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453Y1 -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 - Google Patents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453Y1
KR200464453Y1 KR2020100012747U KR20100012747U KR200464453Y1 KR 200464453 Y1 KR200464453 Y1 KR 200464453Y1 KR 2020100012747 U KR2020100012747 U KR 2020100012747U KR 20100012747 U KR20100012747 U KR 20100012747U KR 200464453 Y1 KR200464453 Y1 KR 200464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dicine
drug
indicator
remain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350U (ko
Inventor
노봉환
Original Assignee
노봉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봉환 filed Critical 노봉환
Priority to KR2020100012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45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3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4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2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with means for metering the amount of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6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fluid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벽면에 약제의 잔량 표시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약제가 충진된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내장되고, 약제의 잔량압에 의하여 용기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하강수단; 및 상기 용기의 표시부에 배열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의 승하강시 연동하여 약제의 잔량을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내부를 볼 수 없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에서 그 내부에 충진된 약제의 잔량을 사용자나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용기 내부의 약제 잔량압에 따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하강수단을 도입하고, 용기의 표시부에 승하강수단과 연동하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되어 용기 내부의 약제 잔량을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나 작업자가 용기 내부에 약품 잔량을 수시로 확인하여 약제의 충진 시기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작업 중 약제의 잔량이 부족하여 작업이 중단되거나 또는 작업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CHECKING APPARATUS FOR REMAINS OF MEDICINE}
본 고안은 내부를 볼 수 없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에서 그 내부에 충진된 약제의 잔량을 사용자나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용기 내부의 약제 잔량압에 따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하강수단을 도입하고, 용기의 표시부에 승하강수단과 연동하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되어 용기 내부의 약제 잔량을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나 작업자가 용기 내부에 약품 잔량을 수시로 확인하여 약제의 충진 시기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작업 중 약제의 잔량이 부족하여 작업이 중단되거나 또는 작업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사기, 분출기, 분압기 등에 사용되는 용기는 그 내부에 분말, 액상 또는 이와 유사한 약품이나 화장품을 등이 충진되어 용기 내부의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충진된 약제를 외부로 분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용기는 그 내압을 견디고, 내식성 및 이동성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또는 이와 유사한 금속을 이루어진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재질로 만들어진 용기는 그 재질적인 특징에 기인하여 불투명하고, 따라서 그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약제가 얼마나 남아 있는지 그 잔량을 확인할 수 없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약제를 분출시켜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약제의 소모 정도에 따른 약제의 충진 시기를 예측하기 어렵게 하고,
아울러 약제가 모두 소모된 경우와 같이 예측되지 않은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예상치 못한 작업 중단이나 중지로 인하여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부를 볼 수 없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에서 그 내부에 충진된 약제의 잔량을 사용자나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용기 내부의 약제 잔량압에 따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하강수단을 도입하고, 용기의 표시부에 승하강수단과 연동하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되어
용기 내부의 약제 잔량을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나 작업자가 용기 내부에 약품 잔량을 수시로 확인하여 약제의 충진 시기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작업 중 약제의 잔량이 부족하여 작업이 중단되거나 또는 작업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승하강수단과 이와 연동하는 인디케이터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승하강수단의 마그네틱과 이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가 철이나 또는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자성체로 구성되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도 자성체간의 연계 동작에 의하여 신뢰성 높은 작동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인디케이터에는 용기와 연결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어 인디케이터가 용기에서 분리 이탈되더라도 소실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는 외벽면에 약제의 잔량 표시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약제가 충진된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내장되고, 약제의 잔량압에 의하여 용기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하강수단; 및 상기 용기의 표시부에 배열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의 승하강시 연동하여 약제의 잔량을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승하강수단은 내부에 구비된 수용부와, 외벽면에 구비된 환형의 장착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부에 내장된 마그네틱과, 상기 몸체의 장착부에 구비된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승하강수단의 마그네틱 해당위치에 배열되는 철 또는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용기와 연결되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용기에서 분리 이탈되는 경우 인디케이터의 분실 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는 내부를 볼 수 없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에서 그 내부에 충진된 약제의 잔량을 사용자나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용기 내부의 약제 잔량압에 따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하강수단을 도입하고, 용기의 표시부에 승하강수단과 연동하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되어
용기 내부의 약제 잔량을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나 작업자가 용기 내부에 약품 잔량을 수시로 확인하여 약제의 충진 시기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작업 중 약제의 잔량이 부족하여 작업이 중단되거나 또는 작업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승하강수단과 이와 연동하는 인디케이터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승하강수단의 마그네틱과 이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가 철이나 또는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자성체로 구성되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도 자성체간의 연계 동작에 의하여 신뢰성 높은 작동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인디케이터에는 용기와 연결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어 인디케이터가 용기에서 분리 이탈되더라도 소실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가 구비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의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다양한 변례들을 나타내는 개념도.
