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09Y1 -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609Y1
KR200465609Y1 KR2020100007692U KR20100007692U KR200465609Y1 KR 200465609 Y1 KR200465609 Y1 KR 200465609Y1 KR 2020100007692 U KR2020100007692 U KR 2020100007692U KR 20100007692 U KR20100007692 U KR 20100007692U KR 200465609 Y1 KR200465609 Y1 KR 200465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anel
power supply
meter
stora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788U (ko
Inventor
정국진
김연수
Original Assignee
김연수
정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정국진 filed Critical 김연수
Priority to KR2020100007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60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7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가 가능한 휴대용 케이스의 내부에 충방전이 가능한 축전지,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정류기,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전원부를 탑재하고, 상기 정류기 또는 인버터와 연결되어, 교류 또는 직류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와 시거잭, 상기 축전지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디스플레이부, 과부하를 방지하는 제 1, 2퓨즈, 교류 및 직류전원의 사용량을 조절하는 직류 및 교류메터기, 교류 및 직류전원을 차단 및 인가하는 온/오프 스위치 등을 패널에 구비함으로써, 휴대 및 운반이 간편함과 동시에, 산업용 및 레저용에 모두 사용이 가능한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PORTABLE DC/AC POWER SUPPLY UNIT}
본 고안은 간편한 휴대로 직류 및 교류의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곳에서 레저 및 산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축전지 내에 1차적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추고 이를 공급받아 2차 정류기와 인버터를 통하여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여 직류 및 교류전원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댑터라 불리는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는 외부 교류 전원을 인가하고 전압을 강압한 다음 이를 직류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다양한 전자기기 즉, 노트북, PC 등의 정보가전 기기는 기본적으로는 각각의 기기에 내장된 2차 전지로 구동하며,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는 이들 2차 전지를 충전하거나 2차 전지의 성능 저하로 전력 공급 용량이 부족할 때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환경(레저, 캠핑 등)에서의 전자기기 및 전기기기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전적으로 그 각각의 기기에 내장된 2차 전지에 의해서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각 기기의 사용 시간이 내장된 2차 전지의 용량에 따라 제한받을 수밖에 없으며,
사용자가 캠핑 등과 같은 다양한 레저생활을 즐기기 위해 외지로 나가는 경우, 2차 전지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휴대용 전자 및 전기기기들은 전혀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축전지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가 개발되고 있지만, 기존의 휴대용 전원공급장치의 경우에는 용량 대비 부피나 무게가 무거워 이송 및 휴대가 불편하거나 또는 직류전원만을 공급하거나 또는 교류전원만을 공급하는 등 단일의 전원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야외 및 농가의 비닐하우스나 건설현장, 여과생활을 위한 레저 및 캠핑 등, 다양한 직군, 장소에 맞춰 전자 및 전기기기들의 작동에 필요한 교류 및 직류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모두 만족하면서 사용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휴대 및 이송이 간편하고, 직류전원과 교류전원을 모두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방전이 가능하여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개의 휴대용 케이스에 축전지, 정류기, 인버터를 내장하고, 판넬을 통하여 직류 및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전기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휴대용으로 운반이 가능하도록 손잡이(14)가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12)을 형성하는 본체(11)와, 일단은 상기 본체(1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본체(11)와 착탈수단(17)에 의해 착탈가능토록 하여 상기 본체(11)의 개폐의 가능토록 하는 커버(15)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케이스(10)와; 상기 설치공간(12)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패널(20)과; 상기 설치공간(12)에 내설되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축전지(31)와, 상기 축전지(31)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32)로 이루어지는 전원부(30)와; 상기 전원부(3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패널(20)에 