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863Y1 -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 - Google Patents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863Y1
KR200464863Y1 KR2020110006995U KR20110006995U KR200464863Y1 KR 200464863 Y1 KR200464863 Y1 KR 200464863Y1 KR 2020110006995 U KR2020110006995 U KR 2020110006995U KR 20110006995 U KR20110006995 U KR 20110006995U KR 200464863 Y1 KR200464863 Y1 KR 200464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contact
fixed
magnetic conta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6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863Y1/ko
Priority to CN2012203707788U priority patent/CN202796765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8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어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 전원공급선로를 개폐하는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에 관한 것으로, 전자 접촉기 접점을 용접하는 고정접점대가 분리형으로 설치되어 도전체 연결부위에서 저항상승에 따른 온도 상승되었던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 접촉기 접점을 용접하는 고정접점대를 일체형으로 함으로써 분리된 부재에 따른 저항값을 줄이고 도전체의 온도 상승치를 억제하는 효과 및 제품의 품질 안정화를 도모하여 전자 접촉기의 전기적 수명을 향상하기 위한 전자접촉기의 일체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접점 용접부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측 전력선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를 갖는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에 있어서, 외부 전원 또는 부하측과 연결되는 터미널과 고정접접이 용접되는 접점용접부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Stationary Contact with Single Member For Magnetic Contactor}
본 고안은 제어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 전원공급선로를 개폐하는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에 관한 것으로, 전자 접촉기 접점을 용접하는 고정접점대가 분리형으로 설치되어 도전체 연결부위에서 저항상승에 따른 온도 상승되었던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 접촉기 접점을 용접하는 고정접점대를 일체형으로 함으로써 분리된 부재에 따른 저항값을 줄이고 도전체의 온도 상승치를 억제하는 효과로 제품의 품질 안정화를 도모하여 전자 접촉기의 전기적 수명을 향상하기 위한 전자접촉기의 일체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제어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서 전원공급선로를 개폐함으로써 전동기 등의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선로를 개폐제어할 수 있어서 주로 전동기의 운전 또는 정지의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개폐기이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전자접촉기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어신호의 인가여부에 따라 여자(magnetizing) 또는 소자(demagnetizing)되는 고정코어(stationary core)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고정코어에 대향 배치되고 여자된 고정코어에 접촉하게 흡인되거나 고정코어의 소자에 따라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코어로부터 멀어지게 이동가능한 가동코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코어에 접속되고 이동하는 가동코어와 함께 이동가능한 크로스바(crossbar), 전원측과 부하간 전력선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접점대, 크로스바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하는 크로스바와 함께 이동가능하며 상고정접점대에 접촉하는 위치 또는 고정접점대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를 갖는 가동접점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고정접점대는 일반적으로 전원측 또는 부하측의 전력선로에 접속되는 단자부와 접점이 고정되는 접점부로 크게 구분하여 구성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접촉기의 고정접점대(10)로써, 평판부재(12)에는 연장된 끝단에 전원측 또는 부하측의 단자부인 터미널(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리된 U자형 부재인 접점대(11)는 접점용접부위(11a)가 형성되어 접점(13)이 상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평판부재(12)와 접점대(11)는 스크류(S)로 견고히 고정되어 하나의 고정접점대(1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기존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는 전선을 연결하는 터미널(12a)부인 평판부재(12)과 접점이 용접되는 접점대(11)가 분리된 부재로 구성되어 스크류(S)로 조립된다. 이렇게 분리된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단자대간 내부저항이 상승하여 온도상승치 증가로 인하여 인접한 몰드물 탄화 및 수명 저하로 인하여 제품의 수명이 단축된다.
