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038Y1 - 영유아 운반구 - Google Patents

영유아 운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038Y1
KR200465038Y1 KR2020100001181U KR20100001181U KR200465038Y1 KR 200465038 Y1 KR200465038 Y1 KR 200465038Y1 KR 2020100001181 U KR2020100001181 U KR 2020100001181U KR 20100001181 U KR20100001181 U KR 20100001181U KR 200465038 Y1 KR200465038 Y1 KR 200465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infant
pillow
hea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881U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2020100001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03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8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8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0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2007/0004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운반구는 유아의 신체가 놓여지는 받침막과, 상기 받침막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유아의 신체 좌우 양측 및 두부와 족부를 가리는 측막과, 상기 측막과 인접한 측막 사이를 연결하며 절첩되어 상호 대향하는 연결막과, 상기 측막이 유아의 신체 좌우 양측 및 두부와 족부를 가리도록 상기 연결막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체결되는 고정구와, 상기 받침막에 마련되어 유아의 두부가 안착되는 베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막과 상기 측막과 상기 연결막은 한 평면 상에 일체로 마련되어 영유아의 신체를 감쌀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유아 운반구{CARRYING TOOL FOR INFANT}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펼쳐서 바닥에 깔아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영유아와 함께 외출할 수도 있는 영유아 운반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 가정에서 육아를 하면서도 여가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영유아를 둔 가정에서는 영유아를 동반하여 외출하기 위하여 많은 물품들을 준비한다.
영유아 동반의 외출을 위해서는 예를 들면,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거나 바닥에 깔 담요와, 기저귀, 젖병, 속옷, 그리고 양말 등 잡다한 육아 용품을 준비해야 하며, 전술한 육아 용품을 운반하기 위하여 운반구에 각각 수납하여 이동한다.
그러나, 전술한 육아 용품의 수가 많은 경우는 운반구를 복수로 준비해야 하므로 즉시 찾아내어 사용하기 힘들며, 분실의 우려도 비례하여 높아진다.
그리고, 영유아의 신체를 보온하기 위해서는 담요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만큼 육아 용품의 부피가 늘어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육아 용품을 간편하게 정리하고 영유아와 함께 외출할 수 있으면서 평상시에 신체를 감싸거나 바닥에 깔아서 영유아의 보온을 유지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영유아의 보온을 유지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면서 영유아를 편리하게 동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영유아 운반구와 관련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종류의 육아 용품을 간편하게 정리하여 영유아와 함께 외출할 수 있도록 한 영유아 운반구와 관련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운반구는 영유아의 신체가 놓여지는 받침막과, 전술한 받침막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영유아의 신체 좌우 양측 및 두부와 족부를 가리는 측막과, 전술한 측막과 인접한 측막 사이를 연결하며 절첩되어 상호 대향하는 연결막과, 전술한 측막이 영유아의 신체 좌우 양측 및 두부와 족부를 가리도록 전술한 연결막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체결되는 고정구와, 전술한 받침막에 마련되어 영유아의 두부가 안착되는 베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전술한 받침막과 전술한 측막과 전술한 연결막은 한 평면 상에 일체로 마련되어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거나 바닥에 깔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받침막에는 영유아의 하중을 지지하고 받침막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판이 장착되고, 전술한 베개 어셈블리는 전술한 받침판에 부피를 가변가능하게 장착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측막은 전술한 받침막의 좌우 양측에서 연장하여 영유아의 신체 좌우 양측을 가리는 제1 측막과, 전술한 제1 측막과 직교 방향으로 전술한 받침막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영유아의 두부 및 족부를 가리는 제2 측막을 포함하며, 전술한 연결막은 전술한 제1 측막과 전술한 제2 측막이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고, 전술한 고정구는 전술한 제2 측막과 평행을 이루게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연결막은 전술한 제1 측막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전술한 제1 측막 가장자리의 단부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 제1 연결막과, 전술한 제2 측막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전술한 제2 측막 가장자리의 단부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어 