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125Y1 - 회전디스크의 회전 관성을 이용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회전디스크의 회전 관성을 이용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125Y1
KR200465125Y1 KR2020100005191U KR20100005191U KR200465125Y1 KR 200465125 Y1 KR200465125 Y1 KR 200465125Y1 KR 2020100005191 U KR2020100005191 U KR 2020100005191U KR 20100005191 U KR20100005191 U KR 20100005191U KR 200465125 Y1 KR200465125 Y1 KR 200465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isk
rope
hole
insertion tube
cent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928U (ko
Inventor
김기수
김영숙
Original Assignee
김영숙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숙, 김기수 filed Critical 김영숙
Priority to KR2020100005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125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9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9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1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by overcoming gyroscopic forces, e.g. by turning the spi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디스크의 회전관성에 의해 꼬인 로프가 풀리도록 힘을 가하면서 운동하도록 구성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복수의 구멍들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같은 거리에 대칭되게 형성된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구멍을 관통한 로프와, 상기 회전디스크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로프의 양단부가 묶이는 걸이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디스크의 회전 관성을 이용한 운동기구{Exercise Device using Rotary Inertia of Spin Disk}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디스크의 회전관성에 의해 꼬인 로프가 풀리도록 힘을 가하면서 운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팔과 어깨 및 가슴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완력기를 이용한다.
완력기는 두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2개의 봉이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스프링이 상기 봉들을 연결한 구조이며, 2개의 봉이 안쪽으로 모이도록 힘을 줌으로써 팔과 어깨 및 가슴 근육을 단련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완력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과 스프링 등으로 연결된 구조로서, 접어 휴대하기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완력기가 위치한 장소에서만 운동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휴대하기 간편하여 어디에서든 재미있게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디스크의 중량 및 상기 회전디스크를 관통한 로프의 위치에 따라 운동량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복수의 구멍들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같은 거리에 대칭되게 형성된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구멍을 관통한 로프와, 상기 회전디스크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로프의 양단부가 묶이는 걸이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디스크는 원판 구조로서, 상기 중심점을 지나는 직경 상에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각각 제1구멍들과 제2구멍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멍들을 연결하는 직경과 상기 제2구멍을 연결하는 직경은 상호 직각을 이룬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제1구멍까지의 거리와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제2구멍까지의 거리는 상호 다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심점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동기구는 복수 개의 회전디스크들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는 양단이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공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길이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의 양단이 끼워진 2개의 회전디스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관의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롯들이 상기 삽입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의 양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의 단부가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공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걸림턱이 회전디스크의 바깥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디스크가 상기 삽입관에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이부는 원형 또는 삼각형상의 고리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멍들 중 대칭되는 위치의 구멍들 간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멍과 상기 통로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로프가 넘어가야 하는 걸림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로는 말단부가 구부러진 형태로서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구멍까지의 직선거리가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통로의 최장 직선거리보다 짧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프에는 스토퍼가 장착되어 상기 회전디스크가 상기 로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회전디스크와 손으로 파지하는 2개의 고리가 유연한 로프로 연결되어 있어 휴대하기에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회전디스크들을 연결구로 연결할 수 있어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회전디스크를 관통한 로프의 위치를 바꿔 운동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체력에 맞는 운동량으로 조정하여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디스크를 관통하는 로프를 제1구멍에서 제2구멍으로 옮길 때에 제1구멍과 제2구멍을 연결하는 통로를 통해 쉽게 옮길 수 있어 로프를 풀지 않고 구멍을 교체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디스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운동기구로 운동하기 위해 회전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과 같이 회전디스크가 회전에 의해 로프가 꼬인 상태에서 인장을 반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구성인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결구를 이용하여 2개의 회전디스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회전디스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디스크의 회전관성을 이용한 운동기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디스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운동기구로 운동하기 위해 회전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과 같이 회전디스크가 회전에 의해 로프가 꼬인 상태에서 인장을 반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한 구성인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결구를 이용하여 2개의 회전디스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구(100)는 옥돌, 알루미늄합금 등의 재질로서 중량의 회전디스크(110)와, 상기 회전디스크(110)를 관통한 로프(120)와, 상기 회전디스크(110)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로프(120)의 양단이 각각 묶여 결속되는 걸이부인 2개의 고리(130L, 130R)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운동기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디스크(110)는 중량의 옥돌,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질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 구조이며, 원판의 가장자리를 모따기 또는 라운드 가공되어 회전디스크(110)가 고속 회전할 때에 접하더라도 상해를 입지 않도록 가공된다.
