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036Y1 -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 - Google Patents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036Y1
KR200464036Y1 KR2020100004501U KR20100004501U KR200464036Y1 KR 200464036 Y1 KR200464036 Y1 KR 200464036Y1 KR 2020100004501 U KR2020100004501 U KR 2020100004501U KR 20100004501 U KR20100004501 U KR 20100004501U KR 200464036 Y1 KR200464036 Y1 KR 2004640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ube
tree
support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170U (ko
Inventor
강동수
Original Assignee
강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수 filed Critical 강동수
Priority to KR2020100004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03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1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0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0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상수, 활엽수, 관상 유실수 등의 여러 가지 종류의 식물을 식재하여 식물의 가지와 잎, 줄기 및 넝쿨 등에 의하여 테이블 상부를 덮게 하여 차양의 기능과 조경, 장식의 효과는 물론 인체에 유익한 식물 자체의 친환경적인 직접적인 영향과 효과를 아울러 얻을 수 있게 하여 숲속의 나무그늘 아래에서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도 아울러 얻을 수 있는 친환경적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A table provide with a jardiniere}
본 고안은 관상수, 활엽수, 관상 유실수 등의 여러 가지 종류의 식물을 식재하여 식물의 가지와 잎, 줄기 및 넝쿨 등에 의하여 테이블 상부를 덮게 하여 차양의 기능과 조경, 장식의 효과는 물론 인체에 유익한 식물 자체의 친환경적인 직접적인 영향과 효과를 아울러 얻을 수 있게 하여 숲 속의 나무그늘 아래에서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도 아울러 얻을 수 있는 친환경적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되는 테이블은 지각에 사각 또는 원형 상판에 얹어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테이블 중앙에 파라솔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실내 또는 실외 테이블은 기능만을 고려하여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블 분위기가 단순한 단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테이블의 분위기를 환경친화적으로 꾸미기 위하여서는 테이블에 화분, 화병 또는 분재와 같은 다양한 장식물을 개별적으로 얹어 주어 테이블의 장식 및 테이블 분위기를 친환경적으로 꾸미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실외 테이블의 경우에는 주변에 나무를 심어 주위 조경에 의하여 테이블 주변 분위기를 향상시키는 경우와 테이블에 파라솔을 설치하여 차양의 효과를 얻게 하는 등의 단조로운 구성으로 테이블의 분위기를 친환경적으로 연출하고 있었다.
이러한 테이블의 단조로움으로 인하여 종래 테이블의 상판을 강화유리로 사용하고 테이블 상판 하부에 공간을 확보한 후, 이 공간 내에 초목을 심어 준 다음, 강화유리로 복개하여 미니 정원의 효과를 보인 것이 실용신안등록 제167450호, 제323950호 등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들은 모두 테이블의 강화유리 상판 하부의 테이블 공간에 초목을 식재한 후, 그 상부를 강화유리 상판으로 복개하여 형성된 실내 장식용 테이블에 불과한 것이어서 시각적인 분위기만 연출될 뿐, 초목으로 인한 환경친화적인 초목 본연의 혜택이나 초목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과 효과는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단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단점과 단조로움을 해소하여 실내 또는 실외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테이블 중앙에 관상수, 활엽수, 관상 유실수 등의 여러 가지 종류의 식물을 식재하여 식물의 가지와 잎, 줄기 및 넝쿨 등에 의하여 테이블 상부를 덮게 하여 차양의 기능과 조경, 장식의 효과는 물론 인체에 유익한 식물 자체의 친환경적인 직접적인 영향과 효과를 아울러 얻을 수 있는 친환경적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실외에서 사용할 경우 별도의 파라솔을 설치하지 않고도 차양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친환경적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에 통공을 형성한 상판과; 상판 하부에 배수공과 물받이판을 형성한 드럼과; 드럼의 배수공 상부를 복개하고 삽지관을 상부로 돌출 형성한 걸름체와; 삽지관에 삽치되어 넝쿨이나 식물 줄기를 지지하는 지지체로 구성하여 드럼에 관상수, 활엽수, 관상 유실수 등의 여러 가지 종류의 식물을 식재하여 테이블 상부를 식물의 