즉, 이러한 종래기술의 구성은 동작시 터미널(12a)이 형성된 평판부재(12)와 고정접점(13)이 용접된 접점대(11) 사이에서 내부저항의 증가로 인한 온도 상승이 초래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이종의 도전체를 스크류(S)로 결합함으로 내부 저항이 증가하여 내부의 온도 증가 및 열화로 인한 수명의 저하, 연결 전선의 열화로 인한 화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스크류(S)의 결합 불량으로 인한 접점 중심 불일치로 인한 아크 발생으로 수명 저하 및 제품의 이상 징후가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접점대에 있어서, 접점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접점부가 접점의 면적 외에 여유면적이 미소하여 접점의 안착을 위한 안내수단이 없어 접점의 용접시 접점의 안착위치가 균일하지 않거나 접점의 안착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 접촉기 도전체부를 일체형 구조로 변경하여 기존 분리형시 나타나는 내부저항 증가로 인한 온도 상승 및 전기적 수명 저하를 제거하며 온도상승 억제를 실현하도록 하는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접용접부에 접점의 안착을 위한 안내수단을 제공하여, 접점의 용접시 접점의 안착위치가 균일하고 안정적이게 하는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 용접부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측 전력선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를 갖는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에 있어서, 외부 전원 또는 부하측과 연결되는 터미널과 고정접접이 용접되는 접점용접부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점 용접부의 경계를 결정하고 접점 지지면을 제공하는 동시에 아크를 유도하도록, 상기 접점 용접부의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게 연장형성되는 접점가이드; 및 상기 접점 용접부에 용접되어 고정설치되는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전원 또는 부하측과 연결되는 단자부인 터미널; 가동접점대의 가동접점과 접촉/분리되어 전자접촉기를 폐로 위치 또는 개방 위치로 결정하는 접점; 및 상기 접점이 용접 고정설치되는 접점용접부;를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접점용접부는 평판형 도전체로써 "U"자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내부저항을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기 접촉기 접점을 용접하는 고정접점대를 일체형으로 하여 도전체의 온도 상승치를 억제하는 효과 및 제품의 품질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전자 접촉기의 전기적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체형 구조의 고정접점대는 스크류로 조립할 필요없이 바로 접점을 용접 후 조립 가능하며 터미널과 고정대 간의 도전체 조립에 의한 내부저항 불균등을 제거하고, 내부저항의 일체화를 통해 온도 상승 억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내부저항 일체화를 통해 저항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온도상승 억제함과 동시에, 접점의 손상, 소모, 용착 등의 위험요인을 줄여주며 열화 등을 방지하고 지연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전자 접촉기의 전기적 수명을 연장시키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접점의 안착불량을 해소하기 위하여 접점용접부에 접점의 안착을 위한 안내수단으로써 접점가이드를 형성하여 접점의 용접시 접점의 안착위치가 균일하고 안정적이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접촉기의 고정접점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접점대가 크로스바 및 가동접점대의 구성과 아크의 유도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100)는, 고정접점(130)이 용접되는 접점용접부(100a)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측 전력선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를 갖는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110)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터미널(110)로써 상기 접점용접부(100a)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일체형 고정접점대 구조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써 접접 간의 접촉/분리에 따른 온/오프시 발생되는 열을 바로 외부로 전달될 수 있게 되므로 내부저항이 일체화되어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100)는 하나의 일체된 부재로 "U"자형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에 외부전원 또는 부하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인 터미널(110)과 가동접점과 접촉/분리되는 고정접점(130)이 안착 용접되는 접점용접부(100a)를 갖는다.
상기 터미널(110)은 바람직하게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측 전력선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로써 평판부재로 형성된다. 당해 평판부재는 평판형 도전체로 형성되는데, 내부저항은 균질하게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단자나사가 관통할 수 있게 허용하는 단자나사구(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으나 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있고 전자접촉기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측 또는 부하측 전선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접점용접부(100a)는 U자형으로 절곡한 부위의 상부 평판부재로써 상면에 고정접점(130)이 안착되어 용접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점용접부(100a)의 경계를 결정하고 고정접점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동시에 아크를 유도하하며, 상기 접점용접부(100a)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게 연장형성되는 접점가이드(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100)의 고정접점(130)은 크로스바(30) 및 가동접점대(20)의 가동접점(20a)과 접촉/분리되면서 전자접촉기를 폐로 위치 또는 개방 위치로 결정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고정접점대(100)는 미도시한 전자접촉기의 외함에 고정설치되며 전원측과 부하측의 전선과 접속하기 위해서 한 쌍씩 하나의 교류의 상마다 마련된다.
가동접점대(20)는 크로스바(30)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된다. 크로스바(30)는 미도시한 가동코어에 접속되고 미도시한 고정코어의 여자 또는 소자에 의해 고정코어에 접근하는 위치와 고정코어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도면상 상하방향으로 전력선로의 개폐를 위해 이동가능하다(상하방향 화살표 참조).
