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964Y1 - 이젤 - Google Patents

이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964Y1
KR200465964Y1 KR2020110001148U KR20110001148U KR200465964Y1 KR 200465964 Y1 KR200465964 Y1 KR 200465964Y1 KR 2020110001148 U KR2020110001148 U KR 2020110001148U KR 20110001148 U KR20110001148 U KR 20110001148U KR 200465964 Y1 KR200465964 Y1 KR 200465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iston
rear support
horizontal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861U (ko
Inventor
최형규
Original Assignee
최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규 filed Critical 최형규
Priority to KR2020110001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96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8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8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9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 화판이 이젤에 놓인 상태에서, 대형 화판의 경사각도를 수직방향으로부터 수평방향까지 조절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어느 경사각도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젤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한 단부 측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직 프레임으로 된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수직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화판이 재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다른 단부 측에 결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방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젤{Easel}
본 고안은 이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판이 놓인 상태에서 화판을 수직방향으로부터 수평방향까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젤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형 화판에 이용되는 이젤로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화판이 놓이는 면)에 화판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상단 고정부(11)와 하단 고정부(12)가 마련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하면(화판이 놓이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부(10)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20)를 구비한 이젤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젤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에 마련된 상단 고정부(11)와 하단 고정부(12)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화판의 높이에 따른 위치를 조절할 수 있지만, 화판의 경사각도(화판과 수평면(바닥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없었다.
다만, 상기 본체부(10)에 상기 후방 지지부(2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접철식 이젤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후방 지지부(20)의 하측 끝단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즉 상기 후방 지지부(20)를 벌리거나 좁힘으로써 화판의 경사각도를 약간은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 후방 지지부(20)의 본래 기능이 아닐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경사각도의 범위도 극히 제한적이다. 나아가,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후방 지지부(20)의 하측 끝단의 간격을 좁게 하거나 넓게 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정도로 화판을 수직방향으로 세우거나 수평방향으로 누이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이젤을 사용하는 작업자로서는, 작업과정에서 대형 화판의 전체를 조망하는 등 대형 화판을 수직방향으로 세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대형 화판을 이젤로부터 작업 공간 내의 벽 등으로 옮겨 작업을 해야 했고, 또한 오브제(objet) 작업 등의 대형 화판을 수평방향으로 누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대형 화판을 이젤로부터 수평 작업대 등으로 옮겨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형 화판을 이젤로부터 옮기지 않고서도, 즉 대형 화판이 이젤에 놓인 상태에서, 대형 화판의 경사각도를 수직방향으로부터 수평방향까지 조절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어느 경사각도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이젤은, 사각 형상의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한 단부 측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직 프레임을 구비한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수직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화판이 재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다른 단부 측에 결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방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수납하며 상단면이 개구된 피스톤 캡과, 상기 피스톤을 상기 피스톤 캡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의 하단부부터 상기 피스톤 캡의 개구된 상단면으로 슬라이딩하여 출입하며, 상기 피스톤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부 하면의 상측에 결합하며, 상기 피스톤 캡의 하단면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다른 단부측(상기 수직 프레임이 연결된 쪽에 대해 반대 방향의 단부측)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부 피스톤과 상기 상부 피스톤을 수납하며 상단면이 개구된 상부 피스톤 캡, 및 하부 피스톤과 상기 하부 피스톤을 수납하고 하단면이 개구된 하부 피스톤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피스톤은, 상기 상부 피스톤의 하단부부터 상기 상부 피스톤 캡의 개구된 상단면을 통해, 상기 상부 피스톤 캡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출입하며, 상기 하부 피스톤은, 상기 하부 피스톤의 상단부부터 상기 하부 피스톤 캡의 개구된 하단면을 통해, 상기 하부 피스톤 캡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출입하고, 상기 상부 피스톤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하면 상단측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피스톤 하단부가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다른 단부측(상기 수직 프레임이 연결된 쪽에 대해 반대 방향의 단부측)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를, 상기 본체부의 하면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다른 단부측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은, 회동 가능한 경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이 연결되는 부위 사이에, 상기 본체부의 가로 폭 길이의 가로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방 지지부를 상기 가로대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가로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을 회동 가능한 경첩으로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하면 측에 이동수단을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이젤에 의하면, 대형 화판을 이젤로부터 옮기지 않고서도, 즉 대형 화판이 이젤에 놓인 상태에서, 대형 화판의 경사각도를 수직방향으로부터 수평방향까지 조절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어느 경사각도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대형 화판에 이용되는 종래의 이젤에 대한 개략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개략 측면도로서, (a)는 본체부의 수직 상태, (b)는 본체부의 경사 상태, (c)는 본체부의 수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채택된 다른 구성의 개략 측면도로서, (a)는 본체부의 수평 상태, (b)는 본체부의 경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개략 측면도로서, 본체부의 수직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개략 측면도로서, 본체부의 수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후방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2단의 피스톤과 피스톤 캡이 결합된 상태, (b)는 2단의 피스톤 캡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실제 샘플 사진으로서, (a) 및 (b)는 본체부의 수직 상태 (c)는 본체부의 수평 상태를 나타내는 샘플 사진.
