지며 제2 온도 이상에서 변색되는 제2 열변색층(40)과, 접착성분이 표면에 도포된 접착시트(20)를 포함하는 발열 알림 구조체(1)를 나타낸다.
제1 열변색층(30)과 동일한 원리의 열변색 염료가 적용된 제2 열변색층(40)이 더 추가되었으며, 제1 열변색층(30)과 제2 열변색층(40)은 감응온도나 발현색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열변색층(30)은 예를 들어 50도에서 색이 발현되고, 제2 열변색층(40)은 60도에서 색이 발현되어 사용자가 온도 상승을 단계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열변색층(30, 40)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1 또는 제2 열변색층의 색상이 개별적으로 발현되는 경우도 있으나, 제1 및 제2 열변색층(30, 40)의 색상이 혼합되어 발현될 수도 있다.
즉, 도 4는 혼합색상이 발현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예를 들어 제1 열변색층에 의해 발현되는 색상(B)과 제2 열변색층에 의해 발현되는 색상(C)이 혼합된 색상(A)이 발현될 수 있다. 앞선 예에서 제1 열변색층(30)은 50도에서 색(B)이 발현되고, 제2 열변색층(40)은 60도에서 색(C)이 발현되는 경우에는 온도가 실온에서 점점 상승할수록, 색이 B에서 A로 변색될 수 있다.
한편, 감응온도 이상에서 색이 소멸되는 열변색 잉크가 사용된 경우에는 50도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열변색층(30, 40)의 색상이 모두 발현되기 때문에 A 색상을 나타내다가, 50도 이상에서는 제1 열변색층이 반응하여 색이 소멸되기 때문에, C색상 만이 발현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이 확실히 전달될 수 있도록 C에 강렬한 적색 등 원색계열의 색상을 갖는 열변색 잉크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발열 알림 구조체의 크기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열변색층(30, 40)의 크기도 제한이 없으며, 제품의 형태가 보호 필름 형태로 제작된 경우 특히 액정표시부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달리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부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위험온도 이하에서도 다단계로 변색되는 구성이 채용된 경우에는 보호필름에 의해 전체 액정표시부의 색상이 변화하여 사용에 지장을 초래할 경우가 생기게 된다. 즉, 위험온도 이전에 미리 예비적으로 경고색상이 발현되도록 구성한 경우 예비적인 경고색상으로 인해 액정표시부의 정보가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열변색층(30, 40)을 액정표시부 외각 부분에만 위치하도록 하여, 발열 경고 알림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액정표시부의 표시 정보를 왜곡하지 않도록 본 고안의 발열 알림 구조체(1)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 알림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기재(10)와, 접착성분이 표면에 도포된 접착시트(20)와, 제1 색상을 가지며 제1 온도 이상에서 변색되는 제1 열변색층(30)과, 제2 색상을 가지며 제2 온도 이상에서 변색되는 제2 열변색층(40)과, 일정한 색상을 가지며 온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착색시트(50)를 포함한다.
착색시트(50)는 일정한 색상을 가지는 시트로서, 제1 및 제2 열변색층(30, 40)과는 달리 온도에 감응하여 변색되지 않는다. 따라서, 온도에 무관하게 착색시트(50)의 색상이 지속적으로 발현된다. 착색시트(50)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발열 알림 구조체의 색상변화원리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발열 알림 구조체에 사용된 열변색 염료가 감응온도 이상이 되면 화학결합이 분리되어 투명하게 변색되는 타입이고, 제1 열변색층(30)이 변색(무색화)되는 제1 온도가 섭씨 50도, 제2 열변색층(40)이 변색(무색화)되는 제2 온도는 섭씨 60도이고, 모든 색상층(30, 40, 50)이 다른 경우를 상정해 볼 수 있다. 이 때, 색상층(30, 40, 50)의 색상이 각각 H, I, J인 경우, 50도 이하에서는 세 가지 색상의 혼합색인 D 색을 나타내며, 배터리 내부의 온도 또는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전자기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이 본 고안의 보호필름에 전달되어 50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제1 열변색층(30)의 색상(H)이 소멸되어 G 색을 나타내게 된다. 휴대기기의 온도가 추가로 상승하여, 60도 이상이 되면 제2 열변색층(40)의 색상(I)이 소멸되어, 최종적으로 착색시트(50)의 색상인 J 색만이 발현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다양한 색상조합이 실시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열변색층 이외에 다수의 열변색층이 사용될 수도 있고, 감응온도 이상에서 색이 소멸되어 투명하게 변색되는 타입 이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응온도 이상에서 색이 발현되는 타입을 채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도 상승에 따라 미리 정해진 형태대로 변하는 색상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자기기의 온도가 대략 몇도이며, 위험한 상황인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온도센서 없이도 본 고안에 따른 발열 알림 구조체를 액정표시부 또는 전면에 부착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이상고온 또는 배터리 발열에 의한 폭발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열변색층(30, 40)을 가진 구조체를 설명하였으나, 제3 이상의 열변색층을 더 추가하는 구성이 가능함은 자명하며, 색을 3개 이상으로 다양화 하여 각 온도 구간 별로 상세한 온도 정보를 색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로 상기 발열 알림 구조체(1)가 필름 형태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인바,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10 : 기재
20 : 접착시트
30 : 제1 열변색층
40 : 제2 열변색층
50 : 착색시트

