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357Y1 - 철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 - Google Patents

철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357Y1
KR200465357Y1 KR2020100013555U KR20100013555U KR200465357Y1 KR 200465357 Y1 KR200465357 Y1 KR 200465357Y1 KR 2020100013555 U KR2020100013555 U KR 2020100013555U KR 20100013555 U KR20100013555 U KR 20100013555U KR 200465357 Y1 KR200465357 Y1 KR 200465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ter
boiler
heating
filter
wa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953U (ko
Inventor
정은찬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3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35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9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3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0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 B01D39/12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of wire gauze; of knitted wire; of expande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32Magnetic separation acting on the medium containing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e.g. magneto-gravimetric-, magnetohydrostatic-, or magnetohydrodynamic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2/00Liquid heaters and vaporizers
    • Y10S122/13Tubes - composition and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의 난방환수관에 설치되는 난방수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환수되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은 물론 특히 철 성분의 이물질까지 걸러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일러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서로 다른 선상으로 형성된 경사진 경로가 형성된 난방환수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난방수에 섞인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과 포집부가 형성된 난방수 필터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 필터의 거름망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부에 순환되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철 성분의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걸러내는 자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A circulation water filter for a boiler with iron removal}
본 고안은 보일러의 난방환수관에 설치되는 난방수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환수되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은 물론 특히 철 성분의 이물질까지 걸러 낼 수 있도록 한 철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난방이나 온수를 제공받을 수 있는 수단의 일환으로 연소되는 연료에 따라 가스보일러나 기름보일러 등과 같은 보일러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보일러는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을 난방에 이용하거나 또는 온수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난방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상적인 보일러(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부에 난방환수관(120)을 거쳐 난방수가 저장되는 물탱크(130)가 구비되고, 물탱크(130)에 저장된 물이 순환모터(140)에 의해 열교환부(150)로 공급되며, 열교환부(150)에서 가열된 난방수가 건물내에 구비되는 난방배관을 통하여 순환되다가 난방환수관(120)을 거쳐 다시 물탱크(130)로 환수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순환되는 난방수에는 배관을 통하여 순환되는 과정에서 배관의 부식된 조각이나 물이끼 등의 각종 이물질이 난방수에 섞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이물질은 보일러의 배관을 막아 보일러의 고장 원인이 되거나, 작동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됨으로써, 보일러에 구비된 난방환수관에 난방수 필터를 장착하여 난방수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난방환수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통상적인 난방수 필터는, 보일러에 구비된 난방환수관에 수평 상태로 삽입되어 난방환수관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난방수는 난방수 필터를 통과한 후 배출구를 통하여 이물질이 필터링된 상태로 난방환수관으로 순환된다. 이때,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난방수는 난방수 필터의 거름망을 거치게 됨에 따라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난방환수관에 수평으로 설치된 종래의 난방수 필터는 난방수가 유입되고 통과하는 방향이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됨에 따라 거름망의 입도 보다 작은 이물질은 그대로 통과하여 보일러의 각종 배관이나 기기 등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해 보일러의 여러 배관이나 순환펌프나 삼방변 등과 같은 각종 기기로 유입됨으로 인해 내구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난방환수관에 설치되는 난방수 필터를 난방수의 순환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이물질이 필터를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포집되도록 특허출원 제10-2009-57159호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에 기재한 바와 같이 난방환수관에 설치되는 난방수 필터를 사선으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즉 난방환수관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다른 선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그 서로 다른 선상으로 위치한 부분에 난방수 필터를 경사진 사선으로 설치한 것이다.
그에 따라 난방수가 유입구로 유입된 후 난방수 필터의 거름망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출구 측으로 직접 통과되지 못하고 난방수 필터의 거름망에 걸려진 후 포집부로 포집되어 짐에 따라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보일러의 각 배관이나 각종 기기로 유입시키지 않는 장점을 가졌다.
