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92Y1 - 구동모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구동모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592Y1
KR200465592Y1 KR2020110002265U KR20110002265U KR200465592Y1 KR 200465592 Y1 KR200465592 Y1 KR 200465592Y1 KR 2020110002265 U KR2020110002265 U KR 2020110002265U KR 20110002265 U KR20110002265 U KR 20110002265U KR 200465592 Y1 KR200465592 Y1 KR 200465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ever
motor
tens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647U (ko
Inventor
오헌식
Original Assignee
오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헌식 filed Critical 오헌식
Priority to KR2020110002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9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6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6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 driving or driven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7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 F16H2007/088Manu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모터(14)의 구동풀리와 회전축부의 피동풀리 간에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피동풀리(16a)가 축설치된 감속기 기어박스(20)의 일측에 지지축대(22)를 형성하고, 지지축대(22)에는 구동모터(14)가 탑재된 모터 받침레버(30)를 레버축연결되게 구성하되, 모터 받침레버(30)의 하단에는 측방 압지판(36)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방 압지판(36)이 선회각 조절볼트(26)를 갖는 볼트체결대(24)와 대면되게 구성하여서 볼트체결대(24)의 선회각 조절볼트(26)를 이용한 조임조절에 의하여 모터 받침레버(30)의 상부 받침부(34)가 이동되어 벨트(18)의 장력을 신속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구동모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BELT TENSION OF DRIVING MOTOR}
본 고안은 구동모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모터에 연결된 벨트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벨트의 느슨해짐과 환경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벨트의 장력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장력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벨트가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벨트는 구동축풀리와 피동축풀리 사이에 연결되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반복사용시 최초 길이보다 늘어나게 되며, 또 벨트 설치된 주위의 온도나 계절변화의 요인 등으로도 벨트가 인장이나 수축될 수 있다. 만약 벨트가 늘어나서 모터의 구동축과 피동축간의 장력이 느슨해지면 벨트가 구동축의 동력을 피동축에 제대로 전달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벨트에 적절한 장력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장력 조절장치가 요구되며, 통상의 장력조절장치로, 구동축풀리와 피동축풀리를 연결하는 벨트에 별도의 텐션롤러를 설치하여서 벨트를 가압함으로써 장력을 유지시켜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별도의 텐션롤러를 설치할 위치가 마땅치 않을 때에는 채택하기 어렵다.
또 벨트장력조절하는 다른 방식으로는 모터의 받침브라켓을 직접이동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모터의 받침브라켓에 장공을 형성하고 모터위치를 장공의 범위 내에서 이동시킨 후 고정볼트로 체결고정함으로써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다수의 고정볼트를 풀고 모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며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과 시간이 요구되고, 모터가 다소 대형이면 모터의 이동도 쉽지 않고 벨트의 장력도 뜻대로 잘 이뤄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텐션롤러를 이용하거나 구동모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등의 번거로운 방식 대신 극히 간단한 조작으로 구동모터에 연결된 벨트의 장력을 신속 용이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구동모터(14)의 구동풀리와 회전축부의 피동풀리 간에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피동풀리(16a)가 축설치된 감속기 기어박스(20)의 일측에 지지축대(22)를 형성하고, 지지축대(22)에는 구동모터(14)가 탑재된 모터 받침레버(30)를 레버축연결되게 구성하되, 모터 받침레버(30)의 하단에는 측방 압지판(36)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방 압지판(36)이 선회각 조절볼트(26)를 갖는 볼트체결대(24)와 대면되게 구성하여서 볼트체결대(24)의 선회각 조절볼트(26)를 이용한 조임조절에 의하여 모터 받침레버(30)의 상부 받침부(34)가 이동되어 벨트(18)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구동모터에 연결된 벨트의 장력을 텐션롤러의 시공 없이 지렛대방식을 사용하여 신속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중량체의 구동모터를 안정적으로 균형있게 잘 받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벨트장력 조절장치가 구비된 사료배합기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구동부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벨트장력 조절장치를 채용한 일 예로서 사료 배합기(2)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사료 배합기(2)의 구동부(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사료배합기(2)는 공급호퍼(6)로부터 공급된 덩치 큰 사초더미를 절단 및 혼합하는 배합기 본체(4)와 배합기 본체(4) 내 바닥부에는 사초더미의 절단과 혼합하는 스크류(8)와, 스크류(8)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0)를 구비한다.