천공되는 다수의 방열공(40)과; 상기 패널(20)에 설치되되, 축전지(31)와 연결되어 상기 축전지(3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잭(50)과; 상기 축전지(31)와 연결되며, 패널(20)에 설치되어 축전지(31)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디스플레이부(60)와; 상기 인버터(32)와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교류 온오프 스위치(70)와; 상기 인버터(32)와 연결되어 교류전원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71)와; 상기 콘센트(71)로 인가되는 교류전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교류 메터기(72)와; 상기 인버터(32)와 콘센트(71) 사이에 연결되어 과부하를 방지하는 제 1퓨즈(73)와; 상기 전원부(30) 내의 정류기(33)와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직류 온오프 스위치(80)와; 상기 정류기(33)와 연결되어 직류전원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시거잭(81)과; 상기 시거잭(81)으로 인가되는 직류전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직류 메터기(82)와; 상기 정류기(33)와 시거잭(81) 사이에 연결되어 과부하를 방지하는 제 2퓨즈(8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20)은 AC구역(α)과 DC구역(β)으로 분할되어, 상기 AC구역(α)에는 교류 온오프 스위치(70), 콘센트(71), 교류 메터기(72), 제 1퓨즈(73)가 설치되고, 상기 DC구역(β)에는 직류 온오프 스위치(80), 시거잭(81), 직류 메터기(82), 제 2퓨즈(83)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AC 또는 DC 전원조작 및 연결을 위한 식별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공급이 되지 못하는 곳에서, 편리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나 건설현장을 비롯한, 캠핑, 레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직류 및 교류전원을 이용한 어떠한 전기기기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컴팩트한 소규모의 사이즈를 가짐으로써, 휴대용으로 이송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효과들로 인하여, 범용성, 실용성, 경제성을 두루 갖추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요소간 연결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개념도.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는 휴대용 케이스(10), 패널(20), 전원부(30), 방열공(40), 충전잭(50), 충전량 디스플레이부(60), 교류 온오프 스위치(70), 콘센트(71), 교류 메터기(72), 제 1퓨즈(73), 직류 온오프 스위치(80), 시거잭(81), 직류 메터기(82), 제 2퓨즈(83)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케이스(10)는 후술 될 다양한 구성수단이 모두 내장 또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성수단들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용 케이스(10)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틀 형상을 가지되,(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그 형상은 변경이 가능한 부분임은 당연하다.) 내부에는 후술 될 전원부(30)가 내설되도록 하는 설치공간(12)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사용자의 이송 및 운반의 편리함을 위해 손잡이(14)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후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1)와 착탈됨으로써, 상기 본체(11)를 개폐가능하토록 하는 커버(1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휴대용 케이스(10)는 본체(11)와 커버(15)의 착탈을 위해 착탈수단(17)을 구비하는데, 상기 커버(15)의 전단에는 걸림돌기(16)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1)의 전단에는 걸림돌기(16)에 대응하며 착탈되는 걸림편(13)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힌지결합에 의해 커버(15)가 본체(11)에 대응되어 덮어지도록 한 후, 상기 걸핌편을 걸림돌기(16)측에 대응시켜 결합시킴으로써 휴대용 케이스(10)를 잠글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휴대용 케이스(10)가 잠겨진 상태에서 걸림편(13)을 걸림돌기(16)로부터 탈거하고, 커버(15)를 힌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하여 상기 휴대용 케이스(10)를 오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전원부(30)는 전술된 본체(11)의 설치공간(12)에 내설되는 것으로서, 별도의 외부 충전기를 통해 충전되고, 내부에는 과전류 보호기능이 탑재되는 충/방전이 가능한 축전지(31)와, 상기 축전지(31)와 연결되어 축전지(31)의 전원을 교류전원을 변환해주는 인버터(32)와, 상기 축전지(31)와 연결되어 축전지(31)에 충전되는 전원을 더욱 안정된 직류전원으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정류기(33)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20)은 전원부(30)가 설치된 본체(11)의 상부, 즉 설치공간(12)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설치공간(12) 내에는 전술된 전원부(30)가 설치되고, 이러한 설치공간(12) 상부에 패널(20)을 형성하여, 상기 인버터(32) 또는 정류기(33)와 연결되는 다양한 구성요소(충전잭(50), 충전량 디스플레이부(60), 교류 온오프 스위치(70), 콘센트(71), 교류 메터기(72), 제 1퓨즈(73), 직류 온오프 스위치(80), 시거잭(81), 직류 메터기(82), 제 2퓨즈(83))들이 설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패널(20)에 