전술한 제1 연결막과 연결되는 제2 연결막을 포함하고, 전술한 제2 연결막은 전술한 제2 측막의 외면에 접하게 절첩되고, 전술한 고정구는 전술한 제1 연결막에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베개 어셈블리는 전술한 받침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영유아의 두부가 거치되는 베개와, 전술한 베개와 전술한 받침판에 각각 장착되어 전술한 베개와 전술한 받침판을 상호 고정시키는 암수 벨크로와, 영유아의 두부 형상에 대응되게 전술한 베개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베개 어셈블리는 전술한 받침판에 마련되어 신축가능한 주머니에 출입 가능하게 수납되고 영유아의 두부가 거치되는 베개와, 전술한 베개와 전술한 받침판에 각각 장착되어 전술한 베개와 전술한 받침판을 상호 고정시키는 암수 벨크로와, 영유아의 두부 형상에 대응되게 전술한 베개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베개 어셈블리는 전술한 받침판에 마련되어 주입되는 에어에 의하여 부피가 가변되는 베개와, 전술한 베개에 마련되어 에어를 주입하는 주입구와, 영유아의 두부 형상에 대응되게 전술한 베개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베개 어셈블리는 전술한 받침판에 마련되어 신축가능한 주머니에 출입 가능하게 수납되고 주입되는 에어에 의하여 부피가 가변되는 베개와, 전술한 베개에 마련되어 에어를 주입하는 주입구와, 영유아의 두부 형상에 대응되게 전술한 베개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유아 운반구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영유아의 신체가 지지되는 받침막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영유아의 신체를 가리는 측막의 각각을 연결막으로 연결하고, 연결막에 장착된 고정구로 고정하여 영유아를 동반하여 외출할 수 있음은 물론, 받침막과 측막과 연결막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거나 바닥에 깔아서 보온 유지를 할 수 있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에 따라 영유아의 보온과 안전한 외출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운반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운반구를 펼쳐서 나타낸 전개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운반구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베개 어셈블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쿠션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운반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운반구를 펼쳐서 나타낸 전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운반구는 받침막(100), 측막(200), 연결막(300), 고정구(400) 및 베개 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받침막(100)은 영유아의 신체가 놓여지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면적은 영유아의 두부(頭部) 및 팔, 다리를 약간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여유를 두고 마련한다.
측막(200)은 받침막(100)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영유아의 신체 좌우 양측 및 두부와 족부를 가리는 것으로, 외부의 충격과 이물질 및 외부 공기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는 차단벽의 역할을 한다.
연결막(300)은 측막(200)과 인접한 측막(200) 사이를 연결하며 절첩되어 상호 대향하는 것으로, 받침막(100)과 측막(200)이 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펼쳐지면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는 담요의 역할을 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연결막(300)은 또한 측막(200)을 전부 받침막(100)과 직교되게 세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후술할 고정구(400)가 장착되는 면적을 제공하면서 전체적으로 측막(200)이 영유아의 하중을 견디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강부재의 역할도 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고정구(400)는 측막(200)이 영유아의 신체 좌우 양측 및 두부와 족부를 가리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결막(300)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체결되는 것이다.
베개 어셈블리(500)는 영유아의 두부가 안착되도록 하여 영유아의 두부가 요동하면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막(100)에 마련된다.
받침막(100)과 측막(200)과 연결막(300)은 도 2와 같이 한 평면 상에 일체로 마련되어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는 담요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보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받침막(100)과 측막(200)과 연결막(300)에는 섬유의 쿠션재 및 단열재를 충진하는 등의 변형 및 응용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고안의 주요부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받침막(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영유아의 신체를 거치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며, 받침막(100)에는 영유아의 하중을 지지하고 받침막(10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판(600)이 장착된다.
받침판(600)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휘어짐에 대한 내구성이 있으면서도 일정한 강도를 지닌 합성수지 합판 또는 하드보드와 같은 재질의 판재를 내장하고 영유아의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에는 쿠션재를 충진하여 부드러운 감촉이 느껴지도록 한다.
