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404Y1 - 학습 메모장 - Google Patents

학습 메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404Y1
KR200466404Y1 KR2020120009734U KR20120009734U KR200466404Y1 KR 200466404 Y1 KR200466404 Y1 KR 200466404Y1 KR 2020120009734 U KR2020120009734 U KR 2020120009734U KR 20120009734 U KR20120009734 U KR 20120009734U KR 200466404 Y1 KR200466404 Y1 KR 200466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ay
cover
learning
base por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형규
Original Assignee
하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형규 filed Critical 하형규
Priority to KR2020120009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4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4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2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memorandum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06Paper provided with guiding marks, e.g. ruled, squared or scaled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3/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of chart form
    • G09B3/045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of chart form with invisibly printed correct answer; the answer being rendered visible by special optical means, e.g. filters;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버에 가림수단, 자성체 및 안착부를 구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사용이 보다 편리하고, 속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필기구 등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학습 메모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학습 메모장은, 학습 내용이 기재되는 제1 및 2기재부로 구획된 속지; 상기 속지를 감싸는 커버; 상기 속지를 상기 커버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속지가 고정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속지 위에 포개지도록 절첩되어 상기 제1기재부 또는 상기 제2기재부 중 어느 한 곳을 가리는 가림부와; 상기 받침부의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림부 위에 포개지도록 절첩되어 상기 가림부와 상기 속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학습 메모장 { Pocket notebook for study }
본 고안은 학습 메모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학습내용을 기재할 수 있고, 기재된 내용의 일부를 가려 암기 학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학습 메모장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습한 내용을 암기하기 위해 노트나 메모장에 학습 내용을 간략하게 기재하고,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시간이 날 때마다 틈틈이 암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를 위한 학습 메모장은 휴대가 편리해야 하고, 암기한 내용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의 일부를 가리는 가림지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래의 학습 메모장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9410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학습 메모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학습 메모장은 내측에는 외국단어와 그에 따른 한글해석이 양분되어 기재되는 속지(12)가 낱장으로 넘김 가능하게 제본되며, 외측에는 표지(14)가 구비되는 단어장(10)과, 상기 속지(12) 상에 끼워지되 속지(12)에 기재된 내용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내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끼움부재(20)와, 상기 끼움부재(20)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외국단어 및 한글해석을 선택적으로 가려주는 가림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 메모장은 학습 내용을 암기할 때 상기 가림부재(30)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동 중에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 가림부재(30)로 가려지지 않는 부분을 미리 볼 수 있어 암기 테스트를 정확하게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에 가림수단, 자성체 및 안착부를 구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사용이 보다 편리하고, 속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필기구 등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학습 메모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학습 메모장은, 학습 내용이 기재되는 제1기재부(111) 및 제2기재부(112)로 구획된 속지(110); 상기 속지(110)를 감싸는 커버(120); 및 상기 속지(110)를 상기 커버(120)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130);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120)는: 상기 결합수단(130)에 의해 상기 속지(110)가 고정되는 받침부(121); 상기 받침부(121)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속지(110) 위에 포개지도록 절첩되어 상기 제1기재부(111) 또는 상기 제2기재부(112) 중 어느 한 곳을 가리는 가림부(122); 및 상기 받침부(121)의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림부(122) 위에 포개지도록 절첩되어 상기 가림부(122)와 상기 속지(110)를 덮는 덮개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속지(110)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1기재부(111) 또는 상기 제2기재부(112) 중 나머지 한 곳을 가리는 보조가림수단(1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에는 상기 결합수단(130)에 탈부착되는 고정부(142) 및 상기 속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표시부(14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림부(122)와 상기 덮개부(123) 중 어느 한 곳에는 제1자성체(151)가 구비되고, 나머지 한 곳에는 인력 작용에 의해 상기 제1자성체(151)를 끌어당기는 제2자성체(15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받침부(121)와 상기 가림부(122) 사이 또는 상기 받침부(121)와 상기 덮개부(123) 사이에 형성되는 안착부(12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124)에는 필기구의 클립(C)이 끼워지는 도피부(124a)와, 클립(C)의 돌기(S)가 삽입되는 결합공(124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학습 메모장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받침부의 일단에 상기 가림부를 절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제2기재부 전체를 가려 암기 테스트 시 다른 기재 사항이 보이지 않도록 하고, 정확한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가림수단은 상기 제1기재부가 가려지도록 함으로써, 암기 테스트를 다른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보조가림수단은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결합수단에 탈부착됨으로써, 상기 속지의 페이지를 넘길 때 위치를 편리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림부와 상기 덮개부에 각각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덮개부가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 중 상기 속지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에 상기 도피부와 상기 결합공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필기구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학습 메모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의 덮개부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의 가림부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의 보조가림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가림수단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의 안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는 도 5의 A-A에서 바라본 필기구가 장착된 안착부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의 덮개부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의 가림부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의 보조가림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가림수단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의 안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는 도 5의 A-A에서 바라본 필기구가 장착된 안착부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은 속지(110), 커버(120), 결합수단(130), 보조가림수단(140), 제1자성체(151) 및 제2자성체(152)를 포함한다.
