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409Y1 -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409Y1
KR200465409Y1 KR2020110007208U KR20110007208U KR200465409Y1 KR 200465409 Y1 KR200465409 Y1 KR 200465409Y1 KR 2020110007208 U KR2020110007208 U KR 2020110007208U KR 20110007208 U KR20110007208 U KR 20110007208U KR 200465409 Y1 KR200465409 Y1 KR 200465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ab
tabs
battery tab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긍현
장상민
장민호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2020110007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4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지탭(11, 11')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10, 10')이 결합되어 전지모듈을 구성하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셀(10, 10')이 통전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지셀(10, 10')에 각각 형성되는 전지탭(11, 11')과 전지탭(11, 11')을 볼트로서 간단히 통전가능하도록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는 전지탭(11, 11')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양(+)과 음(-)의 전극을 형성하는 전지탭(11, 11')이 각각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10, 1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셀(10, 10') 사이마다 설치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셀(10, 10')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탭(11, 11')은 타측 전지셀(10, 10')의 전지탭(11, 11')을 지향하여 상호 겹칠 수 있도록 성형가공되어 상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서 관통형성되는 나사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호 연결되는 전지탭(11, 11')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측에서 상향 돌출형성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고, 양쪽의 상기 전지탭(11, 11')이 겹쳐지면 상기 나사공에 삽입되어 양측의 전지탭(11, 11')을 통전가능하도록 연결 및 고정시키는 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Connection apparatus for battery tab punch pressed}
본 고안은 성형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을 통전가능하도록 전지탭과 전지탭을 성형가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기본구조가 간단하고 자동화가 가능한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첨단 분야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2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리튬 2차 전지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리튬 2차 전지(이하에서는 리튬전지라 총칭한다)는 작동 전압이 2.0~4.2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수개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데,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우수하여 급속도로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리튬전지는 전원이 입출력되는 탭이 형성되는 전지셀과, 상기 셀을 케이싱 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셀을 전지셀이라는 단위로 칭하며, 상기 전지셀이 여러 개가 연결되어 하나의 전지모듈을 이룬다.
상기 전지모듈은 각각의 전지셀을 직렬 또는 병렬연결하여 고전압을 얻는 것으로서, 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서 요구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전지모듈을 수십에서 수 백개를 적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전지모듈에서 다 수개의 전지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서 전지탭을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전지탭 사이에 도전체를 삽입하여 용접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자체 중량이 증가되며,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고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지탭을 성형 가공하여 별도의 도전체 없이 전지탭과 전지탭을 접착시켜 전원의 통전이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자동화가 가능한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양(+)과 음(-)의 전극을 형성하는 전지탭이 각각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셀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전지탭 사이에 안착되어 측방에서 힘이 가해지는 상기 전지탭을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셀에 각각 형성된 전지탭은 상측에서 상호 밀착되는 제1접착면을 갖고, 하측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형상과 일치되는 이격된 공간으로 성형 가공되어 양측의 전지탭을 통전가능도록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및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의 전지탭과 음(-)의 전지탭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성형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지탭은 상기 전지셀의 상면에서 타 전지셀의 전지탭을 지향하여 상향 경사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서 직립되어 타 전지탭과 접착되는 제1접착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지탭은 상기 전지셀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수평으로 절곡되는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접착되는 제2접착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는 접착된 양측의 전지탭의 외면에 끼움되어 고정시키는 고정탭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탭은 상호 밀착된 전지탭의 상단에서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시키도록 상호 분리형성되는 본체; 상호 분리된 상기 본체의 양 끝단으로 각각 연장되어 나사공을 형성하는 결합단; 상호 분리된 상기 본체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결합단에서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상호 분리된 본체를 연결시켜 상기 전지탭의 외면에 고정시키는 나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전지탭을 타측의 전지탭을 지향하도록 성형가공하여 전지탭끼리 밀착시켜 접착하는 간단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자동화가 가능하고, 공정수가 단축되며 중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제조원가의 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의 제3실시예의 일부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의 제4실시예의 일부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지탭 연결장치는 상면에서 직렬 또는 병렬로서 연결되어 전원의 통전이 이루어지는 전지탭(11, 11')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10, 10')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셀(10, 10') 사이에 고정되어 지지하는 지지판넬(20)과, 전지탭(11, 11')과 전지탭(11, 11')이 성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셀(10, 10')은 각각 양(+)과 음(-)의 전원이 입출력되는 두 개의 전지탭(11, 11')을 각각 포함하며, 제1전지셀(10)의 제1전지탭(11)은 제2전지셀(10')의 제2전지탭(11')을 지향하여 성형가공된다. 