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262Y1 - 간격맞춤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스탠드 - Google Patents

간격맞춤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262Y1
KR200465262Y1 KR2020120009784U KR20120009784U KR200465262Y1 KR 200465262 Y1 KR200465262 Y1 KR 200465262Y1 KR 2020120009784 U KR2020120009784 U KR 2020120009784U KR 20120009784 U KR20120009784 U KR 20120009784U KR 200465262 Y1 KR200465262 Y1 KR 200465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ubject
control unit
current posi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해
Original Assignee
한용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해 filed Critical 한용해
Priority to KR2020120009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2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사체로부터 일정한 이동 간격으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간격맞춤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엑스레이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간격맞춤용 센서는 상기 피사체를 향해 초음파 또는 광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송신부와;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의 신호로부터 상기 피사체로부터의 최초 시작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피사체로부터 이동함에 따라 측정되는 현재위치와 상기 시작위치의 간격이 기 설정된 목표치의 정수배에 도달할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알림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대상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간격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격맞춤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스탠드{SENSOR FOR MATCHING INTERVAL AND X-RAY STAND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이동체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간격맞춤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상체의 종류를 특정하지 않더라도 특정 대상체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예는 어디에서든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엑스레이 스탠드(1)의 경우에도 엑스레이 촬영용 패널(2)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인체의 여러 부분을 촬영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패널(2)을 이동시키면서 촬영을 수행할 경우, 상하 중첩되는 부분을 최소화하고 상하 촬영된 필름 간의 연결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패널(2)을 그 촬영면적의 높이(H)만큼 일정하게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동으로 패널(2)을 이동시키거나 자동으로 이동시킨다고 하더라도 그 촬영되는 간격, 즉 상기 높이(H)만큼 일정하게 이동시키기가 쉽지 않았다.
이런 관계로, 때때로 스탠드 기둥(3)에 눈금을 표시해가며 이 눈금에 맞추어 이동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대상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간격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간격맞춤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스탠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피사체로부터 일정한 이동 간격으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간격맞춤용 센서로서, 상기 피사체를 향해 초음파 또는 광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송신부와;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의 신호로부터 상기 피사체로부터의 최초 시작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피사체로부터 이동함에 따라 측정되는 현재위치와 상기 시작위치의 간격이 기 설정된 목표치의 정수배에 도달할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는 간격맞춤용 센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시작위치와 함께 상기 현재위치를 대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위치가 상기 목표치의 정수배에 도달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스피커를 통해 단계적으로 차별화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위치가 상기 시작위치 또는 상기 목표치의 정수배로부터 이웃하는 상기 목표치의 정수배에 도달되기까지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멜로디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간격맞춤용 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의 최소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체 동작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의 적정 전압에 못 미칠 경우 상기 알림수단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엑스레이 촬영용 패널을 구비하는 엑스레이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부착되는 간격맞춤용 센서로서, 상기 엑스레이 스탠드가 놓여지는 실내의 천정을 향해 초음파 또는 광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송신부와, 상기 천정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의 신호로부터 상기 천정으로부터의 최초 시작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패널의 상하 이동에 따라 측정되는 현재위치와 상기 시작위치의 간격이 상기 패널의 상하 촬영 간격의 정수배에 