가지와 잎, 줄기 및 넝쿨 등이 형성되게하여 숲속의 나무그늘 아래에서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분위기에서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절개한 상태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타실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앙에 통공(1)을 형성한 상판(2)과; 상판(2) 하부에 배수공(3)과 물받이판(4)을 형성한 드럼(5)과; 드럼(5)의 배수공(3) 상부를 복개하고 삽지관(6)을 상부로 돌출 형성한 걸름체(7)와; 걸름체(7)의 삽지관(6)에 삽치되어 넝쿨이나 식물 줄기를 지지하는 지지체(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배수공(3)과 물받이판(4)을 형성한 드럼(5)은 화분의 기능을 발휘하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의 통체로 구성되고, 상측부는 개방되어 중앙에 통공(1)이 형성된 상판(2)이 재치되어 복개되고, 상판(2)과 드럼(5)은 브라켓(9)과 나사(10)에 의하여 체결되며, 드럼(5)의 하부에는 발받이 턱(5a)을 돌출 형성하고 이동할 수 있게 캐스터(5b)를 복수개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걸름체(7)의 삽지관(6)에 삽치되어 넝쿨이나 식물 줄기를 지지하는 지지체(8)는 삽치요구(8a)와 체결나사공(8b)을 형성한 상부 및 하부 관체(8c, 8d)로 분할 형성되어 설치높이를 신축하여 체결볼트(8e)로 체결, 고정하게하고 상부 관체(8c)의 상단부에는 넝쿨식물(20)의 줄기나 넝쿨이 감겨 활착 지지되는 지지간(8f)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관체(8d)는 드럼(5)의 내부에서 체결구(11)에 의하여 볼트(12)와 너트(13)로 체결되어 견고히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첨부도면 도 1내지 도 3에 의하여 넝쿨식물(20)을 식재한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드럼(5) 저부의 배수공(3)에 걸름망(14)를 재치하여 복개하고, 이 상부에 걸름체(7)를 재치하여 배양토(E)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준 다음, 걸름체(7)의 삽지관(6)에 지지체(8)의 하부관체(8d)를 삽치하여 기립시켜 주고, 이에 체결구(11)를 끼워 볼트(12)와 너트(13)로 드럼(5)의 내벽에 체결시켜 견고하게 고정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11)는 하부 관체(8d)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원형 끼움부(11a)와, 상기 원형 끼움부(11a)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결바(11b)와, 상기 연결바(11b)의 종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드럼(5)의 내면에 볼트(12) 조립되는 조립부(11c)로 구성되어 하부 관체(8d)의 중간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후, 드럼(5)내부에 배양토(E)와 넝쿨식물(20)을 투입하여 식재한 다음, 상판(2)으로 드럼(5) 상부를 복개하여 브라켓(9)과 볼트(10)로 고정시켜 주고,드럼(5)의 중앙 통공(1)을 통하여 넝쿨식물(20)의 줄기와 넝쿨을 인출시키고 하부 관체(8d)에 상부 관체(8c)를 삽치시켜 높이를 체결볼트(8e)로 조정하고 노출된 넝쿨식물(20)의 줄기와 넝쿨을 지지체(8)과 방사상 지지간(8f)에 감아 안정시키면 테이블(T)에 식물 파라솔이 형성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타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구성중 지지간(8), 체결구(11)의 구성을 생략하고, 넝쿨식물(20) 대신에 관상수, 관상과일수, 활엽수 등의 수목(30)을 식재하면 테이블(T)에 식물 파라솔이 형성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의 통공(1)을 형성한 상판(2)은 단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식재조건 예로서 대형수목, 또는 상판 일측에 통공(1)을 형성하는 경우 상판(2)를 분할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중앙에 통공을 형성한 상판과; 상판 하부에 배수공과 물받이판을 형성한 드럼과; 드럼의 배수공 상부를 복개하고 삽지관을 상부로 돌출 형성한 걸름체와; 삽지관에 삽치되어 넝쿨이나 식물 줄기를 지지하는 지지체로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드럼에 관상수, 활엽수, 관상 유실수 등의 여러 가지 종류의 식물을 식재하여 테이블 상부를 식물의 가지와 잎, 줄기 및 넝쿨 등이 형성되게 하여 마치 숲속의 나무그늘 아래에서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분위기에서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자체가 테이블과 화분을 겸용하게 실내와 실외를 구분함이 없이 어느 장소에서나 조경 및 수목 관상, 차양효과 등을 발휘하여 주변분위기를 인체에 유익한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발현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지닌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T:테이블
1:통공
2:상판
3:배수공
4:물받이판
5:드럼
5a:발받이 턱 5b:케스터
6:삽지관
7:걸름체
8:지지체
8a:삽치요구 8b:체결나사공 8c:상부관체 8d:하부관체
8e:체결볼트 8f:지지간
9:브라켓
10:볼트
11:체결구
14:걸름망

