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361Y1 -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 Google Patents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361Y1
KR200464361Y1 KR2020100007199U KR20100007199U KR200464361Y1 KR 200464361 Y1 KR200464361 Y1 KR 200464361Y1 KR 2020100007199 U KR2020100007199 U KR 2020100007199U KR 20100007199 U KR20100007199 U KR 20100007199U KR 200464361 Y1 KR200464361 Y1 KR 200464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anel
frame
coupling groove
door fram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395U (ko
Inventor
송윤생
Original Assignee
송윤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윤생 filed Critical 송윤생
Priority to KR2020100007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36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3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3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3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7Furniture panels consisting of a frame with interchangeable insertable pan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에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의 장식패널과; 전면은 테두리를 제외하고 개방되어 있고 상단으로 상기 장식패널이 삽입가능하게 상단면에 제1 장식패널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좌우 양측면을 관통하며 상향으로 오목하게 하단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문틀과; 전면은 테두리를 제외하고 개방되어 있고 상단면에 가로 방향으로 좌우 양측면을 관통하며 하향으로 오목하게 상단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결합홈의 저면에는 상기 장식패널이 삽입 가능하게 제2 장식패널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문틀; 및 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하단결합홈과 상단결합홈에 각각 측면으로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의 두께와 일치하는 몸체 두께를 가지며 가로로 긴 막대 형상을 이루는 조인트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은 누구나 별도의 공구나 장비가 없이도 용이하게 장식패널을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삽입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며, 계절별로 또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언제든지 장식패널을 교체하여 문짝에 변화를 줄 수 있어 가구 전체를 교체하거나 수선을 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느낌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Door structure for changing the patterned panel}
본 고안은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롱 등과 같은 가구에 사용되는 문짝에 있어서 기본 프레임을 이루는 문틀을 상부문틀과 하부문틀로 분리하고 각 문틀에 장식패널을 누구나 별도의 공구나 장비가 없이도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계절별로 또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언제든지 장식패널을 교체하여 문짝에 변화를 줄 수 있어 가구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새로운 느낌을 얻을 수 있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 등과 같은 가구는 생산자에 의해 일률적으로 디자인되어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어 소비자에게 유통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사용자는 한번 구입하면 폐기할 때까지 외형에 큰 변화를 주지 아니하고 사용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외형 등의 디자인에 변화를 주고자 하더라도 스스로 도색을 하여 색상을 바꾼다든지 문양을 새로 새겨 넣는다든지 등을 하여야만 하는데 이는 비전문가인 사용자가 하기에는 용이하지 않은 작업이어서 가구 전문가 등에게 적지 않은 보수를 지급하고 의뢰하는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한편, 장롱 등과 같은 가구의 디자인은 대부분 문의 디자인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여 문에만 변화를 주더라도 가구 전체가 새로워 보이거나 분위기나 느낌이 변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3254호는 장롱 문짝의 전면과 후면을 서로 다른 디자인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디자인을 바꿀 수 있는 장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안은 장롱의 디자인을 바꾸기 위하여 장롱 본체와 문짝을 연결하는 경첩 등의 회전힌지장치를 분해한 후 문짝 전체를 본체에서 떼어내어 전면과 후면을 뒤집어서 다시 조립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존재하였고 문짝 자체를 분해 조립해야 하는 구성의 특성상 크기가 대규모인 장롱 등에는 사용자기 직접 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2009호는 가구용 문짝 표면 장식재의 변환장치를 제안하고 있는데, 상부틀, 하부틀, 좌측틀, 우측틀 등으로 이루어진 문짝의 몸체에 삽입구가 형성된 우측틀 측면으로 장식재를 끼워 넣은 후 상기 우측틀에 마감틀을 고정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마감틀은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거나 우측틀과 마감틀에 체결구와 체결공을 형성하여 고정 설치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문짝에 두 개의 장식재를 