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53Y1 -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553Y1
KR200465553Y1 KR2020110004771U KR20110004771U KR200465553Y1 KR 200465553 Y1 KR200465553 Y1 KR 200465553Y1 KR 2020110004771 U KR2020110004771 U KR 2020110004771U KR 20110004771 U KR20110004771 U KR 20110004771U KR 200465553 Y1 KR200465553 Y1 KR 200465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protruding
horizontal
lighting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439U (ko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태주조명연구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주조명연구소(주) filed Critical 태주조명연구소(주)
Priority to KR2020110004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5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수면에 띄울 수 있도록 하여 수면위의 경계면을 쉽게 표시할 수 있어 야간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수중 위험위치를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 수면위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어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수면과 접촉하는 수평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몸체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돌출몸체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수면 상측으로 돌출된 면에 집열판을 형성하고 상기 집열판을 통하여 발전 된 전기를 축적하는 축전지를 수평몸체에 형성하여 몸체부에 형성된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조명을 조사하도록 몸체부의 돌출몸체에 다수개의 엘이디를 형성한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엘이디가 수면 상측에 돌출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수평몸체 저면에 부력체를 형성한 부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Has a buoyancy illuminating system }
본 고안은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수면에 띄울 수 있도록 하여 수면위의 경계면을 쉽게 표시할 수 있어 야간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수중 위험위치를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 수면위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어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조명 및 장식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한 조명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된 조명장치는 설치되는 위치와 사용용도에 따라 천정 매입등과 천정에 메다는등 및 벽등과 장식등으로 구분되며 전구를 노출하는 노출식이나 투과창을 통하여 조명하는 비노출식 모두 전기적 배선으로 연결되어 별도로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단속되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조명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조명장치까지 전기적 배선을 연결해야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조명장치에 연결되는 전기적 배선은 수중 조명이나 수면 위에서 조명하는 조명장치에 까지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기적 배선 공사에 방수공사 까지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수면의 물결과 같이 움직이거나 유동적인 조명장치를 설치할 수 없어 단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전기적 배선으로 인하여 조명장치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없어 수면이나 수중에 경계면을 자유롭게 표시할 수 없었으며 자연적인 호수나 강 또는 바다에서는 다양한 조명장치를 설치하기가 어려웠으며 따라서 수중의 위험지역을 표시하는 것도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태양열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 없이도 조명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전기배선 공사를 하지 않고도 조명장치를 수면에 띄울 수 있도록 하여 수면위의 다양한 경계면을 쉽게 설치하여 야간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수중 다양한 곳에 위험위치를 표시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전기배선 공사를 하지 않고 조명장치를 수면위의 다양한 깊이로 설치하여 수면의 물결과 같이 움직이거나 수면 아래에서 조명하는 등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어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력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면과 접촉하는 수평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몸체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돌출몸체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수평몸체 수면 상측으로 돌출된 면에 집열판을 형성하고 상기 집열판을 통하여 발전 된 전기를 축적하는 축전지를 수평몸체에 형성하여 몸체부에 형성된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조명을 조사하도록 몸체부의 돌출몸체에 다수개의 엘이디를 형성한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엘이디가 수면 상측에 돌출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수평몸체 저면에 부력체를 형성한 부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의 수평몸체는 상측으로 집열판을 형성하여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평몸체의 중앙에는 내부에 엘이디를 내장한 상측으로 돌출된 봉형상의 돌출몸체를 연결대에 의해 연결 형성하며 돌출몸체 저면에는 부력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의 수평몸체는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수평몸체 저면에는 부력체를 형성하며 상기 타원형의 수평몸체 장축을 연결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유선상의 돌출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돌출몸체의 상측면에는 집열판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몸체 양측면에는 엘이디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의 돌출몸체의 저면에는 돌출몸체에 탈부착되도록 돌출몸체 저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부력홈을 형성하고 상기 부력홈에 삽입되어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도록 봉형상의 부력체 외경에 고정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의 수평몸체 저면에는 수평몸체와 동일한 크기의 타원형의 부력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수평몸체의 저면에는 다수의 홈을 형성하고 부력체의 상측에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부력부의 부력체 저면에는 추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추고리에는 연결와이어로 고정추와 연결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에 본 고안은 태양열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 없이도 조명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전기배선 공사를 하지 않고도 조명장치를 수면에 띄울 수 있어 수면위의 다양한 경계면을 쉽게 설치하여 야간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수중 다양한 곳에 위험위치를 표시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배선 공사를 하지 않고 조명장치를 수면위의 다양한 깊이로 설치하여 수면의 물결과 같이 움직이거나 수면 아래에서 조명하는 등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어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의 부력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의 부력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는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된 전원부(20)와, 전원부(2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조명부(30)와, 상기 몸체부(10), 전원부(20), 조명부(30)를 수면 상측으로 띄울 수 있는 부력부(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몸체부(10)는 수면과 접촉하는 수평몸체(11)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몸체(11)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돌출몸체(12)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에는 전기를 태양열에 의해 생산하여 축전시킬 수 있는 전원부(20)를 형성한다.
