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050Y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050Y1
KR200465050Y1 KR2020070017952U KR20070017952U KR200465050Y1 KR 200465050 Y1 KR200465050 Y1 KR 200465050Y1 KR 2020070017952 U KR2020070017952 U KR 2020070017952U KR 20070017952 U KR20070017952 U KR 20070017952U KR 200465050 Y1 KR200465050 Y1 KR 200465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heat exchanger
air
refrigerant pip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438U (ko
Inventor
가꾸 하야세
박성관
김동현
최용화
임용빈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7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05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being formed of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12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creating turbulence, e.g. by stirring, by increasing the force of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28F3/027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with openings, e.g. louvered corrugated fins; Assemblies of corrugated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28F2215/08Fins with openings, e.g. louvers

Abstract

본 고안의 열교환기는,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관과, 냉매관과 접촉하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 배치된 열교환 핀(fin)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열교환 핀에는, 공기의 유동을 난류화하는 요철부와, 요철부의 일부분에 마련되어 공기의 유동을 냉매관 측으로 안내하여 열교환을 촉진하는 루버(louver)부를 포함하는 착상방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열교환 핀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입체화하는 한편, 공기를 전열관 측으로 유도하여 열교환을 촉진시키고, 열교환 핀에 착상이 진행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고안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 핀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입체화하는 한편, 공기를 전열관 측으로 유도하여 열교환을 촉진시키고, 열교환 핀에 착상이 진행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나 냉장고 등과 같이 냉동사이클을 사용하는 기기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장치로써,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열교환 핀(fin)과, 냉매를 안내하며 다수의 열교환 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냉매관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 핀을 통과하며 열교환하며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난방운전시에는 상대적으로 실외의 온도가 낮으므로 차가운 외부 공기가 열교환 핀을 통과하게 되며, 차가운 외부 공기가 열교환 핀을 통과할 때 공기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가 열교환 핀의 표면에 착상(着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착상이 상당부분 진행되면 열교환기의 작동을 중지하고 제상(除霜)운전 진행하여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6-74605에는 핀 절기부의 하류측 끝부분을 절곡하여, 그 절곡된 끝부분을 하류측에 있는 다음 절기와 핀 사이의 중앙에 오도록 배치함에 따라 선단부에 착상되는 서리에 의한 공기유로 폐색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전술한 일본 공개특허는 절기의 하류측 끝부분을 절곡하여 절기부의 개구부를 확대시킴으로써 착상시의 공기유로 폐색을 경감시킨다고 되어있으나, 이와 같이 끝부분을 구부리는 경우에 한 쪽의 개구부는 확대되지만 반대쪽 개구부는 축소되게 된다. 따라서, 당해 구성으로서는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없음은 물론, 열교환 핀에의 착상 지연 내지는 제상운전까지 걸리는 주기를 단축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열교환 핀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입체화하는 한편, 공기를 전열관 측으로 유도하여 열교환을 촉진시키고, 열교환 핀에 착상이 진행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과 접촉하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 배치된 열교환 핀(fin)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핀에는, 상기 공기의 유동을 난류화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일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을 상기 냉매관 측으로 안내하여 열교환을 촉진하는 루버(louver)부를 포함하는 착상방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루버부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판이 상호 이격되어 나란히 적층되되, 상 기 냉매관과 인접된 부분에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요철부는 사다리꼴의 바닥면이 점차 좁아지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마련되되, 상기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부평탄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착상방지부는 상기 냉매관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각 중심을 잇는 가상선에 대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대칭되는 상기 착상방지부 간의 이격거리는 대칭되는 상기 착상방지부 전체 폭에 대해 0.1 내지 0.3배이며, 상기 바닥면의 일 모서리를 형성하는 단변(短邊)은 상기 바닥면의 일 모서리를 형성하는 장변(長邊)에 대해 0.2 내지 0.4배 이고, 상기 상부평탄면의 일 모서리를 형성하는 장변은 상기 바닥면의 일 모서리를 형성하는 장변에 대해 0.2 내지 0.4배이며, 상기 바닥면의 일 모서리를 형성하는 장변은 상기 가상선의 길이에 대해 0.8 배 이상이고, 상기 요철부의 상기 소정 높이는 상기 열교환 핀의 이격거리에 대해 0.3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착상방지부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는 열교환 핀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입체화하는 한편, 공기를 전열관 측으로 유도하여 열교환을 촉진시키고, 열교환 핀에 착상이 진행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는,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관(20)과, 냉매관(20)과 접촉하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 배치된 열교환 핀(fin,30)을 포함한다.
