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139Y1 - 골프용 스윙 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용 스윙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139Y1
KR200465139Y1 KR2020120003312U KR20120003312U KR200465139Y1 KR 200465139 Y1 KR200465139 Y1 KR 200465139Y1 KR 2020120003312 U KR2020120003312 U KR 2020120003312U KR 20120003312 U KR20120003312 U KR 20120003312U KR 200465139 Y1 KR200465139 Y1 KR 200465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weight
golf
tubular shaft
exerci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티
Priority to KR2020120003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골프용 스윙 연습기(2)는, 0.9~1.2m 길이와 500~530g 무게를 갖는 관체형 샤프트(10)를 구비하되 관체형 샤프트(10)의 양측단에 좌우 핸드그립(12)(14)이 각기 장착되고 관체형 샤프트(10)의 양측단의 무게를 서로 다르게 하여 경량부(A)와 중량부(B)를 형성하므로, 사용자가 무거운 부분과 가벼운 부분을 구분해 스윙에 활용함에 따라 자연스러운 스윙파워 증대와 스윙 스피드 향상, 이상적인 스윙면(swing plane) 재연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용 스윙 연습기{GOLF TRANING SWING SHAFT}
본 고안은 골프용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용 스윙 연습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골프가 대중화되면서 사람들이 골프장을 찾고 있으며 초보자나 시간이 여의치 않은 사람들은 골프 연습장을 자주 이용하고 있다.
골프를 잘치고 골프클럽으로 스윙 연습을 하다가 다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스윙 자세가 잘 익혀야하며 자신의 드라이버 비거리를 늘이기 위해서도 스윙 자세를 더욱 잘 익혀야 한다.
골프스윙을 연습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와 제품 개발이 많이 이루어져 있으며, 선행기술문헌중 특허관련 문헌의 일예로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0975호 "편을 이용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구"가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은 골프를 배우는 아마추어들이 백스윙에서 피니쉬 자세까지 스스로 연습하여 연습과정에서 잘못된 부분을 스스로 인지하고 교정할 수 있도록 하여 좋은 골프스윙을 익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구에 관한 것으로, 골프의 표준 핸드그립보다 긴 길이의 샤프트에 골프 핸드그립을 장착하고 샤프트의 하단에 연질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약간 넓적한 채찍 형태의 편을 연결 설치하여 구성되며, 골퍼의 숙련도에 따라 길이와 무게가 다른 편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골프스윙 연습기구는 휴대가 간편하여 혼자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고 플라스틱 재질의 편을 사용하므로 연습시 골프공, 티 또는 종이뭉치 등의 목표물을 칠수도 있어 자신의 스윙패스가 정확한지 스스로 점검하면서 정확한 스윙을 익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아마추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지 몰라도 골프스윙을 골프장이나 연습장에서 실제로 하는 사람이 스윙 감각을 익히고 스윙 파워를 증대시키고 스윙 스피드를 향상시키며, 또 스윙 하려는 사람이 다치지 않게 몸을 푸는 데에 도움을 주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봉체형태로 된 1개의 스윙 연습기로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골프용 스윙 연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프스윙 연습을 함에 있어 다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스윙 자세를 완성할 수 있고 비거리 향상하는 연습도 가능한 골프용 스윙 연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골프용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0.9~1.2m 길이를 갖는 관체형 샤프트(10)를 구비하되 관체형 샤프트(10)의 양측단에 좌우 핸드그립(12)(14)이 각기 장착되고 관체형 샤프트(10)의 양측단의 무게를 서로 다르게 하여 경량부(A)와 중량부(B)가 형성되며, 전체 무게가 500~530g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관체형 샤프트(10)의 양측단중 중량부(B)는 관체에 중량물 밸랜서(16)가 내장되어 구성하며 경량부(A)는 빈 관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좌우 핸드그립(12)(14)은 고무재질 손잡이부과 손잡이부 재질보다 내구성이 강한 수지재 캡부로 구성하며, 중량물 밸랜서(16)는 관체내에서 접착제로 접합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스윙 샤프트 양쪽을 서로 다른 무게로 형성하여서 사용자가 무거운 부분과 가벼운 부분을 구분해 스윙에 활용함에 따라 자연스러운 스윙 파워 증대와 스핑 스피드 향상, 이상적인 스윙평면(swing plane) 재연을 도모하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타깃방향을 일정하게 서게 하기 위한 정렬용 막대용도나 스트레칭봉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연습기 샤프트 두개를 이용하면 퍼팅연습시 퍼팅 경로를 안내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용 스윙 연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스윙 연습기의 경량부 확대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스윙 연습기의 중량부 확대 단면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용 스윙 연습기(2)는 단순한 형태의 봉체로만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실내외 어디든지 실제의 골프 스윙감각을 익힐 수 있어 자세부분과 스윙부분에 대한 골퍼의 고민 해소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골프용 스윙 연습기(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기와 같은 관체형 샤프트(10)를 구비한다.
