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492Y1 - Integrated switching device with a switching connector - Google Patents

Integrated switching device with a switching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492Y1
KR200465492Y1 KR2020070020714U KR20070020714U KR200465492Y1 KR 200465492 Y1 KR200465492 Y1 KR 200465492Y1 KR 2020070020714 U KR2020070020714 U KR 2020070020714U KR 20070020714 U KR20070020714 U KR 20070020714U KR 200465492 Y1 KR200465492 Y1 KR 200465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71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6498U (en
Inventor
채동수
최현철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492Y1/en
Publication of KR20090006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49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49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33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comprising an articulating, sliding or rolling contact between movable contact and termi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터미널 커넥터; 상기 전원 커넥터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스위치 유니트; 상기 스위치 유니트를 지지하는 스위치 유니트 하우징; 일면에는 상기 스위치 유니트의 유니트 단자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유니트 접속 단자가 배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터미널 커넥터와 연결되는 터미널 접속부가 구비되는 스위치 커넥터;를 구비하는 통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A plurality of switch unit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connector; A switch unit housing for supporting the switch unit; One 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nit connection terminals connected to the unit terminal of the switch unit,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switch connector having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or.

Description

통합 스위치 장치{INTEGRATED SWITCHING DEVICE WITH A SWITCHING CONNECTOR}Integrated switch device {INTEGRATED SWITCHING DEVICE WITH A SWITCHING CONNECTOR}

본 고안은 통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시 발생 가능한 불량률 및 오작동을 방지하고 조립성을 개선하는 구조의 통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switch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switch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prevents defective rates and malfunctions that may occur during manufacturing and improves assembly.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는데, 운전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각종 스위치들은 스티어링 부에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are required to function beyond various functions as a moving means as various convenient means for allowing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driving state. Accordingly, various kinds of convenience faciliti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various facilities ar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various switches tend to be concentrated in the steering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bility of the driver.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For example, a steering wheel of a recently produced vehicle is provided with a window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a steering light switch for turning on / off a steering light, an audio switch for driving audio, a wiper switch for driving a wiper, and the like.

또한, 차량의 센터페시아에는 차량의 히터 등을 작동시키는 스위치 장치는 푸시 버튼 스위치 구조로 형성된다. 사용자에 의한 작동 압입력에 의한 푸시 동작 을 통하여 온/오프되는 구조를 취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푸시 스위치의경우 제조시 복잡하다는 문제점 있었다. 즉, 이와 같은 센터페시아에 장착되는 푸시 스위치의 개수의 증가에 따라 복잡한 하니스가 배치되고, 각각의 푸시 스위치를 개개의 커넥터와 연결하여야 하는 구조에 의하여 작업자에 의한 조립 시간을 증대시키고 조립시 오조립의 가능성이 증대하여 불량품 발생률을 증대시킨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In the center fascia of the vehicle, the switch device for operating the heater and the like of the vehicle has a push button switch structure. It takes a structure that is turned on / off through the push action by the operating pressure input by the user. However, in the case of the push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was a problem in the complex manufacturing. That is, complicated harnesses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ush switches mounted in the center fascia, and the assembly time is increased by the operator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each push switch is connected to an individual connector.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increasing the defective rate of defective products.

따라서, 본 고안은 복잡한 배선 연결 구조를 배제하여 조립성 향상에 따른 공정 원가 절감 및 오조립에 의한 불량품 발생 가능성을 방지 내지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의 통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switch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or reducing a process cost and a possibility of defective products caused by incorrect assembly by eliminating a complicated wiring connection structur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터미널 커넥터; 상기 전원 커넥터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스위치 유니트; 상기 스위치 유니트를 지지하는 스위치 유니트 하우징; 일면에는 상기 스위치 유니트의 유니트 단자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유니트 접속 단자가 배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터미널 커넥터와 연결되는 터미널 접속부가 구비되는 스위치 커넥터;를 구비하는 통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ermin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A plurality of switch unit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connector; A switch unit housing for supporting the switch unit; One 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nit connection terminals connected to the unit terminal of the switch unit,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switch connector having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or.

상기 통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접속 단자의 일측면에는 접속 강화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 단자의 일측면에는 상기 접속 강화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접속 강화 대응부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integrated switch device, a connection reinforcement par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nit connection terminal, and a connection reinforcement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par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nit terminal.