Claims (3)

  1. 통공(1)이 형성된 상판(2)과;
    상기 상판(2)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챔버가 형성되고, 하판에 배수공(3)이 형성된 드럼(5)과;
    상기 드럼(5)의 배수공(3) 하부에 서랍식으로 끼워지는 물받이판(4)과;
    상기 드럼(5)의 배수공(3) 상부에 배치된 채 방사상으로 다수의 물빠짐 홀이 형성되고, 상부로 삽지관(6)이 돌출형성된 걸름체(7)와;
    상기 걸름체(7)에 삽치되어 넝쿨이나 식물 줄기를 지지하며, 신축 조절 가능하며 넝쿨을 지지하는 지지간(8f)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상부 관체(8c)와, 하부 관체(8d)로 구성되고 상부 관체 지지체(8)로 구성되되,

    상기 상판(2)과 드럼(5)의 상부는 브라켓(9)과 볼트(10)로서 고정 결합하며,
    상기 드럼(5)의 하부에는 발받이 턱(5a)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밑부분에 캐스터(5b)를 복수개 설치하며,
    상기 하부 관체(8d)는, 하부 관체(8d)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원형 끼움부(11a)와, 상기 원형 끼움부(11a)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결바(11b)와, 상기 연결바(11b)의 종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드럼(5)의 내면에 볼트(12) 조립되는 조립부(11c)로 이루어진 체결구(1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
  2. 삭제
  3. 삭제
KR2020100004501U 2010-04-29 2010-04-29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 KR2004640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501U KR200464036Y1 (ko) 2010-04-29 2010-04-29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501U KR200464036Y1 (ko) 2010-04-29 2010-04-29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70U KR20100005170U (ko) 2010-05-19
KR200464036Y1 true KR200464036Y1 (ko) 2012-12-07

Family

ID=4445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501U KR200464036Y1 (ko) 2010-04-29 2010-04-29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0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447B1 (ko) * 2022-12-23 2024-01-30 강동수 화분수납형 조경테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616Y1 (ko) * 1999-10-27 2000-03-15 김명수 화분
JP2005058026A (ja) * 2003-08-20 2005-03-10 Tasuku Usui 屋上の緑化構造
KR100746236B1 (ko) * 2006-10-02 2007-08-06 정광용 자연적인 그늘막을 형성하는 나뭇가지 및 나뭇잎과 열매,꽃들로 구성된 자연 파라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616Y1 (ko) * 1999-10-27 2000-03-15 김명수 화분
JP2005058026A (ja) * 2003-08-20 2005-03-10 Tasuku Usui 屋上の緑化構造
KR100746236B1 (ko) * 2006-10-02 2007-08-06 정광용 자연적인 그늘막을 형성하는 나뭇가지 및 나뭇잎과 열매,꽃들로 구성된 자연 파라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447B1 (ko) * 2022-12-23 2024-01-30 강동수 화분수납형 조경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70U (ko)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143B1 (ko)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1140981B1 (ko) 화분 고정용 받침대
US20090272032A1 (en) Flower pot plant hold up device
KR20130028211A (ko) 다단조립식 화분
KR200444397Y1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101140959B1 (ko)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
KR101279133B1 (ko) 채소 재배기
KR200464036Y1 (ko) 식물 식재용 조경 테이블
KR200436996Y1 (ko) 걸이식화분
WO2008015372A1 (en) Improved tabletop planters and other tabletop articles
KR200388910Y1 (ko) 화분상자의 다단 지지장치
CN213523167U (zh) 一种藤蔓类植物用种植盆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KR100905800B1 (ko) 연결프레임을 이용한 관상용 유실수 재배방법
EP1328147B1 (en) Plant guiding column, assembly comprising a number of such columns, and shelter
JPH1075664A (ja) 擬態段積用植木鉢
KR200339586Y1 (ko) 착생란 재배용 아파트형 화분
KR200404327Y1 (ko) 인공 흙을 이용한 식물 재배용 투명 화분
CN211406977U (zh) 一种园林绿化隔离墙块
KR200412712Y1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CN210580194U (zh) 一种花盆
KR100921741B1 (ko) 화분
KR20120056080A (ko) 적층식화분
JP3012673U (ja) 植物鉢受け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