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286Y1 -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 Google Patents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286Y1
KR200464286Y1 KR2020110003159U KR20110003159U KR200464286Y1 KR 200464286 Y1 KR200464286 Y1 KR 200464286Y1 KR 2020110003159 U KR2020110003159 U KR 2020110003159U KR 20110003159 U KR20110003159 U KR 20110003159U KR 200464286 Y1 KR200464286 Y1 KR 200464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case
tissue
cup cleaner
sanita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292U (ko
Inventor
천병삼
Original Assignee
천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병삼 filed Critical 천병삼
Priority to KR2020110003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28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2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2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front or sides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for prehension of the next sheet to be disp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9Accessories or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e.g. music boxes, clocks, heating devices or shel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위생티슈(T)가 내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위생티슈(T)를 적당한 길이로 뽑아 쓸 수 있도록 측면에 인출구(110)가 형성된 티슈 케이스(100)와, 티슈 케이스(100)의 일측벽 또는 바닥면에서 뻗어나온 연장부 상에 탈부착 가능함과 아울러, 소정 깊이의 위생세정홈(210)이 구비된 형태로 제작된 컵 클리너(200)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에 의하면, 상대방에게 술잔을 건넬 때, 술잔 주연부를 깨끗이 닦아 건넬 수 있다. 따라서, 위생적인 수작(酬酌)이 가능하고, 술자리 분위기를 고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Tissue case with cup cleaner}
본 고안은 술집이나 횟집처럼 주류가 판매되는 영업장에서 손님을 위해 테이블 상에 비치해 놓기에 좋은 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일행끼리 서로 술잔을 주고 받을 때, 한 손으로 술잔의 주연부(周緣部: 입술이 닿는 술잔의 입구부분)를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게 구성된,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대방에게 잔을 건네어 술을 권하는 행위(이른바, 잔 돌리기)는 위생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지만, 술자리를 함께하는 상대방에게 자신의 유대감이나 친밀감을 드러내는 표시로 여겨지기 때문에, 상대가 건네는 잔을 무작정 피하거나 사양할 수만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아직까지는 술잔 주연부를 깨끗이 닦아내거나 세정하는데 이용할만한 제품이 없기 때문에, 자기 술잔을 상대방에게 건네기 전, 맨손으로 술잔 주연부를 살짝 닦아낸다든지, 테이블 상에 비치된 냅킨 따위의 티슈를 사용하여 술잔 주연부를 닦아서 건네는 등, 불편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어쨌든 이러한 잔 돌리기는 세균 전염과 질병 전파의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삼가야 할 일이다.
본 고안은, 우리의 잔 돌리기 문화가 가진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주잔, 맥주잔, 양주잔과 같은 다양한 술잔(또는, 컵)을 간편하면서 위생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는, 술잔의 주연부를 돌려 닦기 할 때 사용하는 위생티슈가 내부에 저장되며, 위생티슈를 한 장씩 뽑아내거나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하여 쓸 수 있도록 일측벽에 인출구가 형성된 티슈 케이스 와; 티슈 케이스의 일측벽에 형성된 인출구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일측벽의 외면측에 구비되거나 또는 일측벽의 앞쪽으로 뻗도록 티슈 케이스의 바닥면에서 뻗어나온 연장부 상에 구비됨과 아울러, 술잔 주연부를 돌려 닦기 할 수 있는 소정 깊이의 위생세정홈이 호형(弧形)으로 형성된 컵 클리너 ;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컵 클리너는 티슈 케이스의 일측벽 또는 연장부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크기가 다른 술잔의 주연부도 세정할 수 있도록, 컵 클리너는 호(弧)의 길이 또는 깊이가 다른 복수 개의 위생세정홈이 동심원 상에 배치된 구조이다. 또한, 위생세정홈 중 적어도 어느 한 위생세정홈의 내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위생세정홈의 양쪽 내면에는, 위생티슈를 술잔의 주연부에 밀착시키는 돌기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돌기의 형상과 개수, 재질에 대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바람직하게는, 티슈 케이스의 바닥면에 이동방지구가 더 설치되며, 이동방지구로서, 마찰패드나 흡착판 또는 중량체가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이들이 서로 조합되어 이용된다.