상하로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단과 하단을 나누는 구획틀을 더 구성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은 장식재를 우측틀 측면을 통하여 문짝 내에 한번 삽입하여 끼워 넣어 놓으면, 장식재의 우측 모서리가 우측틀 측면의 홈 내부로 매몰되어 장식재 전체가 문짝 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후 장식재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삽입된 장식재를 손으로 집어서 꺼내어 교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문틀과 장식재가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면, 아무리 상기 문틀과 장식재를 정밀하게 제작하여 조립하여도 문틀과 장식재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할 수밖에 없어서 문을 열고 닫는데 있어 문틀과 장식재가 부딪혀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기간이 지속됨에 따라 뒤틀림이나 마모 현상으로 인해 소음이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식재를 문틀에 삽입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를 폐쇄하는 마감틀 등의 장치가 측면에 위치함에 따라 문을 열고 닫을 시에 항상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어서 가구 전체의 디자인에 이질감을 느끼게 할 수 있고, 더욱 중요하게는 공간적으로 사람의 활동 영역에 그대로 노출되게 되어 부딪히게 되거나 상기 마감틀을 잡고 문을 개폐하는 등의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 파손이나 고장의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롱 등과 같은 가구의 문짝을 상부문틀과 하부문틀로 분리하고 각각에 전면 장식패널을 삽입분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문의 디자인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식패널을 교체하는 데 있어서 손으로 간편하게 삽입분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공구나 장비 없이도 누구나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식패널과 문틀 상호간에 최대한 부딪힘 등을 방지하고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이 적고 고장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문양과 기능을 가지는 장식패널을 제공함으로써 문의 디자인을 변화시키는데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가진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은 전면에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의 장식패널과; 전면은 테두리를 제외하고 개방되어 있고 상단으로 상기 장식패널이 삽입가능하게 상단면에 제1 장식패널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좌우 양측면을 관통하며 상향으로 오목하게 하단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문틀과; 전면은 테두리를 제외하고 개방되어 있고 상단면에 가로 방향으로 좌우 양측면을 관통하며 하향으로 오목하게 상단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결합홈의 저면에는 상기 장식패널이 삽입 가능하게 제2 장식패널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문틀; 및 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하단결합홈과 상단결합홈에 각각 측면으로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의 두께와 일치하는 몸체 두께를 가지며 가로로 긴 막대 형상을 이루는 조인트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문틀에는 상기 제1 장식패널삽입구의 상단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문틀의 상단면을 폐쇄할 수 있는 상단마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상단마개는 길이가 긴 판 형상의 덮개판에 막대형 돌기가 하향으로 일체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문틀의 상단면에는 상기 상단마개의 덮개판이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장식패널삽입구보다 넓은 오목홈이 상기 제1 장식패널삽입구와 일체로 더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바 상단과 하단의 돌출부의 끝단은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문틀의 하단결합홈과 하부문틀의 상단결합홈의 단면은 상기 조인트바의 돌출부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게 오목홈의 저면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상부문틀의 하단결합홈과 상기 하부문틀의 상단결합홈의 가로 방향의 일측단은 개방되어 있고 타측단은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바의 상단과 하단의 돌출부의 길이는 각각 상기 하단결합홈과 상단결합홈의 가로 길이와 동일하도록 타측단 쪽이 짧게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바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장식패널은 전면과 후면에 각기 다른 문양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하거나, 자성을 띄고 있는 베이스 패널의 전면에 화이트보드 패널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삽입되어 있는 장식패널을 집어서 꺼내기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문틀의 제1 장식패널삽입구와 상기 하부문틀의 상단결합홈 및 제2 장식패널삽입구에 하향으로 곡면을 이루며 손가락 유입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며, 상기 장식패널의 상단 전면과 후면에 상기 손가락 유입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장식패널을 집기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곡면을 이루며 상단오목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의 전면 테두리의 내측과 이에 대응되는 후면 내측에 탄력성을 가지는 방진팩킹이 쌍을 이루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하여 내구성을 높이도록 한다.