그리고 회전디스크(110)의 직경 상에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는 거리에 제1구멍(111)들이 각각 형성되며, 다른 직경 상에는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는 거리에 제2구멍(112)들이 각각 형성되며, 2개의 제1구멍(111)과 2개의 제2구멍(112) 외에 다른 직경 상에 다른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구멍(111)들을 연결하는 직경과 제2구멍(112)들을 연결하는 직경은 상호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심점에서 제1구멍(111)까지의 거리와 제2구멍(112)까지의 거리는 상호 다르다. 그리고 회전디스크(110)에는 중공(115)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115)에는 연결구(140)가 끼워져 2개의 회전디스크(110)를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2가닥의 로프(120)가 2개의 제1구멍(111)을 각각 관통한 상태에서 로프(120)의 양단을 좌측 고리(130L)와 우측 고리(130R)에 각각 묶어 고정한다. 만약 1가닥의 로프를 이용할 경우에는 1가닥의 로프의 반을 접어 양단을 2개의 제1구멍(111)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접혀진 단부를 좌측 고리(130L) 또는 우측 고리(130R) 어느 한 쪽 고리에 묶어 고정하고 로프(120)의 양단을 다른 한 쪽의 고리에 묶어 고정한다.
여기서, 고리(130L, 130R)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삼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원형 고리는 고리를 파지하는 손가락의 개수에 상관없이 안정되게 고리를 파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삼각 형상의 고리는 4개의 손가락으로 고리를 파지할 경우 가장 안정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고리(130L)와 우측 고리(130R)를 각각 좌측 손과 우측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좌측 고리(130L)와 우측 고리(130R)의 거리를 가깝게 이동시키면 로프(120)가 느슨해지면서 회전디스크(110)의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로프(120)에 위치한 회전디스크(110)가 사용자 양팔 안쪽에서 원을 그리며 회전하도록 좌측 고리(130L)와 우측 고리(130R)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디스크(110)가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면 제1구멍(111)을 관통한 로프(120)가 꼬이는데, 도 4에 보이듯이 회전디스크(1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로프(120)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꼬이게 된다.
로프(120)가 꼬이면서 회전디스크(110)의 회전반경은 점차 작아지게 되며 로프(120)의 꼬인 길이가 회전디스크(110)와 가까워지면, 사용자는 좌측 고리(130L)와 우측 고리(130R)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양팔을 벌린다. 이때 로프(120)는 꼬여 있기 때문에 로프(120)가 바깥쪽으로 인장되면 회전디스크(110)는 초기에 사용자가 회전시켰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꼬인 로프(120)를 풀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디스크(110)는 꼬인 로프(120)가 완전히 풀릴 때까지 회전한 후, 회전관성에 의해 더 회전하면서 완전히 풀린 로프(120)를 풀었던 방향으로 다시 꼬게 된다. 이렇게 로프(120)가 다시 꼬이면서 회전디스크(110)와 고리(130L, 130R)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로프(12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는데, 이때 사용자는 양팔이 좁혀지는 방향을 힘을 받게 된다.
회전디스크(110)의 관성에 의해 꼬인 로프(120)를 사용자가 푸는 방향으로 가한 힘과 로프(120)가 꼬이면서 안쪽으로 당기는 힘이 반복되면서 운동을 계속 수행한다.