형성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통해 직류 및 교류전원의 전원조작 및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패널(20)의 양측에는 다수의 방열공(40)을 천공형성하여, 상기 전원부(30)의 작동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잭(50)은 전술된 패널(2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패널(20) 하단에 내설된 축전지(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패널(20)에 외부 충전기를 꽂아 축전지(31)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충전량 디스플레이부(60) 또한 충전잭(50)과 마찬가지로 패널(20)에 형성되되, 상기 축전지(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패널(20)의 상부에서 축전지(31) 내 충전량을 숫자로 표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기 충전량 디스플레이부(60)로는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CRT(cathode-ray tube)를 비롯한 LED(light emitting diod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가 사용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축전지(31)의 충전량을 손쉽게 또는 어둠속에서도 식별가능토록 발광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교류 온오프 스위치(70)는 축전지(31)의 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인가하는 인버터(32)와, 상기 인버터(32)의 전원을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인버터(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7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인버터(32)의 전원이 콘센트(71)측으로 인가 또는 차단되도록 온/오프(ON/OFF) 하는 역할이다.
상기 콘센트(71)는 전술된 바와 같이, 패널(20) 하단에서 설치공간(12)에 내설된 인버터(32)와 연결되어 패널(20)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다양한 외부의 전기 및 전자기기가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인가해주는 곳이다.
상기 교류 메터기(72)는 인버터(32)에서 콘센트(71)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교류 메터기(72)는 패널(20)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교류 메터기(72)의 조절을 통해, 상기 인버터(32)에서 콘센트(71)로 인가되는 교류전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상기 교류 메터기(72)를 회전하면서 교류전원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며 조절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따라서는 상기 조절체의 시계 또는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다양한 교류전원량이 숫자 및 눈금으로 표시있는 표시부(조절부가 형성된 패널(20) 상면에 표시된다.)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교류 메터기(72)처럼 교류전원량을 조절하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예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교류전원량만큼 교류 메터기(72)를 회전시킴으로써, 콘센트(71)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원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방법은 후술될 교류 메터기(7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제 1퓨즈(73)는 인버터(32)와 콘센트(71) 사이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교류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버터(32)와 콘센트(71) 사이에 연결되어 패널(20)에 설치된다.
상기 직류 온오프 스위치(80)는 교류 온오프 스위치(70)와 마찬가지로 패널(20)에 설치되어 전원을 차단 및 인가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직류 온오프 스위치(80)는 직류전원을 인가하는 정류기(33)와, 상기 정류기(33)와 연결되는 시거잭(81)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정류기(33)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거잭(81)은 전술된 바와 같이, 직류전원을 인가하는 정류기(33)에 연결되되, 패널(20) 상면에 설치되어,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다양한 외부의 전자 및 전기기기들이 연결되는 곳이다. 즉, 직류전원을 외부에서 사용될 수 있게 해주는 곳이다.
상기 직류 메터기(82)는 직류전원을 상기 정류기(33) 및 정류기(33)와 연결된 시거잭(81)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패널(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직류전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의 구성으로는 교류 메터기(72)와 마찬가지로, 상기 직류 메터기(82)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직류전원량이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하여 시거잭으로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인데, 물론, 전술된 교류 메터기(72)와 같이, 직류 메터기(82) 근처 패널(20)의 상면에 상기 직류 메터기(82)가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직류전원량이 숫자 또는 눈금으로 표시되는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음이다.