본 고안은 장롱 등과 같은 가구의 문짝을 상부문틀과 하부문틀로 나누고 각각에 장식패널을 자유롭게 삽입교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가구의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가할 수 있어 일률적인 가구의 디자인을 계절에 따라 또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문틀과 하부문틀, 장식패널 등에 손가락유입홈과 상단오목홈 등을 구성함으로써 장식패널을 삽입분리할 때에 별도의 공구나 장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누구나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식패널을 교체하여 문의 디자인을 변화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문틀 및 하부문틀에 방진팩킹을 부착하여 진동에 의한 소음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문틀의 상단에 삽입구를 형성하여 덮개로 폐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최대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문양의 장식패널이나 별도의 기능을 가진 장식패널을 제공함으로써 일률적인 가구의 디자인에 변화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쪽지나 청구서 등을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거나 간단한 메모를 기입할 수 있는 등의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상부문틀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하부문틀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조인트바의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장식패널의 일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상부문틀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하부문틀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은 전면에 일정 면적이 개방되어 있는 상부문틀(200) 및 하부문틀(300)과, 상기 상부문틀(200) 및 하부문틀(300)의 각 상단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개방된 전면으로 문양을 표출하는 장식패널(100)과, 상기 상부문틀(200) 상단면의 장식패널이 삽입되는 개구를 폐쇄하는 상단마개(230)와, 상기 상부문틀(200)과 하부문틀(300)을 연결시켜 고정하는 조인트바(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상부문틀(200)과 하부문틀(300)의 일측면에는 장롱 등 가구 본체에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이 고정되어 힌지 회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경첩이 나사 등으로 부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문틀(200)은 상단면으로 상기 장식패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장식패널삽입구(210)가 전면과 후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된 장식패널(100) 전면의 문양이 외부에 표출될 수 있도록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전면에 개방면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상기 조인트바(400)가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홈 형태의 하단결합홈(220)이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단마개(230)와 상기 상부문틀(200) 상단면의 제1 장식패널삽입구(210)는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상기 상단마개(230)는 가로로 긴 판 형상의 덮개판에 하향으로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단면이 T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장식패널(100)이 상기 상부문틀(200)에 장착된 후 상기 상단마개(230)가 상기 상부문틀(200)의 상단면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상단마개(230)의 상단면과 상기 상부문틀(200)의 상단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상단마개(230)의 덮개판 부분의 두께와 너비 및 길이만큼의 오목홈이 상기 상부문틀(200)의 상단면에 상기 제1 장식패널삽입구(210)와 일체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식패널삽입구(210)의 가로 중심부에는 상기 상단마개(230) 및 장식패널(100)의 일정부분을 손가락으로 집어서 상부문틀(200)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손가락 끝부분이 유입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와 넓이로 곡면을 이루며 손가락유입홈(240)이 형성되어 있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손가락유입홈(240)을 형성하였지만 문짝과 장식패널(100)의 크기에 따라 둘 이상의 손가락유입홈(240)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단결합홈(220)은 상부문틀(200) 하단부에 일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면에서 상향으로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 상단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절곡되면서 홈이 연장 형성되어 단면이 T자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하단결합홈(220)의 양 측단이 모두 개방되어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문짝의 손잡이가 위치하는 쪽의 일측단은 상기 조인트바(400)가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문틀(200)과 가구 본체가 경첩 등으로 연결되는 타측단 쪽은 조인트바(400)가 상부문틀(200) 외측으로 더 이상 돌출되지 않게 폐쇄되어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문의 개폐시 상기 상부문틀(200)과 상기 장식패널(100)간에 진동에 의한 