한편 회전디스크(110)의 중량과 사용자가 가하는 힘은 비례하게 된다. 즉 회전디스크(110)가 중량이 클 경우 관성에 의해 로프(120)를 많이 꼬게 되고 꼬인 로프(120)를 풀기 위해 로프 바깥방향으로 당기는 힘 또한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디스크(110)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회전디스크(110)를 연결구(140)로 연결하여 복수 개의 회전디스크(110)들을 장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보이듯이 연결구(140)는 회전디스크(110)의 중공(115)에 삽입되는 삽입관(141)과, 상기 삽입관(141)의 길이 중간에 형성된 스페이서(147)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관(141)에는 그 길이의 양단에 각각 걸림턱(143)이 바깥쪽으로 형성되며, 삽입관(141)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롯(145)들이 삽입관(141)의 원주를 따라 등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관(141)의 단부를 회전디스크(110)의 중공(115)에 삽입함에 있어서 걸림턱(143)이 중공(115)에 삽입되면 삽입관(141)의 단부가 안쪽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좁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관(141)의 단부가 회전디스크(110)의 중공(115)에 완전히 삽입되어 스페이서(147)에 회전디스크(110)가 접하면 걸림턱(143)은 회전디스크(110)의 중공(115)을 관통해 회전디스크(110)의 바깥측면에 걸리면서 회전디스크(110)가 연결구(140)에 장착된다. 즉 걸림턱(143)은 상기 삽입관(141)의 양단에 끼워진 회전디스크(110)의 이탈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연결구(140)의 양측에 회전디스크(110)를 각각 장착한 상태에서 두 회전디스크(110)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47)가 위치한다. 상기 스페이서(147)가 두 회전디스크(110)가 떨어져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디스크(110)가 회전할 시에 상호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연결구(140)에 의해 2개의 회전디스크(1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1구멍(111)과 제2구멍(112)을 대응하게 조정하고, 로프(120)를 제1구멍(111)에 끼우거나 제2구멍(112)에 끼워 좌측 고리(130L)와 우측 고리(130R)에 묶어 고정한다.
여기에서 제1구멍(111)과 제2구멍(112)은 중공(115)에서 상호 거리가 다르게 형성되는데, 중공(115)에서 거리가 먼 구멍에 로프(120)를 끼워 운동할수록 운동량이 증가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디스크(110)에는 2개의 제1구멍(111)을 연결하는 통로(117)와 2개의 제2구멍(112)을 연결하는 통로(117)가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로(117)가 형성된 경우, 제1구멍(111)에 끼워진 로프(120)는 통로(117)를 통해 제2구멍(112)으로 간편하게 옮길 수 있다. 이 때, 제1구멍(111) 또는 제2구멍(112)에 끼워진 로프(120)가 운동 중에 통로(117)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 구멍(111, 112)과 통로(117)가 접하는 연결부위에는 걸림부(11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로(117)의 말단부는 갈고리 모양을 이뤄, 회전디스크(110)의 중심점에서 제1구멍(111) 또는 제2구멍(112)의 직선거리가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통로(117)의 최장 직선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140)로 2개의 회전디스크(110)를 연결한 상태에서, 제1구멍(111)에 위치한 로프(120)를 제2구멍(112)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연결구(140)에서 2개의 회전디스크(110)를 분리한 상태에서 제1구멍(111)에 위치한 로프(120)를 통로(117)와 중공(115)을 통해 제2구멍(112)으로 옮긴 다음, 연결구(140)의 양단에 회전디스크(110)를 각각 끼우고 연결된 회전디스크(110)를 회전시켜 운동한다.
앞에서 설명한 운동기구(100)에는 스토퍼 및 원심력에 의해 발광하는 LED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스토퍼는 로프(120)에 감기는 고무줄 또는 로프를 묶어 형성한 매듭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를 회전디스크(110)의 측면에 근접하게 위치해 둠으로써, 회전디스크(110)가 회전하는 중에 로프(120)의 한 쪽 단부 즉 좌측 고리(130L) 또는 우측 고리(130R) 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운동 중에 로프(120)를 수직 또는 사선으로 기울이면 회전디스크(110)가 중량에 의해 낮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회전디스크(110)가 로프(120)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좌측과 우측의 꼬인 로프(120)의 길이가 달라지면서 회전력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회전디스크(110)를 관통한 로프(120)에는 회전디스크(110)의 이동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총 4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디스크(110)에는 LED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LED모듈은 팽이 또는 요요 등의 놀이기구에 이미 상용화된 것으로서 원심력에 의해 스위치가 탄성 변형되어 접속되면 LED모듈에 장착된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LED가 발광한다. 이와 같은 구성인 이미 상용화된 것으로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100 : 운동기구
110 : 회전디스크
111 : 제1구멍
112 : 제2구멍
115 : 중공
117 : 통로
119 : 걸림부
120 : 로프
130L : 좌측 고리
130R : 우측 고리
140 : 연결구
141 : 삽입관
143 : 걸림턱
145 : 슬롯
147 : 스페이서

Claims (12)

  1. 삭제
  2. 복수의 구멍들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같은 거리에 대칭되게 형성된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구멍을 관통한 로프와,
