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81Y1 - 도어 - Google Patents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881Y1
KR200463881Y1 KR2020070010864U KR20070010864U KR200463881Y1 KR 200463881 Y1 KR200463881 Y1 KR 200463881Y1 KR 2020070010864 U KR2020070010864 U KR 2020070010864U KR 20070010864 U KR20070010864 U KR 20070010864U KR 200463881 Y1 KR200463881 Y1 KR 200463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base member
door
design panel
metal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107U (ko
Inventor
강경훈
오제중
나기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2020070010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8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1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1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성 재료에 관계없이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으며, 문양 및 색상 패턴이 구현된 디자인 패널을 간단하게 부착 및 분리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도어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는 전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한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요부가 형성되고 요부의 바닥면에 제 1 금속편, 바람직하게는 자성체가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 및 요부 내에 수용되며 제 1 표면에는 특정 색상의 문양이 형성된 시트 및 시트의 제 2 표면에 부착되어 자력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의 제 1 금속편에 부착되는 제 2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디자인 패널을 포함한다.
도어, 디자인 패널

Description

도어{Door}
본 고안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면에 특정 디자인이 인쇄된 패널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다양하게 얻을 수 있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출입문용 도어, 가구의 도어 등과 같은 도어는 목재,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료로 제조된다. 이러한 도어는 표면을 통하여 노출된 재료의 고유 무늬 또는 색상이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다.
색상 및 표면 디자인이 도어 또는 가구 제품 선택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으며, 또한 도어가 설치된 공간 및 가구가 배치된 공간의 미적 효과를 높이는 것을 제품 디자인에 있어 일차적인 고려 사항이 되고 있다.
출입문용 도어 그리고 가구의 도어(이하, "도어"라 칭함) 표면 자체에 양각 및 음각의 문양을 형성하거나, 다양한 색상의 도료를 이용하여 색상을 가미함으로써 도어의 디자인을 연출하게 된다.
위와 같이 연출된 디자인은 반영구적으로서, 도어를 교체하지 않고서는 디자인을 변경시킬 수 없다. 또한 도료를 이용하여 연출된 디자인(무늬)은 시간이 지남 에 따라 색상이 변경되거나 벗겨질 수 있어 디자인 요소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도어의 표면에 특정 문양이 인쇄된 시트를 부착하는 방안도 이용되고 있으나, 주변 환경(온도 및 습도 등)의 영향을 받아 시트가 도어에서 쉽게 벗겨지게 되며, 특히 어린이들이 시트를 고의로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출입문용 도어 또는 가구의 도어의 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한 위와 같은 시도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성 재료에 관계없이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문양 및 색상 패턴이 구현된 디자인 패널을 간단하게 부착 및 분리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는 전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한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요부가 형성되고 요부의 바닥면에 제 1 금속편, 바람직하게는 자성체가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 및 요부 내에 수용되며 제 1 표면에는 특정 색상의 문양이 형성된 시트 및 시트의 제 2 표면에 부착되어 자력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의 제 1 금속편에 부착되는 제 2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디자인 패널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는 베이스 부재의 요부 바닥면에 부착되며, 요부 바닥면에 부착된 제 2 금속편을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부재에 형성된 요부는 그 측벽이 바닥면에 인접한 수직부 및 수직부에서 연장되며 요부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부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요부 내에 위치하는 디자인 패널의 시트의 일부 높이는 수직부에 대응하며, 나머지 높이는 테이퍼부와 대응한다.
한편, 디자인 패널의 시트의 일면에는 요부가 형성되고, 제 2 금속편은 요부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디자인 패널의 시트의 표면과 제 2 금속편의 표면은 동일면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도어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에 문양 및 색상이 표현된 디자인 패널을 이용하여 도어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패널을 도어의 베이스 부재에 쉽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어 필요시 다른 문양 및 색상이 표현된 디자인 패널을 장착함으로써 도어를 해체하지 않고서도 새로운 디자인을 갖는 도어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건축물 출입문용 도어 그리고 가구용 도어에 적용할 수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출입문용 도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용 도어의 정면도로서, 출입문용 도어(100; 이하, "도어"라 칭함)는 목재,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료로 제조된 베이스 부재(10), 베이스 부재(10)의 일측에 장착된 록킹 부재(1) 및 도어 프레임(문틀; 도시되지 않음)에 베이스 부재(10)를 힌지 운동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힌지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0)의 어느 한 표면 또는 양 표면 상에는 특정 패턴(문양)이 인쇄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패널(20)이 장착되어 있다. 디자인 패널(20) 및 디자인 패널(20)을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10)의 구성을 도 2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베이스 부재(1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디자인 패널(20)을 장착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다. 한편, 베이스 부재(10)의 어느 한 표면부에만 디자인 패널(20)을 장착할 수 있으나, 도 2에서는 양 표면부에 디자인 패널(20)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디자인 패널(20)을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10)의 양 표면부에 형성된 구조는 동일하지만, 편의상 도 2의 상부는 디자인 패널(20)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하부는 디자인 패널(20)이 장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2에서, 베이스 부재(10)의 양 표면부에 형성된 구조에 동일한 참고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또한 베이스 부재(10)의 양 표면부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 및 하부 디자인 패널에도 동일한 도면 부호 "20"을 부여하였다.
