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090Y1 -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 Google Patents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090Y1
KR200465090Y1 KR2020120011053U KR20120011053U KR200465090Y1 KR 200465090 Y1 KR200465090 Y1 KR 200465090Y1 KR 2020120011053 U KR2020120011053 U KR 2020120011053U KR 20120011053 U KR20120011053 U KR 20120011053U KR 200465090 Y1 KR200465090 Y1 KR 200465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ring
close contact
retainer
turntable
centr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광림특장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림특장공업(주) filed Critical 광림특장공업(주)
Priority to KR2020120011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0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턴테이블에 구비된 베어링의 내륜과, 붐 베이스에 구비된 중앙파이프의 사이 틈새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진공흡입청소차의 진공회수탱크에 고정되게 설치된 턴테이블 베이스;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에 고정되게 설치된 내륜과, 상기 내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붐 베이스와 결합되어 흡입용 붐과 함께 회전하는 외륜으로 구성된 베어링; 상기 붐 베이스로부터 진공회수탱크의 내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중앙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된 구조를 갖도록 상기 내륜에 설치되어 내륜과 중앙파이프의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1 리테이너; 및 상기 제1 리테이너의 하부에서 중앙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된 구조를 갖도록 상기 내륜에 설치되어 내륜과 중앙파이프의 사이로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2 리테이너로 구성된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Turn table for suction boom of vacuum truck}
본 고안은 오물이나 오수등을 회수하는 진공흡입청소차의 흡입용 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턴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턴테이블과 흡입용 붐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진공흡입청소차는 진공펌프의 구동에 의하여 진공회수탱크 내에 형성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도로나 하수관의 오물이나 오수를 진공회수탱크에 수거하는 차량이다.
상기 진공회수탱크의 상단부에는 오물이나 오수의 흡입을 위한 호스를 지지하는 흡입용 붐이 설치되며, 상기 흡입용 붐은 좌우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청소작업이 요구되는 위치로 호스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흡입용 붐을 요구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흡입용 붐과 진공회수탱크는 턴테이블을 매개로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에 의하여 흡입용 붐이 지지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턴테이블은 턴테이블 베이스(20)와, 베어링(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20)는 베어링(30)을 지지하도록 진공회수탱크(10)의 상단부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며,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 지지파이프(21)가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30)은 주지된 바와 같이 내륜(31)과 외륜(32)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륜(31)은 턴테이블 베이스(2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외륜(32)은 내륜(31)과 결합되어 회전함과 더불어 흡입용 붐(40)의 붐 베이스(41)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상기 붐 베이스(41)의 하단부에는 베어링(30)의 내륜(31)을 관통하여 지지파이프(21)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중앙파이프(4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턴테이블은 베어링의 내륜(3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며, 이로 인하여 진공회수탱크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어링의 내륜(31)은 턴테이블 베이스(20)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된 반면, 붐 베이스(41)에 형성된 중앙파이프(42)는 흡입용 붐(40)과 함께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내륜(31)과 중앙파이프(42)는 분리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오물이나 오수의 회수를 위하여 진공회수탱크에 진공압이 형성되면, 내륜(31)과 중앙파이프(42)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진공회수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로 인하여 진공회수탱크의 흡입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펌프나 흡입관로의 이상으로 인하여 진공회수탱크의 내부 압력이 순간적으로 상승하거나, 또는 진공회수탱크에 저장된 오물이나 오수의 배출을 위하여 진공회수탱크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내륜(31)과 중앙파이프(4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진공회수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므로, 압력 손실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이고 진공회수탱크 내부의 악취가 공기와 함께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턴테이블에 구비된 베어링의 내륜과, 붐 베이스에 구비된 중앙파이프의 사이 틈새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독립적으로 가공된 별도의 기어를 외륜에 조립하여 흡입용 붐의 좌우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모터로부터 전달받도록 함으로써, 기어의 마모나 파손시 베어링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기어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진공흡입청소차의 진공회수탱크에 고정되게 설치된 턴테이블 베이스;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에 고정되게 설치된 내륜과, 상기 내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붐 베이스와 결합되어 흡입용 붐과 함께 회전하는 외륜으로 구성된 베어링; 상기 붐 베이스로부터 진공회수탱크의 내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중앙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된 구조를 갖도록 상기 내륜에 설치되어 내륜과 중앙파이프의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1 리테이너; 및 상기 제1 리테이너의 하부에서 중앙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된 구조를 갖도록 상기 내륜에 설치되어 