    상기 회전디스크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로프의 양단부가 묶이는 걸이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디스크는 원판 구조로서, 상기 중심점을 지나는 직경 상에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각각 제1구멍들과 제2구멍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멍들을 연결하는 직경과 상기 제2구멍을 연결하는 직경은 상호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제1구멍까지의 거리와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제2구멍까지의 거리는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4.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심점에는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는 복수 개의 회전디스크들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양단이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공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길이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의 양단이 끼워진 2개의 회전디스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롯들이 상기 삽입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의 양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의 단부가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공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걸림턱이 회전디스크의 바깥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디스크가 상기 삽입관에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원형 또는 삼각 형상의 고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9.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 중 대칭되는 위치의 구멍들 간에 이들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과 상기 통로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로프가 넘어가야 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말단부가 구부러진 형태로서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구멍까지의 직선거리가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통로의 최장 직선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에는 스토퍼가 장착되어 상기 회전디스크가 상기 로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KR2020100005191U 2010-05-18 2010-05-18 회전디스크의 회전 관성을 이용한 운동기구 KR200465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91U KR200465125Y1 (ko) 2010-05-18 2010-05-18 회전디스크의 회전 관성을 이용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91U KR200465125Y1 (ko) 2010-05-18 2010-05-18 회전디스크의 회전 관성을 이용한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928U KR20110010928U (ko) 2011-11-24
KR200465125Y1 true KR200465125Y1 (ko) 2013-02-07

Family

ID=5136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191U KR200465125Y1 (ko) 2010-05-18 2010-05-18 회전디스크의 회전 관성을 이용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1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407B1 (ko) * 2019-06-04 2020-01-08 박재현 원반던지기 게임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462Y1 (ko) * 1998-02-26 2000-05-01 유병혁 관성을 이용한 운동구
JP2003236015A (ja) * 2002-02-19 2003-08-26 Shizuko Kogasaki 運動機能回復用治療用具
JP2005118497A (ja) * 2003-10-15 2005-05-12 Chikako Hebiguchi 運動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462Y1 (ko) * 1998-02-26 2000-05-01 유병혁 관성을 이용한 운동구
JP2003236015A (ja) * 2002-02-19 2003-08-26 Shizuko Kogasaki 運動機能回復用治療用具
JP2005118497A (ja) * 2003-10-15 2005-05-12 Chikako Hebiguchi 運動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407B1 (ko) * 2019-06-04 2020-01-08 박재현 원반던지기 게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928U (ko)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3032A (en) Segmented elastic cable exerciser bar
US20140228180A1 (en) Multi-function Jump Rope and Resistance Band
US7316636B1 (en) Impinged retention exercise assembly
US9387355B1 (en) Exercise machine with resistive elements having multiple physical configurations
US5533952A (en) Hand grip assembly for cross-country exerciser or similarly-gripped exercise equipment
US9789357B2 (en) Full body exercise equipment
US7951022B2 (en) Racket and projectile game
US6482137B2 (en) Inertia exercise machine
US4326708A (en) Method for using elastic cable exercizer bar
US11648436B2 (en) Exercise apparatus including weight bar
JP5997436B2 (ja) 運動競技のスイングトレーニング器具とその使用方法
US20090197711A1 (en) Lacrosse ball and stick practice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65125Y1 (ko) 회전디스크의 회전 관성을 이용한 운동기구
US8597068B1 (en) Safe spinning button necklace toy
US1686890A (en) Exerciser
US4003575A (en) Amusement and exercise device
US20150005143A1 (en) Resistance exerciser hand grip and cord anchoring device
US20100015883A1 (en) Magic Button
KR200360368Y1 (ko) 줄 길이 조절이 용이한 줄넘기 손잡이.
US9072934B2 (en) Exercise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20120329616A1 (en) Hand-held isokinetic-exercise ring
JP5718333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US20020065177A1 (en) Dynamic energy converter
KR102135165B1 (ko) 줄넘기기가 용이한 줄넘기
CN202409933U (zh) 安全型跳绳手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