충격과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진팩킹(120)을 상기 상부문틀(200)에 부착하는 것이 좋은데, 상기 방진팩킹(120)은 상기 상부문틀(200)의 전면 테두리 내측과 이에 대응되는 후면 내측에 쌍으로 설치하며 상기 상부문틀(200)의 상단 쪽과 하단 쪽 두 부분에 각각 두 쌍 씩 설치하거나 문짝이나 장식패널(100)의 크기에 따라 좌우측 부분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진팩킹(120)은 고무나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두께를 최대한 얇게 제작함으로써 장식패널(100)과 상부문틀(200) 상호간에 진동에 의한 충격과 소음을 흡수함과 동시에 장식패널(100)과 상부문틀(200)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진팩킹(120)과 상부문틀(200)과는 접착제만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지만, 나사 등과 같은 체결구와 접착제를 동시에 이용하여 보다 확실하게 고정함으로써 장식패널(100)을 자주 교체하는 등 사용에 의하여 상기 방진패킹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단마개(230)와 상기 상부문틀(200) 상단면 간에도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제1 장식패널삽입구(210) 부근에도 상기 방진팩킹(120)을 부설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문틀(300)은 상단면으로 상기 장식패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장식패널삽입구(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삽입되는 장식패널(100) 전면의 문양이 외부에 표출될 수 있도록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전면에 개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상기 조인트바(400)가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결합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단결합홈(320)은 하부문틀(300) 상단부에 일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단면에서 하향으로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 하단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절곡되면서 홈이 연장 형성되어 단면이 역T자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상단결합홈(320)의 양 측단이 모두 개방되어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상부문틀(200)의 하단결합홈(220)과 마찬가지로 문짝의 손잡이가 위치하는 쪽의 일측단은 상기 조인트바(400)가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문틀(300)과 가구 본체가 경첩 등으로 연결되는 타측단 쪽은 조인트바(400)가 하부문틀(300) 외측으로 더 이상 돌출되지 않게 폐쇄되어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장식패널삽입구(310)는 상기 상단결합홈(320)의 저면에 상기 상단결합홈(3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상단결합홈(320)의 두께는 상기 장식패널(1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장식패널(100) 두께보다 넓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며, 상기 하부문틀(300)에서는 상기 상부문틀(200)과는 달리 제2 장식패널삽입구(310)를 폐쇄하는 구성요소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상기 조인트바(400)가 마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문틀(200)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문틀(300)에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유입홈(24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하부문틀(300)에서의 손가락유입홈(240)은 상기 상단결합홈(320)과 제2 장식패널삽입구(310)에 걸쳐 상기 장식패널(100)의 상단 일정부분을 손가락으로 집어서 하부문틀(300)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곡면을 이루며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문틀(300)에서도 상기 상부문틀(200)에서와 마찬가지로 진동에 의한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진팩킹(120)을 부설하도록 하는데, 그 상세한 내용은 상기 상부문틀(200)에서 설명한 내용과 다를 바 없다. 즉, 고무나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의 재질로 제작된 상기 방진팩킹(120)을 상기 하부문틀(300) 전면 테두리와 후면 내측에 쌍으로 접착제와 나사 등으로 부착하여 설치하되 부착되는 위치와 개수는 문짝이나 장식패널의 크기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조인트바의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조인트바(400)는 가로로 긴 막대 형상의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문틀(200)의 하단결합홈(220)과 슬라이드 결합하는 상단 돌출부(420)가, 하단에는 상기 하부문틀(300)의 상단결합홈(320)과 슬라이드 결합하는 하단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의 전체적인 가로 길이는 문짝의 가로 길이 만큼의 길이로 구성되며 몸체의 두께는 상기 상부문틀(200)과 하부문틀(300)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결합하였을 때 일체적으로 문짝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또한,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문틀(200)의 하단결합홈(220)과 상기 하부문틀(300)의 상단결합홈(320)의 각 타측단이 폐쇄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상기 상단 돌출부(420)와 하단 돌출부(430)가 상기 하단결합홈(220)과 상단결합홈(320)의 각 타측단과 맞닿는 부분은 상기 조인트바 몸체(410)의 길이보다 상기 하단결합홈(220)과 상단결합홈(320)의 폐쇄된 부분의 두께만큼 짧게 형성되도록 하여 각 결합이 빈틈없이 들어맞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조인트바(400)의 상단 돌출부(420)와 하단 돌출부(430)는 상기 상부문틀(200)의 하단결합홈(220)과 상기 하부문틀(300)의 상단결합홈(3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단 돌출부(420)와 하단 돌출부(430)의 끝단이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여 각각 T자형과 역T자형을 이루고 있다. 