또한, 상기 접속 강화부는 돌기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 강화 대응부는 요홈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protrusion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reinforcing counterpart may be formed in a groove structur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 스위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Integrated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고안에 따른 통합 스위치 장치는, 터미널 커넥터와 복수 개의 스위치 유니트 간의 연결을 스위치 커넥터를 통하여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복잡한 배선을 제거하고 단일화시킴으로써 작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rst, in the integrated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connector and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through the switch connector,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performance by eliminating and unifying conventional complicated wiring.

둘째, 본 고안에 따른 통합 스위치 장치는, 터미널 커넥터와 복수 개의 스위치 유니트 간의 연결을 스위치 커넥터를 통하여 형성함으로써 배선의 오연결에 의한 작동 불량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Second, the integrated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connector and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through the switch connector,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incorrect connection of the wiring.

셋째, 본 고안에 따른 통합 스위치 장치는, 유니트 단자와 유니트 접속 단자의 결속을 강화시키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함으로써 전기적 소통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 Third, the integrated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comprising a component for strengthening the binding of the unit terminal and the unit connection terminal can further strengthen the electrical communication.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 스위치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스위치 장치(1)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 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Hereinafter, an integrated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따른 통합 스위치 장치(1)는 터미널 커넥터(2)와, 복수 개의 스위치 유니트(10)와, 스위치 유니트 하우징(20)과, 스위치 커넥터(30)를 포함하는데, 터미널 커넥터(2)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스위치 유니트(1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스위치 유니트 하우징(20)에는 스위치 유니트(10)가 배치되고, 스위치 커넥터(30)는 복수 개의 스위치 유니트(10) 및 터미널 커넥터(2)와 연결된다. The integrated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onnector 2, a plurality of switch units 10, a switch unit housing 20, and a switch connector 30. 2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a plurality of switch units 10 are provided, a switch unit 10 is disposed in the switch unit housing 20, the switch connector 30 is a plurality of switches It is connected to the unit 10 and the terminal connector 2.

터미널 커넥터(2)는 케이블(3)을 통하여 차량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터미널 커넥터(2)는 하기되는 스위치 커넥터(3)의 터미널 접속부(31)와 접속을 이룬다. The terminal connector 2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ic device such as a vehicle control unit (not shown) through the cable 3, the terminal connector 2 and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31 of the switch connector 3, which is described below A connection is made.

스위치 유니트(10)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데, 스위치 유니트(10)는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 상태로 가변 가능하다. 도 3에는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스위치 유니트(10)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유니트 가동부(200)를 구비한다. 유니트 하우징(100)은 유니트 노브(110)와, 유니트 광차단부(120)와, 유니트 바디 하우징(130)과,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140)을 포함하는데, 유니트 노브(110)는 유니트 가동부(200)의 선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유니트 노브(110)와 유니트 가동부(200)의 사이에는 유니트 광차단부(120)가 더 배치될 수 있는데, 유니트 광차단부(120)는 하기되는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하여 장착되는 광원부(300)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유니트 노브(110)에 형성되는 광표시부(미도시) 를 통하여만 출사될 수 있도록 빛의 누설을 차단한다. 즉, 유니트 광차단부(120)에는 내부에 광 프리즘(220)이 배치되는 광 프리즘 배치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유니트 가동부(200)의 상단에도 광 프리즘 배치부(210)가 구비되는데, 유니트 광차단부(120)의 상단에는 광 프리즘 노출구(121)가 구비되고, 광 프리즘(220)의 광 프리즘 돌기(221)는 광 프리즘 노출구(12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광원부(300)에서 생성된 빛은 광 프리즘(220)을 통하여 광 프리즘 돌기(221)를 거쳐 유니트 노브(110)의 광표시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The switch unit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he switch unit 10 can be changed to the switch on or switch off state by being pressed by the user. 3 show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unit 10, which has a unit housing 100 and a unit movable part 200. The unit housing 100 includes a unit knob 110, a unit light blocking unit 120, a unit body housing 130, and a unit base housing 140. The unit knob 110 includes a unit movable unit 200. It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to form a portion pressed by the user. A unit light blocking unit 120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unit knob 110 and the unit movable unit 200. The unit light blocking unit 120 may be mounted to a light source unit 300 mounted with respect to the switch unit 10 described below. Block light leakage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xits through the light display unit (not shown) formed in the unit knob (110). That is, the unit light blocking unit 120 is provided with an optical prism arranging unit (not shown) in which the optical prism 220 is disposed, and the optical prism arranging unit 210 is also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nit movable part 200. An optical prism exposure opening 121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unit light blocking unit 120, and the optical prism protrusion 221 of the optical prism 22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tical prism exposure opening 121.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300 through the structure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tical display unit of the unit knob 110 through the optical prism protrusion 221 through the optical prism 220.