구동장치(10)는 구동모터(14)와 감속기 기어박스(20) 및 감속기 기어박스(20)의 피동축(16)에 결합되는 피동풀리(16a), 구동모터(14)의 구동축(15)에 결합된 구동풀리(15a), 구동풀리(15a)와 피동풀리(16a)를 연결하는 벨트(18)를 구비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벨트장력 조절장치(12)도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벨트장력 조절장치(12)는 지렛대 원리로 구동풀리(15a)와 피동풀리(16a) 간에 연결된 벨트(18)의 장력을 조절한다.
벨트장력 조절장치(12)는 모터 받침레버(30)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터 받침레버(30)는 상부에 대형의 구동모터(14)를 탑재하기 위한 상부 받침부(34)와 하부에 측방 압지판부(36)를 구비한다. 또 모터 받침레버(30)는 상부 받침부(34)와 하부의 측방 압지판부(36) 사이에 있는 레버 본체부(32)에 레버축공(32a)을 형성하되, 상하 간의 중심부에서 상부측으로 편향되는 위치에 레버축공(32a)을 형성한다.
그리고 벨트장력 조절장치(2)는 모터 받침레버(30)를 레버축연결하는 지지축대(22)를 구비하되, 감속기 기어박스(20)의 상부 일측에 용접 등을 통하여 결합고정되게 구성한다.
모터 받침레버(30)를 레버축 연결함에 있어, 레버본체부(32)의 축공(32a)을 지지축대(22)의 축공(22a)에 일치시키고 축핀 등으로 축결합함으로써 연결시킨다.
한편 지지축대(22)의 하방에는 선회각 조절볼트(26)가 나사체결된 볼트체결대(24)를 용접 등을 통하여 감속기 기어박스(20)에 결합고정한다. 이때, 볼트체결대(24)의 내면이 모터 받침레버(30)의 압지판부(36)와 대면할 수 있게 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볼트체결대(24)는 모터 받침레버(30)가 벨트 연결된 측으로 더 선회하지 못하게 강제하는 스토퍼기능도 겸한다. 중요한 것은 작업자가 볼트체결대(24)의 선회각 조절볼트(26)를 이용해서 볼트조임을 조절하면 선회각 조절볼트(26)의 나사부 길이 차이에 비례해서 모터 받침레버(30)의 상부 받침부(34)가 지렛대 원리로 반대로 위치이동되므로 구동모터(14)의 구동풀리(15a)에 연결된 벨트(18)의 장력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축대(22)의 받침부 역할을 하는 감속기 기어박스(20)는 배합기 본체(4)의 스크류(8)를 감속 회전시켜주기 위한 기어구조를 가지며, 케이스의 측벽에 피동축(16)에 축설치된 피동풀리(16a)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라 모터 받침레버(30)의 상부 받침부(34)에는 구동모터(14)가 탑재되어 볼트고정되며, 구동모터(14)의 축부에 설치된 구동풀리(15a)는 벨트(18)를 통해서 감속기 기어박스(20)의 피동풀리(16a)와 연결된다.
본 고안에서 벨트장력 조절장치(2)를 구현함에 있어, 모터 받침레버(30)가 볼트체결대(24)에 걸려 직립한 초기 상태에서 모터 받침레버(30)의 레버축(38)이 도 5에서와 같이 모터 받침레버(30)의 상부 받침부(34)에 탑재된 구동모터(14)의 무게중심 작용선(G)에 일치하지 않고 벨트(18)의 반대방향으로 일정 거리(d)를 둔 위치에 편향되어 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도 6의 (a) 같이 느슨한 벨트(18)의 장력 조절을 위해서 선회각 조절볼트(26)를 이용한 조임조절로 도 6의 (b)와 같이 구동모터(14)를 탑재한 모터 받침레버(30)가 레버축(38)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이동되었을 때에 중량체인 구동모터(14)의 무게중심 작용선(G)이 레버축(38)에 근접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는 모터 받침레버(30)가 무거운 구동모터(14)의 무게중심을 균형있게 잘 받침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볼트체결대(24)에 나사 결합된 선회각 조절볼트(26)의 조임조절을 하면 모터 받침레버(30)의 압지판부(36)은 후방으로 밀려나게 됨에 따라 구동모터(14)를 탑재한 모터 상부 받침부(34)은 레버축(38)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한다. 그러면 구동풀리(14a)와 피동풀리(16a) 서로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됨으로써 벨트(18)의 장력이 조절된다.
상기한 구동모터(14)의 벨트장력 조절장치(12)는 선회각 조절볼트(26)의 조임조절로 용이하게 느슨한 벨트의 장력조절이 가능하여 기존의 방식에서 구동모터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일일이 풀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기존의 방식에서 고정볼트를 풀게 되면 고정볼트를 풀기 전에 가지고 있던 장력마저 모두 해지된 상태에서 다시 장력조절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력조절에 상당히 큰 힘이 또다시 들어가게 되는데 반해, 본 고안은 기 설정된 벨트의 장력을 해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선회각 조절볼트(26)의 조임조절만으로 벨트(18)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더 편리하고 안정적이다.