(제 1 실시예)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3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개략 측면도로서, (a)는 본체부의 수직 상태, (b)는 본체부의 경사 상태, (c)는 본체부의 수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다른 구성의 개략 측면도로서, (a)는 본체부의 수평 상태, (b)는 본체부의 경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후술하는 제 2 실시예와의 관계에 있어서, 후방 지지부(30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상세한 이해를 위하여, 상기 후방 지지부(30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하여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도 4를 참고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이젤은, 수평 프레임(110)과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일단 측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직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기단부(100)와, 상기 기단부(100)의 상기 수직 프레임(120)의 상부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화판을 재치되는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의 상부와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타단 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기단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 형상의 프레임구조로 된 수평 프레임(110)과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일단부측의 양쪽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수직 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 프레임(1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20)을 결합하는 결합부(122)는 나사 죔 방식으로 결합된 것으로, 작업시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120)을 상기 수평 프레임(110)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세운 상태에서 나사를 죄어 고정시키고, 이젤의 운반시에는 나사를 풀어 상기 수평 프레임(1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20)를 접은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 프레임(1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20)를 나사 죔 방식에 의해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결합부(122)의 결합수단은, 상기 수평 프레임(1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20)의 결합을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도 가능하다.
본체부(200)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 또는 판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200)의 상면(화판이 놓이는 면)의 상단부에는 화판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 고정부(210)가, 하단부에는 화판의 하단을 지지 고정하는 하단 고정부(220)가 각각 상기 본체부(200) 상면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기단부(100)의 상기 수직 프레임(120)의 상부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된다. 또한, 도면 부호 121은 상기 기단부(100)의 상기 수직 프레임(120)에 상기 본체부(200)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나타내고, 상기 기단부(100)의 상기 수직 프레임(120)과 상기 본체부(200)를 결합하는 결합부(121)의 결합수단으로서는, 상기 본체부(2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 상단 고정부(210) 및 하단 고정부(220)는, 각각 화판 지지부재(211, 221)와 고정 나사(212, 22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화판의 적절한 위치(높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하단 고정부(220)의 위치를 정한 후에 상기 고정나사(222)로 조여 고정한 후에, 상기 하단 고정부(220)의 화판 지지부재( 221) 상에 대형 화판을 재치한다. 화판을 재치한 후에, 상기 상단 고정부(210)의 화판 지지부(212)가 화판의 상단부에 밀착하도록, 상기 상단 고정부(210)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상기 상단 고정부(210)의 고정나사(222)로 조여 고정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부(200)의 높이보다 큰 화판을 재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단 고정부(210)를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단 고정부(210)를 상기 본체부(200)의 상단으로 슬라이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200)의 상단를 개방하고 있다.
후방 지지부(300)는,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화판이 놓이는 면의 반대면)상단과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타단(상기 수직 프레임(120)이 연결된 쪽에 대해 반대 방향의 단부)의 일점을 연결하여 상기 본체부(200)의 후방을 지지한다.