냉매관(20)은 냉매가 지나는 통로이다. 냉매는 CFC, R-134a 등의 화학물질로서, 공기조화장치(미도시) 내부에서 압축 또는 팽창되면서 순환하며 냉,난방을 가능케 한다. 냉매관(20)은 한정된 공간 내에서 가능한 길게 냉매관(20)을 만들기 위하여 수회 절곡되며 열교환 핀(30)과 접촉된다. 열교환 핀(30)과 접촉되는 제 1열의 냉매관(도 3의 20a, 20b)와 제 2열의 냉매관(도 3의 20c, 20d)은 열교환 성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상호 지그재그로 엇갈려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관(20)은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냉매를 압축 또는 팽창시키며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며, 압축 또는 팽창시에 냉매가 열을 방출 또는 흡수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열교환 핀(30)과 접촉된다.
열교환 핀(30)은 냉매관(20)과 접촉되며 다수개가 핀 이격거리(도 4의 38)만큼 떨어져 마련된다. 냉매관(20)과 열교환 핀(30)이 접촉되어 설치되며, 열교환 핀(30)이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 면적이 넓게 마련되므로 열을 방출,흡수 할 수 있는 부분이 넓어진다. 따라서, 냉매관(20)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열은 냉매관(20)과 열교환 핀(30)을 통하여 열교환 핀(30) 주변을 흐르는 공기로 전달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된다. 이와 같은 효과는, 반대로 열교환 핀(30) 주변을 흐르는 공기의 열이 열교환 핀(30)과 냉매관(20)을 통하여 냉매로 전달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열교환 핀(30)은 공기의 유동방향(F)과 나란하게 복수개가 마련된다. 따 라서, 열교환 핀(30)에 의한 큰 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공기가 열교환 핀(30) 표면을 스쳐서 흐르며 열교환이 촉진된다. 한편, 난방운전시 외부 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공기가 열교환 핀(30)의 흐르는 도중에,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가 열교환 핀(30) 표면에 착상(着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착상방지부(40)가 복수개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착상방지부에 대하여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열교환기 A-A' 방향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열교환 핀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열교환 핀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착상방지부(40)는 실외기에 마련된 열교환 핀(30)의 표면에 복수개 마련된다. 냉매관(20)을 공기의 유동방향(F)을 따라 첫번째 열을 제 1열 냉매관(20a, 20b) 두번째 열을 제 2열 냉매관(20c, 20d)이라 할 때, 착상방지부(40)는 제 1열 냉매관(20a, 20b)의 상호 중심점을 잇는 가상선(32)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마련된다. 수 개의 착상방지부(40)는 그 위치만 상이할 뿐 형상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 1열 냉매관(20a, 20b) 사이에 대칭되도록 마련된 착상방지부(40)를 설명함으로써 제 2열 냉매관(20c, 20d) 등에 마련된 착상방지부(40)들에 대한 설명을 갈음하도록 한다. 착상방지부(40)는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한편, 착상을 지연시켜 열교환 효율을 높게 한다. 착상방지부(40)는 대칭되는 착상방지부(40)의 이격거리(34)가 대칭되는 착상방지부(40)의 전체 폭(36)에 대해 0.1 내지 0.3배의 길이가 되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경우에 그 외의 범위에 비하여 임계적 효과가 발생한다. 착상방지부(40)는 공기의 유동방향(F)과 교차되도록 돌출되어 공기의 유동을 입체 화하는 요철부(50)와, 요철부(50)의 일부분에 마련되어 공기의 유동방향(F)을 냉매관(20) 측으로 안내하는 루버부(louver,60)를 포함한다.