내륜과 중앙파이프의 사이로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2 리테이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리테이너가, 상기 내륜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하단부에서 턴테이블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내측 끝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중앙파이프의 외면과 밀착되는 제1 밀착부; 및 상기 제1 밀착부에 설치되어 제1 밀착부가 중앙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밀착부를 지지하는 제1 탄성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밀착부는 진공회수탱크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중앙파이프의 외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변형되게 구성된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을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중앙파이프의 외면과 마주하는 제1 밀착부의 내측면은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하여 중앙파이프에 더 근접한 구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2 리테이너가, 상기 내륜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의 상단부에서 턴테이블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의 내측 끝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중앙파이프의 외면과 밀착되는 제2 밀착부; 및 상기 제2 밀착부에 설치되어 제2 밀착부가 중앙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밀착부를 지지하는 제2 탄성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밀착부는 진공회수탱크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중앙파이프의 외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변형되게 구성된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중앙파이프의 외면과 마주하는 제2 밀착부의 내측면은 하단부가 상단부에 비하여 중앙파이프에 더 근접한 구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제2 리테이너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내륜의 내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붐 베이스와 외륜을 결속하도록 체결되는 볼트에 의하여 외륜에 조립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를 더 포함하는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진공회수탱크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내륜과 중앙파이프의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줌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진공압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내부 공기의 유출로 인한 압력 손실이나 악취의 확산과 같은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어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기어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높이고,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에 의하여 흡입용 붐이 지지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이 적용된 진공흡입청소차의 진공회수탱크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리테이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리테이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리테이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리테이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리테이너가 진공회수탱크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중앙파이프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리테이너가 진공회수탱크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중앙파이프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이 적용된 진공흡입청소차의 진공회수탱크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리테이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리테이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리테이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리테이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턴테이블(100)은 진공흡입청소차의 진공회수탱크(10)에 설치되어 흡입용 붐(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진공회수탱크(10)의 내외부 압력차로 인하여 외부 공기가 턴테이블을 통하여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 공기가 턴테이블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턴테이블 베이스(110), 베어링(120), 제1 리테이너(130), 제2 리테이너(140)로 구성된다.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110)는 진공회수탱크(10)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어 베어링(120) 및 붐 베이스(41)에 형성된 중앙파이프(42)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턴테이블 베이스(110)는 진공회수탱크(10)에 형성된 유입구(11)에 용접되며, 진공회수탱크(10)의 내외부 양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지지파이프(111)와, 상기 지지파이프(111)의 상단부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된 지지플레이트(11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파이프(111)의 내부로는 붐 베이스(41)의 중앙파이프(42)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12)의 상면에는 베어링(120)이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120)은 내륜(121)과 외륜(122)으로 구성되며, 내륜(121)과 외륜(122)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볼(123)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내륜(121)은 볼트 체결에 의하여 지지플레이트(112)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외륜(122)은 다수개의 볼(123)을 사이에 두고 내륜(121)과 결합되어 내륜(12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외륜(122)의 상단부에는 붐 베이스(41)가 조립되어 외륜(122)과 붐 베이스(41) 및 흡입용 붐(40)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종래에는 베어링(120)의 외륜(122)에 기어를 일체형으로 가공하여 사용하지만, 본 고안은 별도로 제조된 기어(150)를 외륜(122)에 볼트로 조립하여 기어(150)의 마모나 손상으로 인하여 기어(150)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기어(150)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외륜(122)에 조립된 