상기 후방 지지부(300)는, 하나의 피스톤(310)과 하나의 피스톤 캡(320)으로 이루어지며(이를, "1단 피스톤 구조"라 한다), 상기 피스톤(310)이 상기 피스톤 캡(320)의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출입을 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310)의 형상 및 굵기는 상기 피스톤 캡(320) 내부의 형상 및 굵기에 정합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310) 및 상기 피스톤 캡(320)의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피스톤(310)이 상기 피스톤 캡(320)의 내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피스톤(310) 및 상기 피스톤 캡(320)의 형상을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피스톤(310)의 외경과 상기 피스톤 캡(320)의 내경을 거의 같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부(300)의 최소 길이(상기 피스톤 캡(320) 내로 상기 피스톤(310)를 완전히 삽입시킨 상태의 길이)는, 상기 본체부(200)를 수평상태로 했을 때(도 2c 및 도 3a 참조),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직 프레임(120)의 하면까지의 수직 거리(길이)와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지지부(300)를,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과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타단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후방 지지부(300)의 피스톤 캡(320) 쪽의 단부를 상기 수평 프레임(110)에 연결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도 2a 내지 도 3b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지지부(300)로서 '1단 피스톤 구조' 하나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같은 거리, 즉 중앙에 연결하면 된다. 또한, 비록 본 실시예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후방 지지부(300)로서 1단 피스톤 구조를 2개 이상 이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적절하게 거리를 비례적으로 나누어 접합부위를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방 지지부(300)를,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에 연결할 때, 연결부위를 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다음의 2가지 방법이 고려된다.
먼저, 도 2(a)에 의해 설명하면, 상기 후방 지지부(300)의 피스톤 캡(320) 쪽의 단부를 상기 수평 프레임(110)에 연결한 다음, 상기 본체부(200)를 상기 수평 프레임(110)에 대해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 후방 지지부(300)의 최대 길이(상기 피스톤 캡(320)으로부터 상기 피스톤(310)를 최대로 돌출시킨 상태의 길이)로, 상기 후방 지지부(300)를 경사시켜 상기 본체부(200) 하면의 닿는 부위를 접합점(334)으로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도 3(a)에 의해 설명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후방 지지부(300)의 피스톤 캡(320) 쪽의 단부를 상기 수평 프레임(110)에 연결한 다음, 상기 본체부(200)를 상기 수평 프레임(110)에 대해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후방 지지부(300)를 수직으로 세워 상기 본체부(200) 하면의 닿는 부위를 접합점(311)으로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부(300)를,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과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타단에 연결하는 접합점(311, 321)결합수단으로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00)의 경사 정도에 따라서 후방 지지부(300)의 양단부의 접합점(311, 321)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지지부(300)를,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과 상기 수평 프레임(110)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후방 지지부(300)의 피스톤(31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20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작업자가 원하는 상기 본체부(200)의 경사 각도에 이르렀을 때, 상기 피스톤 캡(322)의 상단에 마련된 고정 나사(322)를 이용하여 상기 피스톤(310)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하면 측에 도르레 등의 이동수단(130)을 마련하여, 상기 본체부(200)에 화판이 재치된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다.
(제 1 실시예의 문제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의하여, 화판이 놓이는 상기 본체부(200)가 수직방향으로부터 수평방향까지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자는, 다음의 점에서 약간의 부족함을 느끼게 되었다.
(1) 먼저, 상기 본체부(200)를 상기 수평 프레임(110)에 대해 수직(상기 수직 프레임(120)과는 동일 선상)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 후방 지지부(300)의 최대 길이로, 상기 후방 지지부(300)를 경사시켜 상기 본체부(200) 하면의 닿는 부위를 접합점(334)으로 하여 연결한 경우에는, 도 2(a) 내지 (c)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가 수직방향으로부터 수평방향까지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지만, 상기 본체부(200)가 수평방향에 이르렀을 때, 상기 본체부(200)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상기 후방 지지부(300)가, 도 2(c)에 의해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부(200)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2) 상기 본체부(200)를 상기 수평 프레임(110)에 대해 수평(상기 수직 프레임(120)에 대해서는 수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후방 지지부(300)를 수직으로 세워 상기 본체부(200) 하면의 닿는 부위를 접합점(311)으로 하여 연결한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가 수평방향에 이르렀을 때, 상기 본체부(200)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상기 후방 지지부(300)가, 상기 본체부(200)를 수직방향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지만, 도 3(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를 완벽하게 수직방향까지 회동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본체부(200)가 수직방향으로부터 수평방향까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200)가 수평방향에 이르렀을 때 상기 본체부(200)를 상기 후방 지지부(300)가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반면, 상기 후방 지지부(300)가 상기 본체부(200)를 수직방향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200)를 완벽하게 수직방향까지 회동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물론, 작업자가 실제 작업을 하는 상황의 대부분은, 상기한 문제들은 크게 문제시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간단한 보조수단(예를 들어, 도 2(c)에서, 후방 지지부(300)의 외측에, 본체부(200)를 수직으로 지탱하는 받침대, 도시생략) 등을 이용하여, 만약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고안자는, 고안된 이젤 자체로, 언제든지 상기 본체부(200)가 수직방향으로부터 수평방향까지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본체부(200)가 수평방향에 이르렀을 때, 상기 후방 지지부(300)가 상기 본체부(200)를 수직방향에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개선하였다.