이때 제1전지셀(10)과 제2전지셀(10')의 전지탭(11, 11')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향되어 용접으로 접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1전지셀(10)과 제2전지셀(10')의 양(+)과 음(-)의 전지탭(11, 11')은 상호 반대방향을 지향하도록 성형가공되어 직렬 또는 병렬중에서 선택된 연결방식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제1전지셀(10)의 제1전지탭(11)은 제2전지셀(10')의 제2전지탭(11')을 지향하도록 상향되는 경사면(111, 111')과, 상기 경사면(111, 111')에서 수직으로 직립되는 제1접착면(112, 112')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은 상기 제1접착면(112, 112')에서 상호 밀착되어 용접으로 접착된다. 도시된 바는 용접으로 접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볼트로서 체결시킴도 가능하며,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용접과 볼트식의 체결이 모두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1전지탭(11)의 경사면(111, 111')과 제2전지탭(11')의 경사면(111, 111')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30)가 안착되어 상기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의 성형 및 용접시에 지지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전지탭(11, 11')의 성형가공시에 양측의 전지탭(11, 11')간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성형되는 전지탭(11, 11')의 형상을 결정하게 된다. 이를 설명하자면, 상기 전지탭(11, 11')은 최초에 직립된 수직단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제1전지셀(10)의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셀(10')의 제2전지탭(11') 사이에 상기 고정부재(30)를 삽입하고, 펀칭 또는 기타 성형장치로서 상기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을 펀칭가공한다.
이때, 상기 성형장치는 상기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의 사이에 위치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제1전지탭과 제2전지탭 사이를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재(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빈공간을 형성하고, 상측에서는 상호 밀착된다.
다시 설명하자면,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30)가 삼각형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은 하측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면(111, 111')을 이루고 상측에서 직립된 제1접착면(112, 112')이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0)의 형상은 하기의 도 2처럼 삼각형이 아닌 사각형으로 형성됨도 가능하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상기 고정부재(30)를 사각형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전지탭(11, 11')과 전지탭(11, 11')을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전지탭(11, 11')의 성형 가공전의 직립된 단면으로 형성된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 사이에 상기 고정부재(30)를 안착시키고,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펀칭 가공하면 상단에서는 직립된 제2접착면(114, 114')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 밀착되고, 하측에서는 계단형으로 절곡된 절곡면(113, 113')을 형성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양쪽의 전지탭(11, 11') 사이에 상기 고정부재(30)를 안착시키고, 상기 양쪽의 전지탭(11, 11')을 펀칭가공하여 상측에 직립된 제1접착면(112, 112')과 제2접착면(114, 114')을 형성하고 하측에서는 상기 고정부재(30)의 형상에 따른 이격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0)는 절연체로 형성시켜 상기 전지탭(11, 11')과 전지탭(11, 11')의 제1접착면(112, 112')을 용접으로 접착시킨 뒤에 이탈시키거나 또는 상기 전지탭(11, 11')의 좌우 길이에 일치되도록 절단하여 상기 전지탭(11, 11') 사이에 고정시켜서 외부충격으로부터 상기 전지탭(11, 11')을 보호할 수 있는 완충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30)는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처럼 삼각형이나 사각형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각형, 육각형 및 다각형중 어느 하나로 형성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30)의 형상은 설계자와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전지탭(11, 11')을 성형가공하여 용접으로 접착시키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하기의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는 성형가공된 전지탭(11, 11')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탭(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의 제3실시예의 일부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 상호 밀착된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의 제1접착면(112, 112')에 끼움되어 나사(43)로 고정되는 고정탭(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탭(40)은 상기 제1접착면(112, 112')의 외측에 밀착되는 본체(41, 41')와, 상기 본체(41, 41')의 양끝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상호 밀착되는 결합단(42, 42')과, 상기 결합단(42, 42')에 형성되는 나사공(도면번호 미표시)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탭(40)을 상기 전지탭(11, 11')의 외면에 고정시키는 나사(4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41, 41')는 상기 전지탭(11, 11')의 제1접착면(112, 112')의 외면에 밀착되어 양끝단으로 연장되다가 절곡되어 상기 결합단(42, 4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41, 41')는 상기 경사면(111, 111')의 상측 끝단에 걸림되어 더이상 하측으로 내려가지 않아서 상기 제1접착면(112, 112')을 가압하도록 조임된다.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본체(41, 41')의 높이와 상기 제1접착면(112, 112')의 높이는 상호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제1접착면(112, 112')이 상기 본체(41, 41')의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한다.