또한, 본 고안의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는 2개 또는 4개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티슈 케이스의 상부나 다른 측벽에, 종지 형상의 세정용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를 이용하면, 자신이나 상대방이 사용한 술잔의 주연부를 쉽게 세정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인 수작(酬酌)이 가능하며, 술자리를 함께한 상대방에게 자기 잔을 건네기도 좋아 술자리 분위기를 고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b)는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b)는 티슈 케이스와 컵 클리너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c)는 술잔의 주연부가 컵 클리너의 위생세정홈 내에서 위생티슈에 의해 닦이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바닥면에 마찰패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b)는 티슈 케이스의 바닥면에 흡착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c)는 티슈 케이스의 바닥면에 중량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d)는 티슈 케이스의 바닥면에 중량체와 마찰패드가 둘 다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티슈 케이스와 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b)는 복수 개의 티슈 케이스가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c)는 4개의 티슈 케이스가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d)는 4개의 티슈 케이스가 자성체를 통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각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벽에 형성된 인출구(110)를 통해 필요시마다 위생티슈(T)를 한 장씩 뽑아 쓸 수 있고, 위생티슈(T)를 한 장 뽑아 썼을 때, 다음번 위생티슈(T)가 인출구(110)로부터 자동으로 인출되어 사용하기에 편리한 상태로 세팅되며, 위생티슈(T)를 다 쓴 경우에 새 위생티슈(T)가 보충 가능하도록 구성된 티슈 케이스(100)와; 이 티슈 케이스(100)의 일측벽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술잔(C)의 주연부를 끼워넣어 돌려 닦기 할 수 있는 호형(弧形)의 위생세정홈(210)이 형성된 컵 클리너(200)로 이루어져 있다.
티슈 케이스(100) 내에는, 위생티슈(T)를 한 장씩 뽑아서 쓸 때, 얼마 남지 않은 위생티슈(T)가 티슈 케이스(100) 내의 바닥면 쪽으로 축 처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인출구(110)를 통해 위생티슈(T)가 한 장씩 원활히 뽑혀나옴과 동시에 다음번 위생티슈(T)가 사용하기 편리한 상태로 세팅되도록, 티슈 케이스(100) 내의 소정 위치에서 위생티슈(T)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171)이 티슈 케이스(10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티슈 케이스(100)와 컵 클리너(200)가 분해?조립될 수 있도록, 컵 클리너(200)의 외측면에는 연결걸이(220)가 돌출되어 있고, 티슈 케이스(100)의 외측면에는 이 연결걸이(220)가 끼워져서 걸리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티슈 케이스(100)의 상면에는 세정액(물이나 알코올 따위)을 채워 둘 수 있는 종지 형상의 세정용기(16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컵 클리너(200)와 위생티슈(T)를 이용하여 술잔(C) 주연부를 닦아낸 후, 세정용기(160) 속의 세정액에 술잔(C) 주연부를 담가 약간 흔들어 주면, 한번 더 세정할 수 있으므로, 더 위생적인 술잔(C)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티슈 케이스(100)가 테이블 상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티슈 케이스(100)의 바닥면에는 이동방지구(13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여러 장의 위생티슈(T)가 겹쳐진 상태로 티슈 케이스(100) 내에 장입되어 있으므로, 티슈 케이스(100)의 인출구(110)를 통해 위생티슈(T)를 뽑게 되면 다음번 위생티슈(T)의 일부분이 인출구(110)를 통해 바깥으로 끌려 나와 컵 클리너(200)의 위생세정홈(210) 위에 자동으로 걸쳐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술잔(C) 주연부를 위생세정홈(210) 안으로 밀어 넣으면, 위생세정홈(210) 위에 걸쳐진 위생티슈(T)가 술잔(C) 주연부를 감싸는 형태로 위생세정홈(210) 속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한 손으로 쥐고 있는 술잔 뒷부분(바닥부분)을 돌리면, 술잔(C)의 주연부에 묻은 이물질이 위생세정홈(210) 내에 끼워진 위생티슈(T)에 의해 닦여지게 된다.