상기 속지(110)는 학습 내용을 필기구 등으로 기재할 수 있는 용지이며, 직사각형 형상으로 약 30-40페이지 정도의 복수의 장으로 이루어지고, 적층되어 후술할 상기 결합수단(130)에 의해 페이지를 넘길 수 있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속지(110)의 양면은 학습 내용, 즉 외국어 단어를 기재하는 제2기재부(112)와, 상기 제2기재부(112)에 작성된 외국어 단어의 뜻, 즉 해석을 기재하는 제1기재부(111)로 구획된다.
상기 제1기재부(111)와 상기 제2기재부(112)는 좌우로 동일한 크기로 양분되어 있으며, 인쇄된 세로선에 의해 명확히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재부(111)와 상기 제2기재부(112)에는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가로선이 인쇄되어 있어, 한 장의 속지(110)에 복수의 단어를 작성할 수 있고, 학습 내용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학습내용을 상기 제1기재부(111)와 상기 제2기재부(112)에 작성하도록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 학습내용을 상기 제1기재부(111)와 상기 제2기재부(112)에 미리 인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기재부(111)에 외국어 단어를 작성하고 상기 제2기재부(112)에는 그 단어의 뜻을 작성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속지(110)보다 두꺼운 지재를 사용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속지(110)를 감싸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120)는 받침부(121), 가림부(122), 덮개부(123), 안착부(124), 연결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12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세로 및 가로 치수가 상기 속지(110)보다 크며, 상기 속지(110)의 배면, 즉 맨 마지막 페이지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받침부(121)에는 후술할 상기 결합수단(130)에 의해 상기 속지(110)가 고정된다.
상기 가림부(12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21)의 일단, 즉 상기 받침부(121)의 우측에 배치되며, 직사각형 형상으로 세로 사이즈는 상기 속지(110) 보다 크고, 가로 사이즈가 상기 속지(110)의 약 1/2 정도이다.
이러한 상기 가림부(122)는 상기 속지(110) 위에 포개어지며, 상기 제1기재부(111)만을 가리게 된다.
또한, 상기 가림부(122)는 후술할 상기 안착부(124)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안착부(124)와 상기 가림부(122)의 사이에는 상기 가림부(122)를 상기 속지(110)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P)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P)는 상기 가림부(122)가 상기 안착부(124)에 대하여 쉽게 절곡되도록 하기 위해 점선 형태나 홈 형태 등의 흠집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가림부(1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지(110)의 페이지를 넘길 때에는 상기 속지(110)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전개되고, 암기를 할 때에는 상기 속지(110)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기재부(111)를 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부(121)의 일단에 상기 가림부(122)를 절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가림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제1기재부(111) 전체를 가려 암기 테스트 시 다른 기재 사항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림부(12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상기 제2자성체(152)가 내장되며, 상기 제1기재부(111)를 가리도록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속지(110)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일면에는 후술할 상기 제1자성체(151)가 삽입되는 장착홈(122a)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22a)은 후술할 상기 제1자성체(151)와 동일한 원형 형상이며, 상기 제1자성체(151)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한다.
상기 덮개부(1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21)의 타단 즉 상기 받침부(121)의 좌측에 배치되며, 직사각형 형상으로 가로 및 세로 사이즈가 상기 속지(110)보다 크다.