상기 결합단(42, 42')은 끝단에 관통형성되는 나사공(도면번호 미표시)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나사(43)가 삽입되어 회전되므로 상기 본체(41, 41')를 상기 제1접착면(112, 112')의 외면에 더욱 밀착시켜 고정시킨다.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제4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사각형의 고정부재(30)를 통해 성형가공된 전지탭(11, 11')을 고정시키는 고정탭(4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의 제4실시예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실시예는 사각형의 고정부재(30)에 의해 성형가공되어 직립된 면에서 수평으로 절곡형성되는 절곡면(113, 113')과, 상기 절곡면(113, 113')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접착되는 제2접착면(114, 114')으로 이루어지는 전지탭(11, 11')과, 상기 전지탭(11, 11')의 제2접착면(114, 114')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탭(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탭(40)은 상술한 제3실시예의 구성처럼 상기 제2접착면(114, 114')의 외면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상호 분리형성되는 상기 본체(41, 41')와 상기 상호 분리형성되는 각각의 본체(41, 41')의 양끝단에서 절곡형성되어 상호 밀착되는 결합단(42, 42')과 상기 결합단(42, 42')에 관통삽입되어 고정시키는 나사(4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41, 41')는 각각 분리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2접착면(114, 114')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절곡면(113, 113')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면에 걸림되어 고정된다.
상기 결합단(42, 42')은 상기 상호 분리된 각각의 본체(41, 41')의 양끝단에서 절곡되도록 연장되며, 각각 나사공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단(42, 42')은 서로 다른 본체에서 연장되며 양끝단에서 타 본체에서 연장된 결합단과 상호 나사공(도면번호 미표시)이 일치하도록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단(42, 42')은 상기 나사(43)가 상기 나사공(도면번호 미표시)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조이기 때문에 상기 본체(41, 41')를 상기 제2접착면(114, 114')의 외측에서 더욱 밀착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자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10, 10')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셀(10, 10') 사이에서 지지판넬(20)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넬(20) 및 하나 이상의 전지셀(10, 10')을 연결하는 구성(하우징 또는 연결바)은 공지된 구성을 적용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전지셀(10, 10')과 그 사이에 지지판넬(20)이 고정되면, 작업자는 직립된 상태의 전지탭(11, 11')을 상호 연결시켜 각각의 전지셀(10, 10')을 통전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전지탭(11, 11') 사이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고정부재(30)를 안착시키고, 펀칭장치로 양측의 전지탭(11, 11')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성형가공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은,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재(30)가 삼각형인 경우에, 상기 전지셀(10, 10')의 상면에서 상향되는 경사면(111, 111')과, 상기 경사면(111, 111')에서 직립된 제1접착면(112, 112')을 형성한다.
또는 상기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은,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재(30)가 사각형인 경우에, 상기 전지셀(10, 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수평으로 절곡되는 절곡면(113, 113')과, 상기 절곡면(113, 113')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2접착면(114, 114')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접착면(112, 112')을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에서 상기 제1접착면(112, 112')이 상호 밀착되면 용접으로 접착시켜 상기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을 통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킨다.
이후에 작업자는 상기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의 결합력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탭(40)을 상기 제1접착면(112, 112')의 외면에 끼움시키고, 양쪽의 결합단(42, 42')에서 나사공(도면번호 미표시)을 일치시킨 뒤에 나사(43)를 체결하여 조인다.