본 고안에 따른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용기 내부에 충진되는 약제는 분말, 액상 또는 이와 유사한 약품이나 화장품을 등을 포함하고,
또한 용기는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용기 내부에 충진된 약제를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분사기, 분출기, 분압기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는
외벽면에 약제의 잔량 표시부(13)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약제가 충진된 용기(10); 상기 용기(10) 내부에 내장되고, 약제의 잔량압에 의하여 용기(10)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하강수단(20); 및 상기 용기(10)의 표시부(13)에 배열되고, 상기 승하강수단(20)의 승하강시 연동하여 약제의 잔량을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30)(indicator)(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에서, 상기 용기(10)는
그 내부에 분말 또는 액상 형태의 약제가 충진되고, 약제가 용기(10)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과의 차이나 또는 하부 부분에 주입되는 에어압력에 의하여 약제를 외부 분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주입하여 약제를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는 그 내부에 약제가 충진되어 내장되는 약제실(11)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10) 상단부에는 약제실(11)의 약제를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수단(12)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부분에는 외부에서 일정한 압력의 에어를 주입하여 승하강수단(20)을 밀어 약제실 내부의 약제를 분출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챔버(16)와 콤프레셔와 같은 에어공급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는 약제의 분출을 위한 내부 압력을 유지하고, 내식성 보장과, 이동성을 위해 금속 재질 중에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과 같은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알루미늄이나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진 용기(10)는 그 재질적인 특징에 의하여 불투명하고, 따라서 그 내부에 충진된 약제의 잔량을 확인할 수 없어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작업 시 약제의 소모 정도에 따른 약제의 충진 시기를 예측하기 어렵게 하고,
약제가 모두 소모된 경우와 같이 예측되지 않은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예상치 못한 작업 중단이나 중지로 인하여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용기(10) 내부의 약제 잔량을 수시로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10)에 승하강수단(20)과 인디케이터(30)를 도입하여 잔량의 약제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확인 관리하여 사용 편의성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기(10)의 외벽면에는 약제의 잔량을 나타내는 표시눈금이 각인 또는 인쇄된 표시부(13)가 구비되어 약제의 잔량압에 따라 승하강하는 승하강수단(20)과, 승하강수단(20)과 연동하도록 구성된 인디케이터(30)가 상기 표시부(1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용기(10) 내부의 약제의 잔량을 수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에서, 상기 승하강수단(20)은
상기 용기(10)의 약제실(11)에 충진된 약제의 잔량압에 의하여 상승 및/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승하강 동작 시 표시부(13)에 배열된 인디케이터(30)를 연동시키는 주동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승하강수단(20)은 내부에 구비된 수용부(21a)와, 외벽면에 구비된 환형의 장착부(21b)를 갖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수용부(21a)에 내장된 마그네틱(23)과,
상기 수용부(21a)에 안치되어 상기 마그네틱(23)의 하면부와 상기 용기(10)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25)와,
상기 몸체(21)의 장착부(21b)에 구비된 밀폐부재(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승하강수단(20)에서 상기 몸체(21)는 원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21a)는 상기 몸체(21)의 내부에 상기 마그네틱(23)이 수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부(21b)는 상기 몸체(21)의 외벽면에 환형의 홈 형태로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밀폐부재(27)가 안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틱(23)은 상기 수용부(21a)의 상부 부분에 내장되되,