또한, 상기 덮개부(123)는 후술할 상기 연결부(125)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125)와 상기 덮개부(123) 사이에는 상기 덮개부(123)를 상기 가림부(122)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P)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덮개부(123)는 상기 힌지부(P)에 의해 상기 가림부(122) 위에 포개지도록 절첩되어 상기 가림부(122)와 상기 속지(110)를 덮는다.
상기 덮개부(123)의 양면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그림이 인쇄되며, 경우에 따라 광고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23)에는 상기 속지(110) 방향으로 절곡시 상기 가림부(122)와 접하는 일면에 후술할 상기 제1자성체(151)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안착부(124)는 상기 받침부(121)와 상기 가림부(122)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형상이고, 가로 길이는 상기 속지(110)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124)와 상기 받침부(121) 사이에는 힌지부(P)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24)가 상기 속지(110) 방향으로 절곡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24)의 상기 결합수단(130) 방향의 일단에는 도피부(124a)가 형성된다.
상기 도피부(124a)는 상기 결합수단(130)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대략 역사다리꼴 모양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도피부(124a)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C)이 구비된 필기구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안착부(124)에는 결합공(124b)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24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피부(124a)의 하단, 즉 상기 결합수단(130)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며, 세로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공(124b)에는 상기 도피부(124a)를 통해 끼워진 필기구 클립(C)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S)가 삽입된다.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클립(C)이 구비된 필기구에는 클립(C)의 끝단에 필기구 본체(F) 방향으로 돌기(S)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립(C)은 탄성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클립(C)을 상기 안착부(124)에 끼울 때 상기 클립(C)은 본체(F) 반대 방향으로 약간 벌어졌다가 상기 돌기(S)가 상기 결합공(124b)에 배치되면 본체(F)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고, 상기 돌기(S)는 상기 결합공(124b)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필기구가 상기 안착부(124)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부(124)에 상기 결합공(124b)을 형성하여 필기구의 클립(C)이 고정되게 함으로써, 필기구를 함께 소장하여 휴대할 수 있으면서 필기구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24)에는 상기 도피부(124a)와 상기 결합공(124b) 사이에 완충부재(1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50)는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완충부재(150)는 상기 안착부(124)에 끼워지는 필기구 본체(F)와 접하여 상기 필기구 본체(F)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125)는 상기 받침부(121)와 상기 덮개부(123)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21)와 상기 덮개부(123) 사이에는 힌지부(P)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25)는 상기 안착부(124)와 동일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P)에 의해 상기 속지 방향으로 절곡된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130)은 코일형 스프링이며, 상기 받침부(121)와 상기 속지(110)를 관통하여 끼워진다. 상기 결합수단(130)에 의해 상기 속지(110)는 상기 받침부(121)의 배면, 즉 상기 속지(110)의 반대편으로 회전하여 넘길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수단(130)은 코일형 스프링 이외에 바인더, 파일철 또는 본드 접착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지(110)와 거의 일치하는 직사각형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속지(110)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2기재부(112)를 덮어 가린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의 본체(140a)에는 개방홈(141)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홈(141)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속지(110)의 제1기재부(111) 방향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은 상기 제1기재부(111)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고, 상기 제2기재부(112)는 가려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은 상기 제2기재부(112)를 가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림부(122)와 반대로 상기 제1기재부(111)의 기재되는 내용을 보고 상기 제2기재부(112)의 내용을 테스트하는 다른 방식의 암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에는 상기 결합수단(130)에 탈부착되는 고정부(14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42)는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의 상단, 즉 상기 결합수단(130) 방향의 일단에 'ㄱ'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좌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의 상단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의 끝단에는 상기 보조가림수단(140) 방향으로 걸림돌기(14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43)는 상기 보조가림수단(140)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142)와 상기 보조가림수단(140) 상단 사이의 간격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돌기(143)가 삽입 배치되는 걸림홈(14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44)은 상기 걸림돌기(143)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며, 대략 반원 또는 역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42)는 가로 방향으로 상기 결합수단(130)의 내부에 밀어 넣어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142)를 상기 결합수단(130)에 끼워 넣으면 상기 걸림돌기(143)는 상기 결합수단(130)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144)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142)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42)에 의해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은 상기 결합수단(1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42)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142)를 가로 방향으로 밀어넣을 때 상기 고정부(142)는 상기 보조가림수단(140) 반대 방향으로 벌어졌다가 상기 걸림돌기(143)가 상기 걸림홈(144)에 삽입되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은 상기 고정부(142)에 의해 상기 결합수단(130)에 탈부착됨으로써, 복수의 상기 속지(110)를 넘길 때 사용자가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에는 표시부(14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145)는 상기 고정부(142) 반대 방향인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145)는 역사다리꼴 형상이며, 상기 속지(1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45)로 인해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이 상기 속지(110) 사이에 끼워져 있어도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의 위치를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책꽂이와 같이 상기 속지(110)의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자성체(152)는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림부(122)에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1자성체(151)는 원판 형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123)의 상기 속지(110) 방향 일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1자성체(151)는 상기 가림부(122)의 일면에 형성된 장착홈(122a)에 삽입된다. 즉 상기 제1자성체(151)는 상기 속지(110) 방향으로 절곡되었을 때 상기 장착홈(122a)에 삽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덮개부(123)가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림부(122)와 상기 덮개부(123)에 각각 상기 제2자성체(152)와 상기 제1자성체(15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덮개부(123)가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 중 상기 속지(11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151)가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자성체(152)가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학습 메모장을 이용한 암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23)와 상기 가림부(122)를 각각 전개한 상태에서 상기 속지(110)의 제2기재부(112)와 상기 제1기재부(111)에 각각 암기할 단어와 뜻을 작성한다.