도달할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는 간격맞춤용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스탠드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격맞춤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엑스레이 스탠드에 의하면, 피사체로부터의 시작위치에서 시작하여 현재위치가 기 설정되는 간격, 즉 목표치의 정수배에 도달할 때마다 알림수단이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사체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대상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간격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엑스레이 스탠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맞춤용 센서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도 2의 간격맞춤용 센서가 부착된 엑스레이 스탠드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 5는 도 2의 간격맞춤용 센서의 블록구성도,
도 6은 도 5의 블록구성에 따른 작동순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맞춤용 센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케이스(11)의 일측 표면에 온/오프 및 리셋(reset) 제어를 위한 스위치(12)가 장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상측면으로는 초음파 또는 광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송신부(13a)와 수신부(13b)가 배치된다.
송신부(13a)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는 피사체에 반사된 후 수신부(13b)로 수신되며 이를 통해 센서(10)와 피사체 간의 거리가 측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간격맞춤용 센서(10)는 이동체,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레이 스탠드(1) 측 패널(2)에 부착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 상태에서 센서(10)는 상기 송신부(13a)와 수신부(13b)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실내의 천정(즉, 피사체)에 부딪혀 반사됨으로써 이동체인 패널(2)이 상하 이동되어야 할 정확한 간격(도 1의 H)을 알려준다.
이를 위해, 간격맞춤용 센서(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13a)와 수신부(13b)를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구동부(13), 이 센서구동부(13)를 제어하고 감지된 신호로부터 피사체(4)와의 거리를 측정하며 설정되는 목표치와 비교하기 위한 제어부(14), 측정된 거리 및 설정된 목표치를 표시하는 표시부(15), 측정된 거리와 목표치 간의 일치 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스피커(16) 및 상기 제어부(14)로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17)를 포함한다.
상호간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14)에서는 센서구동부(13)로 트리거(trigger) 신호를 보내고, 센서구동부(13)에서는 트리거 신호를 받아 송신부(13a)를 통해 초음파 또는 광 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신호는 피사체(4)에 조사되고 이때 반사된 신호는 수신부(13b)를 통해 수신되며, 센서구동부(13)는 이를 파형 정형하여 제어부(14)로 보낸다.
제어부(14)에서는 반사된 신호로부터 시간을 계산하여 피사체(4)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때, 이동체의 이동으로 피사체(4)의 위치가 변경되면 반사되는 신호의 시간도 달라지므로 변화된 거리를 알 수 있다.
제어부(14)에 설정되는 목표치, 즉 간격(H)과 상기 변화되는 거리는 표시부(15)를 통하여 표시된다.
이상과 같은 작동방식을 갖는 간격맞춤용 센서(10)가 이동체, 본 실시예에서는 엑스레이 스탠드(도 1의 1)의 패널(2)에 설치되어 동작되는 순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이를 도 5와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스위치(12)를 온 시키면(S1) 제어부(14)가 초기화되고(S2) 배터리(17)의 전압상태를 확인한다(S3).
배터리(17)의 전압이 최소 기준치 이하로 아주 낮은 전압일 경우에는(S4->S10) 센서(10)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전체 동작을 정지시킨다(S10).
이때, 배터리(17)의 전압이 상기 최소 기준치보다 높기는 하나 적정 전압에 못 미칠 경우에는 배터리(17)의 교체 내지 충전을 환기시켜 주기 위해 표시부(15)를 점멸 제어한다.
배터리(17)의 전압이 상기 최소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S5)로서 피사체(4)의 시작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동체(2)의 이동에 따라 피사체(4)의 현재위치를 검출하고(S6), 저장된 목표치(H)로부터 남은 목표거리를 계산한다(S7).
이동체(2)의 계속적인 이동에 따라 목표점, 즉 시작위치+H에 접근하면(S8), 표시부(15) 및 스피커(16)를 통해 목표에 도달되었음을 표시한다(S9). 아직 목표점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이동체(2)의 현재위치, 구체적으로는 목표치(H)에의 도달 정도를 대비 표시한다. 이는 시작위치에서부터 이동체(2)가 이동한 거리 / 목표치(H)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4)는 이동체(2)가 상기 목표치(H)에 도달되는 정도에 따라 스피커(16)를 통해 단계적으로 차별화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레미파솔라시도의 멜로디를 발생시키되 이동이 시작되는 시작위치에서 낮은 도의 멜로디로부터 목표점에 도달할 때 높은 도의 멜로디까지 순차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목표점에 도달한 이동체(2)가 다시 이동할 경우에는 2차 목표치(H+H)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S3 내지 S11의 과정을 반복한다. 즉, 제어부(14)는 이동체(2)가 시작위치로부터 H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각 목표치에 도달할 때마다 표시부(15) 및 스피커(16)를 통해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간격맞춤용 센서(10)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 엑스레이 스탠드 2: 패널
10: 간격맞춤용 센서 11: 케이스
12: 스위치 13: 센서구동부
13a: 송신부 13b: 수신부
14: 제어부 15: 표시부
16: 스피커 17: 배터리