아울러, 상기 조인트바(400)의 재질은 플라스틱류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있게 제작할 수도 있지만, 상부문틀(200)과 하부문틀(300)을 연결하여 일체로 동작하게 한다는 역할을 고려하면 보다 튼튼하게 목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인트바 몸체(410)에서 문의 전면에 노출되는 일측면의 표면은 금속도금을 한다든지 하는 등으로 포인트를 주어서 문 전체의 디자인에 포인트를 줄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장식패널의 일 실시예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장식패널의 일 실시예는 사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전면과 후면에 각각 상이한 문양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식패널(100)의 상단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장식패널(100)을 손가락으로 집기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곡면을 이루며 상단오목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오목홈(110)은 상기 상부문짝과 하부문짝의 손가락유입홈(240)의 위치에 맞게 형성하여 상기 상단오목홈(110)과 손가락유입홈(240)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장식패널(100)을 삽입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장식패널(100)을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장식패널(100)을 이용하여 두 개의 문양을 표출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문짝을 구성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장식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는 자성을 띄고 있는 베이스 패널(130)의 전면에 펠트펜을 이용하여 글씨를 판서하고 지울 수 있는 화이트보드 패널(140)을 부착함으로써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성을 띄고 있는 상기 베이스 패널(130)을 이용함으로써 각종 메모지나 쪽지, 또는 간단한 청구서 등을 철제 고정구로 상기 화이트보드 패널(140) 위에 부착할 수 있고, 상기 화이트보드 패널(140)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메모나 내부에 수납된 물품 내용 등을 펠트펜으로 판서하거나 아동 등의 낙서판으로 사용하여 가구용 문짝의 전면을 기능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화이트보드 패널(140)은 상기 베이스 패널(130)의 전면에만 부착할 수도 있지만, 상기 베이스 패널(130)의 전면과 후면에 모두 상기 화이트보드 패널(140)을 부착하여 상기 장식패널(100)을 구성하거나 상기 베이스 패널(130)의 전면에는 화이트보드 패널(140)을 부착하고 후면에는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일반 패널을 부착하여 상기 장식패널(100)을 구성하는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장식패널(100)의 본 실시예에서도 상단오목홈(110)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문틀(200)과 하부문틀(300)에 용이하게 삽입, 교체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의 조립과정을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상부문틀(200)의 제1 장식패널삽입구(210)를 통해 상기 장식패널(100)을 삽입하고 상기 제1 장식패널삽입구(210)를 상기 상단마개(230)로 단단히 폐쇄하며, 상기 하부문틀(300)의 상단결합홈(320)의 저면에 연결되어 형성된 제2 장식패널삽입구(310)를 통해 다른 장식패널(100)을 삽입한다. 상기 하부문틀(300)의 제2 장식패널삽입구(310)는 상기 조인트바(400)가 제2 장식패널삽입구(310) 마개 역할을 하므로 상기 상부문틀(200)과는 달리 별도의 마개가 필요하지 않다. 그 후 상기 상부문틀(200)과 하부문틀(300)에 각각 형성된 하단결합홈(220)과 상단결합홈(320)에 상기 조인트바(400)를 상기 하단결합홈(220)과 상단결합홈(320)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여 상기 상부문틀(200)과 하부문틀(300)을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문짝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이 조립된 문짝의 손잡이는 상기 상부문틀(200)과 하부문틀(300) 각각에 형성하여 어느 손잡이를 사용하더라도 전체 문이 열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상부문틀(200)이나 하부문틀(300) 중 하나의 문틀에만 형성하여 전체적인 문틀의 디자인을 간결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장식패널 110 - 상단오목홈
120 - 방진팩킹 130 - 베이스 패널
140 - 화이트보드 패널 200 - 상부문틀
210 - 제1 장식패널삽입구 220 - 하단결합홈
230 - 상단마개 240 - 손가락유입홈
300 - 하부문틀 310 - 제2 장식패널삽입구
320 - 상단결합홈 400 - 조인트바
410 - 조인트바 몸체 420 - 상단 돌출부
430 - 하단 돌출부

Claims (10)

  1. 전면에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의 장식패널;
    전면은 테두리를 제외하고 개방되어 있고 상단으로 상기 장식패널이 삽입가능하게 상단면에 제1 장식패널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좌우 양측면을 관통하며 상향으로 오목하게 하단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문틀;
    전면은 테두리를 제외하고 개방되어 있고 상단면에 가로 방향으로 좌우 양측면을 관통하며 하향으로 오목하게 상단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결합홈의 저면에는 상기 장식패널이 삽입 가능하게 제2 장식패널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문틀; 및