상기 전원부(20)는 몸체부(10)의 수면 상측으로 돌출된 몸체부(10)의 상측면에 집열판(21)을 형성하고 상기 집열판을 통하여 발전 된 전기를 축적하는 축전지(22)를 수평몸체(11)에 형성하여 몸체부(10)에 형성된 스위치(23)의 온/오프에 의해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한다.
상기 전원부(20)의 전원을 인가받아 조명을 조사하도록 조명부(30)는 몸체부(10)의 돌출몸체(12)에 다수개의 엘이디(31)를 형성한다.
상기 조명부(30)의 엘이디(31)가 수면 상측에 돌출하도록 몸체부(10)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40)를 형성한다.
상기 부력부(40)는 상기 몸체부(10)의 수평몸체(12) 저면에 부력체(41)를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조명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수평몸체(11)에는 상측으로 집열판(21)을 형성하고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수평몸체(11)의 중앙에는 내부에 엘이디(31)를 내장한 상측으로 돌출된 봉형상의 돌출몸체(12)를 연결대(13)에 의해 연결 형성하며 돌출몸체(12) 저면에는 부력체(41)를 형성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수평몸체(11)는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수평몸체(11) 저면에는 부력체(41)를 형성하며 상기 타원형의 수평몸체(11) 장축을 연결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유선상의 돌출몸체(12)를 형성하되 상기 돌출몸체(12)의 상측면에는 집열판(21)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엘이디(31)를 내장한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10)의 돌출몸체(12)의 저면에는 부력체(41)가 돌출몸체(12)에 탈부착되도록 돌출몸체(12) 저면에 고정돌기(14)가 형성된 부력홈(15)을 형성하고 상기 부력홈(15)에 삽입되어 고정돌기(14)에 의해 고정되도록 봉형상의 부력체(41) 외경에 고정홈(42)을 형성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10)의 수평몸체(11) 저면에는 수평몸체(11)와 동일한 크기의 타원형의 부력체(41)를 고정할 수 있도록 수평몸체(11)의 저면에는 다수의 홈(43)을 형성하고 부력체(41)의 상측에는 다수의 돌기(44)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부력부(40)의 부력체(41) 저면에는 추고리(45)를 형성하고 상기 추고리(45)에는 연결와이어(46)로 고정추(47)와 연결하여 조명장치를 수면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돌출몸체(12)의 저면에 형성된 부력홈(15)의 고정돌기(14)를 부력부(40)의 부력체(41)에 형성된 고정홈(42)에 삽입시킨 후 부력홈(15)에서 부력체(41)를 회전시켜 삽입고정한다.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몸체부(10)의 수평몸체(11) 저면에 형성된 홈(43)에 부력체(41)의 돌기(44)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몸체부(10)의 수평몸체(11) 또는 돌출몸체(12)에 부력부(40)의 부력체(41)를 고정시켜 몸체부(10)에 부력을 발생시켜 몸체부(10)의 수평몸체(11) 상측면과 돌출몸체(12)가 수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부력부(40)의 부력체(41)의 크기에 따라 부력을 조절할 수 있어 몸체부(10)가 수면 상측으로 돌출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면 상측으로 돌출된 집열판(21)에 의해 태양열이 모아져 발전된 전기를 축전지(22)에 축전하게 되고 축전된 전기를 배전반을 통하여 조명부(30)의 엘이디(31)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렇게 전원부(20)의 스위치(23)에 의해 전원을 인가하여 조사되는 엘이디(31)는 여러개의 엘이디(31)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점등시킬 수도 있으며 전체적으로도 점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하게 배전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가 물의 흐름이나 바람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부력체(41)의 저면에 형성된 추고리(45)에 연결와이어(46)를 통하여 고정추(47)와 연결하여 일정한 형상을 표현할 수도 있다.