Claims (7)

  1. 휴대형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구조체로서,
    기재;
    제1 색상을 가지며 제1 온도에서 변색되는 제1 열변색층;
    제2 색상을 가지며 제2 온도에서 변색되는 제2 열변색층;
    일정한 색상을 가지며 온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착색시트; 및
    접착성분이 표면에 도포된 접착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온도는 섭씨 50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색상과 상기 제2 색상은 상이하고,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1 열변색층은 상기 제1 온도 이상이 되면 제1 화학결합구조가 생성되어 상기 제1 색상으로 변색되고,
    상기 제2 열변색층은 상기 제2 온도 이상이 되면 제2 화학결합구조가 생성되어 상기 제2 색상으로 변색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색상이 발현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온도가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색상과 상기 제2 색상이 혼합되어 발현되는, 발열 알림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배터리는 리튬 배터리인 발열 알림 구조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변색층은 상기 구조체의 일부 영역에만 위치하는 발열 알림 구조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투명한 재질인 발열 알림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PVC 또는 PET로 제작되는 발열 알림 구조체.
KR2020100005838U 2010-06-04 2010-06-04 발열 알림 구조체 KR200466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838U KR200466735Y1 (ko) 2010-06-04 2010-06-04 발열 알림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838U KR200466735Y1 (ko) 2010-06-04 2010-06-04 발열 알림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28U KR20110011428U (ko) 2011-12-12
KR200466735Y1 true KR200466735Y1 (ko) 2013-05-06

Family

ID=7288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838U KR200466735Y1 (ko) 2010-06-04 2010-06-04 발열 알림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73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640A (ja) 2000-07-31 2002-02-05 Teikoku Printing Inks Mfg Co Ltd 装飾用つけ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640A (ja) 2000-07-31 2002-02-05 Teikoku Printing Inks Mfg Co Ltd 装飾用つけ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28U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3640B (zh) 一种具有不可逆热传感器的电池
US10328295B2 (en) Cellular phone casing
JP6341643B2 (ja) バッテリーの少なくとも1つのパラメータ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203366635U (zh) 一种不可逆感温变色标签
WO2017197585A1 (zh) 一种通过传感器模块实现电池形变检测的装置及方法
CN106992327A (zh) 用于电池的形变组件、电池、电池组及车辆
KR200466735Y1 (ko) 발열 알림 구조체
KR200468302Y1 (ko) 온도 알림 기능을 가지는 컵 조립체
CN111239058A (zh) 指示装置
WO2005022211A1 (ja) 破壊層の設置された再帰反射シート
CN215195149U (zh) 动力电池模组的灭火设备
CN108417742B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锂电池外壳
KR100567999B1 (ko) 전자기기 및 연료 전지
TWM507349U (zh) 電池殼層結構
CN106357859A (zh) 一种温度显示和高温报警的手机保护壳
CN207967178U (zh) 一种自动检测温度的可拆卸微型燃料电池保护装置
KR100646537B1 (ko) 리튬 이차전지
CN210403959U (zh) 温度显示电池包外壳及电池包
CN207490504U (zh) Ntc热敏电阻温度传感器安全保护电路
US9109962B2 (en)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detection member,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detection method, and device including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detection member
CN215323490U (zh) 一种电子产品贴膜
CN212269974U (zh) 一种具有清晰显示效果的防伪胶带
KR20190095770A (ko) 발화와 폭발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CN210295650U (zh) 感温变色贴纸
CN214873322U (zh) 一种电子元件用离型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