기어(15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151)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흡입용 붐(40)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외륜(122)의 상단부에 기어(150)와 함께 조립되는 붐 베이스(41)의 하단부에는 내륜(121)을 관통하여 지지파이프(111)로 삽입되는 중앙파이프(42)가 구비되며, 붐 베이스(41)의 상단부에는 오물이나 오수의 수거하는 호스(H)를 지지하는 붐 구조물(43)이 설치되어 흡입용 붐(40)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 리테이너(130)는 내륜(12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진공회수탱크(10)의 외부 공기가 내륜(12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 틈새를 통하여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리테이너(130)는 제1 고정부(131), 제1 연장부(132), 제1 밀착부(133), 제1 탄성링(134)으로 구성되며, 진공회수탱크(1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변형되면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억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부(131)는 내륜(12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형의 링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제1 고정부(131)는 제1 리테이너(130)가 내륜(121)과 억지끼움에 의해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연장부(132)는 제1 고정부(131)의 하단부에서 턴테이블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밀착부(133)는 제1 연장부(132)의 내측 끝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처럼 형성되는 제1 밀착부(133)의 상단부에는 제1 탄성링(134)의 설치를 위한 홈(1331)이 원주를 따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밀착부(133)는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밀착되어 외부 공기가 내륜(12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 틈새를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게 되며, 외부 공기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파이프(42)의 외면과 마주하는 제1 밀착부(133)의 내측면(133a)은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하여 중앙파이프(42)에 더 근접한 구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탄성링(134)은 제1 밀착부(133)에 형성된 홈(1331)에 삽입되어 제1 밀착부(133)가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밀착부(133)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1 탄성링(134)은 스프링 선재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며, 일부분(134a)이 절개된 구조를 갖는 원형의 링으로써, 제1 밀착부(133)가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제1 밀착부(133)를 내측방향으로 압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고정부(131)와 제1 연장부(132) 및 제1 밀착부(133)는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리테이너(130)는 진공회수탱크(10)에 진공압이 형성된 경우, 진공회수탱크(1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제1 밀착부(133)가 A방향으로 변형되며, 이러한 제1 밀착부(133)의 변형에 의하여 제1 밀착부(133)가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리테이너(140)는 제1 리테이너(130)의 하부에서 내륜(12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 공기가 내륜(12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리테이너(140)는 제2 고정부(141), 제2 연장부(142), 제2 밀착부(143), 제2 탄성링(144)으로 구성되며, 진공회수탱크(1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변형되면서 내부 공기의 유출을 억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고정부(141)는 내륜(121)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형의 링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제2 고정부(141)는 제2 리테이너(140)가 내륜(121)과 억지끼움에 의해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장부(142)는 제2 고정부(141)의 상단부에서 턴테이블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밀착부(143)는 제2 연장부(142)의 내측 끝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처럼 형성되는 제2 밀착부(143)의 하단부에는 제2 탄성링(144)의 설치를 위한 홈(1431)이 원주를 따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밀착부(143)는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밀착되어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 공기가 내륜(12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게 되며, 내부 공기의 유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파이프(42)의 외면과 마주하는 제2 밀착부(143)의 내측면(143a)은 하단부가 상단부에 비하여 중앙파이프(42)에 더 근접한 구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탄성링(144)은 제2 밀착부(143)에 형성된 홈(1431)에 삽입되어 제2 밀착부(143)가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밀착부(143)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2 탄성링(144)은 스프링 선재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며, 일부분(144a)이 절개된 구조를 갖는 원형의 링으로써, 제2 밀착부(143)가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제2 밀착부(143)를 내측방향으로 압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고정부(141)와 제2 연장부(142) 및 제2 밀착부(143)는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리테이너(140)는 진공펌프나 흡입관로의 이상으로 인하여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 압력이 순간적으로 상승하거나, 또는 진공회수탱크(10)에 저장된 오물이나 오수의 배출을 위하여 진공회수탱크(1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진공회수탱크(1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제2 밀착부(143)가 B방향으로 변형되며, 이러한 제2 밀착부(143)의 변형에 의하여 제2 밀착부(143)가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내부 공기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턴테이블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리테이너(130)와 제2 리테이너(140)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제1 리테이너(130)와 제2 리테이너(140)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며, 두 개의 리테이너가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상하로 배치한 것에 의하여 제1,2 리테이너가 구성된다.