유니트 바디 하우징(130)은 내부에 바디 관통구(131)를 구비하는데, 바디 관통구(131)는 바디 공간(132)과 소통을 이루는데, 바디 공간(132)에는 유니트 가동부(200)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유니트 가동부(200)는 유니트 바디 하우징(130)의 바디 공간(132)에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유니트 가동부(200)의 단부에는 가동 단자 장착부(201)가 구비된다. 가동 단자(230)는 가동 단자 바디(231)는 가동 단자 장착부(210)에 장착되는데, 가동 단자 바디(231)의 일측에는 가동 단자 바디(231)로부터 연장되어 탄성 지지되는 가동 단자 접촉부(232)가 구비된다. 가동 단자 접촉부(231)는 하기되는 유니트 바디 하우징(130)에 배치되는 고정 단자(145, 도 4 참조)와의 접속을 이루어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킨다. 유니트 가동부(200)와 하기되는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140)의 사이에는 유니트 가동부(200)의 탄성 지지를 이루는 가동부 탄성부(240)가 배치되는데, 가동부 탄성부(240)의 일단은 유니트 가동부(200)의 하면과 접촉하고 타단은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140)의 하면과 접촉을 이루어 유니트 가동부(200)를 바디 공간(132) 내부에서 유니트 가동부(200)를 탄성 지지한다. The unit body housing 130 has a body through hole 131 therein, the body through hole 131 communicates with the body space 132, the unit movable portion 200 is movable in the body space 132 Possibly arranged. The unit movable part 200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the body space 132 of the unit body housing 130, and a movable terminal mounting part 201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unit movable part 200. The movable terminal 230 is a movable terminal body 231 is mounted to the movable terminal mounting portion 210, the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232 is elastically supported extending from the movable terminal body 231 on one side of the movable terminal body 231 Is provided. The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231 makes a connection with a fixed terminal 145 (see FIG. 4) disposed in the unit body housing 130, which is described below, to change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unit movable part 200 and the unit base housing 140 described below, a movable part elastic part 240 forming an elastic support of the unit movable part 200 is disposed, and one end of the movable part elastic part 240 is a unit movable part 200. )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base housing 140 to elastically support the unit movable part 200 in the body space 132 inside the unit movable part 200.

유니트 바디 하우징(130)의 일면 이상은 개방된 구조를 취하는데, 개방된 위치에는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140)이 배치된다.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140)은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 바디(141)와 유니트 단자(142)를 구비하는데,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 바디(141)는 유니트 바디 하우징(130)의 개방된 면들과 맞물리어 유니트 하우징 바디(130)를 밀폐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140)은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하여 배선(미도시)이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 바디(141)에 매립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배선(미도시)은 유니트 단자(142)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At least one surface of the unit body housing 130 has an open structure, and the unit base housing 140 is disposed in the open position. The unit base housing 140 has a unit base housing body 141 and a unit terminal 142, wherein the unit base housing body 141 is engaged with the open faces of the unit body housing 130 and the unit housing body 130. Take a structure to seal). The unit base housing 140 has a structure in which wires (not shown) are embedded in the unit base housing body 141 through insert injection molding. The wires (not shown) are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unit terminals 142.