상기 마그네틱(23)이 상기 수용부(21a)에 안치되면서 상기 마그네틱(23)의 하면부를 탄성 지지하여 마그네틱(23)이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밀폐부재(27)는 오링 형태의 엘라스토머, 고무부재, 또는 테프론 소재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부(21b)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수단(20)의 몸체(21) 상부에 부분에 위치하는 약제가 상기 몸체(21)의 하부로 누수 또는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성능을 보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25)는 그 상단부가 상기 몸체(21)의 하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용부(21a)에 안치되어 상기 마그네틱(23)의 하면부를 지지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21)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수단(20)은 상기 용기(10)의 약제실(11)에 약제가 완전히 충진되는 경우에는 약제의 유입압력에 의하여 상기 몸체(21)가 가압되어 용기(10) 하부 부분으로 밀리게 되고,
약제의 충진이 끝나게 되면 상기 몸체(21)는 그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약제실(11)의 약제가 분출수단(12)에 의하여 외부로 분출되어 소모되는 경우에는 약제의 분출 양만큼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약제의 잔량압은 약제의 소모량에 비례하여 감소되어 상기 탄성부재(25)가 감소된 압력만큼 상기 몸체(21)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되,
약제의 잔량압과 탄성부재(25)의 탄성력이 힘의 평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21)가 정지되어 이 위치에서의 약제 잔량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승하강수단(20)의 또 다른 변형례로는 상기 탄성부재(25)와 함께 또는 상기 탄성부재(25)를 대체하여
상기 몸체(21)에 의하여 용기(10) 하부에 형성된 공간, 즉 에어챔버(16)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챔버(16)에는 상기 용기(10)의 하단부를 덮는 캡(15)에는 에어유입부(1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유입부(17)에는 일정한 압력의 에어를 에어챔버(16)로 공급하기 위한 콤프레셔와 같은 에어공급수단(미도시)이 연결되어 에어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몸체(21)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 약제실(11)의 약제를 분출수단(12)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시키고,
이때 감소된 약제의 잔량압만큼 상기 몸체(21)가 상부 방향으로 밀려 올라가 현재의 약제 잔량을 나타낼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에서, 상기 인디케이터(indicator)(30)는
상기 승하강수단(20)의 승하강시 연동하여 상기 용기(10)의 표시부(13)에 약제의 잔량을 지시하여 줌으로써 현재 용기(10) 내부의 약제 잔량을 표시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인디케이터(30)는 상기 용기(10)의 표시부(13)에 위치하되,
상기 승하강수단(20)에서 상기 마그네틱(23)의 해당위치에 배열된 철 또는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승하강수단(20)의 마그네틱(23)과 인디케이터(30)의 자성체간의 인력에 의하여 상호 연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수단(20)이 약제의 잔량압에 의하여 승하강하게 되면 상기 인디케이터(30)가 상기 표시부(13)를 따라 승하강하여 현재의 약제 잔량을 확인하기 쉽도록 지시하여 줌으로써 사용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인디케이터(30)에는 상기 용기(10)와 연결되고, 상기 인디케이터(30)가 상기 용기(1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경우 인디케이터(30)의 분실 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나 작업자가 작업 중 인디케이터(30)를 치거나 또는 건드려 용기(1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경우 인디케이터(30)의 분실되지 않도록 끈이나 로우프를 상기 용기(10)의 외벽면에 고정된 홀더(18)와 상기 인디케이터(30)를 연결하여 줌으로써 인디케이터(3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인디케이터(30)는 가이드편(31)과,
상기 가이드편(31)의 상면부에 연결되고, 그 단부가 상기 표시부(13)의 표시눈금을 향하도록 배열된 지시핀(33)과, 상기 가이드편(31) 또는 지시핀(33)에는 상기 고정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편(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편(31) 또는 지시핀(33) 또는 이들 모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3)에는 상기 인디케이터(30)의 가이드편(31)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눈금에 인접하여 상기 용기(10)의 외벽면에 가이드홈(14)을 형성하여 상기 인디케이터(30)의 승하강 동작 시 가이드편(31)이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터(30)의 가이드편(31)은 상기 표시부(13)의 가이드홈(14)을 따라 승하강수단(2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고, 상기 지시핀(33)은 상기 표시부(13)의 표시눈금을 가리켜 현재 상태에서의 약제 잔량을 표시하여 주게 된다.