베이스 부재(10)의 표면부에는 소정 깊이의 요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부(11)의 바닥면에는 자석(12; 제 1 금속편)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요부(11)의 바닥면에는 소정 면적의 자석(12)만이 부착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3)를 이용하여 자석(12)을 부착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개구가 형성된 금속 또는 합성 수지재의 지지 플레이트(13)를 접착제(14)를 이용하여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바닥면에 부착한 후, 자석(12)을 이 개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바닥면에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는 자석(12)이 요부(11)의 바닥면에서 분리되더라도 요부(11)의 바닥면 상에서 유동하지 않는다.
한편, 디자인 패널(20)은 시트(21) 및 시트(21)에 부착된 금속편(22; 제 2 금속편)을 포함한다. 즉, 외부로 노출되는 시트(21)의 제 1 면(21-1)에는 특정 색상의 문양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면(21-1)의 반대면인 제 2 면(21-2)에는 금속편(22)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자인 패널(20)을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내에 위치시키면, 디자인 패널(20)을 구성하는 시트(21)의 제 2 면(21-2)에 부착된 금속편(22)은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바닥면에 고정된 자석(12)에 부착되며, 따라서 디자인 패널(20)은 자력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내에 견고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인위적인 힘이 아닌 어떠한 자연적인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디자인 패널(20)이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디자인 패널(20)을 구성하는 시트(21)의 전체적인 형상은 베이스 부재(10)에 형성된 요부(11)의 외곽 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으 로 인하여 디자인 패널(20)은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내에서 유동하지 않는다.
이와 함께, 디자인 패널(20)은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그 표면에 다양한 벙법으로 색상을 갖는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시트(21)의 제 1 면(21-1)에 도료가 첨가된 알루미늄으로 패턴 또는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바닥면에는 자석(12)이 고정되고, 디자인 패널(20)의 시트(21)의 제 2 면(21-2)에는 금속편(22)이 부착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바닥면에는 금속편이, 그리고 디자인 패널(20)의 시트(21)의 제 2 면(21-2)에 자석이 부착된다면 본 고안의 목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2의 "B" 부분의 상세도로서,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를 구성하는 측벽(11A)을 도시하고 있다.
요부(11)를 구성하는 측벽(11A)은 바닥면에 인접한 수직부(11A-1) 및 수직부(11A-1)에서 연장되며 요부(11)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부(11A-2)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요부(11) 내에 위치하는 디자인 패널(20)의 시트(21)의 일부는 측벽(11A)의 수직부(11A-1)에 대응하며, 나머지 부분은 테이퍼부(11A-2)와 대응한다. 따라서, 요부(11)의 측벽(11A)의 테이퍼부(11A-2)와 디자인 패널(20)의 시트(21) 간에는 소정의 간격(C)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예리한 도구를 측벽(11A)의 테이퍼부(11A-2)와 디자인 패널(20)의 시트(21) 간의 간격(C)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힘을 가하게 되면,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내에 장착된 자석(12)으로부터 디자인 패널(20)의 금속편(22)이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로부터 디자인 패널(2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후 새로운 색상 및 문양이 표현된 새로운 디자인 패널을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퍼부(11A-2)는 요부(11)의 전체 측벽(11A)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측벽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바닥면 일부에는 자석(12)이 고정되어 있고, 디자인 패널(20)의 시트(21)의 제 2 표면(21-2)에는 이에 대응하는 금속편(22)이 부착되어 있어 금속편(22)이 자석(12)에 부착될 때 자석(12)과 금속편(22)의 두께에 의하여 디자인 패널(20)의 시트(21)와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바닥면(실제적으로는 요부(11) 바닥면에 부착된 지지 플레이트(13)의 표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내에 위치한 디자인 패널(20)의 양측부가 상하로 흔들릴 수 있다. 물론, 디자인 패널(20)의 시트(21)의 표면에 디자인 패널(20)의 표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금속편(22)을 부착할 경우 이러한 문제점은 생기지 않으나, 금속편의 과도한 무게로 인한 디자인 패널(20)의 중량(重量)화 및 재료의 절감 측면에서 이러한 구조는 바람직하지 않다.
도 4는 도 2의 대응 도면으로서, 위에서 설명한, 베이스 부재의 요부 내에서 디자인 패널이 양측부가 상하로 흔들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도어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패널(200)의 시트(210)의 제 2 표면(212)의 일면에 소정 깊이의 요부(220)를 형성하고, 이 요부(220)의 바닥면에 금속편(212)을 부착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금속편(212)의 표면이 시트(210)의 제 2 표면(212)과 일치하며, 따라서 금속편(212)과 자석(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의 바닥면에 부착)을 통하여 디자인 패널(210)을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 내에 고정시킬 경우, 시트(210)와 베이스 부재(10)의 요부(11)의 바닥면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다수의 요부를 베이스 부재에 형성하고 각 요부에 서로 다른 문양 및 색상이 표현된 디자인 패널을 각각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에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갖는 요부들을 형성하고 각 요부에 대응하는 디자인 패널을 각각 장착함으로써 다양 한 디자인을 갖는 도어를 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어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에 문양 및 색상이 표현된 디자인 패널을 이용하여 도어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패널을 도어의 베이스 부재에 쉽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어 필요시 다른 문양 및 색상이 표현된 디자인 패널을 장착함으로써 도어를 해체하지 않고서도 새로운 디자인을 갖는 도어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 부분의 상세도.
도 4는 도 2의 대응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