도 5에는 각각 스위치 유니트(10)의 유니트 가동부의 걸림/풀림 동작을 위한 유니트 걸림부(400)와 유니트 걸림 대응부(143)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가 도시된다. 유니트 걸림부(400)는 유니트 가동부(200)의 일면으로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 바디(141)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도록 장착되고, 유니트 걸림 대응부(143)는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 바디(141)의 일면으로 바디 공간(132)을 향한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유니트 걸림 대응부(143)는 유니트 걸림부(400)의 가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과 내측면을 포함하고 내부에 걸림 접촉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니트 걸림부(400)는 유니트 가동부(200)의 일면 상에서 유니트 가동부(20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는 플레이트(미도시)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유니트 걸림 대응부(143)는 걸림 대응 해제부(143a)와, 걸림 대응 가동부(143b)와, 걸림 대응 돌기부(145)를 구비하고, 걸림 접촉부(150)는 걸림 접촉 가이드부(150c)와, 걸림 접촉 유지부(150f)를 포함한다. FIG. 5 is a schematic partial plan view of the unit catching part 400 and the unit catching part 143 for the locking / unlocking operation of the unit movable part of the switch unit 10, respectively. The unit catching part 400 is mounted to protrude toward the unit base housing body 141 on one surface of the unit movable part 200, and the unit catching part 143 forms a body space on one surface of the unit base housing body 141. It is disposed on one surface facing the 132, the unit catching counterpart 143 includes a space and the inner surface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unit catching portion 400 and includes a catching contact 150 therein. Here, although not clearly shown, the unit engaging portion 400 is one surface of a plate (not shown)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it movable portion 200 on one surface of the unit movable portion 200. Various structures are possible, such as being able to take the structure which protrudes from. The unit catching part 143 includes a catching release part 143a, a catching movable part 143b, and a catching protrusion 145, and the catching contact part 150 includes a catching contact guide part 150c, And engaging contact holding portion 150f.