측막(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영유아의 신체 좌우 양측과 두부 및 족부를 가리는 차단벽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측막(210)과, 제2 측막(220)을 포함한다.
제1 측막(210)은 받침막(100)의 좌우 양측에서 연장하여 영유아의 신체 좌우 양측을 가리며, 제2 측막(220)은 제1 측막(210)과 직교 방향으로 받침막(100)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유아의 두부 및 족부를 가린다.
제1 측막(210)의 양측 가장자리와 제2 측막(220)의 양측 가장자리가 접하여 전체적으로 차단벽과 같은 형상(도 1 참고)을 이루게 되며, 제1 측막(210)과 제2 측막(220)이 상호 연결되게 연결막(300)이 형성된다.
연결막(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측막(210)과 제2 측막(220)을 상호 연결하여 펼치면 담요의 용도로, 제1 측막(210)과 제2 측막(220)을 차단벽의 형상으로 만들면 보강 구조로 사용하는 것으로 제1 연결막(310)과 제2 연결막(320)이 도 2의 절첩선(f)을 기준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후술할 고정구(400)는 연결막(300)이 절첩되어 상호 대향되면 상호 체결이 되도록 제2 측막(220)과 평행을 이루게 장착된다.
제1 연결막(310)은 도 2와 같이 제1 측막(21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제1 측막(210) 가장자리의 단부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다.
제2 연결막(320)은 제2 측막(22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제2 측막(220) 가장자리의 단부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어 제1 연결막(310)과 절첩선(f)을 따라 연결되어 일체를 이룬다.
제2 연결막(320)은 제2 측막(220)의 외면에 접하게 절첩되고, 고정구(400)는 제1 연결막(310)에 장착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정구(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막(300), 더욱 상세히는 제1 연결막(310)과 제2 연결막(320)이 절첩되어 상호 대향하면 결합되어 제1 측막(210)과 제2 측막(220)이 차단벽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암고정구(410)와 수고정구(420)를 포함한다.
암고정구(410)는 일측의 제1 연결막(310), 즉 도면상에서는 상부측의 제1 연결막(310)에 장착되고, 수고정구(420)는 타측의 제1 연결막(310), 즉 도면상에서는 하부측의 제1 연결막(310)에 장착되어 암고정구(420)에 삽입되면서 체결이 이루어진다.
암고정구(410)와 수고정구(420)는 각각 상호 체결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 탄성밴드(412, 422)로 연결되며, 암고정구(410)와 수고정구(420)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과 같이 수고정구(420)의 돌출된 부분이 암고정구(41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체결되는 형상 외에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가하여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암고정구(410)와 수고정구(420)는 암수 벨크로의 조합 또는 후크 단추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한편, 제2 측막(220)에는 다양한 물건을 수납하고 영유아의 신체를 가리기 위하여 주머니(222)와 덮개막(224)을 더 마련할 수 있다.
주머니(222)는 제2 측막(220)이 제1 측막(210)과 함께 받침막(100)에 대하여 세워져 차단벽의 형상을 이룰 때 제2 측막(220)의 외면에 형성되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덮개막(224)은 제2 측막(22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받침막(100)측 또는 고정구(400)가 결합된 측에 선택적으로 절첩되도록 마련된다.
덮개막(224)은 주머니(222)측으로 절첩되어 제1 연결막(310)에 고정되어 주머니(222)에 수납된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구(400)의 결합 상태를 미관상 숨겨서 장식처럼 보이도록 하면서 고정구(40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덮개막(224)에는 도 2와 같이 결착구(226)가 마련되어 연결막(300)이 절첩되면 제1 연결막(310)에 마련된 결착구(316)와 결합하여 주머니(222)의 커버 역할을 하면서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덮개막(224)은 주머니(222)의 반대측, 즉 받침막(100)측으로 절첩되어 각각 영유아의 두부와 족부를 덮는 조각담요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막(200)과 연결막(300) 및 고정구(400)의 결합 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①의 방향을 따라 절첩선(f)을 기준으로 제1 연결막(310)과 제2 연결막(320)을 접어 올린 다음, ②의 방향을 따라 제1 연결막(310)을 제2 측막(220)에 대향되게 접으면, 제2 연결막(320)은 도 4와 같이 제2 측막(220)에 접촉한다.