더 나아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표시부(13)와 인디케이터(30)의 또 다른 변형례로
우선 상기 표시부(13)의 가이드홈(14)은 상기 가이드편(31)이 수용되는 제1 가이드홈(14a)과,
상기 제1 가이드홈(14a)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제1 가이드홈(14a)보다 좁게 형성된 제2 가이드홈(14b)을 포함하여 이루지고,
상기 지시핀(33)은 상기 가이드편(31)의 상면부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가이드홈(14b)을 상부로 노출되며, 그 단부가 상기 표시눈금 쪽으로 90도 정도 구부러져 표시눈금을 지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13)의 가이드홈(14)은 상기 인디케이터(30)의 가이드편(31) 및 지시핀(33)의 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아울러 상기 인디케이터(30)가 표시부(13)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확고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용기에는 내부 압력을 조절하고 확인할 수 있는 압력게이지나, 또는 약제의 분출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밸브 등이 구비되어 장치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약제
10 : 용기 11 : 약제실
12 : 분출수단 13 : 표시부
14 : 가이드홈 14a : 제1 가이드홈
14b : 제2 가이드홈 15 : 캡
16 : 에어챔버 17 : 에어유입부
18 : 홀더
20 : 승하강수단 21 : 몸체
21a : 수용부 21b : 장착부
23 : 마그네틱 25 : 탄성부재
27 : 밀폐부재
30 : 인디케이터 31 : 가이드편
33 : 지지핀 35 : 연결편
40 : 고정수단

Claims (4)

  1. 외벽면에 약제의 잔량 표시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약제가 충진된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내장되고, 약제의 잔량압에 의하여 용기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하강수단; 및
    상기 용기의 표시부에 배열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의 승하강시 연동하여 약제의 잔량을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승하강수단은
    내부에 구비된 수용부와, 외벽면에 구비된 환형의 장착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부에 내장된 마그네틱과,
    상기 몸체의 장착부에 구비된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승하강수단의 마그네틱 해당위치에 배열되는 철 또는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용기와 연결되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용기에서 분리 이탈되는 경우 인디케이터의 분실 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
KR2020100012747U 2010-12-09 2010-12-09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 KR200464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747U KR200464453Y1 (ko) 2010-12-09 2010-12-09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747U KR200464453Y1 (ko) 2010-12-09 2010-12-09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50U KR20120004350U (ko) 2012-06-19
KR200464453Y1 true KR200464453Y1 (ko) 2013-01-02

Family

ID=4685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747U KR200464453Y1 (ko) 2010-12-09 2010-12-09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4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646B1 (ko) * 2013-11-20 2015-07-09 박영환 시각장애인용 수위 확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1157B (zh) * 2021-11-30 2023-10-13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一种安全可靠的疫苗存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504A (ja) 2004-03-31 2005-10-20 Nobuaki Shinohara シャンプー、リンスの薬剤や薬品や洗剤などの容器の一部を透明にしたもの。又、その他の容器の一部を透明にして、内容量の残量をわかるようにした。又、容器の中身のじょうたいや色もわかるようにし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504A (ja) 2004-03-31 2005-10-20 Nobuaki Shinohara シャンプー、リンスの薬剤や薬品や洗剤などの容器の一部を透明にしたもの。又、その他の容器の一部を透明にして、内容量の残量をわかるようにした。又、容器の中身のじょうたいや色もわかるようにし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646B1 (ko) * 2013-11-20 2015-07-09 박영환 시각장애인용 수위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50U (ko)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835Y1 (ko) 화장품 용기
EP2987746B1 (en) Fixed quantity discharge device for liquid container
JP5229542B2 (ja) 吐出容器
MX2015001738A (es) Envase de liquido, aparato de consumo de liquido, sistema de suministro de liquido y unidad de contencion de liquido.
US20180263359A1 (en) Rotary Discharge Type Dye Container
KR101152159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200464453Y1 (ko) 약제의 잔량 체크장치
KR20130060742A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20220102866A (ko) 리필 화장품 용기
NZ594128A (en) Dosing device with a strip tape display indicating fill level
KR20110139385A (ko) 누액차단이 가능한 받침대가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CN203719724U (zh) 一种定量量杯
KR102128280B1 (ko) 액상형 양념 토출장치
CN210028001U (zh) 一种环保无尘化干粉材料灌装机
CN103287595A (zh) 粉体填充装置、粉体装入容器的制造方法
KR20160058507A (ko) 액상의 물질을 정량으로 인출가능한 용기
JP3168181U (ja) 容器における粘性流動体の抽出装置
JP3163164U (ja) 液体調味料自動計量供給装置
CN207627057U (zh) 压力烹饪器具
KR200423024Y1 (ko) 펌핑 용기
CN216483367U (zh) 一种激光药液容量计
CN214649935U (zh) 一种基因检测多用试剂盒
KR102178317B1 (ko) 유체 제품의 정량분배기 및 이를 장착한 퍼퓸시스템기구
CN207804033U (zh) 压力烹饪器具
JP5354581B2 (ja) 液体噴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