제2실시예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는, 도 2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벽에 형성된 인출구(110)를 통해 필요시마다 위생티슈(T)를 한 장씩 뽑아 쓸 수 있고 또 위생티슈(T)를 다 쓴 경우에 새 위생티슈(T)를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티슈 케이스(100)와, 인출구(110)가 형성된 일측벽의 앞쪽으로 뻗도록 티슈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연이어 형성된 연장부(170) 상에 일체로 설치되며 또한 술잔(C) 주연부를 끼워넣어 돌려 닦기 할 수 있는 호형(弧形)의 위생세정홈(210)이 형성된 컵 클리너(20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티슈 케이스(100)의 상면에는 세정용기(160)가 구비되어 있고, 티슈 케이스(100)의 바닥면에는 이동방지구(13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위생티슈(T)를 지지하는 지지봉(171)이 티슈 케이스(10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컵 클리너(200)는 연장부(170) 상에 일체로 설치되지만, 이와는 다른 형태로, 예를 들면, 컵 클리너(200)가 연장부(170)에 대해 탈부착하거나 분해?조립되는 형태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컵 클리너(200)에는 호의 길이와 깊이가 다른 2개의 위생세정홈(210)이 형성되어 있지만, 3개 이상의 위생세정홈(210)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위생세정홈(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쪽 내면에는 위생티슈(T)를 술잔(C)의 주연부에 밀착시키는 돌기(211)가 형성되어 있는데, 돌기(211)의 형상과 개수,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티슈 케이스(100)의 양측 내면에는, 지지봉(171)의 양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안내홈(17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출구(110)로부터 위생티슈(T)를 뽑아낼 때, 지지봉(17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지지봉(171)이 안내홈(172)을 따라 적당한 위치로 승하강하여, 티슈 케이스(100)로부터 위생티슈(T)가 더 쉽게 배출된다.
제3실시예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는, 도 3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구(110)를 통해 필요시마다 위생티슈(T)를 일정량 뽑아 쓸 수 있고 또 위생티슈(T)를 다 쓴 경우에 새 위생티슈(T)를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티슈 케이스(100)와, 티슈 케이스(10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거나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술잔(C) 주연부를 끼워넣어 돌려 닦기 할 수 있는 호형의 위생세정홈(210)이 형성된 컵 클리너(200)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역시, 위생세정홈(210) 안으로 위생티슈(T)를 끌고 들어가는 술잔(C) 주연부가 위생세정홈(210) 내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술잔(C) 주연부를 안팎으로 감싸고 있는 위생티슈(T)에 의해 술잔(C) 주연부가 깨끗이 닦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편의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티슈 케이스(100)는 사각통인 것이 보통이지만, 타원형 통이나 여러 가지 캐릭터 모양이 부여된 통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인출구(110)의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티슈 케이스(100)의 일측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 컵 클리너(200)는, 호형의 위생세정홈(210)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술잔(C) 주연부가 위생티슈(T)를 끌고 위생세정홈(210) 안으로 끼워졌을 때, 술잔(C)을 어느 한쪽으로 돌리면, 술잔(C)의 주연부를 안팎으로 감싸고 있는 위생티슈(T)가 술잔(C)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닦아내게 낸다.
티슈 케이스(100)와 마찬가지로, 컵 클리너(200)도 여러 가지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정육면체나 직육면체 또는 원통형으로 제작 가능하다. 또, 특정 술잔(예컨대, 소주잔) 외에 다른 술잔(C)도 세정 가능하도록, 컵 클리너(200)는 크기가 다른 복수 개의 위생세정홈(210)을 구비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술잔(C) 주연부를 위생세정홈(210)에 끼워 돌려 닦기 할 때, 티슈 케이스(100)가 테이블 상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티슈 케이스(100)의 바닥면에는 이동방지구(130)가 구비되어 있다.