(제 2 실시예)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8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개략 측면도로서, 수직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개략 측면도로서, 수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후방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2단의 피스톤과 피스톤 캡이 결합된 상태, (b)는 2단의 피스톤 캡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실제 샘플 사진으로서, (a) 및 (b)는 본체부의 수직 상태, (c)는 본체부의 수평 상태를 설명하는 사진이다.
다만, 제 1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관계에 있어서, 후방 지지부(30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미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부분에 대해서는 가급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이젤은, 수평 프레임(110)과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일단 측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직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기단부(100)와, 상기 기단부(100)의 상기 수직 프레임(120)의 상부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화판을 재치되는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의 상부와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타단 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300)는, 상부 피스톤(332)과 상기 상부 피스톤(332)를 수납하는 상부 피스톤 캡(331) 및 하부 피스톤(342)과 상기 하부 피스톤(342)를 수납하는 상부 피스톤 캡(331)으로 이루어진다(이를, "2단 피스톤 구조"라 한다).
상기, "2단 피스톤 구조"는, 도 7(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피스톤 캡(331)과 하부 피스톤 캡(341)이 겹친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피스톤 캡(331)은 적어도 상단면이 개구되어 있고, 하부 피스톤 캡(341)은 적어도 하단면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피스톤(332)은, 상기 상부 피스톤(332)의 하측 일단부부터 상기 상부 피스톤 캡(331)의 개구된 상단면을 통해, 상기 상부 피스톤 캡(331)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출입하며, 하부 피스톤(342)은, 상기 하부 피스톤(342)의 상측 일단부부터 상기 하부 피스톤 캡(341)의 개구된 하단면을 통해, 상기 하부 피스톤 캡(341)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출입하고, 상기 상부 피스톤(332) 및 하부 피스톤(342)은, 각각의 고정나사(333, 343)에 의하여 슬라이딩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부(3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피스톤(332)의 상측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 상단측에 연결되며, 하부 피스톤(342) 하측 타단부는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타단측(상기 수직 프레임(120)이 연결된 쪽에 대해 반대 방향의 단부측)에 연결하여 상기 본체부(200)의 후방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부(300)를,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 및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타단에 연결하는 접합점(334, 344)의 결합수단으로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00)의 경사 정도에 따라서 후방 지지부(300)의 양단부의 접합점(334, 344)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후방 지지부(300)의 상부 피스톤(332)과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 사이에는 상기 본체부(200)의 가로 폭 길이의 가로대(335)를 더 구비하여, 상기 후방 지지부(300)의 상부 피스톤(332)을 상기 가로대(335)에 고정 연결하고, 상기 가로대(335)와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을 경첩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00)의 경사 정도에 따라서 후방 지지부(300)의 양단부의 접합점(334, 344)이 회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후방 지지부(300)가 상기 본체부(200)를 지지하는 힘을 분산시켜,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가 수평방향에 이르렀을 때, 상기 수직 프레임(120)의 가로 지지축(140)이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120)의 가로 지지축(140)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가로 지지축(140)은 상기 수직 프레임(120)의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외에, 상기 본체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및 하부 피스톤(332, 342)의 형상 및 굵기는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피스톤 캡(331, 341) 내부의 형상 및 굵기에 정합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피스톤(332, 342)이 상부 및 하부 피스톤 캡(331, 341) 내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부(300)로서 "2단 피스톤 구조"를 하나만 이용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후방 지지부(300)로서 "2단 피스톤 구조"를 2개 이상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2단 피스톤 구조"를 이용하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이젤 자체로, 언제든지 상기 본체부(200)가 수직방향으로부터 수평방향까지 회동 가능하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후방 지지부(300)의 길이를 최대 길이로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00)가 수직방향에 이르게 되고(실제 샘플의 예는 도 8의 (a), (b) 참조), 도 6에서와 같이, 후방 지지부(300)의 길이를 최소 길이로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00)가 수평방향에 이르게 된다(실제 샘플의 예는 도 8의 (c) 참조). 또한 상기 본체부(200)가 수평방향에 이르렀을 때, 상기 후방 지지부(300)가 상기 본체부(200)를 수직방향에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100 기단부 110 수평 프레임