따라서, 유니트 걸림부(400)가 유니트 걸림 대응부(143)의 걸림 대응 해제부(143a)에 접촉하고 유니트 걸림부(400)가 해제 위치(410a)를 점유하는 경우, 가동 단자(230)와 고정 단자(145) 간의 접촉은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가동부 탄성부(240)의 탄성 지지력보다 큰 힘으로 유니트 노브(110)를 가압하는 경우, 유니트 걸림부(400)는 유니트 걸림 대응부(143)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데, 유니트 걸림부(400)는 가동 위치(410b)를 점유하고, 유니트 가동부(200)의 이동에 의하여 유니트 걸림부(400)는 걸림 접촉부(150)의 걸림 접촉 가이드부(150c)와 접촉 상태를 이루는 접촉 위치(410c)를 이룬다. 걸림 접촉 가이드부(150c)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유니트 가동부(200)에 지속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지는 경우, 유니트 걸림부(400)는 걸림 접촉 가이드부(150c)를 따라 걸림 접촉부(150)의 측면과 접촉을 이룬후 지속되는 가압력에 의하여 유니트 걸림부(400)는 변환 위치(410e)에 위치하여 걸림 접촉 가이드부(150c)와 걸림 대응 돌기부(145)와 접촉을 이룬다. 이때 유니트 걸림부(4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니트 가동부(200)의 일면 상에서 유니트 가동부(20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므로, 유니트 걸림부(400)는 걸림 대응 돌기부(145)와 접촉을 이루고 궁극적으로 유니트 걸림부(400)는 접촉 유지부(150f)와 접촉을 이루며 유지 위치(410f)를 점유한다. 이때, 가동 단자(230)는 고정 단자(145)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데(도 4 참조), 사용자가 유니트 노브(110)에 대한 가압을 중지하는 경우, 접촉 유지부(150f)는 뒤집어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동부 탄성부(24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스위치 유니트(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반면, 사용자가 재차 스위치 노브(110)를 가압하는 경우, 유니트 걸림부(400)는 스위치 유니트(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 동작과 반대되는 과정을 거쳐 걸림 동작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유니트 노브의 가압에 의한 가동 구조는 통상적인 푸시 스위치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refore, when the unit catching portion 400 contacts the catch corresponding release portion 143a of the unit catching response portion 143 and the unit catching portion 400 occupies the release position 410a, The contact between the fixed terminals 145 remains released. When the user presses the unit knob 110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of the movable portion elastic portion 240, the unit locking portion 400 mov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unit locking corresponding portion 143, the unit locking portion 400 occupies the movable position 410b, and by the movement of the unit movable portion 200, the unit locking portion 400 makes contact with the locking contact guide portion 150c of the locking contact portion 150 ( 410c). Since the locking contact guide part 150c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when the unit movable part 200 is continuously pressurized by the user, the unit locking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locking contact part 150 along the locking contact guide part 150c. The unit locking part 400 is positioned at the conversion position 410e by contact force with the side and makes contact with the locking contact guide part 150c and the locking corresponding protrusion 145. At this time, since the unit catching part 400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it moving part 200 on one surface of the unit moving part 200 as described above, the unit catching part 400 is a catch corresponding protrusion part. In contact with 145 and ultimately the unit catching portion 400 makes contact with the contact holding portion 150f and occupies the holding position 410f. At this time, the movable terminal 230 makes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xed terminal 145 (see FIG. 4). When the user stops pressing the unit knob 110, the contact holding part 150f is turned ov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hild to limit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unit 10 by the elastic force by the movable portion elastic portion 240.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switch knob 110 again, the unit locking portion 400 is subjected to the locking operation through a process opposite to the locking operation by th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unit 10. Is released. Since the movable structure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unit knob is the same as a conventional push switch,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스위치 가동부(200)가 유니트 바디 하우징(130)에 형성되는 바디 공간(132)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스위치 가동부(200)가 가동되어 가동 단자(230)와 고정 단자(145)가 서로 접속을 이루는 경우, 가동 단자(230)와 고정 단자(145)의 단속에 의한 전기적 신호 변화는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140)에 장착되는 광원부(300)의 신호 변화를 유발하여 광원부(300)의 점멸을 발생시킨다. 광원부(300)가 점등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광원부(300)의 빛은 유니트 가동부(200)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광 프리즘 배치부(210)에 배치된 광 프리즘(220)으로 전달되고, 빛은 광 프리즘 노출구(12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광 프리즘 돌기(221)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고, 광 프리즘 돌기(221)는 유니트 노브(110)의 레이저 에칭 등의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광 표시부(미도시)를 거쳐 외부로 출사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witch movable part 200 is movably disposed in the body space 132 formed in the unit body housing 130, and the switch movable part 200 is operated by a force pressed by the user to move the movable terminal 230. When the fixed terminals 14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lectrical signal change due to the interruption of the movable terminal 230 and the fixed terminal 145 causes a change in the signal of the light source unit 300 mounted on the unit base housing 140. Flashing of the light source unit 300 is generated. When the light source unit 300 is turned on,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unit 300 passes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unit movable unit 200 and is transmitted to the optical prism 220 disposed in the optical prism placement unit 210. The light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tical prism protrusion 221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tical prism exposure opening 121, and the optical prism protrusion 221 is formed through a process such as laser etching of the unit knob 110. I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ght display unit (not shown) to enable the user to recognize the operating state of the switch unit.

스위치 유니트 하우징(20)은 복수 개의 유니트 관통구(21)를 구비하는데, 복수 개의 스위치 유니트(10)는 각각의 유니트 관통구(21)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스 위치 유니트 하우징(20)은 차량의 센터 페시아(미도시) 등에 고정 장착된다. 한편, 스위치 유니트(10)의 유니트 하우징(100)의 유니트 바디 하우징(130)의 단부에는 유니트 스톱퍼(134)가 구비되는데, 유니트 스톱퍼(134)는 유니트 바디 하우징(130)의 일단에서 외주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여 유니트 바디 하우징(130)의 외주 크기가 유니트 관통구(21)보다 작되 유니트 스톱퍼(134)가 유니트 관통구(21)보다 큰 외주를 구비하여 스위치 유니트(10)가 스위치 유니트 하우징(20)의 유니트 관통구(21)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경우 유니트 스톱퍼(134)가 유니트 관통구(21)를 관통하지 못하고 스위치 유니트 하우징(20)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스위치 유니트(10)의 과도한 진입으로 인한 스위치 유니트(10)의 유니트 단자(142)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housing 2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through holes 21, and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10 are disposed through the respective unit through holes 21. The switch unit housing 20 is fixedly mounted to a center fascia (not shown) of the vehicle. 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unit body housing 130 of the unit housing 100 of the switch unit 10 is provided with a unit stopper 134, the unit stopper 134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at one end of the unit body housing 130 The outer periphery of the unit body housing 130 is smaller than the unit through-hole 21, and the unit stopper 134 has an outer periphery larger than the unit through-hole 21. In the case where the unit stopper 134 is disposed through the unit through hole 21 of the housing 20, the unit stopper 134 does not penetrate the unit through hole 21 and is supported by the switch unit housing 20 to thereby switch the switch unit. Damage to the unit terminal 142 of the switch unit 10 due to excessive entry of the 10 can be prevented.