이때, 제1 연결막(310)의 암고정구(410) 및 수고정구(420)는 상호 대향하게 되며 도 2 및 도 4와 같이 ③의 방향을 따라 암고정구(410)와 수고정구(420)를 체결하고, 주머니(222)에 물건이 수납되어 있을 경우는 최종적으로 ④의 방향을 따라 덮개막(224)의 결착구(226)를 제1 연결막(316)의 결착구(316)와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베개 어셈블리(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유아의 두부를 안착시켜 영유아의 두부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판(600)에 부피를 가변가능하게 장착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등의 다양한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베개 어셈블리(500)는 도 5와 같이 받침판(600)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써 베개(510)와 암수 벨크로(520) 및 안착홈(530, 이하 도 1 참고)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베개(510)는 받침판(6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영유아의 두부가 거치되는 것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영유아의 두부가 안착되면 편안한 느낌이 들도록 섬유의 쿠션재가 충진된다.
암수 벨크로(520)는 베개(510)와 받침판(600)에 각각 장착되어 베개(510)와 받침판(600)을 상호 고정시키는 것이며, 암수 벨크로(520) 외에도 운반시 베개(510)가 요동하여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베개(510)와 인접한 측막(200)에도 고정할 수 있게 보조 암수 벨크로(530)를 마련할 수 있다.
안착홈(530)은 영유아의 두부 형상에 대응되게 베개(510)에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받침막(100)에 받침판(600)을 배치하고, 베개(510)를 받침판(600)과 제2 측막(220)에 고정시킨 후 영유아(이하 미도시)의 두부를 포함한 신체를 거치하고 보온을 위하여 덮개막(224)으로 두부 및 족부를 덮어줄 수 있다.
그리고, 베개 어셈블리(500)는 도 6과 같이 받침판(600)에 마련되어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써 베개(540)와, 주입구(550) 및 안착홈(560, 이하 도 1 참고)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베개(540)는 받침판(600)에 마련되어 주입되는 에어에 의하여 부피가 가변되는 것으로 에어를 배출시키면 부피를 거의 차지하지 않는 탄성재질의 고무,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주입구(550)는 베개(540)의 일측에 마련되어 에어를 주입하는 통로가 되며, 안착홈(560)은 영유아의 두부 형상에 대응되게 베개(540)에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받침판(600)의 베개(540)에 주입구(550)를 통하여 적정한 양의 에어를 조절하여 주입함으로써 도 6의 도면 부호 540, 540', 540"과 같이 영유아의 두부 형상 및 크기에 맞게 베개(540)의 부피를 조절하여 받침판(600)을 받침막(100)에 배치하고 영유아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베개 어셈블리(5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6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신축 가능한 주머니(601)에 수납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5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베개(510) 또한 받침판(600)의 주머니(601)에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베개 어셈블리(500)와 인접한 측막(200)에는 도 7과 같이 영유아의 두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쿠션(700)을 더 마련할 수도 있다.