관체형 샤프트(10)의 길이, 즉 골프용 스윙 연습기(2)의 길이는 일반 골프클럽의 길이에 비해 조금 더 긴 0.9~1.2m이지만, 캐디백에 충분히 들어갈 수 있어 사용자가 스윙 연습기(2)를 소지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다.
골프용 스윙 연습기(2)의 길이는 주니어, 여성일반, 남성일반, 프로선수용으로 구분하고 0.9~1.2m 길이범위 내에서 분류될 수 있다.
골프용 스윙 연습기(2)의 무게는 500~530g가 적당하며, 그 무게 역시도 주니어, 여성일반, 남성일반, 프로선수용으로 구분하고 500~530g 무게범위 내에서 분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관체형 샤프트(10)를 갖는 골프용 스윙 연습기(2)의 길이와 무게 범위는 일반 골프클럽에 비해 조금 더 길고 캐디백에 충분히 들어갈 수 있어서 소지의 편리성이 있음은 물론이고 1개의 스윙 연습기(2)로 자연스러운 스윙 파워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바른 스윙을 통해 스윙 스피드를 향상되게 함에 있어 유효하다는 것에 그 임계적 의의가 있다.
본 고안의 관체형 샤프트(10)는 스텐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판재를 롤성형하여서 제작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골프용 스윙 연습기(2)를 구성하는 관체형 샤프트(10)의 양측단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좌우 핸드그립(12)(14)을 각기 장착한다.
본 고안에 따라 더욱 중요하게는, 관체형 샤프트(10)의 양측단의 무게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형 샤프트(10)의 일측단에는 경량부(A)가 마련되게 함과 아울러 관체형 샤프트(10)의 타측단에는 중량부(B)가 마련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관체형 샤프트(10)의 양측단 무게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도록 구성함에 있어, 관체형 샤프트(10)의 양측단중 중량부(B)에는 도 3 및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샤프트(10)의 타측단 관체에 중량물 밸랜서(16)가 내장되게 하며, 경량부(A)에는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샤프트(10)의 일측단을 빈 관체로 그냥 두는 것이다.
중량부(B)를 마련하는데 소용되는 중량물 밸랜서(16)는 샤프트(10)의 관체 타측단(도 3의 관점에서는 우측)으로 삽입되어지되 우선 열경화성수지인 호마이카와 같은 접착성이 강한 접착제를 먼저 밀어 넣고 약간 건조후 중량물 밸랜서(16)를 샤프트(10)의 타측 관체에 억지 끼움하는 것이며, 그 다음에는 관체형 샤프트(10)의 우측단에 핸드그립(14)를 끼워서 우측의 핸드그립(14)이 결착 고정되게 한다.
관체형 샤프트(10)의 일측단(도 3의 관점에서 좌측)으로는 관체 속이 빈 상태로 좌측의 핸드그립(12)이 바로 끼워져 결착고정된다.
좌우의 핸드그립(12)(14)은 고무재질 손잡이부와 손잡이부 재질보다 내구성이 강한 수지재 캡부로 구성한다. 핸드그립(12)(14)의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우레탄과 같은 일예의 고무재질은 부드럽고 편안한 에지 그립력을 제공하며, 핸드그립(12)(14)의 내구성 강한 수지재 캡부는 스윙시 그립단부가 바닥에 닿거나 타격 충격이 있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내장된 중량물 밸랜서(16)가 충격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오는 것의 방지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스윙 연습기(2)는 하나의 봉체로만 구성된 것이지만 하기와 같은 골프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1) 사용자가 스윙 연습기(2)의 중량부(B) 부분을 아래로 해서 스윙하면 스윙에 필요한 근육을 강화시켜 주므로 자연스럽게 스윙 파워가 증대된다.
2) 사용자가 스윙 연습기(2)의 경량부(A) 부분을 아래로 해서 스윙하면 바른 스윙을 통해 스윙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또 스윙 연습기(2)의 경량부(A) 부분을 아래로 해서 스윙을 하면 이상적인 스윙 평면(swing plane)을 재연하기 용이하다.
4) 본 고안의 스윙 연습기(2)는 타깃방향을 일정하게 서도록 하기 위한 정렬막대(aligment stick)로 사용이 가능하며, 스트레칭시 스트레칭봉으로 사용해도 매우 효과적이다.