이동방지구(130)로서, 예를 들면, 도 4 (a) 내지 (d)에 나타낸 것처럼, 고무판과 같은 마찰패드(131)나 흡착판(132) 또는 티슈 케이스(100)를 무겁게 만들 수 있는 중량체(133) 중 하나가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이들이 서로 조합되어 이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컵 클리너(200)의 외측면에는 연결걸이(220)가 형성되어 있고, 인출홈(110)이 있는 티슈 케이스(100)의 일측벽에는 결합홈(120)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연결걸이(220)와 결합홈(120)에 의해, 티슈 케이스(100)와 컵 클리너(200)가 분해?조립될 수 있다.
또한, 티슈 케이스(100)의 상면이나 측면에는 세정액(물, 알코올 따위)을 채워 둘 수 있는 세정용기(16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컵 클리너(200)를 이용하여 위생티슈(T)로 닦아낸 술잔(C)을, 세정용기(160)에 채워진 세정액으로 한번 더 세정함으로써 더 위생적인 술잔(C)을 사용할 수 있다. 세정액에 아로마가 함유될 수도 있다. 한편, 이 세정용기(160)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티슈 케이스(100) 내에 저장되는 위생티슈(T)는 종류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냅킨이나 롤 화장지뿐 아니라 물티슈라도 좋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슈 케이스는 2개씩 또는 4개씩 짝지워 일체로 쓸 수 있다. 이 경우, 도 5 (c)에 도시된 것처럼, 각 티슈 케이스(100)의 상면에 고정홈(140)을 형성함과 아울러, 고정홈(140)에 끼워넣는 삽입돌기(151)가 형성된 연결부재(150)를 추가로 준비해도 좋지만, 도 5 (d)처럼, 티슈 케이스(100)의 한쪽 측벽에 자성체(121)를 부착하거나 매립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출구(110)를 통해 티슈 케이스(100) 밖으로 끌려 나온 위생티슈(T)의 일부가 컵 클리너(200)의 위생세정홈(210) 위에 놓인 상태에서, 술잔(C) 주연부를 위생세정홈(210)에 끼워넣으면, 위생세정홈(210) 안으로 위생티슈(T)와 술잔(C)의 일부가 함께 끼워지고, 이 상태에서 술잔(C)을 돌리면, 위생티슈(T)가 술잔(C) 주연부를 닦아내어, 간편하게 술잔(C)을 세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티슈 케이스(100)와 컵 클리너(200)는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서로 탈부착하거나 분해조립되는 구조로도 제작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위생세정홈(210)을 컵 클리너(200)에 형성함으로써, 소주잔이나 맥주잔 또는 양주잔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술잔(C)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위생세정홈(210)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티슈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마찰패드(131)나 압착판(132) 또는 중량체(133)와 같은 이동방지구(130)가 구비되어 있어, 컵 클리너(200)로 술잔(C) 주연부를 닦을 때, 티슈 케이스(100)가 테이블 상에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컵 클리너(200)와 위생티슈(T)로 술잔(C) 주연부를 닦아낸 후, 세정용기(160) 속의 세정액으로 더 깨끗이 헹구어 내거나, 또는 반대로 세정용기(160) 내의 세정액으로 술잔(C)을 먼저 씻은 후, 컵 클리너(200)와 위생티슈(T)로 술잔(C) 주연부를 닦아낼 수 있다.
또한, 티슈 케이스(100)를 2개씩 또는 4개씩 세트로 묶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는 술자리를 같이하고 있는 상대방에게 술잔을 건넬 때, 술잔 주연부를 깨끗이 닦아낼 수 있다.
따라서 상대에게 술을 권하기가 좋고, 위생적인 수작이 가능하여 술자리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종류의 술잔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고안이다.