그러나, 상기 난방수에는 각종 이물질 중에서도 보일러의 각 배관이니 특히 난방배관에서 부식 등으로 인해 발생한 철 성분을 갖는 산화철 등도 포함되어 있는 관계로, 이러한 산화철 중에서도 입도가 큰 것은 난방수 필터의 거름망에서 걸러지지만 입도가 작은 것을 난방수와 함께 계속하여 순환되는 것으로, 보일러의 각 배관이나 여러 기기 중에서도 순환펌프나 삼방변 등과 같은 기기 내로 산화철이 유입될 경우 작동에 심각한 오류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산화철이 순환되는 과정에서 일정 부분으로 지속적으로 쌓이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결국 산화철이 쌓인 부분으로 인해 난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난방환수관에 설치되어 환수되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은 물론 특히 철 성분의 이물질까지 걸러 낼 수 있도록 한 철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성체의 탈착 또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일러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서로 다른 선상으로 형성된 경사진 경로가 형성된 난방환수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난방수에 섞인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과 포집부가 형성된 난방수 필터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 필터의 거름망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부에 순환되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철 성분의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걸러내는 자성체를 구비하되, 상기 자성체는 포집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나선과 상기 자성체의 외측면에 상기 나선과 대응되는 형태의 나선이 형성되는 탈착부에 의해 탈착되게 구비되며, 상기 자성체에는 탈착시 사용되는 드라이버 또는 육각 렌지와 같은 도구를 결합하기 위한 홈 또는 돌기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은, 난방환수관에 설치되어 환수되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은 물론 특히 철 성분의 이물질까지 걸러 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철 성분의 이물질로 인한 보일러의 각 배관이나 각종 기기의 내구성을 최대한 길게 확보함에 따라 유지보수 등과 같은 뛰어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자성체의 탈착 또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집된 철 성분의 이물질 제거도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이 난방환수관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이 분해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일반적인 보일러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난방환수관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이 분해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에 난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입구(122)와 배출구(124)가 서로 다른 선상으로 형성된 경사진 경로가 형성된 난방환수관(120)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난방수에 섞인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102)과 포집부(104)가 형성된 난방수 필터(100)에 있어서,
본 고안은, 난방환수관에 설치되어 환수되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은 물론 특히 철 성분의 이물질까지 걸러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지게 설치된 난방수 필터(100)의 거름망(102)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부(104)에 순환되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배관 부식에 의한 산화철 등과 같은 철 성분의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걸러내는 자성체(10)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미설명 부호 16은 패킹으로 자성체를 포집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난방환수관(120)의 유입구(122)와 배출구(124)가 서로 다른 선상으로 형성된 경사진 경로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난방수 필터(100)의 거름망(102)에 의해 난방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은 거름망 부분에서 난방수의 경로 변경에 따른 하중에 의해 그냥 통과되지 못하고 포집부(104)로 포집되어 각종 이물질이 원활하게 포집되어 진다.
아울러,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배관 부식 등으로 인해 발생한 산화철 등과 같은 철 성분 또한 포집부(104)에 구비되는 자성체(10)의 자력에 의해 거름망(102) 부분에서 난방수와 같이 통과되는 것이 아니라 자력의 당김력으로 인해 자성체로 달라붙게 됨에 따라 난방수와 함께 통과하지 못하고 포집되어 지는 것이다.
이로써, 본 고안은 난방환수관(120)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난방수 필터(100)에 의해 각종 이물질을 최대한 난방수와 같이 순환되지 못하게 걸러줌과 동시에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철 성분의 이물질 또한 순환되지 못하도록 걸러줌으로써, 난방수를 최대한 청정한 상태로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보일러와 연결되는 각 난방배관은 물론 보일러 내의 각 배관과 함께 각종 기기 또한 이상 없이 오랜 내구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자성체(10)는 포집부(104)의 내측면과 그 자성체(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탈착부(12)에 의해 탈착되게 구비되는 것이, 즉 포집부(104)에 각종 이물질이나 특히 자성체(10)에 의해 포집된 철 성분의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탈착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탈착부(12)는 포집부(104)의 내측면에 나선을 형성하거나 삽입하여 회전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 등을 형성하고, 자성체(10)의 외측면에는 상기 나선이나 고정홈과 대응되는 나선이나 돌기 등을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이나 특히 철 성분의 이물질이 쌓여 이를 제거하고자 할 때 상기 포집부(104)로부터 자성체(10)를 