요철부(50)는 열교환 핀(30)의 표면에 형성되며 공기의 유동방향(F)과 교차되도록 사다리꼴의 바닥면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서리를 형성하는 바닥면의 장변(長邊, 56)과 바닥면의 단변(短邊, 54)이 공기의 유동방향(F)에 교차되도록 공기의 유동방향(F)와 대략 직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사다리꼴 형상의 바닥면이 배치된다. 이때, 바닥면의 단변(54)의 길이는 바닥면의 장변(56)의 길이에 대해 0.2 내지 0.4배로 마련되며, 이러한 경우에 그 외의 범위에 비하여 임계적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사다리꼴은 바닥면 면적이 점차 높아지며 요철높이(59)만큼 돌출된다. 바닥면 면적이 점차 높아지며 요철높이(59)만큼 돌출될 때, 요철부(50)는 요철부(50)의 각 면들이 만나는 모서리가 각을 이루며 마련된다. 각진 모서리에 공기가 흐르게 되면 난류가 형성되어 열교환을 촉진하고 착상을 방지한다. 한편, 요철부(50)는 사다리꼴의 바닥면이 점차 좁아지며 형성되되, 상부가 뾰족한 꼭지점을 형성하지 않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요철부(50)의 상면에는 요철부(5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열교환 핀(30)의 표면과 나란한 상부평탄면(52)이 마련된다. 한편, 상부평탄면(52)의 장변(58)의 길이는 바닥면의 장변(56)의 길이에 대해 0.2 내지 0.4배로 마련되고, 바닥면의 장변(56)은 제 1열 냉매관(20a, 20b)의 상호 중심점을 잇는 가상선(32)의 길이에 대하여 0.8배 이상으로 마련되며, 요철부(50)의 요철높이(59)는 핀 이격거리(38)에 대해 0.3배 이상으로 마련되는데, 이와 같은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그 외의 범위 에 비하여 임계적 효과가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요철부(50)가 사다리꼴의 바닥면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면과 면이 만나는 부분에 수개의 요철모서리(51)가 형성되며, 요철모서리(51)는 요철부(50)의 표면을 흐르는 공기를 삼차원화 하여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한편, 사다리꼴 형상의 독특한 요철부(50) 형상으로 인하여 착상지연효과가 발생한다. 요철부(50)에는 루버부(60)가 마련된다.
루버부(60)는 요철부(50)의 일부분에 마련되어 공기의 유동(F)을 냉매관(20) 측으로 유도하여 열교환을 촉진한다. 루버부(60)는 공기의 유동방향(F)에 대하여 요철부(50)의 좌우측에 마련되며, 수개의 안내판(62)이 상호 이격되어 마련된다. 안내판(62)은 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되, 공기의 유동(F)에 의하여 형성된 소기류(FC)가 안내판(62)을 따라 냉매관(20)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냉매관(20)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된다. 루버부(60)에 형성된 안내판(62)에 의하여 냉매관(20) 측으로 소기류(FC)가 흐르게 됨으로써 열교환이 촉진된다.
도 5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수치한정 범위를 뒷받침하는 실험데이터 그래프이다.
도 5의 세로축은 열전달율(Heat Transfer)을 나타내며, 가로축은 압력손실(Pressure Drop)을 나타낸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일한 조건에서 열전달률은 높고 압력손실은 낮을 때 열교환기의 성능은 우수함을 나타내며, 이와 같은 기초에 근거하여 그래프를 살펴보면 그래프의 좌상방측으로 근접할수록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그래프는 착상방지부(이하 도 2의 40)의 수치범위가 상호 상이한 열교환기(십자,동그라미,네모 등으로 표시, 구체적 수치범위 는 도 6의 설명에서 기술함)에 대하여 수회의 반복실험을 통하여 그 결과를 그래프 상에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실험에 근거할 때, D영역으로 표시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들에 비하여 확연히 그래프상에서 가장 좌상방측으로 근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D영역에 분포되는 착상방지부(40)의 수치범위는 대칭되는 착상방지부(40)의 이격거리(이하 도 3의 34)가 대칭되는 착상방지부(40)의 전체 폭(36)에 대해 0.1 내지 0.3배의 길이로 마련되며, 바닥면의 단변(54)의 길이는 바닥면의 장변(56)의 길이에 대해 0.2 내지 0.4배로 마련되고, 상부평탄면(52)의 장변(58)의 길이는 바닥면의 장변(56)의 길이에 대해 0.2 내지 0.4배로 마련되며, 바닥면의 장변(56)은 제 1열 냉매관(20a, 20b)의 상호 중심점을 잇는 가상선(32)의 길이에 대하여 0.8배 이상으로 마련되고, 요철부(50)의 요철높이(59)는 핀 이격거리(38)에 대해 0.3배 이상으로 마련된다.
도 6은 도 1의 열교환기의 수치한정 범위를 뒷받침하는 실험데이터 그래프이다.