10 : 몸체부 11 : 수평몸체
12 : 돌출몸체 13 : 연결대
14 : 고정돌기 15 : 부력홈
20 : 전원부 21 : 집열판
22 : 축전지 30 : 조명부
31 : 엘이디 40 : 부력부
41 : 부력체 42 : 고정홈
43 : 홈 44 : 돌기
45 : 추고리 46 : 연결와이어

Claims (6)

  1. 수면과 접촉하는 수평몸체(11)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몸체(11)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돌출몸체(12)를 형성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수평몸체(11) 수면 상측으로 돌출된 면에 집열판(21)을 형성하고 상기 집열판을 통하여 발전 된 전기를 축적하는 축전지(22)를 수평몸체(11)에 형성하여 몸체부(10)에 형성된 스위치(23)의 온/오프에 의해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20)와,
    상기 전원부(20)의 전원을 인가받아 조명을 조사하도록 몸체부(10)의 돌출몸체(12)에 다수개의 엘이디(31)를 형성한 조명부(30)와,
    상기 조명부(30)의 엘이디(31)가 수면 상측에 돌출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수평몸체(12) 저면에 부력체(41)를 형성한 부력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수평몸체(11)는 상측으로 집열판(21)을 형성하여 원형의 링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평몸체(11)의 중앙에는 내부에 엘이디(31)를 내장한 상측으로 돌출된 봉형상의 돌출몸체(12)를 연결대(13)에 의해 연결 형성하며 돌출몸체(12) 저면에는 부력체(4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수평몸체(11)는 타원형의 링형상으로 형성하고 수평몸체(11) 저면에는 부력체(41)를 형성하며 상기 타원형의 수평몸체(11) 장축을 연결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유선상의 돌출몸체(12)를 형성하되 상기 돌출몸체(12)의 상측면에는 집열판(21)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몸체(12) 양측면에는 엘이디(31)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돌출몸체(12)의 저면에는 돌출몸체(12)에 탈부착되도록 돌출몸체(12) 저면에 고정돌기(14)가 형성된 부력홈(15)을 형성하고 상기 부력홈(15)에 삽입되어 고정돌기(14)에 의해 고정되도록 봉형상의 부력체(41) 외경에 고정홈(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수평몸체(11) 저면에는 수평몸체(11)와 동일한 크기의 타원형의 부력체(41)를 고정할 수 있도록 수평몸체(11)의 저면에는 다수의 홈(43)을 형성하고 부력체(41)의 상측에는 다수의 돌기(4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41) 저면에는 추고리(45)를 형성하고 상기 추고리(45)에는 연결와이어(46)로 고정추(47)와 연결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KR2020110004771U 2011-05-31 2011-05-31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KR200465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71U KR200465553Y1 (ko) 2011-05-31 2011-05-31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71U KR200465553Y1 (ko) 2011-05-31 2011-05-31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439U KR20120008439U (ko) 2012-12-10
KR200465553Y1 true KR200465553Y1 (ko) 2013-02-26

Family

ID=4751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771U KR200465553Y1 (ko) 2011-05-31 2011-05-31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961A (ko) 2015-02-13 2016-08-23 재단법인 부산디자인센터 부력을 갖는 수중 무드등
KR102601846B1 (ko) 2022-07-07 2023-11-13 노상호 돛배 유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336Y1 (ko) 2001-07-26 2001-11-23 이에스티 주식회사 충전용 배터리가 내장된 물위에 뜨는 이동형 풀 칼라조명등
KR200375325Y1 (ko) 2004-11-20 2005-02-07 오승열 태양광전지판의 부유 조명등
JP2006201307A (ja) 2005-01-18 2006-08-03 Digitama:Kk 浮遊照明具
KR20080001614U (ko) * 2006-12-04 2008-06-10 주식회사 샘라이팅 태양광을 이용한 부유 등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336Y1 (ko) 2001-07-26 2001-11-23 이에스티 주식회사 충전용 배터리가 내장된 물위에 뜨는 이동형 풀 칼라조명등
KR200375325Y1 (ko) 2004-11-20 2005-02-07 오승열 태양광전지판의 부유 조명등
JP2006201307A (ja) 2005-01-18 2006-08-03 Digitama:Kk 浮遊照明具
KR20080001614U (ko) * 2006-12-04 2008-06-10 주식회사 샘라이팅 태양광을 이용한 부유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439U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0385B1 (en) Solar light
KR200465553Y1 (ko)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US9420660B2 (en) Lighting fixture including human detecting sensor
ES2587784T5 (es) Dispositivo de iluminación y disposición de iluminación para la iluminación del espacio interior de una torre o un túnel
CN205480722U (zh) 一种水上漂浮灯
KR200468118Y1 (ko) 발광 부표
KR200472974Y1 (ko) 황포돛배 유등
KR20180130236A (ko) 일체형 등명기가 구비된 등부표
KR101603299B1 (ko) 등명기
KR200446256Y1 (ko) 수경 시설에서의 조형물의 부유 결합 구조
KR200446950Y1 (ko) 시인성이 향상된 무인 등대 및 등표용 등탑 구조물
CN204387717U (zh) 一种手提式太阳能led照明灯
KR101654729B1 (ko) 하이브리드 발전식 등명기
US20130141901A1 (en) Solar diamond dot dock lite
JP2008140651A (ja) 地中埋込照明器具
KR20110116432A (ko) 태양발전식 자전거 도로 매설용 안전유도등
KR101609762B1 (ko) 경관 조명 조형물
US20150285475A1 (en) Pool Light
KR20080001614U (ko) 태양광을 이용한 부유 등기구
CN201611012U (zh) 微型手腕照明灯和电源线
KR200469617Y1 (ko) 해루질용 조명장치
KR20080006170U (ko) 해양용 위치표시등
CN202647643U (zh) 发光装置的结构改良
CN201448731U (zh) 一种太阳能浮筒警示灯
CN202349845U (zh) 一种红外遥控开关的带电池驱动的水下led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