탈착부(12)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하여 원활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자성체(10)에 의해 철 성분의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시기는, 상기 난방환수관(120)에 설치된 난방수 필터(100)를 통하여 통과하는 난방수의 양을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즉 감지센서 등을 통하여 난방수의 흐름에 체크하여 정상일 때와 비정상일 때를, 즉 포집부(104)로 각종 이물질이 쌓이거나 특히 자성체(10)에 의해 철 성분의 이물질이 쌓여 난방수의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는 시점에서 보일러에 구비된 제어부나 표시부 등을 통하여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난방수 필터(100)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10)에는 탈착시 사용되는 드라이버나 육각 렌지 등과 같 도구를 결합하기 위한 홈이나 돌기 등과 같은 결합부(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포집부(104)에 구비된 자성체(10)로 철 성분의 이물질이 쌓였을 때, 상기 자성체(10)에 형성되는 결합부(14)에 따라 필요로 하는 도구를 선택하여 포집부(104)로부터 자성체(10)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원활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1 : 보일러
10 : 자성체 12 : 탈착부
14 : 결합부 16 : 패킹
100 : 난방수 필터 102 : 거름망
104 : 포집부 120 : 난방환수관
122 : 유입구 124 : 배출구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보일러(1)에 유입구(122)와 배출구(124)가 서로 다른 선상으로 형성된 경사진 경로가 형성된 난방환수관(120)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난방수에 섞인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102)과 포집부(104)가 형성된 난방수 필터(100)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 필터(100)의 거름망(102)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부(104)에 순환되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철 성분의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걸러내는 자성체(10)를 구비하되,
    상기 자성체(10)는 상기 포집부(104)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나선과 상기 자성체(10)의 외측면에 상기 나선과 대응되는 형태의 나선이 형성되는 탈착부(12)에 의해 탈착되게 구비되며,
    상기 자성체(10)에는 탈착시 사용되는 드라이버 또는 육각 렌지와 같은 도구를 결합하기 위한 홈 또는 돌기 형태의 결합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
KR2020100013555U 2010-12-29 2010-12-29 철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 KR200465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55U KR200465357Y1 (ko) 2010-12-29 2010-12-29 철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55U KR200465357Y1 (ko) 2010-12-29 2010-12-29 철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53U KR20120004953U (ko) 2012-07-09
KR200465357Y1 true KR200465357Y1 (ko) 2013-02-14

Family

ID=4685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555U KR200465357Y1 (ko) 2010-12-29 2010-12-29 철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35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591A (ko) * 2004-09-25 2006-03-30 주식회사 롯데기공 밀폐형 보일러용 난방환수조인트
KR20080105486A (ko) * 2007-05-31 2008-12-04 김규원 보일러용 기수분리기
JP2009137258A (ja) * 2007-12-10 2009-06-25 Stolz Co Ltd ラインフィルタ
JP2010144977A (ja) * 2008-12-17 2010-07-01 Mitsubishi Electric Corp 水循環装置及び異物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591A (ko) * 2004-09-25 2006-03-30 주식회사 롯데기공 밀폐형 보일러용 난방환수조인트
KR20080105486A (ko) * 2007-05-31 2008-12-04 김규원 보일러용 기수분리기
JP2009137258A (ja) * 2007-12-10 2009-06-25 Stolz Co Ltd ラインフィルタ
JP2010144977A (ja) * 2008-12-17 2010-07-01 Mitsubishi Electric Corp 水循環装置及び異物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53U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64680C (en) Fluid treatment
US202102605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circulating in a plumbing and heating system
CN207614480U (zh) 一种过滤器
CN203123646U (zh) 一体式自洁过滤器
CN102974165A (zh) 离心式油净化装置
KR200465357Y1 (ko) 철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
KR101082964B1 (ko) 스케일 제거기능을 갖춘 온수분배기
JP2019076846A (ja) ストレーナ
CN203139733U (zh) 反冲洗导流除污器
CN104353277A (zh) 螺旋式除气排污器
KR101561529B1 (ko)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CN204208346U (zh) 具有旋流反洗功能的过滤设备
KR101191383B1 (ko)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
CN203123656U (zh) 自力式反冲洗过滤器
KR101145854B1 (ko) 팽창탱크와 필터장치의 결합구조 및 필터장치
KR20080017073A (ko)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온수여과기
CN205803142U (zh) 一种污水处理用的污水处理装置
CN203123679U (zh) 法兰式自洁过滤器
CN201366277Y (zh) 反冲洗直通过滤器
KR101635751B1 (ko)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CN102309879A (zh) 滤片型过滤器
CN107167004A (zh) 新型板式换热器
KR101179760B1 (ko) 팽창탱크와 필터장치의 결합구조 및 필터장치
KR101269197B1 (ko) 수처리용 이온필터
JP3128280U (ja) 水冷エンジンの冷却水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