이상, 본 고안이 실시예와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티슈 케이스 110: 인출구
120: 결합홈 121: 자성체
130: 이동방지구 131: 마찰패드
132: 흡착판 133: 중량체
140: 고정홈 150: 연결부재
151: 삽입돌기 160: 세정용기
170: 연장부 171: 지지봉
172: 안내홈 200: 컵 클리너
210: 위생세정홈 211: 돌기
220: 연결걸이 T: 위생티슈
C: 술잔

Claims (8)

  1. 술잔의 주연부를 돌려 닦기 할 때 사용하는 위생티슈가 내부에 저장되며, 상기 위생티슈를 한 장씩 뽑아내거나 필요한 길이만큼 끌어내어 쓸 수 있도록 일측벽에 인출구가 형성된 티슈 케이스;
    상기 티슈 케이스의 일측벽에 형성된 상기 인출구의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상기 일측벽의 외면측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일측벽의 앞쪽으로 뻗도록 티슈 케이스의 바닥면에서 뻗어나온 연장부 상에 구비됨과 아울러, 술잔의 주연부를 돌려 닦기 할 수 있는 소정 깊이의 위생세정홈이 호형(弧形)으로 형성된 컵 클리너;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클리너는, 상기 티슈 케이스의 일측벽 또는 상기 티슈 케이스의 바닥면에서 뻗어나온 연장부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 클리너는, 호(弧)의 길이 또는 깊이가 다른 복수의 위생세정홈이 동심원 상에 배치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세정홈의 적어도 한쪽 내면에, 위생티슈를 술잔 주연부에 밀착시키는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 케이스는, 바닥면에 이동방지구가 더 설치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구로서, 마찰패드와 흡착판과 중량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거나, 또는, 마찰패드와 흡착판과 중량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2개 또는 4개의 티슈 케이스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 케이스의 상부 또는 다른 측벽에, 종지 형상의 세정용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KR2020110003159U 2011-04-14 2011-04-14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KR200464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59U KR200464286Y1 (ko) 2011-04-14 2011-04-14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59U KR200464286Y1 (ko) 2011-04-14 2011-04-14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92U KR20120007292U (ko) 2012-10-24
KR200464286Y1 true KR200464286Y1 (ko) 2012-12-21

Family

ID=4751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159U KR200464286Y1 (ko) 2011-04-14 2011-04-14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28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999Y1 (ko) 2004-12-08 2005-05-11 김경희 살균 기능의 술잔
KR100942595B1 (ko) 2008-12-22 2010-02-16 광주광역시 남구 휴대용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999Y1 (ko) 2004-12-08 2005-05-11 김경희 살균 기능의 술잔
KR100942595B1 (ko) 2008-12-22 2010-02-16 광주광역시 남구 휴대용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92U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7933A (ja) 拭取り布小出し装置
US20070034650A1 (en) Fluid dispenser useful as a tissue roll dispenser
USD530209S1 (en) Bottle
JP2009227307A (ja) カップ付容器
KR101583489B1 (ko) 뚜껑에 물티슈가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KR200464286Y1 (ko) 컵 클리너가 구비된 티슈 케이스
WO2022153172A1 (en) Insulated container apparatuses and devices
CN106572780A (zh) 与嘴接触的餐具嘴缘的清洁和/或消毒装置
US20080060559A1 (en) Disposable utensil rest
CN2933183Y (zh) 筷子抗菌密封盒
CN207152513U (zh) 一种调料集中装置及装有该调料集中装置的收纳柜
KR200417205Y1 (ko) 위생적인 간장용기 구조
CA2658209A1 (en)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KR20190094703A (ko) 물티슈 포장체
CN202801420U (zh) 卫生牙具
KR200380378Y1 (ko)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CN211380663U (zh) 一种可防止烫伤的无氟乳浊玻璃餐具
CN213650509U (zh) 一种洗手液瓶
CN210008954U (zh) 一种多功能纸巾盒
KR20090010765A (ko) 광고판이 구성된 절첩식 수저 받침대
CN210783821U (zh) 一种多功能塑料口杯
JP5911123B2 (ja) 食品に触れた器具の付着物を拭き取る衛生シートセット、及び食品に触れた器具の付着物を拭き取って減少させる方法
CN210446526U (zh) 一种杯子
CN209595085U (zh) 一种酒店餐车
CN104687939A (zh) 新型防长霉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