고정 쿠션(700)은 측막(200), 더욱 상세히는 영유아의 두부가 배치되는 측의 제2 측막(220)에 장착되는 본체(710)와, 영유아의 두부가 고정되게 본체(7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홈(7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 쿠션(700)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개 어셈블리(500)와 같이 제2 측막(220)에 부피를 가변가능하게 장착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체(710)는 탈착 결합시 제2 측막(220)과 암수 벨크로로 탈착 결합되는 등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체(710)에는 에어 주입에 의하여 부피가 가변되게 주입구가 마련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측막(21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각각 파지용의 손잡이(800)가 장착되고, 손잡이(800)는 도 1과 같이 상호 중첩시켜 파지하여 운반이 가능하며 손잡이(800)에는 상호 중첩시키고 파지할 수 있도록 상호 중첩된 손잡이(800)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밴드(810)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밴드(810)에는 손잡이(800)가 상호 중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암수 벨크로(812)를 마련하여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영유아의 보온을 유지하는 담요로도 사용할 수 있으면서 영유아를 편리하게 동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영유아 운반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운반구를 영유아 뿐 아니라 애완동물을 운반하거나 애완동물이 부상이나 병에 걸렸을 경우 쇼크를 일으키지 않게 두부를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받침막 200...측막
210...제1 측막 220...제2 측막
222...주머니 224...덮개막
226...결착구 300...연결막
310...제1 연결막 316...결착구
320...제2 연결막 400...고정구
410...암고정구 412...탄성밴드
420...수고정구 422...탄성밴드
500...베개 어셈블리 510, 540...베개
520...암수 벨크로 530, 560...안착홈
550...주입구 600...받침판
601...주머니 700...고정 쿠션
710...본체 720...고정홈
800...손잡이 810...고정밴드

Claims (14)

  1. 영유아의 신체가 놓여지는 받침막;
    상기 받침막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영유아의 신체 좌우 양측 및 두부와 족부를 가리는 측막;
    상기 측막과 인접한 측막 사이를 연결하며 절첩되어 상호 대향하는 연결막;
    상기 측막이 영유아의 신체 좌우 양측 및 두부와 족부를 가리도록 상기 연결막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체결되는 고정구; 및
    상기 받침막에 마련되어 영유아의 두부가 안착되는 베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막과 상기 측막과 상기 연결막은 한 평면 상에 일체로 마련되어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거나 바닥에 깔아서 사용할 수 있는 영유아 운반구에 있어서,
    상기 받침막에는 영유아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받침막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판이 장착되고,
    상기 베개 어셈블리는 상기 받침판에 부피를 가변가능하게 장착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받침막의 좌우 양측에서 연장하여 영유아의 신체 좌우 양측을 가리는 제1 측막과,
    상기 제1 측막과 직교 방향으로 상기 받침막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영유아의 두부 및 족부를 가리는 제2 측막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막은 상기 제1 측막과 상기 제2 측막이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2 측막과 평행을 이루게 장착되며,
    상기 연결막은,
    상기 제1 측막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막 가장자리의 단부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 제1 연결막과,
    상기 제2 측막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막 가장자리의 단부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막과 연결되는 제2 연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막은 상기 제2 측막의 외면에 접하게 절첩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1 연결막에 장착되며,
    상기 베개 어셈블리와 인접한 상기 측막에는 영유아의 두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쿠션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 쿠션은,
    상기 측막에 장착되는 본체와,
    영유아의 두부가 고정되게 상기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쿠션은 상기 측막에 부피를 가변가능하게 장착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운반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막은,
    외면에 형성되어 물건을 수납하는 주머니와,
    상기 제2 측막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덮개막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막은 상기 주머니측으로 절첩되어 상기 제1 연결막에 고정되어 상기 주머니에 수납된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덮개막은 상기 주머니의 반대측으로 절첩되어 각각 영유아의 두부와 족부를 덮는 영유아 운반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일측의 제1 연결막에 장착된 암고정구와,
    상기 타측의 제1 연결막에 장착되어 상기 암고정구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수고정구를 포함하는 영유아 운반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어셈블리는,
    상기 받침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영유아의 두부가 거치되는 베개와,
    상기 베개와 상기 받침판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베개와 상기 받침판을 상호 고정시키는 암수 벨크로와,
    영유아의 두부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베개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영유아 운반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어셈블리는,
    상기 받침판에 마련되어 신축가능한 주머니에 출입 가능하게 수납되고 영유아의 두부가 거치되는 베개와,
    상기 베개와 상기 받침판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베개와 상기 받침판을 상호 고정시키는 암수 벨크로와,
    영유아의 두부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베개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영유아 운반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어셈블리는,
    상기 받침판에 마련되어 주입되는 에어에 의하여 부피가 가변되는 베개와,
    상기 베개에 마련되어 에어를 주입하는 주입구와,
    영유아의 두부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베개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영유아 운반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어셈블리는,
    상기 받침판에 마련되어 신축가능한 주머니에 출입 가능하게 수납되고 주입되는 에어에 의하여 부피가 가변되는 베개와,
    상기 베개에 마련되어 에어를 주입하는 주입구와,
    영유아의 두부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베개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영유아 운반구.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쿠션의 본체는 상기 측막과 암수 벨크로로 탈착 결합되는 영유아 운반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쿠션의 본체에는 에어 주입에 의하여 부피가 가변되게 주입구가 마련되는 영유아 운반구.