그러므로 상기 제1전지탭(11)과 제2전지탭(11')은 상기 고정탭(40)에 의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탭(40)은 전지모듈이 장착되는 장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탭(40)은 비포장도로의 주행이 많은 짚차, 또는 덤프트럭 또는 경주용 오토바이에 장착되는 전지모듈의 경우처럼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지탭(11, 11')을 통전가능하도록 연결하되, 종래와 달리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성형가공하고, 용접과 고정탭(40)을 이용하여 양측이 전지탭(11, 11')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어 자동화가 가능하여 생산성의 향상 및 작업의 편의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제1전지셀 10' : 제2전지셀
11 : 제1전지탭 11' : 제2전지탭
20 : 지지판넬 30 : 고정부재
40 : 고정탭 41, 41' : 본체
42, 42' : 결합단 43 : 나사
111, 111' : 경사면 112, 112' : 제1접착면
113, 113' : 절곡면 114, 114' : 제2접착면

Claims (6)

  1. 양(+)과 음(-)의 전극을 형성하는 전지탭이 각각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셀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전지탭 사이에 안착되어 측방에서 힘이 가해지는 상기 전지탭을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셀에 각각 형성된 전지탭은 하측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형상과 일치되는 이격된 공간으로 성형 가공되어 양측의 전지탭을 직렬과 병렬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통전가능도록 연결시키는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및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전지탭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전지탭과 음(-)의 전지탭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탭은
    상기 전지셀의 상면에서 타 전지셀의 전지탭을 지향하여 상향 경사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서 직립되어 타 전지탭과 접착되는 제1접착면을 포함하는 성형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탭은
    상기 전지셀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수평으로 절곡되는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접착되는 제2접착면을 포함하는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는 접착된 양측의 전지탭의 외면에 끼움되어 고정시키는 고정탭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탭은
    상호 밀착된 전지탭의 상단에서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시키도록 상호 분리형성되는 본체;
    상호 분리된 상기 본체의 양 끝단으로 각각 연장되어 나사공을 형성하는 결합단;
    상호 분리된 상기 본체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결합단에서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상호 분리된 본체를 연결시켜 상기 전지탭의 외면에 고정시키는 나사를 포함하는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KR2020110007208U 2011-08-09 2011-08-09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KR200465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208U KR200465409Y1 (ko) 2011-08-09 2011-08-09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208U KR200465409Y1 (ko) 2011-08-09 2011-08-09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409Y1 true KR200465409Y1 (ko) 2013-02-18

Family

ID=5136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208U KR200465409Y1 (ko) 2011-08-09 2011-08-09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40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401A (ko) * 1997-08-07 1999-03-25 우츠미 오사무 다공성 실리카 피막 형성용 도포액, 도포된 기재 및 단섬유실리카
KR20090048860A (ko) * 2007-11-12 2009-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401A (ko) * 1997-08-07 1999-03-25 우츠미 오사무 다공성 실리카 피막 형성용 도포액, 도포된 기재 및 단섬유실리카
KR20090048860A (ko) * 2007-11-12 2009-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196B1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101293952B1 (ko)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어셈블리
JP5208951B2 (ja) 電池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備えた電気車両又はハイブリッド電気車両
CN204497291U (zh) 电池模块阵列、电池组和电池操作系统
KR102096911B1 (ko) 전원 장치
CN204464348U (zh) 电池组和电池操作系统
KR102476416B1 (ko) 배터리 모듈용 리셉터클, 및 상기 유형의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46506B1 (ko) 조전지 및 전원 장치
KR101669114B1 (ko) 모듈화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팩
KR101305224B1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302357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팩
KR101418629B1 (ko) 이차전지 충방전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충방전 장치
US9698391B2 (en) Power storage device
JP6171314B2 (ja) 蓄電装置
KR20170106897A (ko) 내구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US11990635B2 (en) Frame structure assembly kit,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module
KR101209935B1 (ko) 배터리팩 고정장치
CN103811695A (zh) 蓄电装置
CN102299281A (zh) 一种电池包连接装置
KR200465409Y1 (ko)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KR101477548B1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200467903Y1 (ko) 전지탭 연결장치
KR101209790B1 (ko) 전지방열용 안전케이스
KR101797690B1 (ko) 절연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버스 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79768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