즉, 상기 시거잭(81)에 연결되며 다양한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전자 및 전기기기들에 맞춰, 상기 직류 메터기(82)를 통해 정류기(33)에서부터 시거잭(81)으로 인가되는 직류전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퓨즈(83)는 정류기(33)와 시거잭(81) 사이에 연결되어 패널에 설치되는 것으로, 과부하가 발생시 시거잭(81)으로 직류전원이 인가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전술된 콘센트(71)와 시거잭(81)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단일개 또는 다수개가 패널(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콘센트(71)와 시거잭(81)에는 각각을 보호하는 보조커버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음이다.
또한, 상기 패널(20)의 경우, 상면을 AC(교류)구역(α)과 DC(직류)구역(β)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AC구역(α)에는 교류전원에 해당되는 구성요소(교류 온오프 스위치(70), 콘센트(71), 교류 메터기(72), 제 1퓨즈(73))가 설치되도록 하고, DC구역(β)에는 직류전원에 해당되는 구성요소(직류 온오프 스위치(80), 시거잭(81), 직류 메터기(82), 제 2퓨즈(83))가 각각 모여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케이스(10)를 열고 사용할 시, 사용을 하기 위한 AC 또는 DC 전원에 따라 헷갈리지 않고 전원조작 및 연결을 시행할 수 있도록 식별이 용이토록 한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AC구역(α)와 DC구역(β)으로 분할된 패널(20)의 상면에, AC구역(α)에는 AC, DC구역(β)에는 DC라는 글자표시부를 형성할 수도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휴대용 케이스 11: 본체
12: 설치공간 13: 걸림편
14: 손잡이 15: 커버
16: 걸림돌기 17: 착탈수단
20: 패널 30: 전원부
31: 축전지 32: 인버터
33: 정류기 40: 방열공
50: 충전잭 60: 충전량 디스플레이부
70: 교류 온오프 스위치 71: 콘센트
72: 교류 메터기 73: 제 1퓨즈
80: 직류 온오프 스위치 81: 시거잭
82: 직류 메터기 83: 제 2퓨즈
α: AC구역 β: DC구역

Claims (2)

  1. 휴대용으로 운반이 가능하도록 손잡이(14)가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12)을 형성하는 본체(11)와, 일단은 상기 본체(1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본체(11)와 착탈수단(17)에 의해 착탈가능토록 하여 상기 본체(11)의 개폐의 가능토록 하는 커버(15)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케이스(10)와;
    상기 설치공간(12)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패널(20)과;
    상기 설치공간(12)에 내설되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축전지(31)와, 상기 축전지(31)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32)로 이루어지는 전원부(30)와;
    상기 전원부(3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패널(20)에 천공되는 다수의 방열공(40)과;
    상기 패널(20)에 설치되되, 축전지(31)와 연결되어 상기 축전지(3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잭(50)과;
    상기 축전지(31)와 연결되며, 패널(20)에 설치되어 축전지(31)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디스플레이부(60)와;
    상기 인버터(32)와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교류 온오프 스위치(70)와;
    상기 인버터(32)와 연결되어 교류전원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71)와;
    상기 콘센트(71)로 인가되는 교류전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교류 메터기(72)와;
    상기 인버터(32)와 콘센트(71) 사이에 연결되어 과부하를 방지하는 제 1퓨즈(73)와;
    상기 전원부(30) 내의 정류기(33)와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직류 온오프 스위치(80)와;
    상기 정류기(33)와 연결되어 직류전원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시거잭(81)과;
    상기 시거잭(81)으로 인가되는 직류전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직류 메터기(82)와;
    상기 정류기(33)와 시거잭(81) 사이에 연결되어 과부하를 방지하는 제 2퓨즈(8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널(20)은 AC구역(α)과 DC구역(β)으로 분할되어, 상기 AC구역(α)에는 교류 온오프 스위치(70), 콘센트(71), 교류 메터기(72), 제 1퓨즈(73)가 설치되고, 상기 DC구역(β)에는 직류 온오프 스위치(80), 시거잭(81), 직류 메터기(82), 제 2퓨즈(83)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AC 또는 DC 전원조작 및 연결을 위한 식별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