Claims (8)

  1. 피사체로부터 일정한 이동 간격으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간격맞춤용 센서로서,
    상기 피사체를 향해 초음파 또는 광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송신부와;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의 신호로부터 상기 피사체로부터의 최초 시작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피사체로부터 이동함에 따라 측정되는 현재위치와 상기 시작위치의 간격이 기 설정된 목표치의 정수배에 도달할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는 간격맞춤용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시작위치와 함께 상기 현재위치를 대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맞춤용 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맞춤용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위치가 상기 목표치의 정수배에 도달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스피커를 통해 단계적으로 차별화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맞춤용 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위치가 상기 시작위치 또는 상기 목표치의 정수배로부터 이웃하는 상기 목표치의 정수배에 도달되기까지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멜로디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맞춤용 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의 최소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체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맞춤용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의 적정 전압에 못 미칠 경우 상기 알림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맞춤용 센서.
  8. 상하로 이동 가능한 엑스레이 촬영용 패널을 구비하는 엑스레이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부착되는 간격맞춤용 센서로서, 상기 엑스레이 스탠드가 놓여지는 실내의 천정을 향해 초음파 또는 광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송신부와, 상기 천정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의 신호로부터 상기 천정으로부터의 최초 시작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패널의 상하 이동에 따라 측정되는 현재위치와 상기 시작위치의 간격이 상기 패널의 상하 촬영 간격의 정수배에 도달할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는 간격맞춤용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스탠드.
KR2020120009784U 2012-10-29 2012-10-29 간격맞춤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스탠드 KR200465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784U KR200465262Y1 (ko) 2012-10-29 2012-10-29 간격맞춤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784U KR200465262Y1 (ko) 2012-10-29 2012-10-29 간격맞춤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262Y1 true KR200465262Y1 (ko) 2013-02-08

Family

ID=5136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784U KR200465262Y1 (ko) 2012-10-29 2012-10-29 간격맞춤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26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415A (ko) * 2005-12-08 2008-10-08 피터 에스 러블리 적외선 치아 촬영
KR20100122269A (ko) * 2009-05-12 2010-11-22 (주)세현 엑스레이 검출장치 및 이를 갖는 엑스레이 검출시스템
KR20120080449A (ko) * 2011-01-07 2012-07-17 주식회사 휴먼레이 구강 내외 겸용 x-선 촬영 장치
KR20120095460A (ko) * 2009-12-01 2012-08-28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이동식 베이스 및 이와 같은 이동식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x선 기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415A (ko) * 2005-12-08 2008-10-08 피터 에스 러블리 적외선 치아 촬영
KR20100122269A (ko) * 2009-05-12 2010-11-22 (주)세현 엑스레이 검출장치 및 이를 갖는 엑스레이 검출시스템
KR20120095460A (ko) * 2009-12-01 2012-08-28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이동식 베이스 및 이와 같은 이동식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x선 기계
KR20120080449A (ko) * 2011-01-07 2012-07-17 주식회사 휴먼레이 구강 내외 겸용 x-선 촬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2570B2 (en) X-ray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CN109789526B (zh) 手持式工具系统
US9314216B2 (en) Arrangement for intra-oral X-ray imaging
RU2014149085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с интерфейсом пользователя, применяемые в аппарате с сенсорным экраном, и аппарат с сенсорным экраном
US104264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adiography
EP3093194A3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carrier means
JP6106683B2 (ja) 長さ測定装置
JP2009210334A5 (ko)
EP2667627A3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508876A3 (en) Image projection method and device
KR20170053061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방법
JP2004258029A (ja) 移動通信端末機の受信感度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7528700A (ja) 追跡方法及び追跡システム
CN110441826B (zh) 传感器的示教方法和非可见光传感器
KR200456597Y1 (ko)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측정장치
US20130181132A1 (en) Intrus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8895603B (zh) 送风设备及其送风控制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JP5897728B2 (ja) X線ポジショニング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CN108286813B (zh) 电热水器及其控制方法
KR200465262Y1 (ko) 간격맞춤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스탠드
EP3321713A1 (en) Laser range finder
CN106915182B (zh) 自矫正握笔姿势的笔
KR20120121479A (ko) 하나 이상의 표적 영상촬영을 통하여 수평 및 수직의 변위를 측정하는 시스템 장치
JP2013174425A5 (ko)
JP2008309891A (ja) プロジェク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