한편, 제1 리테이너(130)와 제2 리테이너(140)가 진공회수탱크(1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제1,2 리테이너가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돌고 하기 위한 스페이서(16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스페이서(160)는 제1 리테이너(130)와 제2 리테이너(14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내륜(121)의 내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리테이너가 진공회수탱크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중앙파이프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은 흡입용 붐(40)의 좌우 회전을 위한 모터의 구동시, 기어(150)와 외륜(122) 및 붐 베이스(41)가 회전함으로써 흡입용 붐(40)의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오물이나 오수의 수거를 위하여 진공회수탱크(10)에 진공압이 형성된 경우,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에는 외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형성되므로, 제1 리테이너(130)에는 진공회수탱크(10)의 안쪽으로 미는 힘(F1)이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1 리테이너(130)의 제1 밀착부(133)가 A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외부 공기가 내륜(12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 틈새를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리테이너(130)의 변형에 의하여 제1 밀착부(133)가 중앙파이프(42)에 밀착되는 강도는 진공회수탱크(10)의 내외부 압력차의 크기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진공회수탱크(10)의 내외부 압력차가 큰 경우에도 외부 공기의 유입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리테이너가 진공회수탱크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중앙파이프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에 진공압이 아닌 양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 보다 커지게 되므로, 제2 리테이너(140)에는 진공회수탱크(10)의 바깥쪽으로 미는 힘(F2)이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2 리테이너(140)의 제2 밀착부(143)가 변형되면서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보다 긴밀하게 되므로,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은 서로 대칭구조를 갖도록 내륜(12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에 설치된 제1,2 리테이너(130,140)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이나 내부 공기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진공압력의 손실이나, 내부 공기의 유출로 인한 악취의 확산과 같은 문제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진공회수탱크 40: 흡입용 붐
41: 붐 베이스 42: 중앙파이프
110: 턴테이블 베이스 120: 베어링
121: 내륜 122: 외륜
130: 제1 리테이너 131: 제1 고정부
132: 제1 연장부 133: 제1 밀착부
133a: 내측면 134: 제1 탄성링
140: 제2 리테이너 141: 제2 고정부
142: 제2 연장부 143: 제2 밀착부
143a : 내측면 144: 제2 탄성링
150: 기어 160: 스페이서

Claims (7)

  1. 진공흡입청소차의 진공회수탱크(10)에 고정되게 설치된 턴테이블 베이스(110);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110)에 고정되게 설치된 내륜(121)과, 상기 내륜(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붐 베이스(41)와 결합되어 흡입용 붐(40)과 함께 회전하는 외륜(122)으로 구성된 베어링(120);
    상기 붐 베이스(41)로부터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밀착된 구조를 갖도록 상기 내륜(121)에 설치되어 내륜(12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1 리테이너(130); 및
    상기 제1 리테이너(130)의 하부에서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밀착된 구조를 갖도록 상기 내륜(121)에 설치되어 내륜(12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로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2 리테이너(14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리테이너(130)는, 상기 내륜(121)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1 고정부(131); 상기 제1 고정부(131)의 하단부에서 턴테이블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 제1 연장부(132); 상기 제1 연장부(132)의 내측 끝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중앙파이프(42)의 외면과 밀착되는 제1 밀착부(133); 및 상기 제1 밀착부(133)에 설치되어 제1 밀착부(133)가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밀착부(133)를 지지하는 제1 탄성링(13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밀착부(133)는 진공회수탱크(1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파이프(42)의 외면과 마주하는 제1 밀착부(133)의 내측면(133a)은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하여 중앙파이프(42)에 더 근접한 구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4. 진공흡입청소차의 진공회수탱크(10)에 고정되게 설치된 턴테이블 베이스(110);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110)에 고정되게 설치된 내륜(121)과, 상기 내륜(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붐 베이스(41)와 결합되어 흡입용 붐(40)과 함께 회전하는 외륜(122)으로 구성된 베어링(120);