120 수직 프레임 130 이동수단(도르레)
140 수직 프레임의 가로 지지축 200 본체부
210 (화판의) 상단 고정부 220 (화판의) 하단 고정부
300 후방 지지부 310 (제 1 실시예의) 피스톤
320 (제 1 실시예의) 피스톤 캡 311, 321 (제 1 실시예의) 결합부
331 (제 2 실시예의) 상단 피스톤 캡 332 (제 2 실시예의) 상단 피스톤
341 (제 2 실시예의) 하단 피스톤 캡 342 (제 2 실시예의) 하단피스톤
334, 344 (제 2 실시예의) 결합부 335 가로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사각 형상의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한 단부 측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직 프레임을 구비한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수직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화판이 재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다른 단부 측에 결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부 피스톤과 상기 상부 피스톤을 수납하며 상단면이 개구된 상부 피스톤 캡, 및 하부 피스톤과 상기 하부 피스톤을 수납하고 하단면이 개구된 하부 피스톤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피스톤은, 상기 상부 피스톤의 하단부부터 상기 상부 피스톤 캡의 개구된 상단면을 통해, 상기 상부 피스톤 캡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출입하며,
    상기 하부 피스톤은, 상기 하부 피스톤의 상단부부터 상기 하부 피스톤 캡의 개구된 하단면을 통해, 상기 하부 피스톤 캡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출입하고,
    상기 상부 피스톤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하면 상단측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피스톤 하단부가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다른 단부측(상기 수직 프레임이 연결된 쪽에 대해 반대 방향의 단부측)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를, 상기 본체부의 하면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다른 단부측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은, 회동 가능한 경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이 연결되는 부위 사이에, 상기 본체부의 가로 폭 길이의 가로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방 지지부를 상기 가로대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가로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을 회동 가능한 경첩으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하면 측에 이동수단을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KR2020110001148U 2011-02-11 2011-02-11 이젤 KR200465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48U KR200465964Y1 (ko) 2011-02-11 2011-02-11 이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48U KR200465964Y1 (ko) 2011-02-11 2011-02-11 이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61U KR20120005861U (ko) 2012-08-21
KR200465964Y1 true KR200465964Y1 (ko) 2013-03-25

Family

ID=5138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148U KR200465964Y1 (ko) 2011-02-11 2011-02-11 이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96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0089A1 (en) * 2005-08-16 2007-02-22 Shiff Harold H Adjustable easel for supporting a workpiece
JP2008206924A (ja) * 2007-02-28 2008-09-11 Sakura Color Prod Corp イー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0089A1 (en) * 2005-08-16 2007-02-22 Shiff Harold H Adjustable easel for supporting a workpiece
JP2008206924A (ja) * 2007-02-28 2008-09-11 Sakura Color Prod Corp イー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61U (ko)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2399B2 (en) Portable support system for projector and screen
US6102348A (en) Appliance mounting device
TWI273336B (en) Self-standing manual lifting screen
US7233488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retractable supporting unit
US20080068784A1 (en) Moveable Display Mount
US20060192071A1 (en) Angle adjustable easel
JP2008244618A (ja) 表示装置用スタンド
EP0665933A1 (en) Stand and accessory for stand
US3041032A (en) Support for a picture projection screen
US20150108315A1 (en) Easel
US20170085828A1 (en) Mount for televisions and the like
KR200465964Y1 (ko) 이젤
JP2009113174A (ja) 作業用ターンテーブル
US9402468B1 (en) Foldable support device
WO2016137116A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이젤
WO2019142756A1 (ja) スタンド装置
JP3790836B2 (ja) 支持装置
CN111528658A (zh) 一种展示台
KR200348508Y1 (ko) 이젤용 프레임
KR200390986Y1 (ko) 디스플레이용 사다리꼴 이젤 스탠드
US12031666B2 (en) Telescoping, rotational and adjustable television fixation device
KR101061582B1 (ko) 거울 겸용 액자
JP3174410U (ja) 携帯用画架
KR200306043Y1 (ko) 다목적 촬영용 거치대
JPH03475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