    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하단결합홈과 상단결합홈에 각각 측면으로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의 두께와 일치하는 몸체 두께를 가지며 가로로 긴 막대 형상을 이루는 조인트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문틀은 상기 제1 장식패널삽입구의 상단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문틀의 상단면을 폐쇄할 수 있는 상단마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마개는 길이가 긴 판 형상의 덮개판에 막대형 돌기가 하향으로 일체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문틀의 상단면에는 상기 상단마개의 덮개판이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장식패널삽입구보다 넓은 오목홈이 상기 제1 장식패널삽입구와 일체로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바 상단과 하단의 돌출부의 끝단은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문틀의 하단결합홈과 하부문틀의 상단결합홈의 단면은 상기 조인트바의 돌출부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게 오목홈의 저면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문틀의 하단결합홈과 상기 하부문틀의 상단결합홈의 가로 방향의 일측단은 개방되어 있고 타측단은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바의 상단과 하단의 돌출부의 길이는 각각 상기 하단결합홈과 상단결합홈의 가로 길이와 동일하도록 타측단 쪽이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의 전면 테두리의 내측과 이에 대응되는 후면 내측에 탄력성을 가지는 방진팩킹이 쌍을 이루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널은 전면과 후면에 각기 다른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널은 자성을 띄고 있는 베이스 패널의 전면에 화이트보드 패널을 부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삽입되어 있는 장식패널을 집어서 꺼내기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문틀의 제1 장식패널삽입구와 상기 하부문틀의 상단결합홈 및 제2 장식패널삽입구에 하향으로 곡면을 이루며 손가락 유입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널의 상단 전면과 후면에 상기 손가락 유입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장식패널을 집기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곡면을 이루며 상단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KR2020100007199U 2010-07-07 2010-07-07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KR200464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199U KR200464361Y1 (ko) 2010-07-07 2010-07-07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199U KR200464361Y1 (ko) 2010-07-07 2010-07-07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95U KR20120000395U (ko) 2012-01-13
KR200464361Y1 true KR200464361Y1 (ko) 2013-01-09

Family

ID=4584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199U KR200464361Y1 (ko) 2010-07-07 2010-07-07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3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067B1 (ko) * 2013-04-15 2013-11-18 성심산업(주) 정보전달을 위한 보드판을 갖는 문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7295A1 (en) 2007-05-29 2008-12-04 Mats Cedermarker Do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7295A1 (en) 2007-05-29 2008-12-04 Mats Cedermarker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95U (ko) 201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9801B2 (ja) 冷蔵庫用カバーパネルユニット
US8215731B2 (en) Handle assembly for a domestic appliance
US20120169196A1 (en) Cabinet door with interchangeable removable panel
CA125638S (en) Washing machine
EP1860228A1 (en) System for fixing a front panel to a washing machine
KR200464361Y1 (ko) 장식패널 교체가 가능한 가구용 문짝
US20160045027A1 (en) Flip core door assembly
KR200449516Y1 (ko) 도어 손잡이
KR102303479B1 (ko) 분할 교체 구조로 된 매립형 도어손잡이
KR200397758Y1 (ko) 가구용 문짝
KR101900592B1 (ko) 붙박이장의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
KR20090004227U (ko) 부착용 자석이 구비된 시계
KR20070004356A (ko) 냉장고의 박스 구조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KR200386638Y1 (ko) 가구용 문짝의 문틀 조립 구조
KR20110058508A (ko) 가구용 문짝 구조
KR200421530Y1 (ko) 자석을 이용한 액자 조립체
CN205172166U (zh) 一种嵌入式门拉手
KR200450141Y1 (ko) 가구의 장식무늬 교체장치
CN203175287U (zh) 一种装饰门
KR200170001Y1 (ko) 개량 학생용 사물함
CN210407893U (zh) 一种镜门及镜柜
US11910944B2 (en) Decorative mezuzah casing
KR200417198Y1 (ko) 장롱용 문짝
JP6720232B2 (ja) システム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