    상기 붐 베이스(41)로부터 진공회수탱크(10)의 내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밀착된 구조를 갖도록 상기 내륜(121)에 설치되어 내륜(12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1 리테이너(130); 및
    상기 제1 리테이너(130)의 하부에서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밀착된 구조를 갖도록 상기 내륜(121)에 설치되어 내륜(121)과 중앙파이프(42)의 사이로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2 리테이너(140)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리테이너(140)는, 상기 내륜(121)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2 고정부(141); 상기 제2 고정부(141)의 상단부에서 턴테이블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 제2 연장부(142); 상기 제2 연장부(142)의 내측 끝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중앙파이프(42)의 외면과 밀착되는 제2 밀착부(143); 및 상기 제2 밀착부(143)에 설치되어 제2 밀착부(143)가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밀착부(143)를 지지하는 제2 탄성링(14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밀착부(143)는 진공회수탱크(1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중앙파이프(42)의 외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앙파이프(42)의 외면과 마주하는 제2 밀착부(143)의 내측면(143a)은 하단부가 상단부에 비하여 중앙파이프(42)에 더 근접한 구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130)와 제2 리테이너(14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내륜(121)의 내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스페이서(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붐 베이스(41)와 외륜(122)을 결속하도록 체결되는 볼트에 의하여 외륜(122)에 조립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KR2020120011053U 2012-11-29 2012-11-29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KR200465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053U KR200465090Y1 (ko) 2012-11-29 2012-11-29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053U KR200465090Y1 (ko) 2012-11-29 2012-11-29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090Y1 true KR200465090Y1 (ko) 2013-02-01

Family

ID=5073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053U KR200465090Y1 (ko) 2012-11-29 2012-11-29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09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510B1 (ko) * 1992-09-22 1998-07-01 윤종용 회전식 흡입구체를 가진 진공청소기
KR200399188Y1 (ko) 2005-07-26 2005-10-20 동광기전공업(주) 흡입마우스의 위치조절장치를 구비한 노면 청소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510B1 (ko) * 1992-09-22 1998-07-01 윤종용 회전식 흡입구체를 가진 진공청소기
KR200399188Y1 (ko) 2005-07-26 2005-10-20 동광기전공업(주) 흡입마우스의 위치조절장치를 구비한 노면 청소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9826B (zh) 车辆用座椅滑动装置
CN102883814A (zh) 包括防尘密封件的回转破碎机及装配方法
KR200465090Y1 (ko) 진공흡입청소차용 턴테이블
CN104358951B (zh) 一种长寿命旋转接头
CN211712924U (zh) 一种用于叠螺污泥脱水机的冲洗装置
CN104455851B (zh) 一种能过滤杂质的旋转接头
CN102727141B (zh) 地面自动清洁机构
KR101083801B1 (ko) 자동세차기용 브러시 구조
CN113136895B (zh) 一种组装型坠落缓冲型不锈钢井盖及其组装方法
CN2704567Y (zh) 具有刮刀定位体的皮带清洁器
KR102124836B1 (ko) 기계식 제진기
CN210225120U (zh) 一种双密封结构电机
KR102078247B1 (ko) 세탁기용 오일실 장착 구조 및 세탁기
CN212177413U (zh) 螺杆泵采油密封装置
CN205422869U (zh) 油底壳垫圈总成、汽车发动机及汽车
CN109780724B (zh) 一种用于热泵热水设备的支撑结构
CN214804437U (zh) 一种扫地机挡灰构件
CN211595062U (zh) 一种污水格栅机的清理装置
CN202628224U (zh) 集滤器
CN205042234U (zh) 新型内径流格栅除污机
CN205530639U (zh) 一种用于洗车房的排水槽
CN203970282U (zh) 吸尘器及其滚刷
CN219690390U (zh) 一种降尘结构及公路养护用清扫车
CN220379948U (zh) 一种方便清洁的空气净化器滤网
CN202516381U (zh) 一种截污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