Claims (6)

  1. 전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한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의 바닥면에 제 1 금속편이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
    상기 요부 내에 수용되며 제 1 표면에는 특정 색상의 문양이 형성된 시트 및 시트의 제 2 표면에 부착되어 자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 1 금속편에 부착되는 제 2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디자인 패널;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요부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상기 요부의 바닥면에 부착된 제 2 금속편을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패널의 시트는 그 형상이 베이스 부재의 요부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그 측벽이 바닥면에 인접한 수직부 및 수직부에서 연장되며 요부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부로 이루어져 요부 내에 위치하는 디자인 패널의 시트의 일부 높이는 수직부에 대응하며, 나머지 높이는 테이퍼부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는 요부의 측벽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패널의 시트는 그 일면에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금속편은 요부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디자인 패널의 시트의 표면과 제 2 금속편의 표면은 동일면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KR2020070010864U 2007-07-02 2007-07-02 도어 KR200463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864U KR200463881Y1 (ko) 2007-07-02 2007-07-02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864U KR200463881Y1 (ko) 2007-07-02 2007-07-02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107U KR20090000107U (ko) 2009-01-07
KR200463881Y1 true KR200463881Y1 (ko) 2012-11-29

Family

ID=4127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864U KR200463881Y1 (ko) 2007-07-02 2007-07-02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8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107U (ko)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95291S1 (en) Keyboard
JP4879216B2 (ja) 棚ユニット
KR200463881Y1 (ko) 도어
KR20090005896A (ko) 장식용 타일 및 그 조립체
JP2017089374A (ja) 建築物壁面の装飾成形品
KR20080001622U (ko) 접착식 행거
KR200375788Y1 (ko) 걸레받이
USD996379S1 (en) Modular display
KR200196625Y1 (ko) 장식판이 부착된 방화문
KR101299983B1 (ko) 입체 벽지 설치 구조
KR200387618Y1 (ko) 벽면매립형 스위치용 플레이트
KR200419946Y1 (ko) 액자형 문짝
JP4915591B2 (ja) 表面パネル取付構造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KR200344058Y1 (ko) 가구용 상판 패널
KR101100917B1 (ko) 장식성이 향상된 외장패널을 갖는 우편함용 커버결합체
USD606346S1 (en) Cabinet
CN211548326U (zh) 一种微型二级梁
KR200427217Y1 (ko) 헤어라인 패턴이 형성된 패널을 구비한 스위치
JP2009052346A (ja) レール付き外壁材
KR200293289Y1 (ko) 족자형 기틀
KR101295749B1 (ko) 패널 고정용 캡너트
KR100626710B1 (ko) 표면 커버구조를 갖는 2단 벽걸이 카렌다용 고정프레임
KR100519095B1 (ko) 방화문의 장식판 결합구조
KR200433224Y1 (ko) 인조대리석 패널을 구비한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EXPY Expiration of term