이때, 상기 안착부(124)에 끼워진 필기구를 이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기구의 클립(C)을 세로 방향 즉 상기 결합공(124b)에서 상기 도피부(124a)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상기 클립(C)은 벌어지면서 상기 돌기(S)는 상기 결합공(124b)에서 이탈되고, 상기 필기구는 상기 안착부(124)에서 분리된다. 물론, 상기 필기구를 다시 끼울 때에는 상기 클립(C)을 상기 도피부(124a)에서 상기 결합공(124b)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이 후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림부(122)를 상기 속지(110) 방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제1기재부(111)를 가리고, 상기 제2기재부(112)에 작성된 단어를 보고 상기 제1기재부(111)에 작성된 뜻을 암기한다. 암기 테스트를 할 시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면 된다.
반대로, 상기 제1기재부(111)에 작성된 뜻을 보면서 상기 제2기재부(112)에 작성된 단어를 암기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42)를 상기 결합수단(130)에 끼워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이 상기 속지(110)를 덮도록 한다.
만약, 메모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23)를 절곡시켜 상기 가림부(122)에 포개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부(121)의 타단에 상기 가림부(122)를 절곡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제1기재부(111) 전체를 가려 암기 테스트 시 다른 기재 사항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42)는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을 상기 결합수단(130)에 쉽게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의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은 상기 제2기재부(112)가 가려지도록 함으로써, 다른 방식의 암기를 가능하게 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가림부(122)와 상기 덮개부(123)에 각각 상기 제2자성체(152)와 상기 제1자성체(15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덮개부(123)가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 중 상기 속지(11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인 학습 메모장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 속지, 111 : 제1기재부,
112 : 제2기재부, 120 : 커버,
121 : 받침부, 122 : 가림부,
122a : 장착홈, 123 : 덮개부,
124 : 안착부, 124a: 도피부,
124b : 결합공, 125 : 연결부,
130 : 결합수단, 140 : 보조가림수단,
141 : 개방홈, 142 : 고정부,
143 : 걸림돌기, 144 : 걸림홈,
145 : 표시부, 150 : 완충부재,
151 : 제1자성체 152 : 제2자성체
P : 힌지부, F : 필기구 본체,
C : 클립

Claims (4)

  1. 학습 내용이 기재되는 제1기재부(111) 및 제2기재부(112)로 구획된 속지(110);
    상기 속지(110)를 감싸는 커버(120); 및
    상기 속지(110)를 상기 커버(120)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130);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120)는:
    상기 결합수단(130)에 의해 상기 속지(110)가 고정되는 받침부(121);
    상기 받침부(121)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속지(110) 위에 포개지도록 절첩되어 상기 제1기재부(111) 또는 상기 제2기재부(112) 중 어느 한 곳을 가리는 가림부(122); 및
    상기 받침부(121)의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림부(122) 위에 포개지도록 절첩되어 상기 가림부(122)와 상기 속지(110)를 덮는 덮개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속지(110)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1기재부(111) 또는 상기 제2기재부(112) 중 나머지 한 곳을 가리는 보조가림수단(1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가림수단(140)은:
    일측에 개방홈이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본체(140a);
    상기 본체(140a)의 상단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ㄱ"자 형상 중 수평부는 상기 본체(140a)의 상단과 이격되고, 수평부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140a)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144) 내에 하단부가 배치되는 걸림돌기(143)가 형성된 고정부(142); 및