도 6의 세로축은 열전달율을 압력손실로 나눈 값이며, 가로축은 분(分) 단위의 시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일한 조건에서 열전달율을 압력손실로 나눈 값이 클수록 열교환기의 성능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기초에 근거하여 그래프를 살펴보면 열교환기를 가동시킨 후 일정시간이 흐른 후에 E1으로 표현된 열교환기의 성능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E1으로 표현된 열교환기에는 상술한 수치범위를 포함한 착상방지부(이하 도 2의 40)가 마련되었다. 상술한 수치범위 내에서 조건을 달리하여 3회 측정한 결과이므로 E1으로 표현된 부분에 그래프가 3개 표현되었으며, 3개의 그래프 모두 다른 조건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한편 E2 내지 E4 각각의 수치범위는, E2의 경우 착상방지부(40)의 수치범위는 대칭되는 착상방지부(40)의 이격거리(이하 도 3의 34)가 대칭되는 착상방지부(40)의 전체 폭(36)에 대해 0.384배의 길이로 마련되며, 바닥면의 단변(54)의 길이는 바닥면의 장변(56)의 길이에 대해 1.111배로 마련되고, 상부평탄면(52)의 장변(58)의 길이는 바닥면의 장변(56)의 길이에 대해 0.96배로 마련되며, 바닥면의 장변(56)은 제 1열 냉매관(20a, 20b)의 상호 중심점을 잇는 가상선(32)의 길이에 대하여 0.298배로 마련되고, 요철부(50)의 요철높이(59)는 핀 이격거리(38)에 대해 0.258배로 마련된다.
E3의 경우 착상방지부(40)의 수치범위는 대칭되는 착상방지부(40)의 이격거리(이하 도 3의 34)가 대칭되는 착상방지부(40)의 전체 폭(36)에 대해 0.167배의 길이로 마련되며, 바닥면의 단변(54)의 길이는 바닥면의 장변(56)의 길이에 대해 0.568배로 마련되고, 상부평탄면(52)의 장변(58)의 길이는 바닥면의 장변(56)의 길이에 대해 1.5배로 마련되며, 바닥면의 장변(56)은 제 1열 냉매관(20a, 20b)의 상호 중심점을 잇는 가상선(32)의 길이에 대하여 0.88배로 마련되고, 요철부(50)의 요철높이(59)는 핀 이격거리(38)에 대해 0.4배로 마련된다.
E4의 경우 착상방지부(40)의 수치범위는 대칭되는 착상방지부(40)의 이격거리(이하 도 3의 34)가 대칭되는 착상방지부(40)의 전체 폭(36)에 대해 0.283배의 길이로 마련되며, 바닥면의 단변(54)의 길이는 바닥면의 장변(56)의 길이에 대해 2.568배로 마련되고, 상부평탄면(52)의 장변(58)의 길이는 바닥면의 장변(56)의 길이에 대해 1.48배로 마련되며, 바닥면의 장변(56)은 제 1열 냉매관(20a, 20b)의 상호 중심점을 잇는 가상선(32)의 길이에 대하여 0.22배로 마련되고, 요철부(50)의 요철높이(59)는 핀 이격거리(38)에 대해 0.649배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고안의 수치한정 범위를 갖는 착상방지부(40)가 외부 온도가 낮은 상황에서 운전되는 경우에도 착상(着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발생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열교환기의 성능을 도시한 결과표이다.
이에는 냉매관(이하 도 4의 20) 직경이 7파이, 7.94파이, 9.52파이인 경우의 열교환기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가 도시되었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분으로 표현된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각 시간의 경우에 열교환기의 소비전력(W)을 나타낸다.