스위치 커넥터(30)는 일면에는 스위치 유니트(10)의 유니트 단자(142)와 접속을 이루는 유니트 접속 단자(33)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터미널 커넥터(2)와 연결되는 터미널 접속부(31)가 구비되는데, 터미널 커넥터(2)의 타측은 케이블(3)을 통하여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외부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유니트 접속 단자(33)는 스위치 커넥터(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34)을 통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유니트 단자(142)는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하여 유니트 베이스 하우징(130)에 배치되는 배선(미도시) 및/또는 전기 요소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가동 단자(230)는 고정 단자(145)와 유니트 가동부(200)의 길이 방향 가동에 의하여 가동 단자(230)의 가동 단자 접촉부(232)는 고정 단자(145)와 접속을 이루고 이에 의한 온/오프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배선(미도시)을 따라 유니트 단자(142) 및 유니트 접속 단자(33)의 접속 및 케이블(3)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The switch connector 30 has a unit connection terminal 33 which is connected to the unit terminal 142 of the switch unit 10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31 which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or 2 on the other end thereof.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connector 2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ntroller (not shown) through the cable (3). The unit connection terminal 33 may have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34 disposed below the switch connector 30. The unit terminal 142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wires (not shown) and / or electrical elements disposed in the unit base housing 130 through insert injection molding. The movable terminal 230 is a unit with the fixed terminal 145. The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232 of the movable terminal 230 is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145 by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200, and thus the change in the on / off electrical signal is caused by the unit along the wiring (not shown). The terminal 142 and the unit connection terminal 33 make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able 3.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트 단자와 유니트 접속 단자는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스위치 장치(1)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도 4의 도면 부호 A에 대한 확대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유니트 접속 단자(33)의 일측면에는 접속 강화부(33c)가 구비되고 유니트 단자(142)의 일측면에는 접속 강화부(33c)에 대응하여 접속 강화부(33c)와 맞물리는 접속 강화 대응부(142c)가 구비되는데, 유니트 단자(142)가 유니트 접속 단자(33)에 삽입되어 서로 전기적 소통이 이루어지는 경우 유니트 단자(142)에 형성된 접속 강화 대응부와 유니트 접속 단자(33)에 형성된 접속 강화부(33c)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유니트 단자(142)와 유니트 접속 단자(33)의 접속을 강화하여 양자의 결속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 강화부(33c)는 돌기 구조를 취하고 접속 강화 대응부(142c)는 요홈 구조를 취하는데,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작업자가 스위치 유니트와 스위치 커넥터 간의 접속이 이루어짐을 감각으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유니트에 과도한 장착력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접속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니트 단자와 유니트 접속 단자의 접속을 공고히 함으로써 전기적 소통을 불량을 방지 내지 저감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nit terminal and the unit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configuration for solidifying the coupling. FIG. 4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integrated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reference numeral A of FIG. 4. One side of the unit connection terminal 33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reinforcement 33c, and one side of the unit terminal 14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33c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33c. 142c is provided, and when the unit terminal 142 is inserted into the unit connection terminal 33 to be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corresponding portion formed in the unit terminal 142 and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formed in the unit connection terminal 33 are provided. By engaging the unit 33c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it terminal 142 and the unit connection terminal 33, thereby further strengthening the binding of both.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part 33c takes a protrusion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counterpart 142c takes a groove structure. Through such a structure, the operator can sens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witch unit and the switch connector is made. This prevents excessive mounting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switch unit and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e connection is smooth or not, and by consolid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it terminal and the unit connec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reduce electrical communication defects.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is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scop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스위치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스위치 장치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4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integrated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스위치 장치의 스위치 유니트의 유니트 가동부의 걸림/풀림 동작을 위한 유니트 걸림부와 유니트 걸림 대응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FIG. 5 is a schematic partial plan view of a unit catching unit and a unit catching unit for catching / unlocking an operation unit of a switch unit of an integrated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의 도면 부호 A에 대한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FIG. 6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 in FIG. 4.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통합 스위치 장치 10...스위치 유니트1 ... integrated switch unit 10 ... switch unit