5) 스윙 연습기(2) 샤프트 1개 또는 2개를 사용하여서 퍼팅 연습에 활용하면 최적의 퍼팅 안내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골프용 스윙 연습기(2)를 두꺼운 지관으로 된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하게 되면 포장이 깔끔하고 고급스러워 행사용 기념품이나 선물용으로 적합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골프용 스윙 연습기 (10)-- 관체형 샤프트
(12)(14)-- 핸드그립 (16)-- 중량물 밸랜서
(A)-- 경량부 (B)-- 중량부

Claims (3)

  1. 골프용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일반 골프클럽 보다는 길면서도 일반 캐디백에는 들어갈 수 있도록 0.9~1.2m 길이를 갖는 관체형 샤프트(10)를 구비하며 관체형 샤프트(10)의 양측단에 서로 동일한 좌우 핸드그립(12)(14)을 각기 장착하되, 관체형 샤프트(10)의 양측단의 무게를 서로 다르게 하여서 경량부(A)와 중량부(B)를 형성하고 관체형 샤프트(10)의 양측단중 일측의 중량부(B)는 관체내에서 접착제로 접합 고정된 중량물 밸랜서(16)를 내장하여서 구성하며 타측의 경량부(A)는 속빈 관체로 형성하며 좌우 핸드그립(12)(14)은 고무재질 손잡이부와 손잡이부 재질보다 내구성이 강한 수지재 캡부로 구성하여서 그립단부에 타격 충격이 있어도 중량물 밸랜서(16)가 외부로 튀어나옴이 방지되게 하고, 스윙 연습기(2)의 전체 무게가 500~530g를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스윙 연습기.
  2. 삭제
  3. 삭제
KR2020120003312U 2012-04-23 2012-04-23 골프용 스윙 연습기 KR200465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312U KR200465139Y1 (ko) 2012-04-23 2012-04-23 골프용 스윙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312U KR200465139Y1 (ko) 2012-04-23 2012-04-23 골프용 스윙 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139Y1 true KR200465139Y1 (ko) 2013-02-07

Family

ID=5136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312U KR200465139Y1 (ko) 2012-04-23 2012-04-23 골프용 스윙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13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814B1 (ko) 2019-11-22 2020-04-03 조성민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159451B1 (ko) 2019-05-02 2020-09-23 조성민 골프 스윙 연습기
KR20200127342A (ko)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제이빅 골프 스윙 연습기
KR20220027406A (ko) * 2020-08-27 2022-03-08 조범기 골프 스윙연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850A (ja) * 1998-06-29 2000-01-18 Yuji Yamamoto 練習用ゴルフクラブ
KR200432280Y1 (ko) 2006-09-21 2006-12-04 조근휘 골프용 스윙 연습장치
JP2010178943A (ja) * 2009-02-06 2010-08-19 Japana Co Ltd ゴルフ練習具
KR20100008326U (ko) * 2009-02-12 2010-08-20 최민섭 스윙 연습용 배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850A (ja) * 1998-06-29 2000-01-18 Yuji Yamamoto 練習用ゴルフクラブ
KR200432280Y1 (ko) 2006-09-21 2006-12-04 조근휘 골프용 스윙 연습장치
JP2010178943A (ja) * 2009-02-06 2010-08-19 Japana Co Ltd ゴルフ練習具
KR20100008326U (ko) * 2009-02-12 2010-08-20 최민섭 스윙 연습용 배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451B1 (ko) 2019-05-02 2020-09-23 조성민 골프 스윙 연습기
KR20200127342A (ko)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제이빅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096814B1 (ko) 2019-11-22 2020-04-03 조성민 골프 스윙 연습기
KR20220027406A (ko) * 2020-08-27 2022-03-08 조범기 골프 스윙연습기
KR102458865B1 (ko) * 2020-08-27 2022-10-25 조범기 골프 스윙연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12911A (ja) バッティングスウィングトレーニングマシン並びに方法
US7762913B1 (en) Bat training device
US20040048696A1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KR200465139Y1 (ko) 골프용 스윙 연습기
KR101359481B1 (ko) 골프스윙연습기
US20070232420A1 (en) Ball hitting training device
US20040259698A1 (en) Exercise and stretching pol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691702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CN204543466U (zh) 羽毛球击球点位置训练器
US20110092307A1 (en) Golf training aid having multiple functions
KR101732175B1 (ko) 골프 스윙 연습겸용 다용도 우산
US20120035004A1 (en) Dual handle baseball bat
CN201500420U (zh) 高尔夫球杆标准手型握把
US201201156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sketball defense training, football interception training, and physical therapy
CN101005882A (zh) 一种用于离心高尔夫挥杆的高尔夫球杆
WO2013134872A1 (en) Golf swing training club
KR20100000975U (ko) 편(鞭)을 이용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구
US20190015724A1 (en) Golf swing core basic training assisting device
US10004966B1 (en) Towel trainer
KR200461622Y1 (ko) 배드민턴용 손잡이
KR102413723B1 (ko) 롤러 골프 자세교정기
KR102214797B1 (ko) 골프 클럽의 그립
TWI625149B (zh) 高爾夫球揮桿平面校正儀(第二案)
KR20110006506U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1927626B1 (ko)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