KR2020100001181U 2010-02-02 2010-02-02 영유아 운반구 KR200465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81U KR200465038Y1 (ko) 2010-02-02 2010-02-02 영유아 운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81U KR200465038Y1 (ko) 2010-02-02 2010-02-02 영유아 운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881U KR20110007881U (ko) 2011-08-10
KR200465038Y1 true KR200465038Y1 (ko) 2013-02-05

Family

ID=4559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181U KR200465038Y1 (ko) 2010-02-02 2010-02-02 영유아 운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0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112Y1 (ko) * 2012-07-10 2014-08-28 김윤정 유아용 캐리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51A (ko) * 1997-05-13 1998-12-05 김윤기 유아용 안전침구
JP2000139628A (ja) * 1998-11-06 2000-05-23 Iron:Kk ベビーキャリーバスケット
KR20020034587A (ko) * 2000-11-02 2002-05-09 신영식 목받침 베개
US20070277321A1 (en) * 2006-06-05 2007-12-06 Leach Jamie S Convertible anywhere bed, play mat, and changing station for infants with self-forming carrying c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51A (ko) * 1997-05-13 1998-12-05 김윤기 유아용 안전침구
JP2000139628A (ja) * 1998-11-06 2000-05-23 Iron:Kk ベビーキャリーバスケット
KR20020034587A (ko) * 2000-11-02 2002-05-09 신영식 목받침 베개
US20070277321A1 (en) * 2006-06-05 2007-12-06 Leach Jamie S Convertible anywhere bed, play mat, and changing station for infants with self-forming carrying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881U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240B2 (en) Cushioned seat protector
US8740302B2 (en) Multi-use protective cover
US7578746B1 (en) Swing covering accessory
JP5479267B2 (ja) 寝袋
CN202959685U (zh) 躺椅
WO2010083117A2 (en) Reconfigurable support pillow system
US20160051068A1 (en) Comfort apparatus
US8556343B2 (en) Versatile seat liner
US20120286549A1 (en) Multi-use seat liner
US20080178391A1 (en) Multipurpose, multisectional, multiconfiguration cushion for person of any age, used for an elbow, kneeling, sitting, and or lying cushion. The cushion consists of four interconnected sections to form a cushion when flat allows an adult to lye flat and when the sections are folded face to face together this allows an adult to utilize the cushion for elbow, sitting, kneeling and or lying cushion
US20080084099A1 (en) High chair protective cover
WO2011163082A2 (en) Combination carrying pack and blanket and pillow
KR200465038Y1 (ko) 영유아 운반구
US20090053432A1 (en) Apparatus for cushioning a child
US20170127852A1 (en) Foldable Mat
KR102251103B1 (ko) 가방 형태로 전환될 수 있는 휴대용 아기침대
KR101371828B1 (ko) 유아용 범퍼 침대
KR101172235B1 (ko) 폴더형 범퍼 침대
WO2017091597A1 (en) Folding mat
KR200455081Y1 (ko) 아기용 놀이 매트
CN201595516U (zh) 一种可拆洗折叠携带式婴儿安全睡眠床
KR200427994Y1 (ko) 다용도 방석 유니트
JP3666456B2 (ja) ベッドガードとして利用可能な部分を有する乳幼児用敷布団
JP3162739U (ja) 取り外し洗いと折り畳み携帯が可能な幼児用安全睡眠ベッド
KR20160039315A (ko) 방석 겸용 보조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