20...스위치 유니트 하우징 30...스위치 커넥터20 ... switch unit housing 30 ... switch connector

Claims (3)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터미널 커넥터;A terminal connector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전원 커넥터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스위치 유니트;A plurality of switch unit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connector; 상기 스위치 유니트를 지지하는 스위치 유니트 하우징;A switch unit housing for supporting the switch unit; 일면에는 상기 스위치 유니트의 유니트 단자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유니트 접속 단자가 배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터미널 커넥터와 연결되는 터미널 접속부가 구비되는 스위치 커넥터;를 구비하고, A plurality of unit connection terminals connected to the unit terminals of the switch unit is disposed at one side thereof, and a switch connector having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or at the other end thereof; 상기 스위치 유니트는 상기 스위치 유니트 하우징에 장착되는 유니트 하우징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유니트 가동부를 구비하고,The switch unit includes a unit housing mounted to the switch unit housing, a unit movable portion movably disposed in the unit housing,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단부에는 유니트 스톱퍼가 더 구비되고, An end of the unit housing is further provided with a unit stopper, 상기 유니트 접속 단자의 일측면에는 접속 강화부가 구비되고, One side of the unit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reinforcement, 상기 유니트 단자의 일측면에는 상기 접속 강화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접속 강화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스위치 장치.One side of the unit terminal is integrated swit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corresponding portion is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속 강화부는 돌기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 강화 대응부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스위치 장치.And the connection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a protrusion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reinforcing counterpart is formed in a groove structure.
KR2020070020714U 2007-12-26 2007-12-26 Integrated switching device with a switching connector KR20046549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714U KR200465492Y1 (en) 2007-12-26 2007-12-26 Integrated switching device with a switching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714U KR200465492Y1 (en) 2007-12-26 2007-12-26 Integrated switching device with a switching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98U KR20090006498U (en) 2009-07-01
KR200465492Y1 true KR200465492Y1 (en) 2013-02-21

Family

ID=4132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714U KR200465492Y1 (en) 2007-12-26 2007-12-26 Integrated switching device with a switching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492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808A (en) * 1996-04-30 1997-11-18 Yazaki Corp Switch box mounting structure
KR20060092684A (en) * 2005-02-18 2006-08-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arphone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808A (en) * 1996-04-30 1997-11-18 Yazaki Corp Switch box mounting structure
KR20060092684A (en) * 2005-02-18 2006-08-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arphon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98U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966B1 (en) Emblem-unified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110785934A (en) Motor vehicle operating device
KR200465492Y1 (en) Integrated switching device with a switching connector
KR100941586B1 (en) A combinasion switch for vehicles
KR200468484Y1 (en) Switch Assembly for Vehicle
KR200459979Y1 (en) Paddle shifting lever switching unit
KR200468483Y1 (en) Power window switching device unit
JP4969343B2 (en) Speed change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KR101582738B1 (en)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KR101125375B1 (en) A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KR200460533Y1 (en) Sliding switch unit
KR100896416B1 (en)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for vehicles
KR200445702Y1 (en) Switch unit for a vehicle
KR200460896Y1 (en) Switching device unit switching device unit
US20230073675A1 (en) Vehicle push switch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10240525U (en) Assembly for a control button and shift switch
KR200457186Y1 (en)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KR200471413Y1 (en) Sliding switch unit for locking/unlocking the operation of power window switching device unit of a vehicle
KR100845257B1 (en) Seesaw Switch Module
KR100282922B1 (en) Operation structure of auxiliary start switch for van
JP2000182472A (en) Lever for vehicle operation
KR101171651B1 (en) Switching device unit
KR200463201Y1 (en) Switching device unit for a vehicle
KR200469421Y1 (en) Seat warmer switching unit
KR200146726Y1 (en) Hook lev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