  2. 삭제
KR2020100007692U 2010-07-22 2010-07-22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 KR200465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692U KR200465609Y1 (ko) 2010-07-22 2010-07-22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692U KR200465609Y1 (ko) 2010-07-22 2010-07-22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88U KR20120000788U (ko) 2012-02-02
KR200465609Y1 true KR200465609Y1 (ko) 2013-03-04

Family

ID=4584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692U KR200465609Y1 (ko) 2010-07-22 2010-07-22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131B1 (ko) 2013-07-29 2015-10-13 윤경민 휴대용 충전기
KR20160062888A (ko)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 오시피테크 옥외용 전원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913B1 (ko) * 2012-08-29 2014-04-17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정전대응이 가능한 휴대용 에너지저장 배터리팩 전원 장치
KR101633837B1 (ko) * 2014-10-14 2016-07-08 주식회사 비엠에너지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KR102020231B1 (ko) 2017-03-08 2019-09-10 (주)에너캠프 휴대용 에너지 저장장치용 에너지 레벨 변환회로
KR102264901B1 (ko) * 2018-05-10 2021-06-15 박용진 전력 공급 장치
WO2020080811A1 (ko) 2018-10-16 2020-04-23 (주)에너캠프 스마트 밸런싱 에너지 충전 제어 시스템
WO2020080594A1 (ko) 2018-10-16 2020-04-23 (주)에너캠프 스마트 밸런싱 에너지 충전 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483U (ko) * 1998-03-18 1998-06-05 현승구 휴대용 전력 저장팩
KR200302750Y1 (ko) 2002-10-22 2003-01-30 김종문 교류 및 직류를 이용한 다용도 휴대용 충전배터리
KR200363322Y1 (ko) 2004-07-02 2004-10-01 김진호 휴대용 전자기기용 외부 전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483U (ko) * 1998-03-18 1998-06-05 현승구 휴대용 전력 저장팩
KR200302750Y1 (ko) 2002-10-22 2003-01-30 김종문 교류 및 직류를 이용한 다용도 휴대용 충전배터리
KR200363322Y1 (ko) 2004-07-02 2004-10-01 김진호 휴대용 전자기기용 외부 전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131B1 (ko) 2013-07-29 2015-10-13 윤경민 휴대용 충전기
KR20160062888A (ko)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 오시피테크 옥외용 전원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88U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609Y1 (ko) 휴대용 직류 교류 전원공급장치
US9899853B2 (en) AC power supply
CN115498743A (zh) 电能提供装置
US201001027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leasing Energy
US11811259B2 (en) Power pack
US20110101909A1 (en) Systems involving generation of electrical power
JP3176467U (ja) ポータブルソーラー電力ボックス
US20080252251A1 (en) System for recharging battery-operated devices
CN102005799A (zh) 便携式多功能电源供应器
US20160301354A1 (en) Portable solar panel power source
JP6692177B2 (ja) 非常用電源装置
JP3171131U (ja) 無停電源機能付モバイルバッテリー
JP4162696B1 (ja) ソーラー式ポータブル発電ユニット
WO2013027599A1 (ja) 電源装置
US20100225268A1 (en) Article of manufacture having a removable solar rechargeable power supply
WO2017118922A1 (en) Solar panel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KR101633837B1 (ko)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KR20160062888A (ko) 옥외용 전원 공급장치
CN101106282A (zh) 便携式大容量电源装置
CN102157969B (zh) 一种便携式充电装置
JP2010028027A (ja) ソーラー式ポータブル発電器具
KR20100043757A (ko) 축전지 캐리어
JP3204460U (ja) ポータブルバッテリならびにポータブルバッテリユニット
JP3135507U (ja) ソーラー式ポータブル発電ユニット
JP5677218B2 (ja) 可搬ソーラー発電装置及び可搬ソーラー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