본 고안에서 벨트의 장력을 낮추거나 해지하려고 할 때는 선회각 조절볼트(26)를 반대로 돌려 모터 받침레버(30)를 레버축(3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중량체의 구동모터(14)를 안정적으로 균형있게 잘 받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고안은 구동장치에서 구동모터에 연결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2)--사료배합기 (4)--배합기 본체
(6)--공급호퍼 (8)--스크류
(10)--구동장치 (12)--구동모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14)--구동모터 (15)--구동모터 축
(15a)--구동풀리 (16)--피동축
(16a)--피동풀리 (18)--벨트
(20)--감속기 기어박스 (22)--지지축대
(24)--볼트체결대 (26)--선회각 조절볼트
(30)--모터 받침레버 (32)--레버본체부
(34)--상부 받침부 (36)--압지판부
(38)--레버축

Claims (2)

  1. 구동모터(14)의 구동풀리와 회전축부의 피동풀리 간에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피동풀리(16a)가 축설치된 감속기 기어박스(20)의 일측에 지지축대(22)를 형성하고, 지지축대(22)에는 구동모터(14)가 탑재된 모터 받침레버(30)를 레버축(38)연결되게 구성하되, 모터 받침레버(30)의 레버축(38)은 구동모터(14)의 무게중심 작용선(G)보다 벨트(18)의 반대방향으로 편향되게 위치형성 구성하고, 모터 받침레버(30)의 하단에는 측방 압지판(36)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방 압지판(36)이 선회각 조절볼트(26)를 갖는 볼트체결대(24)와 대면되게 구성하여서 볼트체결대(24)의 선회각 조절볼트(26)를 이용한 조임조절에 의하여 모터 받침레버(30)의 상부 받침부(34)가 이동되어 벨트(18)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모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2. 삭제
KR2020110002265U 2011-03-18 2011-03-18 구동모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KR200465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265U KR200465592Y1 (ko) 2011-03-18 2011-03-18 구동모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265U KR200465592Y1 (ko) 2011-03-18 2011-03-18 구동모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47U KR20120006647U (ko) 2012-09-26
KR200465592Y1 true KR200465592Y1 (ko) 2013-02-27

Family

ID=4750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265U KR200465592Y1 (ko) 2011-03-18 2011-03-18 구동모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0824A (zh) * 2015-11-27 2016-03-02 榕江县宏兴农机销售有限公司 皮带快速调节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469Y1 (ko) * 2000-12-28 2001-09-29 최학봉 벨트 교환 및 장력조정 장치
KR20040006532A (ko) * 2002-07-12 2004-01-24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전동모터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469Y1 (ko) * 2000-12-28 2001-09-29 최학봉 벨트 교환 및 장력조정 장치
KR20040006532A (ko) * 2002-07-12 2004-01-24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전동모터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0824A (zh) * 2015-11-27 2016-03-02 榕江县宏兴农机销售有限公司 皮带快速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47U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41619B2 (en) Universal screw-driving machine support for a plate-lifting tool, tool equipped with this support, and implementation method
US4427358A (en) Sectional concrete screed machine
CN105485276B (zh) 用于钻床的带张紧装置
CN108856535B (zh) 一种物流货箱固定机构
KR200465592Y1 (ko) 구동모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JPH0579597B2 (ko)
KR101949922B1 (ko) 기능성 하이브리드 토사전용 선별기
CA2375002C (en) Grinding machine having adjustable mechanism
US3691860A (en) Snow blower drive
CN210510180U (zh) 一种可调节的链条张紧装置
US1760304A (en) Lumber-loading roll
EP3543662B1 (en) Combination weighing apparatus having a conveying device
CN204369299U (zh) 缆线传送设备
US3226089A (en) Portable winch drum hoist
TWI798554B (zh) 傾斜旋轉工作臺裝置
CN208153652U (zh) 一种切丝机压链轮锁紧装置
KR200479579Y1 (ko) 양축형 로터리 제진기와 제진기의 체인 장력조절장치
US20210199182A1 (en) Device for adjusting tautness of motor belt of table saw
JP5896527B2 (ja) 除雪機
US327428A (en) Band-saw mill
KR20110008930U (ko) 레버형 판재 절단장치
US122345A (en) Improvement in belt-tighteners
CN110425260B (zh) 一种可调节的链条张紧装置
JP3186198B2 (ja) 振動コンベヤ
KR950009467Y1 (ko)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