이에 따라 가동접점대(20)의 양 단부에 용접설치된 가동접점(20a)이 고정접점대(100)의 고정접점(130)에 접촉(전자접촉기의 폐로 위치) 또는 분리(전자접촉기의 개방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접점가이드(150)는 접점용접부(100a)의 면(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게 연장형성된다. 상기 접점가이드(150)는 일체형 고정접점대(100)에 고정접점(130)을 용접시 가이드 역할을 하여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고정접점(130)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접점용접부(100a)가 접점의 면적 외에 여유면적이 미소하여 접점의 안착을 위한 안내수단이 없어 접점의 용접시 접점의 안착위치가 균일하지 않거나 접점의 안착불량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접점가이드(150)를 통해 고정접점대(100)의 접점용접부(100a)에 고정접점(130)을 안착시키고 용접하여 고정시킬 때, 접점 지지면에 고정접점(130)의 일측면(도면상 좌측면)을 밀착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점(3)이 안착된 상태로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접점(130)이 균일하게 접점용접부(100a)에 용접 및 고정될 수 있고 신속하게 용접될 수 있으므로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100)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점가이드(150)는 접점용접 부(100a)의 면(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하게 연장형성되는 구성으로 가동접점대(20)와 고정접접대(100) 사이의 아크를 유도하도록 한다. 이에 아크가 접점부에 정체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력선로의 개폐속도가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가동접점(20a) 및 고정접점(130)의 소모와 손상을 최소화하여 전자접촉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접점가이드(150)는 고정접점대(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준비되므로 고정접점대(100)에 별도로 설치 접속되는 구성과 대비하여 원가상승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르면 터미널과 접점대 간의 스크류(S) 결합 불량으로 인해 접점 중심 불일치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고, 아크 발생으로 수명 저하 및 제품의 이상 징후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는데, 일체화된 구조의 고정접점대(100)를 통해 이를 일소시켜 안정된 구조의 전자접촉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체화된 구조의 고정접점대(100)는 반드시 전자접촉기의 구조에서만 채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접점에 따라 개폐되는 전자회로 프레임 구조를 채용하는 모든 구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도전체 온도 상승의 억제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 : 종래 고정접점대 11 : 접점대
11a : 접점용접부위 12 : 평판부재
12a : 터미널 13 : 고정접점
S : 스크류 20 : 가동접점대
20a : 가동접점 30 : 크로스바
100 : 본 고안의 일체형 고정접점대 110 : 터미널
130 : 고정접점 130 : 고정접점
150 : 접점가이드 100a : 접점용접부위

Claims (5)

  1. 고정접점이 용접되는 접점용접부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측 전력선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를 갖는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터미널로써 상기 접점용접부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써 내부저항이 일체화되어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상기 터미널과 접점용접부는 평판형 도전체로써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용접부의 경계를 결정하고 상기 고정접점의 일측이 지지되는 접점 지지면을 제공하는 동시에 아크를 유도하도록, 상기 접점 용접부의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게 연장형성되는 접점가이드; 및 상기 접점용접부에 용접되어 고정설치되는 고정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가이드는 상기 "U"자형 접점용접부의 단부측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접점 지지면에 고정접점의 일측면이 접점용접부의 단부측 접점 지지면에 밀착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10006995U 2011-08-01 2011-08-01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 KR200464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995U KR200464863Y1 (ko) 2011-08-01 2011-08-01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
CN2012203707788U CN202796765U (zh) 2011-08-01 2012-07-27 电磁接触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995U KR200464863Y1 (ko) 2011-08-01 2011-08-01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863Y1 true KR200464863Y1 (ko) 2013-01-22

Family

ID=4782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995U KR200464863Y1 (ko) 2011-08-01 2011-08-01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4863Y1 (ko)
CN (1) CN20279676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18B1 (ko) * 2014-05-30 2018-06-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7092B2 (ja) * 2017-06-28 2021-04-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N107845509A (zh) * 2017-12-08 2018-03-27 温州宏丰电工合金股份有限公司 具有一体式定位结构的电触头组件及其加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2319A (ja) 1997-12-01 1999-06-18 Fuji Electric Co Ltd 電磁接触器の接触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2319A (ja) 1997-12-01 1999-06-18 Fuji Electric Co Ltd 電磁接触器の接触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18B1 (ko) * 2014-05-30 2018-06-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796765U (zh)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72286A1 (en) Electromagnetic relay
US10515774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4334057B2 (ja) 電磁継電器
US10658140B2 (en) Contact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relay using the same
RU2713460C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контактор для сильноточных переключений
US11270852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200464863Y1 (ko) 일체형 구조의 전자접촉기 고정접점대
US4766273A (en) High current double-break electrical contactor
CN102637549B (zh) 用于真空断路器的柔性分路器
KR20130023166A (ko) 고전류의 존재시 전기역학적 보상을 갖는 전력 접점 장치
KR101221353B1 (ko)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
CN103854926A (zh) 电磁接触器
CN111641327A (zh) 用于单相或多相耗电器的开关装置
CN204189721U (zh) 高压直流接触器
KR101503316B1 (ko) 전자접촉기
CN104715974B (zh) 电接触器及控制其触头延时闭合与打开的方法、限制或阻止触头颤动与燃弧时间的方法
RU2486621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с высокими 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KR101922154B1 (ko) 전자접촉기
KR101565454B1 (ko) 직류 개폐기 및 직류 차단기
US11631561B2 (en) Electrically controlled switch for high current switching operations with different configurations of fixed terminal contacts
KR20100000180U (ko) 기중차단기의 단자구조
CN108010808A (zh) 一种用于小型断路器的底座
JP2009158150A (ja) 電磁リレー
CN107978497A (zh) 一种用于小型断路器的插拔式开关模块
KR200280183Y1 (ko) 전자접촉기 단자의 러그 유동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