    상기 본체(140a)의 하단 일측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본체(140a)가 상기 속지(110)와 중첩 시 상기 속지(110)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표시부(145);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20)는,
    상기 받침부(121)와 상기 가림부(122) 사이 또는 상기 받침부(121)와 상기 덮개부(123) 사이에 형성되는 안착부(12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124)에는 필기구의 클립(C)이 끼워지는 도피부(124a)와, 클립(C)의 돌기(S)가 삽입되는 결합공(124b) 및 상기 도피부(124a)와 상기 결합공(124b) 사이에 상기 필기구와 접하는 완충부재(15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메모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20009734U 2012-10-26 2012-10-26 학습 메모장 KR200466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734U KR200466404Y1 (ko) 2012-10-26 2012-10-26 학습 메모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734U KR200466404Y1 (ko) 2012-10-26 2012-10-26 학습 메모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404Y1 true KR200466404Y1 (ko) 2013-04-12

Family

ID=5138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734U KR200466404Y1 (ko) 2012-10-26 2012-10-26 학습 메모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4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666U (ko) 2015-04-15 2016-10-25 (주)예스피피 절취형 속지가 부착되는 판촉용 수첩커버
KR20200137206A (ko) * 2019-05-29 2020-12-09 원용길 메모수단이 구비된 목걸이 아이디카드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347U (ja) * 1992-04-08 1994-09-06 株式会社カック ノ−トファイルのペン取付部構造
KR200371336Y1 (ko) * 2004-09-30 2004-12-29 육심언 단어암기장
KR200449409Y1 (ko) * 2009-10-09 2010-07-08 장기민 단어 암기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347U (ja) * 1992-04-08 1994-09-06 株式会社カック ノ−トファイルのペン取付部構造
KR200371336Y1 (ko) * 2004-09-30 2004-12-29 육심언 단어암기장
KR200449409Y1 (ko) * 2009-10-09 2010-07-08 장기민 단어 암기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666U (ko) 2015-04-15 2016-10-25 (주)예스피피 절취형 속지가 부착되는 판촉용 수첩커버
KR20200137206A (ko) * 2019-05-29 2020-12-09 원용길 메모수단이 구비된 목걸이 아이디카드 케이스
KR102248920B1 (ko) * 2019-05-29 2021-05-07 원용길 메모수단이 구비된 목걸이 아이디카드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4538B2 (en) Electronic device
US20140028865A1 (en) Electronic device
EP2703939A1 (en) Protective cover for supporting mobile terminal in dual direction and multi angle
JP2009507676A (ja) 携帯性および使用性を向上させた多用途カバー支持台
US20190092073A1 (en) Device for attaching a writing utensil to a notebook
KR200466404Y1 (ko) 학습 메모장
US20090278344A1 (en) Enclosure
KR20070000293U (ko) 스프링책자용 색인기능을 갖는 필기구
US2016021311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ED) Case, Method, and Applications
KR20140005488U (ko) 복수의 속지가 구비된 노트
RU129455U1 (ru) Печатное издание на магните (варианты)
JP2007210314A (ja) 読書集中用のシオリ
JP3180764U (ja) 紙類挟みホルダ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保持具、並びに筆記具用キャップ体及び筆記具用キャップセット
CN220752756U (zh) 一种多功能打卡器及阅读支架
CN206826239U (zh) 一种商务信息咨询用文件夹
KR20170000718U (ko) 메모지보관부가 구비된 북마크
KR20110118531A (ko) 캘린더 겸용 다이어리
RU255653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носителя информации (варианты)
KR101633511B1 (ko) 자석형 자동 서표
JP3097459U (ja) 上下2段式手帳
JP2014230573A (ja) メモ帳ホルダー
KR101051282B1 (ko) 책갈피
KR200466101Y1 (ko) 다기능 메모장
KR200431966Y1 (ko) 다기능 화이트 보드
KR200444586Y1 (ko) 책상 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