열교환기가 가동되면 열교환기는 전력을 소비하며 난방운전을 수행한다. 그런데 외기의 온도가 현저히 낮은 경우에 열교환 핀(이하 도 2의 30)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가 착상된다. 열교환 핀(30)에 착상이 진행되어 일정수준에 이르면 열교환기를 통한 난방이 불가능해지므로, 열교환기의 작동을 멈추고 제상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제상운전의 수행도중에는 난방운전이 진행되는 경우에 비하여 소비되는 전력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기가 난방운전을 멈추고 제상운전이 수행되는 주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열교환 핀(30)에 착상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가 여부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 기초하여 그래프를 살펴보면, 종래의 7파이나 9.52파이 냉매 관(20)이 마련된 열교환기의 경우에는 냉매관(20)의 직경에 관계없이 약 30여분이 경과하면 열교환 핀(30)에 착상이 상당부분 진행되어 정상적인 난방운전을 진행할 수 없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7.94파이 냉매관(20)에 본 고안의 착상방지부(이하 도 2의 40)를 장착한 열교환기의 경우에는 약 50여분 가까이 경과한 경우에 제상운전이 수행됨을 알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약 1.4배 이상 착상을 지연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착상지연효과는 본 고안의 착상방지부(40) 고유의 형상 및 수치범위로 인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은 도 1의 열교환기의 성능을 도시한 결과표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은 CFD(전산유체역학,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에 의한 방법을 통하여 본 고안의 착상방지부(이하 도 2의 40) 근방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산출한 결과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모서리(도 3의 51)를 지나는 A영역으로 표현된 부분에서 공기의 흐름이 삼차원화됨을 알 수 있다. 공기의 흐름이 층류에서 난류로 삼차원화가 되면서 열교환성능이 향상됨은 물론 착상지연효과가 발생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착상방지부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부분에 마련되어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착상방지부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마련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열교환기 A-A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열교환 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열교환 핀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열교환기의 수치한정 범위를 뒷받침하는 실험데이터그레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열교환기의 성능을 도시한 결과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열교환기 20 : 냉매관
30 : 열교환 핀(fin) 40 : 착상방지부
50 : 요철부 60 : 루버

Claims (5)

  1.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과 접촉하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 배치된 열교환 핀(fin)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 핀에는, 사다리꼴의 바닥면이 점차 좁아지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마련되되, 상기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부평탄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을 난류화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일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을 상기 냉매관 측으로 안내하여 열교환을 촉진하는 루버(louver)부를 포함하는 착상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부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판이 상호 이격되어 나란히 적층되되, 상기 냉매관과 인접된 부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방지부는 상기 냉매관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각 중심을 잇는 가상선에 대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대칭되는 상기 착상방지부 간의 이격거리는 대칭되는 상기 착상방지부 전체 폭에 대해 0.1 내지 0.3배이며,
    상기 바닥면의 일 모서리를 형성하는 단변(短邊)은 상기 바닥면의 일 모서리를 형성하는 장변(長邊)에 대해 0.2 내지 0.4배 이고,
    상기 상부평탄면의 일 모서리를 형성하는 장변은 상기 바닥면의 일 모서리를 형성하는 장변에 대해 0.2 내지 0.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방지부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2020070017952U 2007-11-07 2007-11-07 열교환기 KR200465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952U KR200465050Y1 (ko) 2007-11-07 2007-11-07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952U KR200465050Y1 (ko) 2007-11-07 2007-11-07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38U KR20090004438U (ko) 2009-05-12
KR200465050Y1 true KR200465050Y1 (ko) 2013-01-31

Family

ID=4129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952U KR200465050Y1 (ko) 2007-11-07 2007-11-07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0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839A (ko) 2009-11-20 2011-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5495A (ja) * 1997-10-22 1999-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ィン付き熱交換器
JP2004085013A (ja) * 2002-08-23 2004-03-18 Daikin Ind Ltd 熱交換器
US6786274B2 (en) * 2002-09-12 2004-09-07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Heat exchanger fin having canted lan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5495A (ja) * 1997-10-22 1999-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ィン付き熱交換器
JP2004085013A (ja) * 2002-08-23 2004-03-18 Daikin Ind Ltd 熱交換器
US6786274B2 (en) * 2002-09-12 2004-09-07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Heat exchanger fin having canted l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38U (ko)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647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EP2725311B1 (en) Heat exchanger
US9459053B2 (en) Heat exchanger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9328973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EP1780492B1 (en) Refrigeration unit
CN101619939B (zh) 一种换热器
US20180100659A1 (en) Heat exchanger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07232246A (ja) 熱交換器
EP3018439A1 (en) Fin tube heat exchanger
EP2447656B1 (en) Heat Exchanger with louvered transversal fins
US7299863B2 (en) Louver fin type heat exchanger having improved heat exchange efficiency by controlling water blockage
US4715437A (en) Heat exchanger
WO2017073715A1 (ja) アルミニウム製押出扁平多穴管及び熱交換器
CN102200365A (zh) 冰箱
US20130068437A1 (en) Tube for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ube for Heat Exchanger
JPH08178366A (ja) 熱交換器
KR200465050Y1 (ko) 열교환기
KR20140055945A (ko) 열교환기
JP2011080708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熱交換器を備えた物品貯蔵装置
KR101572674B1 (ko) 배수성이 향상된 방열핀을 이용한 열교환기
EP2224198A1 (en) Fin and tube type heat exchanger
JP2013257095A (ja) フィンレス熱交換器
CN106403388A (zh) 微通道换热器及冰箱、风冷冰箱
WO2018040034A1 (zh) 微通道换热器及风冷冰箱
EP4300026A1 (en) Heat exchange fin,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